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수 미결정성, 플라톤주의 그리고 구조주의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박사후연수과정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3-037-A00050
선정년도 2003 년
연구기간 1 년 (2004년 01월 01일 ~ 2004년 12월 31일)
연구책임자 권병진
연구수행기관 중앙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에서 신청자는 베나세라프(Benacerraf)가 그의 논문 "What Numbers could not be?"(1965)에서 제기한 (수 존재에 대한) 플라톤주의 비판과 관련하여 플라톤주의자들이 취할 수 있는 적절한 대응방식을 모색하는 동시에 베나세라프 자신의 구조주의를 포함한 이때까지 제안된 여러 형태의 구조주의들과 플라톤주의 간의 진정한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수학적 탐구의 대상인 수가 과연 어떤 존재자이냐는 수학철학적, 형이상학적 문제에 관련한다. 물론 이러한 논의는 인식론적인 논의를 필수불가결한 요소로서 요구한다. 수 존재에 대한 플라톤주의자인 프레게에 따르면, 수는 우리의 의식으로부터 독립적인 대상이다. 프레게는, 다른 한편으로, 수 존재에 대한 우리의 인식과 관련하여 논리주의를 주장한다. 논리주의에 따르면, 수 이론적 진리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기본적인 논리적 법칙들로부터 도출되는 지식이며, 따라서 이러한 지식의 획득은 단지 순수 이성의 능력만을 요구한다. 베나세라프는, 위에서 언급한 1965년 논문에서, 하나의 집합론 체계에서는 집합 {{ } ,{{ }}}이 수 2로 간주되고, 또 다른 집합론 체계에서는 집합 {{{ }}}이 역시 수 2로 간주되는 점과 관련하여 우리는 이 두 집합 중 어느 집합이 진짜 2인지 결정해 줄 수 있는 증거를 우리의 수 개념 내부에서 찾을 수 없다는 '수 미결정성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플라톤주의를 비판한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베나세라프의 이러한 비판에 플라톤주의가 어떠한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는지 살펴 보고자 한다. 또 베나세라프의 구조주의 뿐만 아니라, (Shapiro, Hellman, 또는 Resnik의 구조주의와 같은) 여러 다른 형태의 구조주의들과 플라톤주의가 과연 어떠한 관계에 놓여 있는지도 분명히 밝혀 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우리는, 직접적으로, 수학적 탐구의 대상이 무엇이냐는 수학철학의 근본 문제에 대한 가능한 해답들의 귀결들을 분석함으로써, 좀 더 개선된 답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수학의 세계에 대한 이러한 개선된 이해는, 다양한 과학들에서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학이 이들 과학들에서 수행하고 있는 역할에 대한 좀 더 분명하고 구체적인 설명을 제공해 줄 것이다. 더 나아가, 이러한 설명은 수학의 더 폭넓은 응용을 위한 토대가 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본 연구의 세부 과제들 중에는 수학의 기초로서의 여러 집합론 체계들을 분석하는 기술적인 연구가 포함되어 있는 데, 이러한 연구는 수학의 기초로서의 집합론에 대한 새로운 평가를 낳을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순수 수학적인 연구성과도, 만약 뚜렷한 성취가 이루어진다면, 그 자체로서 대단한 가치를 가지는 것이다.
    수학철학적 연구인 본 연구는 또한 철학 일반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왜냐하면 수학적 대상과 우리의 인식 간의 관계를 해명하는 일은 실재와 인식 간의 관계 일반에 대하여 중요한 함축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 집중적으로 탐구될 주요 연구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1. 베나세라프(Benacerraf)가 "What Numbers could not be"(1965)에서 행한 反플라톤주의적 논증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또한 그가 "What Mathematical Truth could not be"(1996)에서 밝힌 위 논문의 의의와 -이 논문에 의해서 제기된 문제들에 대한- 플라톤주의자들의 몇가지 대응들에 대한 그 자신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2. 신프레게주의자인 Bob Hale이 Abstract Object(1987) 8장. "Abstract Objects and Indeterminacy of Reference"에서 행한 플라톤주의적 논증이 베나세라프의 논증에 얼마나 적절히 대응하고 있으며, 또 그 자체로서 설득력이 있는지를 고찰한 다음, -'수의 미결정성' 문제가 궁극적으로 시이저 문제의 한 부분이라는 인식을 본 연구자는 갖고 있기 때문에- Crispin Wright와 Bob Hale이 공동으로 최근에 저술한 "To Bury Caesar..."라는 논문에서 제시된 시이저 문제에 대한 -그들이 제시한 해법들 중- 가장 정교한 해결책을 심도있게 음미한다.
    3. 최근 Platonism and Anti-Platonism in Mathematics(1998)을 발표함으로써 수학철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는 Mark Balaguer의 수 미결성 문제에 대한 플라톤주의적 해결도 함께 음미한다.
    4. Shapiro, Hellman, Resnik가 제각기 조금씩 다른 형태로 제시하는 구조주의들을 이해한 다음 플라톤주의와의 상관 관계를 밝힌다.
    5. 수학의 기초로서의 집합론 및 이차논리에 대한 연구를 본 연구과제에 필요한 만큼 진행한다.
  • 한글키워드
  • 수 미결정성,플라톤주의,구조주의,구조,Benacerraf,Hale,집합론,Shapiro,Wright,Hellman,대상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수의 비고유성 문제에 대한 플라톤주의자들의 대응 방안은 네 가지가 있다. 신프레게주의자인 헤일과 라이트의 대응 방안, ante rem 구조주의자인 샤피로의 대응 방안, 혈기 왕성한 플라톤주의를 주장하는 밸러거의 대응 방안, 원리화된 플라톤주의를 주장하는 잴타의 대응 방안이 그것들이다.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이 네 가지 대응 방안들 중 신프레게주의자의 대응 방안을 제외한 나머지 세 대응 방안들을 검토하였다. 수의 비고유성 문제에 대한 이들의 대응 방안은 그들이 수학적 대상을 어떠한 대상으로 간주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밸러거는 수학적 대상을 절대적으로 완전한 대상으로 간주한다. 반면에 샤피로와 잴타는 수학적 대상을 이론에 상대적인 불완전한 대상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밸러거는 수의 비고유성을 수용하는 대응 방안을 제시하며, 샤피로와 잴타는 하나의 이론 내에서는 수의 비고유성을 거부하며, 즉, 수의 고유성을 인정하며, 여러 다른 이론들과 관련하여서는 수의 비고유성을 인정한다. 수의 비고유성 문제에 대한 그들의 대응 방안을 수학적 지식의 획득에 대한 설명의 문제와 연관지어 검토한 결과, 본 연구자는 잴타의 대응 방안이 가장 우월한 대응 방안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 영문
  • There are four kinds of responses to the problem about the non-uniqueness of numbers. Those are Neo-Fregean's(like Hale and Wright), ante rem Structuralist's(like Shapiro), full-blooded platonist's(like Balager), and principled platotonist's(like Zalta). In this research, I examined three responses except Neo-Fregean's.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responses is owing to their different conceptions of 'object in Mathematics'. Balaguer regards object in Mathematics as absolutely complete object. In contrast to this, Shapiro and Zalta think object in Mathematics as incpmplete object, which is relative to a theory. Therefore, while Balaguer accepts the non-uniqueness of numbers, Shapiro and Zalta reject the non-uniqueness of numbers in a theory but accepts the non-uniqueness of numbers in connection to different theories. Reflecting on the consequences of their soutions(to the non-uniqueness problem) into the epistemological problem about explanation of mathematical knowlege, I conclude that Zalta's solution is superor to oth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수 미결정성(수의 비고유성) 문제에 대한 플라톤주의자들의 대응 방안은 네 가지가 있다. 신프레게주의자인 라이트와 헤일의 대응 방안, ante rem 구조주의자인 샤피로의 대응 방안, 혈기 왕성한 플라톤주의를 주장하는 밸러거의 대응 방안, 원리화된 플라톤주의를 주장하는 잴타의 대응 방안이 그것들이다. 연구자는 이것들 중 신프레게주의자의 대응 방안을 제외한 나머지 세 방안들을 검토하였다. 이들의 대응 방안은 그들이 수학적 대상을 어떤 대상으로 간주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밸러거는 수학적 대상을 절대적으로 완전한 대상으로 간주한다. 한편, 샤피로와 잴타는 수학적 대상을 이론에 상대적인 불완전한 대상으로 간주한다. 수의 비고유성 문제에 대한 그들의 대응 방안이 인식론적 문제 해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느냐를 검토한 결과, 연구자는 위 대응 방안들 중 잴타의 대응 방안이 가장 우월한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자는 논문 초고 "수의 비고유성과 플라톤주의"를 완성하였다. 미흡한 부분을 조금 더 다듬어, 곧 학술지에 발표할 예정이다.
  • 색인어
  • 수의 비고유성, 플라톤주의, 존재론적 제거적 구조주의, 양상 구조주의, ante rem 구조주의, 혈기 왕성한 플라톤주의, 원리화된 플라톤주의, 베나세라프, 수학적 지식, 샤피로, 밸러거, 잴타.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