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s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어 지식의 구조와 활용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분야지원일반연구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2-074-HS1002
선정년도 2002 년
연구기간 3 년 (2002년 08월 01일 ~ 2005년 08월 01일)
연구책임자 이정모
연구수행기관 성균관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신현정(부산대학교)
김영진(아주대학교)
도경수(성균관대학교)
김청택(서울대학교)
이선영(서울대학교)
백유경(서울대학교)
안서원(성균관대학교)
박태진(전남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지식 정보화 시대를 맞아 시급히 필요한 것은 하드웨어적인 기술 개발과 아울러 사람들이 사용하기 편하게 시스템과 정보를 조직화하는 일이다.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시스템과 정보를 조직하려면 정보 사용자들의 지식 표상 방식과 활용 방안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하는데, 인간의 정보 추구 행동은 주로 언어에 의해 일어난다. 따라서 우리가 사용하는 한국어 지식의 구조와 활용 특성에 관한 연구가 아주 절실하게 요청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한국에서 수행된 연구들은 서구에서 발표된 연구결과를 한국에서 모방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한국어와 영어의 구조가 다르고, 한국인들의 지식구조가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지식구조와 다른데도 한국인들의 머리 속에 있는 한국어 지식에 대한 규준이 없기 때문에 서양의 연구에서 사용한 어휘나 문장을 그대로 번역해서 수행한 연구가 아주 많다. 문화차 등으로 인해 한국어의 규준을 작성해서 연구하는 경우에도 현실적인 제한 때문에 체계적으로 광범위한 규준을 구축하지 못하고 임시 방편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단어를 사용하는 방식을 이해하려면 단어들이 어떤 식으로 연합되어 있는지를 알아야 하는데, 지금까지 수행된 연구들은 그 연구에서 사용할 아주 제한된 어휘만을 대상으로 연상가를 조사한 다음 그 자료를 토대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 연구의 상당수가 이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되었기 때문에 연구 결과의 타당성이나 일반성, 결과의 활용 등이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연구를 활성화하고, 연구의 이론적 가치와 실용적인 함의를 높이려면 한국사람들의 언어적 지식의 구조와 활용에 근거해서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 이러기 위해서는 한국어 지식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들이 축적되어야 하는데, 이런 연구는 자료 구축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길고 많은 연구자들의 공동 작업이 필요한 반면 논문과 같은 가시적인 결과를 얻기 어렵기 때문에 그 동안 연구의 필요성은 절실하게 느끼면서도 연구를 추진할 수 없었다. 본 연구팀에서는 언어와 기억, 추론 등의 연구를 수행하는데 기본적으로 필요한 자료를 구축하고, 아울러 이들의 기본적인 처리 원리를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려고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지식의 구조를 밝혀 내어 궁극적으로 한국어 어휘정보에 기반한 사고체계를 이해하려고 한다. 영어와는 달리 한국어는 어순이 자유로우며, 여러 다양한 통사적, 의미적 표지(marker)가 사용되며, 문장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동사나 형용사가 문장의 끝에 나온다. 이에 따라 한국어를 이해할 때 상대적으로 어휘 정보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된다. 나아가 어휘정보는 그 어휘가 사용되는 문장의 형태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사람들의 추리와 의사결정도 내용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이 또한 어휘를 통해 표현되게 된다. 즉 한국인의 사고체계는 한국어 어휘의 정보를 기반으로 해서 진행되는 측면이 강할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심성어휘집의 구조와 특성, 어휘정보와 문장의 표면구조가 통사처리에 미치는 영향, 어휘정보가 이야기 글과 설명 글 이해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어휘정보가 추리와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목표 중의 하나가 기본적인 자료와 연구의 구축이기 때문에 결과의 활용방안은 아주 다양하다. 첫째, 지식표상의 근간인 심성어휘집의 구조와 특성을 밝힘으로써, 한국어 처리에 관한 후속 연구들의 데이터베이스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효율적인 한국어 처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결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즉 어휘 처리 시스템뿐만 아니라 문장 분석 시스템, 글 이해 시스템, 추론 시스템 등을 개발하는데 매우 유용한 기본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는 인간의 언어처리 과정에 대한 모델링을 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어휘 지식의 구조와 어휘 수준의 처리 원리, 문장 수준에서의 처리 원리, 글 이해의 원리, 그리고 추리와 의사결정 등에 미치는 언어적 요인의 영향을 종합하면 이전에 나온 어떤 연구보다 더 포괄적인 언어처리 과정에 대한 모델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세째, 학습 및 기억연구의 기초 자료로서도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전에는 젊어서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면 그때 배운 지식만으로도 평생 전문가로 활동할 수 있었지만, 지식 정보화 시대에는 아주 빠른 속도로 새로운 정보와 기술이 개발되기 때문에 그때 그때 즉각적으로 습득하지 않으면 도태되고 만다. 따라서 효과적인 기억과 학습의 필요가 더욱 절실해지는데,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런 연구에서 사용될 기초자료로 아주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네째, 본 연구의 결과는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개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지식의 전달은 주로 언어를 이용해서 일어나는데, 본 연구에서 알아낸 한국어 지식의 구조와 활용 원리를 이용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정보를 표현하는 방안 등을 연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섯째, 사람의 추리는 규범적인 방식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기술하는데 사용하는 어휘와 추리하는 사람의 지식에 영향을 받는데, 이 관계를 밝혀냄으로 해서 사람들이 보다 합리적으로 정보를 종합하고 추리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는 데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리를 도와주는 추리 시스템의 개발 등에 본 연구 결과가 응용될 수 있다.
    여섯째, 확률의 언어적 표현에 관한 연구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확률을 표현할 사용하는 어휘의 규준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일기예보, 당선확률 등과 같이 표현에 사용되는 용어의 기준을 마련하는데, 매우 유용한 준거로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의사결정과정에 관한 연구는 사람들에게 목적에 부합하는 가장 합리적인 판단을 내리게 하는 조언 시스템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의사결정과정에 포함되는 모든 일상생활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사람들이 정보를 이해하고 종합한 다음 판단을 내리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인데, 이 과정에서 한국어의 어휘 정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휘 정보를 근간으로 하는 사고과정의 특징과 처리원리를 체계적으로 밝혀 내기 위해 사고와 관련된 과정을 네 영역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즉 한국어 심성어휘집의 구조와 특성, 어휘정보와 문장의 표면구조가 통사처리에 미치는 영향, 어휘정보가 이야기 글과 설명 글 이해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어휘정보가 추리와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의 네 영역으로 나누어 병렬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모든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기초 연구와 이론 연구로 연구 주제를 구분하고 이를 병행적으로 수행하여, 독자적인 자료 구축과 연구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려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음 두 가지 전략을 사용한다. 첫 번째 전략은 한국어연구에 필요한 기본적인 규준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한 기초 연구를 병행적으로 수행하여, 기본적인 처리 원리를 밝히는 것이다.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한국어 자체의 연구 패러다임을 만들기 위해서는 한국어 자체의 특성에 관한 기본 자료가 구축되어 있어야 하기에 이를 기초 연구를 통해 달성하고자 한다. 즉 어휘 수준, 문장 수준, 그리고 글 수준에서 한국어 자체의 기본 자료를 구축하는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단어의 연상규준, 한국어 문장의 유형, 글의 유형, 논리적 접속어의 유형 분류와 같은 기본적인 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형별 처리 원리를 밝혀 내는 연구가 첫 번째 전략에 속하는 연구가 된다.
    두 번째 전략은 한국어 특성에 기초한 연구 주제를 선정하여, 인지심리학과 언어심리학 탐구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한국어는 단어들간의 조합이 용이하며, 어순이 자유롭고, 여러 다양한 통사적, 의미/화용적 표지(marker)가 사용되며, 술어는 문장의 말미에 위치한다는 특징이 있는데, 이는 다른 언어, 특히 영어는 갖고 있지 않은 특성이다. 그러기에 이 특징을 천착하는 것이야말로, 한국인의 보편적인 심리학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 될 것이다. 복합 명사의 구조 원리와 처리 특징, 어순의 변화가 주는 효과, 한국어 동사의 처리 과정과 같은 것들이 이에 속한다. 이런 연구를 통해 서구에서 제기된 여러 이론들을 비판적으랜염愾鄂求?작업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 두 가지 연구전략을 네 영역별로 보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어휘 수준에서는 기초 연구로 한국어 단어의 주관적 사용빈도, 심상가 및 연상가 규준을 작성함으로써 한국어 어휘수준의 기본특성 자료를 명사, 동사, 그리고 형용사 별로 구축하려고 한다. 일반적으로 심성어휘집을 구성하는 전형적인 개방유목이라고 할 수 있는 보통명사, 동사, 그리고 형용사들은 서로 다르게 체제화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어휘 수준의 연구에서는 품사별의 체제화를 반영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렇게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서 어휘접근과정을 밝힘으로써 체제화의 세부내용들을 밝힐 수 있는 실험연구들을 수행한다. 이론적인 연구로는 한국어 단어의 주관적/객관적 사용빈도가 시각적 단어재인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사용빈도효과를 고려한 한국어 단어재인모델을 구축한다. 또한 한국어 정보처리에 관여하는 작업기억 용량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언어정보처리의 작업공간인 작업기억체계의 용량에 미치는 한국어 단어 특성을 실험적으로 조사 분석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자어를 많이 차용하는 한국어의 전형적인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다의어의 체제화와 처리에 관한 실험연구, 그리고 어휘와 개념확장의 일차적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복합어의 형성과 처리에 관한 실험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문장 수준에서는 기초 연구 주제로 한국어의 문장 유형 및 표면 특성에 따른 처리 양상, 성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덩이글의 읽기 패턴 조사, 발달적 변화를 고려한 한국어 덩이글의 읽기 패턴 조사의 세 가지를 다를 예정이다. 특히 이 주제들에 대해서는 기존의 문장이해 시간과 같은 방법이 아니라, 신뢰도가 높고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는 측정으로 알려진 안구 운동 추적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어 단어의 평균 눈 고정 시간, 고정의 빈도, 회귀 운동의 빈도, 문장의 유형에 따른 변화, 독자의 특성과 과제에 따른 변화 등 기초 데이터를 얻을 계획이다. 이론적인 연구로는 어순의 변화가 주는 효과, 주제 표지(topic marker)와 재귀 대명사의 처리, 한국어 동사의 처리 과정 등을 알아보려고 한다. 특히 이 연구를 통해 서구에서 제기된 여러 이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이 이
  • 한글키워드
  • 추론,어휘접근,의미시스템,심성어휘집,안구 운동,범주,연상가,심상가,시각적 단어재인,어휘정보처리,귀납추리,연역추리,응집성,글 이해,통사 책략,문장 분석,점화과제,판단과 의사결정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어휘, 문장, 글 수준에서의 처리와 언어와 사고에 관한 연구로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1. 결합개념에 대한 해석을 속성해석, 관계해석, 혼성물해석, 그리고 기타의 네 유목으로 분류하였으며, 속성해석 억제조건에서 속성해석이 비율이 두 배 이상 높게 나타나 수식개념 속성의 현저성을 보여주었다.

    2. 한국어 단어의 기억폭에 영향을 미치는 어휘 특성 가운데 특히 단어길이와 관련된 특성을 밝히기 위해 4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글자 수가 많을수록 기억폭이 작았다. 둘째, 받침 수의 증가에 따라 기억폭이 감소하였다. 셋째, 비합성어는 합성어보다 기억폭이 더 컸다. 넷째, 읽기 속도는 글자 수가 많은 단어일수록 느렸다.

    3. 한국어의 자유 어순 현상을 통사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전 작업으로 동사-주어-목적어 (VSO) 의 어순을 보이는 Irish의 동사 이동 (verb movement) 이 강 동사 자질 (strong v-feature) 로 인한 이동임을 증명하고 모든 구조격 (structural case)은 지정어-핵 관계 (SPEC-head relationship)의 실현임을 보여 주었다.

    4. 한국어를 제 2 언어로 배우는 (KSL) 학습자들은 주격 관계절을 목적격 관계절 보다 더 많이 쓴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KSL 학습자들은 S-층위 관계절 (즉, 주절의 주어를 수식하는 관계절)을 O-층위 관계절 (즉, 주절의 목적어를 수식하는 관계절) 보다 더 많이 썼는데, 이는 중간에 내포되는 관계절 처리의 어려움을 주장해온 지각적 어려움에 따른 가정을 지지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5. 의미역 재분석과정을 통해 한국어 동사정보의 처리과정, 특히 논항의 의미역 구조를 바꾸는 동사정보의 변화가 통사적 처리와 독립적으로 처리되는가를 알아보고자 했다. 4개의 실험 연구를 통해 한국어에서는 동사가 문장의 맨 마지막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재분석이라는 부가적인 처리를 보였다는 점에서 의미역의 처리가 이미 동사의 등장 이전에 어느 정도 이루어졌음을 확인함으로써, 의미역 처리도 통사적 처리와 유사하게 점진적(Incremental)인 처리를 한다는 것을 지지하였다.

    6. 설명글에서 대용어의 참조해결에서 이론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선행어의 언급순서의 본질과 선행어의 어휘속성인 전형성이 참조해결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두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초점 가설에 일치하였다.

    7. 글에 포함된 대비적인 정보 처리의 양상과 처리 원리를 알아보기 위해 8개의 실험을 개관하여, 6단계의 처리단계를 가정하는 잠정적인 대비정보 처리원리를 제안하였다.

    8. 합리적인 의사결정의 보조도구를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합리성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흔히 사용되는 합리성이란 경제적인 합리성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은데 경제적인 합리성은 심리학적 합리성과 반드시 일치하는 개념은 아니다.

    9. 개인의 의사결정과정에서 반복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심적 모형이 형성되면서 정보 획득의 양이 감소하며, 정보 획득의 순서도 시행에 걸쳐 정렬되나 심적 모형 형성을 방해하는 요소 때문에 이론적으로 예측된 정보의 획득 순서와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10. 일반인들이 지각하는 위험의 의미 차원을 도출하기 위해 위험에 관한 형용사 어휘와 위험대상을 분류한 자료에 대해 다차원척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1에서는 위험을 표현할 때 쓰이는 형용사 어휘 50개를 선정하여 이를 네 번 분류하게 하였다. 연구 2에서는 대표적인 위험대상 40개에 대해 네 번 분류하게 하였다. 연구 3에서는 연구 1, 2에서 모두 도출된 ‘예측가능성’과 ‘지각된 심각성’의 차원 독립성을 검증하였는데 ‘지각된 심각성’에 따른 위험대상의 구분이 더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11. 풍경 그림을 사용하여 도식과의 유관성이 오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두 실험에서는 도식에 의한 기대라는 상향 정보, 즉 유관성에 의한 도식적 처리가 오기억의 주요인이 되며, 상향 정보와 하향 정보 간에 충돌이 일어날 때에는 오기억이 감소한다는 사실을 보여 주었다.
  • 영문
  • For composite nouns, modifying relationship between two nouns are most salient in Study 1 In study 2, working memory span has been reported to highly correlated with recall of words, especially, number of letters and the presence of last consonant affects working memory span. In Study 3, 4 & 5,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Korean word order, S-O-V. attributes verb movement relative clause generation, amnd processing of verbal information in a sentence. In Study 6, the focus of processing greatly affects the antecedent resolultion of relative nouns in Korean. Six processing principles for the contrastive information has been suggested in Study 7. In study 8, ecological aspects were suggested to be considered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rationality. Perceived severity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dimension in risk perception in study 9, and relevance of concepts in relation to the general schema of the text differently affected processing in Study 10.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어휘, 문장, 글 수준에서의 처리와 언어와 사고에 관한 연구로 다음과 같이 10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복합명사에 대해 속성해석, 관계해석이 주로 일어나는데, 수식 속성이 현저함을 발견하였고, 연구 2에서는 단어의 기억폭은 작업기억 용량과 상관이 높은데, 한글에서는 글자수, 받침 등이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구 3에서는 동사 이동이 한국어 특성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그리고 연구 4에서는 관계절 생성이 처리 부담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밝혀내었다. 연구 5에서는 동사의 의미처리도 문장을 읽어 가면 점진적으로 생성된다는 것을 알아내었고, 연구 6에서는 대명사 처리에 결정적인 요인은 처리 초점이라는 것을, 그리고 연구 7에서는 대비 정보의처리 원리 가설을 제안하였다. 연구 8에서는 합리성의 개념에 생태학적 측면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으며, 이 결과로 이론적 모형에서 예상하는 것과 사람들이 정보를 획득하는 순서가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구 9에서는 위험에는 지각된 심각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그리고 연구 10에서는 내용적으로 유관 한 정보의 처리 방식은 도식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대단위 언어의 인지 기제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구성할 수 있다. 1, 2차년도에 작성된 주관적 단어 빈도 규준, 전형성, 심상성규준과 연상규준은 한국어 어휘의 기본 속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3차년도에 연구된 복합명사의 유형과 구조에 관한 정보, 그리고 작업기억과 어휘지각에 관한 연구는 언어 정보처리과정 및 인지 기능에 관한 연구의 기반 자료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2. 대명사는 다른 품사에 비해서 연구도 가장 되어 있지 않고 가장 논란이 되고 있다. 대명사 자체는 의미도 없어 단어로는 볼품이 없지만 담화글이나 설명문에서 그 기능은 매우 중요하고, 대명사의 사용 빈도가 다른 단어에 비해서 매우 높지만 그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일상에서 언어 사용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시각을 제공한다.
    3. 동사는 문장이해과정에서 문장내의 여러 정보를 통합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한국어의 동사는 영어와는 달리 문미에 출현하기에 구체적인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동사의 논항정보가 문장이해과정에 어떻게 변하는지를 측정하여 이전 영어권연구와 비교하여 한국어 처리의 특성이 처리부담에 기인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4. 언어와 사고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는 개인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기술하는 방식에 따라 사람들의 위험지각이 달라짐으로 특정한 정보를 전달하는 목적에 따라 (예컨대 금연 광고, 경제지표) 어떤 방식의 표현법이 가장 정확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5.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사용하는 형용사 어휘분석을 통해 일반인이 가지고 있는 위험의 의미를 파악하였다. 따라서 보다 합리적인 판단과 결정을 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고 위험물과 관련된 정책수립에도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예측된다.
    6. 학제간 연구의 바탕을 마련할 수 있다. 언어의 공통적 주제에 대해서 문학, 국어학, 언어학, 및 심리학은 서로의 커뮤니케이션이 단절되어왔다. 담화의 이해와 인과 혹은 대비 응집에 관한 인지심리학의 연구는 문학 혹은 비평 이론, 언어학 이론, 및 인지심리학 이론의 통합적 접목이 가능하다.
  • 색인어
  • 복합명사, 작업기억, 동사이동, 관계절, 처리부담, 동사의 의미역, 대명사, 대비정보, 합리성, 정보획득 방략, 위험, 오기억, 유관성
  • 이 연구과제의 신청시 심사신청분야(최대 3순위까지 신청 가능)
  • 1순위 : 복합학 > 심리과학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