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표는 경북방언의 하위 지역어인, 대구방언과 안동방언의 성조 자료를 조사하여 그 체계를 비교, 대조적인 방법으로 기술하고 그 공통점과 차이점으로부터 방언 성조의 변천 과정과 관련된 정보를 찾아보는 데 있다. 이 작업은 성조 연구를 위한 자료를 확충 ...
이 연구의 목표는 경북방언의 하위 지역어인, 대구방언과 안동방언의 성조 자료를 조사하여 그 체계를 비교, 대조적인 방법으로 기술하고 그 공통점과 차이점으로부터 방언 성조의 변천 과정과 관련된 정보를 찾아보는 데 있다. 이 작업은 성조 연구를 위한 자료를 확충하고 경북의 북부 지역과 남부 지역의 성조상의 차이를 드러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 차이에 대한 설명은 두 방언의 성조사적 위치와 변천 과정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기대효과
이 연구의 결과 두 방언의 성조 체계가 비교, 대조적으로 기술됨으로써, 두 지역어의 성조론적 특징이 밝혀지고 그 결과가 다른 분야의 성과에 보태어져서 이들 방언의 언어 체계를 수립하는 데 기여함은 물론, 경북방언을 하위 구획하는 일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 ...
이 연구의 결과 두 방언의 성조 체계가 비교, 대조적으로 기술됨으로써, 두 지역어의 성조론적 특징이 밝혀지고 그 결과가 다른 분야의 성과에 보태어져서 이들 방언의 언어 체계를 수립하는 데 기여함은 물론, 경북방언을 하위 구획하는 일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두 방언간의 성조 차이는 성조 체계, 혹은 운율 체계 변천의 결과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그 차이를 분석하고 의미를 해석하는 것은 경북방언뿐 아니라 우리말 전체의 운율론적 변천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요약
이 연구의 내용은 성조 자료를 조사하고 그 결과물을 분석하여 두 방언의 성조 체계를 비교, 대조적으로 기술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성조 자료의 분석은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해 비교, 대조하는 방식을 이루어진다. 1) 성조소와 성조형 2) 성조 중화 규칙( ...
이 연구의 내용은 성조 자료를 조사하고 그 결과물을 분석하여 두 방언의 성조 체계를 비교, 대조적으로 기술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성조 자료의 분석은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해 비교, 대조하는 방식을 이루어진다. 1) 성조소와 성조형 2) 성조 중화 규칙(성조소 배열 규칙)과 성조형 결합 규칙 3) 형태소, 단어(체언, 용언, 그외)의 성조형 4) 문장 단위 성조형 결합 및 실현의 양상 5) 특이 성조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