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유교적 학자군주 정조(1776-1800)의 종교정책
King Jeongjo(1776-1800), Confucian Scholar-King: His Policy on Religio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선도연구자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1-041-C00081
선정년도 2001 년
연구기간 1 년 (2001년 10월 01일 ~ 2002년 09월 30일)
연구책임자 부남철
연구수행기관 영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조선 시대는 유교적 학자-관료(scholar-official)의 시대였다. 당시 이들이 생각했던 모범적인 군주는 관료의 조언을 중시하고 이들이 하자는대로 정책을 펼치며 이들에게 대폭 권한을 위임하고 가급적 세밀한 정책에는 개입하지 않고 큰 줄기만 잡고있는 군주였다. 이런 유교 정치 분위기 때문에 조선 시대 연구에 있어서도 관료들의 정치적 역할에 대한 연구는 강조되었던 반면, 실제로 정책 결정에 있어서 중대한 역할을 담당했던 군주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소홀했었다. 이런 점을 감안한다면, 조선 시대의 군주 중에서 그 자신 유교적인 학문적 실력과 자신감을 바탕한 관료에 대하여 리더쉽을 발휘하면서 조선 시대에 있어서 유교 문화의 전성기라고 평가받았던 진경 시대를 이끌었던, 학문과 정치를 결합하려고 했던 正祖(1776-1800)는 조선 시대에 있어서 군주의 정치적 위상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연구해볼만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정조를 "君師"라는 용어에 착안하여 이를 "유교적 학자군주(scholar-king)"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새롭게 정리하면서 특히 그의 주자학에 대한 연구활성화와 조선의 학술 발전에 대한 포부, 이러한 학술적 자부심에 기초하여 종교에 대해서 관용적인 입장을 취했던 그 정책 경향을 연구하려고 한다. 정조의 종교적 관용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려는 것이다. 당시에 성리학자와 관료들은 이구동성으로 종교 배척을 역설했는데 유교의 정통성을 중시했던 그가 오히려 천주교에 대해 심하게 대응하지 않았다. 불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정조의 종교에 대한 이와같은 부드러운 대응은 그의 통치기 직후에 폭발한 천주교도에 대한 심각한 박해와는 비교가 되는 것이다. 정조처럼 유교적 확신이 분명했던 군주가 왜 천주교에 대해 관용적으로 대응했고 불교를 묵인했을까? "홍재전서"라는 문집을 남겼을 정도로 학문적 수준이 높았고 철저하게 주자의 학문 세계를 학습했던 그가 왜 일반적인 성리학자들의 기대와는 달리 종교를 그냥 놔두는 방식으로 당시에 제기되었던 종교 관련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을까? 바로 이런 문제 의식이 이 연구의 출발점이다. 이런 문제에 대한 해명은 곧 그의 통치기 이후 전개된 19세기 조선의 외세 혹은 서구에 대한 대응 방식을 이해하는데 필요하다.
  • 기대효과
  • 이 논문은 이 분야에 대한 관련학계의 학적 협동을 제고한다는 기대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조선 후기에 있었던 종교적 탄압 혹은 박해 문제, 그리고 사상적 조류에 대해 종교계에서 그리고 사학계에 상당한 연구 성과를 축적했다. 그렇지만 각각 학계별로 단선적으로 이 주제를 접근했었던 결과로 연구 시각의 다양성이 부족했었다. 이런 상황에서 당시에 왜 그런 정책이 도출되었는가를 당시의 군주였던 정조의 종교 정책상의 경향, 당시의 정치 세력의 갈등 관계, 그리고 정치사상적 조류 등을 주목하는 정치학적 분석도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종교 문제를 정치 권력과의 관련 속에서 그리고 정치사상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시각과 문제 의식을 도출할 수 있다. 특히 조선 후기의 정치적 사건 등에 대한 정치학적 연구는 기존의 종교학계나 사학계에서의 연구 성과를 활용하면서도 새로운 연구 시각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통학문적 연구와 협동을 촉진하게 된다.
  • 연구요약
  • 이 연구는 그 스스로 "유교적 학자군주[君師]"임을 자부했던 정조의 종교에 대한 정치적 평가 인식과 대응 방식을 분석하려는 것이다. 연구 시기는 정조가 군주로 재위했던 1776년부터 1800년까지 24년간이지만 그 앞뒤의 시기에 발생했던 정치적 사건과 쟁점, 그리고 정치 사상적 조류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이 연구에서 참고할 자료로는 정조의 문집인 "홍재전서", 그리고 "정조실록"이 중요하다. 또한 정조시대에 활동했던 성리학자들의 문집에 들어있는 관련 자료도 검토하려고 한다. 이러한 연구의 내용을 목차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서론: 문제의 제기, 연구 방법 및 범위
    2. 정조의 학술과 종교 정책의 기반: 학자군주론/ 聖王論/ 주자학 존숭과 유교적 정통주의 인식
    3. 정조의 천주교에 대한 인식과 대응: 천주교에 대한 유교적 우월의식/ 천주교 교리에 대한 이해수준/ 천주교에 대한 관용적 대응
    4. 정조의 불교 등에 대한 인식과 대응: 불교에 대한 유교적 우우월의식/ 미륵신앙, 도교사상,정감록 등의 등장과 대응/ 불교에 대한 묵시적 인정과 불경간행
    5. 결론
    6. 참고문헌

  • 한글키워드
  • 유교적 학자군주(scholar-King: 君師), 正祖, 주자학, 종교 정책, 천주교, 불교, 聖王論, 학자관료(scholar-official), 규장각, 윤리 정책, 불경간행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