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 기초공교육의 정체성 확립과 초등교육학의 학문적 개념생성을 위한 초등교육의 본질 연구: 기원에 관한 사적 고찰 및 비교교육학적 현상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분야지원일반연구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2-074-BS1045
선정년도 2002 년
연구기간 2 년 (2002년 08월 01일 ~ 2004년 07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정효
연구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중단
공동연구원 현황 이성은(이화여자대학교)
정혜영(이화여자대학교)
정광순(한국교원대학교)
조연순(이화여자대학교)
김민경(이화여자대학교)
송현순(한국교원대학교)
김경자(이화여자대학교)
이경희(이화여자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한 사회 교육문화의 근간을 이루고 공교육의 출발점이 되는 초등교육을 중심으로 그 기원에 대한 사적 고찰과 현상학적 비교연구를 통해 체계적으로 초등교육의 본질을 탐색함으로써 미래 한국의 기초공고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며 세계적 보편성을 지닌 초등교육학의 학문적 기초를 이루는 개념과 이론을 구축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사회의 다양한 변화는 유아교육이나 중등교육과 구별되는 초등교육 고유의 성격을 규명할 필요를 제기하고 있다. 초등교육은 흔히 독서산을 기초로 한 기초보통교육이라고 생각하여 왔다. 그러나 현대사회의 다양한 변화들, 즉 보편을 지양하고 다양화를 지향하는 다원주의의 팽창, 지식기반사회로 생산체제의 전환, 그리고 심화된 교과교육의 강조 등은 기초 보통교육으로서의 초등교육이 무엇이어야 하느냐라는 초등교육의 본질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도록 하였다. 또한, 현실적으로도 중등교사의 초등학교 임용 및 교사대 통합 방안과 관련하여 이에 대한 재규명을 요구하게 되었다.
    둘째, 한국 미래교육의 방향 제시를 위해서는 한국 기초공교육의 뿌리와 현상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통하여 실사구시적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 우리의 교육은 교육자체내의 해결해야 할 현실적 문제를 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식기반 사회라는 21세기 전반적인 생산체제의 변화에 국가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인재육성이라는 새로운 도전의 길목에 서게 되었다. 이제 세계 각 국은 동시에 이러한 교육의 질 확보라는 과제를 당면하게 되어서 단편적인 선진기법의 도입은 더 이상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지 못하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 교육의 정체성 확립, 특히 한 사회 교육문화의 근간을 이루며 공교육의 시발점이 되는 초등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연구가 실사구시적 대안 모색의 차원에서 그 어느 때 보다도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셋째, 독일, 영국 등 유럽을 중심으로 초등교육학은 초등학교교육이라는 구체적인 현상을 총체적으로 연구하는 학문분야로서 교육학의 세분화된 학문분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어서 이러한 초등교육의 현상을 설명하고 본질을 규명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과 이론의 생성을 필요로 하고 있다. 현대 초등교육은 초등교육과정에서 가르쳐지는 다양한 교과에 포함된 모 학문의 발전과 아동학연구의 진보에 기초하여 보다 전문화되어 오면서 심리학, 사회학, 교육철학 등 인접학문에서 빌려온 개념과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초등교육의 고유한 현상이 가시화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를 명명할 수 있는 세계 보편적인 개념과 이론을 생성함으로써 초등교육의 현상을 총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초등교육학의 학문적 기초를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육 본질의 규명을 통해 궁극적으로 미래 한국 초등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의 네 가지 측면에서 활용되어질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초등교육의 본질을 규명함으로써 한국 초등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학문으로서의 초등교육학 확립에 기여할 수 있다.
    - 체계적인 초등교육의 본질 규명을 통한 미래 한국 초등교육의 방향제시
    - 실제적인 초등교육 현상의 분석을 통한 미래 초등교육과정 및 초등교원제도 개선의 기초자료 제공
    - 이론과 실제의 통합을 위한 국제적 설문조사와 질적연구를 통해 산출되는 실제적인 경험으로 이루어지는 연구과정 및 결과 자료를 후속 연구에 활용
    - 국제적 비교연구를 통해 세계적 보편성을 지닌 초등교육학의 학문적 토대를 이루는 개념과 이론 제시

    둘째, 초등교육 자료의 DB 구축 및 교육적인 활용방법은 초등교육 학문의 이론 및 실제에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나오는 모든 산출물은 DB화 작업과 관리를 통해 웹에 탑재되어 공개하여 연구 및 역사고증 자료로 활용
    - 연구 산출물인 국내외(한국, 일본, 싱가포르, 독일, 미국)의 초등교육 현장 실제 자료는 미래 초등교육을 위한 다양한 대안 모색의 기초자료로 활용
    - 구축된 DB자료의 실제 교육에 활용
    - DB자료가 upload와 download되도록 구축함으로써 연구자료의 개방과 활용을 통해 사회구성원의 적극적 참여 유도

    셋째, 한국 초유의 사이버 초등교육 박물관의 구축, 운영은 초등교육관련 역사적 고증자료의 공유 및 업데이트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 연구결과 산출물로 나온 고증사료의 DB 구축을 통해 사이버 초등교육 박물관을 개발, 운영함으로써 초등교육 뿐 아니라 역사적 고증 및 역사관 정립의 기초자료로 활용
    - 국내 초등교육 고증자료 및 국내외 초등교육 현장 연구의 실제적 자료는 과거와 현재의 초등교육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미래의 초등교육의 모습을 예측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

    넷째, 연구산출물을 기초로 한 초등교육 관련 저서를 출간하고, 대학 학부 및 대학원 수준의 강의를 개발하여 연구인력을 양성하는 사례를 제시할 뿐 아니라 현장 대학교육과정과의 연계에 기여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모아진 자료를 기반으로 한국초등교육사, 초등비교교육론, 아동교육사상사 등의 저서 출판
    - 연구결과를 통해 모아진 자료를 기반으로 대학 내의 학부 수준과 대학원 수준의 강의(초등교육학원론, 한국초등 근현대교육사, 아동교육사상사, 초등교육 비교교육 세미나 등)를 개발함으로써 본 연구에 참여했던 전임 연구원 및 연구진의 직강 실시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한국 초등교육의 본질은 어떠하며, 또 더 나아가 어떠해야 하는가를 기본적인 연구문제로 한다. 연구 수행에서는 초등교육의 본질을 초등교육의 목적, 초등교육의 내용, 초등교육의 방법, 초등교육의 대상, 초등교육의 교사 등 5가지 요소로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요소별 성격을 밝히고, 이를 종합하여 본질을 규명한다. 이를 위하여 3차년에 걸친 다년간 연구에서는 한국 초등학교 교육 기원에 대한 역사연구, 한국초등학교 현장에 대한 양적, 질적 조사연구, 그리고 일본, 싱가포르, 독일, 및 미국과의 비교연구가 이루어진다. 구체적인 연차별 연구문제 및 연구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1차년도에서는 우리나라 기초 공교육의 역사적 기원에서 보여지는 한국초등교육의 본질은 무엇인가를 연구문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초등학교의 기원을 우리나라의 개화기(1876년-1910년) 전후로 보고, 연구대상이 되는 기간을 개화기 전후에서 식민지시기까지로 한다. 연구내용은 세부적으로 개화기의 사상적 동향,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운동의 단계적 발전, 갑오개혁과 근대 초등학교 설립, 민족계 사립초등학교와 기독교계 사립초등학교, 식민지기 초등학교의 성장 및 역할, 19세기 세계 각국의 초등교육 동향 등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초등교육기원에 관한 신문기사, 일선초등학교 사료 등의 1,2차 사료를 발굴, 수집, 분석하고, 동시에 외국의 초등교육 기원에 관한 자료를 수집, 분석한다. 이를 통해 밝혀진 당시의 초등교육의 성립과정과 기원을 한국사적 맥락을 배경으로 해석하고, 19C 외국의 기원과 대비함으로써 초등교육의 기원에서 보여지는 한국초등교육의 본질을 밝힌다.

    2차년도에서는 현대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드러나는 초등교육의 본질은 무엇인가를 연구문제로 하고, 이를 위해 양적, 질적 조사연구를 병행한다. 양적연구에서는 초등교육의 본질을 구성하는 초등교육목적, 초등교육내용, 초등교육방법, 초등교육대상, 그리고 초등교사라는 이상의 5가지 요소에 대한 교육행정가, 교사, 학생, 학부모들의 인식을 묻는 설문조사연구가 전국규모로 이루어질 것이다. 그 과정에 필요한 질문지 제작은 핵심 집단 면담과 예비 연구를 통하여 구성한다. 질적연구에서는 전형적 다중사례 표집을 통하여 두 수준, 즉 교실수준과 학교 및 교육행정기관 수준에서의 초등교육현상이 탐구된다. 교실수준에서는 초등교육내엔?교육방법 및 자료, 평가, 초등교사와 학생의 특성, 학생간 관계의 특성, 초등교실 환경 등이 연구의 촛점이 되며, 학교 및 교육행정기관 수준에서는 초등교육체제, 초등학교문화, 행정가-교사의 관계, 교사문화 등이 연구의 촛점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참여 관찰 및 비디오 녹화, 그리고 연구 참여자와의 면담, 기타 문서와 학생작품 등의 자료 수집이 6개월간의 현장연구에서 이루어 질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된 양적, 질적 조사연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 종합하여 현재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드러나는 초등교육의 5가지 요소별 성격을 밝히고, 이를 1차년도의 연구결과와 대비, 종합하여 한국 초등교육의 본질을 규명할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초등학교의 현상을 총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을 생성하게 될 것이다.

    3차년도에서는 외국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드러나는 초등교육의 본질과 우리나라의 것을 비교함으로써 초등교육의 보편적 정체성과 한국 초등교육의 특수성 도출을 연구주제로 한다. 이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우리나라 초등교육의 성립에 영향을 끼쳤거나 우리의 경우와 비교할 만하다고 여겨지는 일본, 싱가포르, 독일, 미국의 초등교육에 대해서 2차년도에 우리나라에서 실시하였던 양적, 질적 조사연구를 소규모로 실시한다. 이를 위해 2차년도 연구에서 개발된 질문지가 번역되어 사용될 것이다. 이 과정에서 네 국가의 초등교육에서 드러나는 초등교육목적, 초등교육내용, 초등교육방법, 초등교육의 대상, 그리고 초등교사의 성격은 2차년도까지 밝혀진 우리나라 초등교육의 성격과 비교, 분석될 것이다. 그 결과 중 공통점은 보편적인 초등교육 고유의 정체성으로, 차이점은 한국 초등교육의 주체성으로 확인될 것이다.
    또한, 외국의 초등교육현상을 분석하는 이상과 같은 과정에서는 2차년도에 개발된 초등교육의 학문적 개념들이 사용되어지고, 이를 통해 가지게 되는 연구결과는 국제 심포지움개최를 통해 알려지며 검증받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초등교육학의 학문적 기초개념들이 재개념화, 정련화되어질 것이다.
  • 한글키워드
  • 일본 초등교육,싱가포르 초등교육,초등교육사,초등학교 교실문화,근대 초등교육,초등교육의 기원,한국교육,초등교육,교육의 본질,사이버 교육박물관,개화기의 초등교육,초등교사 양성,비교교육,미국 초등교육,독일 초등교육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초등교육의 본질을 탐구하기 위하여 유아교육과 중등교육과 구별되는 초등교육만의 성격이 무엇인지, 초등교육의 뿌리와 현상은 어떠한지 살펴봄으로써 기초공교육의 정체성 확립 및 학문적 개념생성, 미래 한국초등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1차년도 연구에서는 공교육의 출발점이 되는 초등교육의 기원에 대한 사적 고찰과 현장연구를 통하여 초등교육의 본질을 탐색하고 미래 한국의 기초공교육이 나가야 할 바를 제시하며, 초등교육학의 학문적 기초를 이루는 개념과 이론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를 세 기간(1876-1905, 1906-1910, 1911-1945)으로 나누고, 각 기간마다 초등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및 평가, 교육대상, 교원에 대한 내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기초공교육으로서의 초등교육학의 발아시기에 대한 본질적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정부의 사료 및 개화기 전후 신문과 여러 잡지에 실린 초등교육관련 기사, 일선 초등학교 사료 등을 발굴, 수집, 분석하는 역사연구뿐 아니라, 근대 초등교육의 뿌리를 탐색하고 근대 초등교육의 역사와 실태를 알기 위한 면담 및 실태조사를 통한 실증적 현장연구를 병행하였다. 역사연구 및 현장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연구결과로는 먼저 그 당시 초등학교 기원 및 성립과정에서 보여주는 한국 초등교육의 본질적 특성으로 ‘공공성’, ‘기초성’, ‘보통성’의 개념을 추출되었다. ‘공공성’이란 기회균등 및 국가주도의 의미를 내포하며, ‘기초성’은 학습과 직업 그리고 시민의 기초가 됨을 의미하며, ‘보통성’은 전문적 탐색이 아닌 일반성과 미래지향적 보편성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요소들에는 국민교육이라는 성격이 두드러지며, 외국의 초등교육 기원과 비교할 때 시민계급이 형성되지 못한 후발 산업국가에서 보여주었던 성격과 마찬가지로 한국 초등교육 기원은 국가주의적 성격이 두드러졌다. 이 연구를 통하여 드러난 것은 개화후기와 일제강점기를 거쳐 성격이 퇴색되었지만 한국 초등교육의 발아과정에서 나타난 초등교육의 본질적 특성은 미래지향적 국민교육의 성격이며, 미래 한국 초등교육에서는 국가와 아동 개인간의 요구가 균형있게 반영되어야 하고, 미래사회를 위한 전망과 다양한 형태의 초등교육적 시도가 보장받아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1차년도의 사적 고찰이 과거에 대한 탐색이었다면, 2차년도의 연구에서는 한국의 초등학교에서 현재 벌어지고 있는 본질을 논의하기 위하여 현상학적 연구를 시도하여 초등교육에 대한 이해의 폭과 깊이를 심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가장 초등교육스러운’ 초등학교 교실을 찾아가 그곳에서 벌어지는 교육현상을 통하여 초등교육의 목적과 내용, 교수방법과 평가, 아동과 교사에 대한 본질적 요소를 추상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네 단계로 진행되었는데, 먼저 첫 번째 단계에서는 초등교육만의 특성과 역할을 탐색하고자 유치원교사, 중등학교 교사, 교육행정가와의 집단면담을 실시하여 본 연구의 개념적 틀을 구축하였다. 두 번째는 초등학교 교장, 교사, 학부모의 추천을 받은 ‘가장 초등학교다운’ 공립 및 사립학교 총 4개교를 선정하고 각 학교마다 우수교사로 추천된 담임 중 연구 참여의사를 밝힌 저, 중, 고학년 학급을 뽑아 2003년 10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총 6개 학급의 학교생활을 주당 2회, 회당 2시간 이상씩 참여관찰을 하여 총 4080시간 분량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자료의 보충을 위한 추가 현장관찰이 실시되었고, 이와 동시에 여러 차례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공식적, 비공식적 면담을 시행하였으며, 연구자의 해석에 대한 연구참여자의 확인(member check)을 시도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전국에서 표집된 초등학교 교사(823명), 학부모(990명), 교육전문가(188명)를 대상으로 양적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질적 연구방법을 통한 연구결과를 검증하고 동시에 질적 연구결과를 보완하는 역할을 띄었다. 초등교육의 목적, 교육내용, 교수방법, 평가, 교사, 아동영역을 통한 초등교육 본질 및 성격에 대한 탐색결과, ‘심미성’, ‘공식성’, ‘실제성’, ‘통합성’이 현재 한국의 초등교육 현상에 대해 가장 초등교육스럽게 만드는 요소임을 지적하였다. 1차년도 연구에서 추출된 국민교육으로서의 초등교육이 사회적 맥락의 의미를 내포한다면, 현대사회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의미는 새로운 개념으로 보완 및 전환이 필요하게 된다. 2차년도 연구결과는 현재 초등교육이 관여하는 다양한 측면을 드러내주며, 동시에 이에 대한 균형적 시각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 영문
  • The research aimed at establishing identity of the basic public education, developing academic concepts that represented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education, and exploring the future directions toward the development and advance in the filed of the primary education, by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made primary education differentiated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or secondary education, what were the roots and phenomenons of the primary education.

    To search for the foundation of the primary schooling in Korea,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essential nature and its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education and to establish the disciplinary structure and identity of the primary education during the period of the Enlightenment, focusing on the areas of social background, educational needs, educational purposes, school curricular,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and teacher education system.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laws and government documents, newspapers, and educational journals that were amended and published during the period were analyzed in addition to the interviews and positivistic-based site observation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essential na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education during the period were characterized as 'public basis' for fair opportunities lead by the nation, 'fundamental basis' for learning, community membership, and personal life, and 'common basis' for general and future-oriented universality. The research suggested that in the stage of the germination of the primary education the essential nature for the schooling was strongly based on the national education, however, it was asked to balance between the wills and needs of nation and an individual child for reflecting diverse aspects of the primary education in the future.

    Comparing the first part of the research which was based on the past-oriented and historic approaches,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nature of the primary schooling at present with the use of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e data collection, at first, kindergarten teachers, secondary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were involved in the focus group interview to differentiate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the primary school. And six elementary teachers and their classrooms (including lower, middle, and upper grades) that represented as 'the most idealistic primary classrooms' and showe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recommended by their principals and their colleagues and chosen among four public and private elementary schools. Their instructions were video-tapped for 4080 hours in total, twice a week, and more than two hours at a time from October, 2003 to March, 2004. Next, additional field observations were conducted for the supplementary data collection, and the teachers and their children were interviewed formally and informally for several times to have member check for the validity of the qualitative data. At the final stage, a large-scal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823 elementary teachers, 990 parents of elementary children, and 188 educational professionals who were sampled throughout the nation, to check and balance the results of the data with the qualitative approach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ing that make the education most primary were listed as 'aesthetic pursuit', 'formality', 'practicality', and 'integration'. The first part of the research emphasized the educational meanings especially in the social context in the period of the Enlightenment, whereas the second part of the research suggested to replace the concept of the social meaning in the former to one with various and balanced perspectives of primary education in the contemporary socie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목적은 근대 초등교육의 기원에 대한 사적 고찰 및 현상학적 연구를 통하여 한국 기초공교육의 정체성 확립과 초등교육학의 학문적 개념생성을 위한 초등교육의 본질을 추출함으로써 앞으로의 미래 한국의 기초공교육으로서의 초등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평가, 교육대상(아동), 교원 등의 요소를 설정하였다. 1차년도에서는 사적 연구를 통한 한국 개화기전후에서 일제강점기까지를 세 기간(1886년-1905년, 1906년-1910년, 1911-1945년)으로 나누어 초등학교 교육 및 그 특성을 탐색하고, 2차년도에서는 1차년도 연구에 바탕을 두고 현재의 초등학교 교육에서 드러나는 현상으로서 초등교육의 성격과 드러난 현상 이면의 의미를 탐색함으로써 초등교육의 본질적 모습은 무엇인지 탐구하였다.

    연구방법으로 1차년도에서는 개화기~일제강점기 시기의 정부 사료, 신문 및 여러 잡지에 실린 초등교육 관련 기사를 발굴, 수집, 번역, 분석하는 사료중심의 연구방법을 비롯하여, 근대 초등학교 발아기를 탐색하고자 현존하는 근대 초등학교들을 탐방, 면담, 실태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는 실증적 현장연구를 병행하였다. 2차년도에서는 먼저 초등교육에 대한 개념의 틀을 구축하기 위하여 유치원 교사, 중등학교 교사, 교육행정가들과의 집단면담을 실시하였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현재 벌어지고 있는 초등교육의 모습을 현상학적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가장 초등교육스러운’ 교실을 표집하고자 추천받은 공립 3개교, 사립 1개교의 각각 저, 중, 고학년 총 6개 학급을 선정하여 7주 동안 총 4080시간동안 비디오 촬영, 전사, 분석하는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자료의 보완을 위한 추가 현장관찰과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공식적/비공식적 면담을 계속하여 연구결과에 대한 연구자의 해석에 대한 연구참여자의 확인(member check)을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검증, 확인하고자 전국단위의 교사(823명), 학부모(990명), 교육전문가(188명)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1차년도의 초등학교 성립과정과 기원에서 보여지는 한국 초등교육의 본질적 특성은 ‘공공성’, ‘기초성’, ‘보통성’으로 추출되었다. 공공성이란 기회균등 및 국가주도를 의미하며, 기초성은 학습과 공동체의 삶 그리고 개인생활에의 기초를 마련해주는 것이며, 마지막으로 보통성은 전문이 아닌 일반성과 미래지향적 보편성을 의미하였다. 우리나라의 초등교육 기원은 국가주의적 성격을 두드러지게 나타내었다. 따라서 개화시기와 일제강점기를 거쳐 그 성격이 퇴색되어 갔지만 한국 초등교육 발아과정에서 보여지는 초등교육의 본질적 특징은 미래지향적 국민교육의 성격을 강하게 나타내었다. 2차년도의 현상학적 연구결과로는 먼저 초등교육의 목적에서 드러나 초등교육의 특성은 ‘학습의 기초’, ‘공동체의 기초’, ‘삶의 기초’라고 보았다. 교육내용에서는 구체성, 맥락성, 개인성을 추출하였으며, 방법영역에서는 심미성과 맥락성, 진정성을 포함하는 통합성으로 규정하였다. 평가는 인격적, 총합적, 개인화된, 통합된, 성장잠재성을 인정하는 포괄적 특성이 드러났다. 교사영역에서는 교수와 인격적 측면이 하나의 상황에서 통합적으로 작용한다는 점, 아동영역에서는 학교교육이 아동의 삶과 관련지어야 하고 아동의 신체 움직임을 참여시키고, 아동스스로 내용과 방법을 주도하고, 현실에서 벌어질 수 있는 활동을 제공해야 함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연구영역에서 공통적인 초등교육만의 성격으로 규명된 것은 ‘심미성’, ‘공식성’, ‘실제성’, ‘통합성’으로 이러한 성격이 현재 벌어지고 있는 가장 초등교육다운 성격을 규정하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로는, 1차년도에서 드러난 초등교육의 성격이 기초성, 보편성, 공공성을 지닌 국민교육이었으며 사회적 맥락의 의미가 두드러졌다면, 초등교육이 보편화 된 현대사회에서는 이러한 초등교육의 사회적 의미는 새로운 개념으로 보완과 전환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의미에서 2차년도 연구에서 드러난 심미성, 공식성, 실제성, 통합성이라는 초등교육의 성격은 이를 대체할 수 있으며, 초기의 보편성과 공공성을 함축하며 동시에 초등교육의 심리발달적 측면, 교육본위적 측면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심미성과 실제성의 강조는 이론적 교과위주의 초등교원양성과 초등교육 전문성의 방향에 전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학문적 기여도
    - 과거와 현재의 초등교육의 모습을 짚어봄으로써 공공성과 함께 맥락과 개인의 측면이 강조된 실제성과 심미성의 배려라는 제언을 통해 앞으로 한국 초등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초등교육학의 학문적 토대를 이루는 개념(기초성, 보편성, 공공성, 심미성, 공식성, 실제성, 통합성)을 제시함으로써 초등교육의 전문성 구축에 기여하였다.
    - 초등교육역사서 2권, 초등교육의 현상탐구 학술서 1권 그리고 기간학회지에 관련학술논문 15건이 발표되었다.
    이를 통해 제한적이었던 초등교육학 영역의 연구방법을 확장하고, 사적 연구, 현장연구, 현상학적 연구를 통하여 학문적 토대를 확대, 통합, 심화하였다.
    - 국내 초등교육 현장에 대한 실제적 자료(사진, 사료의 번역물, 인터뷰자료, 학급촬영내용, 설문지 등)를 집대성하여 초등교육 현상과 연구에 관심있는 이들에게 현재 초등교육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미래의 모습을 예측하는데 그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www.eeedb.org는 향후 국내 최대의 초등교육관련 DB가 될 것으로 보인다.

    2. 사회적 기여도
    - 초등교육학에 대한 이론과 실제의 통합 및 역사연구와 현장연구, 질적연구와 양적연구의 활용을 통하여 일반 대중이 초등교육과 관련된 후속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와 연구과정, 결과를 손쉽게 활용하는데 기여하였다.
    - 본 연구의 수행기간동안 박사학위 소지자의 전임연구원(총 7인) 및 다수의 초등교육 전공 연구보조원들의 적극적 참여를 통하여 차세대 전문연구인력의 육성에 기여하였다.
    - 과거와 현재를 살펴볼 수 있는 초등교육 관련 실제 자료들은 일반 사회구성원의 초등교육에 대한 적극적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내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 사회구성원 누구나 자유롭게 본 연구결과에서 추출된 자료와 산출물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초등교육 관련 전문자료를 DB화(www.eeedb.org)함으로써 기초학문연구를 추진하고 연구자료의 개발과 활용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3. 교육현장에의 기여도
    - 과거와 현재의 초등교육 현상과 본질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미래 초등교육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 교육영역에서의 역사연구와 현장연구,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통해 체계적이며 다양한 연구산출물을 초등교육 관련 연구사례로 제시하였다.
    - 다양한 경로를 통해 수집, 번역, 정리, 전사, 분석, 정리된 초등교육 자료들을 DB화 시켜서 웹사이트에 탑재함으로써 교육의 실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현재의 한국 초등학교 교실에서 벌어지는 것에 대한 정보는 현재의 초등교육 모습을 이해하고 미래의 초등교육의 모습과 방향을 예측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게 하였다.
    - 연구결과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15개 학술지에 게재하였고, 3권의 단행본 저서(한국 개화기 초등교육, 일제강점기 초등교육, 초등교육의 실제)를 출판하고, 학부와 대학원을 위한 강의를 개발하였고, 본 연구에 참여했던 전임연구원과 연구진의 직강을 실시함으로써 연구결과의 대중화와 후속 연구세대 육성에 기여하였다.
    - 대학 교육과정과 연구를 통한 과거와 현재의 초등학교의 모습의 연결은 이론-실제의 괴리를 좁히고, 과거와 현재와의 연계에 기여하였다.
  • 색인어
  • 초등교육 기원, 초등학교 성립과정, 초등교육 본질, 기초공교육, 목적, 내용, 방법, 평가, 교육대상, 교원, 공공성, 기초성, 보통성, 국가주의적 성격, 심미성, 공식성, 실제성, 통합성, 역사연구, 현장연구, 현상학적 연구, 면담, 참여관찰, 설문조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