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의 배경과 목적
미디어는 현대인, 특히 청소년에게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 중 다른 어떤 미디어보다 강력한 TV에 대하여 주체적이고 비판적인 수용을 위한 교육적 처방이 절실히 요청된다. 미디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향, 이미 ...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미디어는 현대인, 특히 청소년에게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 중 다른 어떤 미디어보다 강력한 TV에 대하여 주체적이고 비판적인 수용을 위한 교육적 처방이 절실히 요청된다. 미디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향, 이미지 등과 결합한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언어 외적인 요소의 비중이 커질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언어적 요소 또한 확장되었다. 미디어는 언어적 요소와 언어 외적 요소의 긴밀한 결합으로 완성되기 때문이다. 둘째, 규범보다는 일탈지향적이다. 대량 생산되는 미디어는 늘 새로움을 추구해야 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미디어 언어는 그 변화의 속도가 현시적 재현적 언어에 비해 훨씬 빠르다. 셋째, 욕망을 창출한다. 대중 문화 속에서 수용자의 욕망은 대게 수동화되어 미디어가 대리실현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미디어 언어의 특성은 수용자가 수동적일 수록 더 효과적으로 실현된다. 넷째, 일방향적이다. 미디어 언어의 일방향성은 수용자의 수동성에 의해 강화된다. 즉, 현대인들은 미디어에서 오락과 휴식의 기능을 요구하고 있으며 미디어는 이러한 수용자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그 결과 미디어 언어는 의사 소통 참여자 간의 상호작용을 더욱 왜곡하게 된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미디어 언어는 새로운 형태의 의사소통을 창출하고 있고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 더욱 심화될 것이다. 특히, 미디어 언어는 수용자의 수동성을 조장하기 때문에, 수용자는 미디어가 창출하는 세계를 사실로 간주하게 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제도교육의 차원에서 학생들이 미디어 언어가 구축하고 있는 허상의 세계를 주체적으로,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새로운 정보를 생산하는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배겨할 필요가 있다.
2. 연구의 내용
이 연구에서는 TV 방송의 언어 문화에 대한 이론화 작업이 필요하다. 일상적 언어활동과 다름없지만 실제로는 철저히 조작되는 언어 활동이라는 방송 언어의 이중성과 광고, 뉴스, 드라마, 토의와 토론 등 다양한 장르적 특성을 띠고 구현되는 방송 언어의 성격에 대한 이론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특히 방송 언어의 표현 기법과 그 효과를 논의할 때, 언어 문화적 관점에서 중요한 것은, 그것이 어떠한 언어적 의미와 실천으로 구성되는가 하는 점이다. 여기서 특정 어휘의 선별적 사용과, 어미의 절사, 종결형웰옘궈? 수사적 실천, 특정인의 관점과 선택, 초점화의 문제 등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3. 연구의 방법
(1) 서구 사례 비교 연구를 통한 TV 리터러시(literacy)의 개념 정림
1970년대부터 텔레비전 리터러시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미국을 중심으로 텔레비전 리터러시 교육 사례를 살펴볼 뿐 아니라, 영국이나 호주 등에서 실시되고 있는 광범위한 연구와 실행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사례 수집을 통해 우리의 문화와 현실에 맞는 텔레비전 리터러시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 교육적 실현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2) 담론 분석(discourse analysis)의 방법
여타의 담론 분석과 마찬가지로 방송 언어의 담론 분석도 미시적 차원과 거시적 차원의 두 방향으로 진행된다. 미시적 담론 분석은 다양한 담화 상황을 고려하여 각 담론 상황을 반영할 수 있는 방법적 틀 속에서, 주어진 언어 텍스트를 발화상의 형식 요건들을 중심으로 분석해 나가는 방법이다. 거시적 담론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