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부분의 대학들이 IT과목 개발에 관심을 갖고, 온라인 멀티미디어 사어버 교육을 위한 강의자료 개발에 많은 관심을 지니고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또, 이미 대부분의 윈도우 기반의 프로그램들에서는 FONT구현시 WYSIWYG방식이 일반화되어 있으며, 한글-영 ...
최근 대부분의 대학들이 IT과목 개발에 관심을 갖고, 온라인 멀티미디어 사어버 교육을 위한 강의자료 개발에 많은 관심을 지니고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또, 이미 대부분의 윈도우 기반의 프로그램들에서는 FONT구현시 WYSIWYG방식이 일반화되어 있으며, 한글-영어 사용자들에게는 별 무리없이 지원이 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러나 특수 폰트를 지닌 언어들은 한글 윈도우 기반에서 제대로 운용되지 못하는 바, 이들 제반 프로그램들에서는 스페인어특수폰트 운용법에 관한 연구를 하여 제시한 바 있습니다. 나아가, 동영상자료를 처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에서 스페인어 특수폰트를 활용하기는 더욱 어렵고 까다로워 현재까지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영상 온라인 교육을 위한 스페인어 멀티미디어자료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그 방안을 연구해야 하는 것은 작금의 늦출 수 없는 시급한 상황이라 생각됩니다. 이에, 사이버온라인강의용 e-stream, VOD, ppt등에서 동영상 자료와 스페인어 특수폰트를 효과적으로 연계운용하고 이를 합병하여 보다 참신한 특수폰트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동영상 자료를 구성할 수 있는 방안을 꼭 규명해 야겠다는 필요성에서 이 연구를 하고자 합니다.
기대효과
동영상 자료 제작 과정에서 스페인어 폰트 운용이 스페인어 사용자들에게는 가장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며, 이 부분의 해결 방안에 대한 연구는 한글윈도우 기반 위에서 작업해야 하는 국내에서는 거의 전무한 상황입니다. 따라서 이 연구가 국내에서 스페인어 특수폰트를 ...
동영상 자료 제작 과정에서 스페인어 폰트 운용이 스페인어 사용자들에게는 가장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며, 이 부분의 해결 방안에 대한 연구는 한글윈도우 기반 위에서 작업해야 하는 국내에서는 거의 전무한 상황입니다. 따라서 이 연구가 국내에서 스페인어 특수폰트를 사용해야 하는 멀티미디어 동영상 자료 제작 및 스페인어교육에 커다란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하며, 구체적으로 한글윈도우 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에서 그 운용이 어렵거나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지던 스페인어 특수 폰트 문제에 대해 해결책을 제시해 주고, 동영상 멀티미디어 환경 하에서 스페인어 수업 자료 개발에 가능성을 열어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제 멀티미디어 동영상 프로그램들에서 스페인어의 특수폰트 운용뿐만 아니라, 독어, 불어, 등 여타 서구 언어들의 특수폰트 운용에도 적용이 가능하므로 그 파급 효과가 매우 크다고 생각됩니다.
연구요약
지금 국내 윈도우 기반의 주로 사용할 수 있는 대부분의 MGI, eStream Producer 등 동영상 프로그램에서는 간단한 한글 및 영문 타이틀 정도만 입력할 수 있으며, 많은 양의 텍스트 정보를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많은 양의 파워포인트(*.ppt)나 텍스트자료(*. ...
지금 국내 윈도우 기반의 주로 사용할 수 있는 대부분의 MGI, eStream Producer 등 동영상 프로그램에서는 간단한 한글 및 영문 타이틀 정도만 입력할 수 있으며, 많은 양의 텍스트 정보를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많은 양의 파워포인트(*.ppt)나 텍스트자료(*.txt, *.htm)는 *.ppt자료로 전환하여 사용해야 함) 자체 폰트방식의 자료를 동영상 및 오디오 파일과 합성하여 종합적인 동영상 제작물을 구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출현하였으며, 이러 프로그램 중 하나가 eStream Presto 3.0 Studio입니다. 따라서 스페인어와 같은 특수폰트를 지닌 언어를 동영상자료와 함께 활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의 우회적인 방법을 사용하여야 제대로 된 종합적인 동영상 자료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우선, 기본적인 내용은 추후 연구과정에서 많은 다양한 효과적인 방법이 제시되겠지만 우선 다음과 같습니다. 1. 윈도우를 특수폰트운영체제로 전환시켜야 합니다.. 2. 스페인어 관련 동영상 자료를 구하거나 직접 촬영한다. 이 경우 기존에 많이 사용되는 *.avi, *.mpg의 확장자를 지닌 파일은 사용 불가능하며, 이 들 동영상 자료들을 반드시 *.asf파일로 전환시켜야 합니다. 이런 전환을 위해서는 MGI Wave 4에서 동영상 파일을 실행시킨 후 그 파일을 스토리라인에 올린 후 다시 동영상 제작과정으로 들어가 [형식: WMV]; [제작템플릿 선택: MS-WMV 1Mb 비디오](이 경우 다양한 성능 및 크기의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로 다시 파일을 제작하면 *.asf(wmv)파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는 eStream Presto 3.0 Producer로 들어가 [녹화설정]-[인코더설정: Local인코더] 여기서 반드시 [프로필추가]를 선택하여 eStream-고품질 영상 강의 2(250Kbps, 320x240, 15fps)등 다양한 선택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해야 됨)-[입력장치: 비디오 ____ 오디오_____]옵션에 동영상 파일을 양쪽 난에 찾아 넣음-인코딩 시작(빨간 녹화 버튼 크릭)- [input-> output] 두 개의 동영상 창이 뜨고 동영상 자료가 전환되기 시작하여 그 결과물은 *.asf파일로 저장됩니다. 3. 기존의 파워포인트, 워드프로세서, html운용프르그램(나모웹에디터, ....) 등을 이용하여 스페인어 특수폰트를 제대로 구현하면서 자료를 작성합니다. 4. eStream Presto 3.0 Studio를 가동하여 [자료 가져오기]를 선택하고, [컨텐츠 제작에 필요한 자료가져오기] 난의[미디어]난에서는 *.asf파일 자료들 그리고 [슬라이드]난에는 *.ppt자료를 선택한 후 [확인]을 눌러 불러오면 종합적인 특수폰틀 활용한 동영상 자료가 제작됩니다. 이후 제작된 파일을 *.epf파일로 저장한다. 단점은 이 후 이 파일은 eStream Presto 3.0 Studio로만 운용되며 다른 일반적인 윈도우 동영상 운영 프로그램과는 호환이 되지 않습니다. 5. Namo Web Editor등을 사용한 동영상과 특수폰트를 지닌 텍스트파일을 연계 운용할 수 있습니다. 하이퍼텍스트에서 바로 동영상을 연결시켜 작성하는 경우 특수폰트를 입력하여 텍스트를 만 든 후 아이콘이나 메시지를 만들에 이를 동영상과 연결시킬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인터넷 파일을 MS Explorer로 실행시키면 특수폰트를 활용한 텍스트가 화면 출력 될 것이며, 링크된 아이콘이나 메시지를 크릭하면 이에 링크된 동영상이 실현되나 동영상은 Windows Media Player등 다른 프로그램으로 운용됩니다. 그러나 특수폰트가 함께 포함된 텍스트와 동영상은 다른 창에서 따로 실현되는바 동시성이 결여되어 자연스럽게 동영상과 텍스트가 연계되는 현상을 찾아볼 수 없으며 나아가 화면 창을 매번 파일마다 따로 열고 띄워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6. 파워 포인트에서 특수폰트를 사용하여 텍스트 파일을 작성한 뒤 동영상을 연계시켜 운용할 수 있습니다. 파워포인트와 동영상을 연계하여 이를 하이퍼텍스트파일에 링크시키면 편리하게 동영상을 자동으로 또는 크릭 한번으로 운용할 수 있습니다. 또 동영상 화면의 크기를 슬라이드의 빈 공간에 알맞게 배치시켜 효과적으로 텍스트와 동영상을 운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파워포인트를 통한 동영상처리는 한글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는 어떠한 컴퓨터에서도 완벽한 호환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커다란 이점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동영상 파일 *.asf방식이 *.mpg방식 등 다른 방식보다 훨씬 원활하게 운용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글키워드
스페인어동영상자료,사이버교육,멀티미디어 자료 개발,사이버온라인강의,IT과목 개발,사이버강의,스페인어특수폰트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논문에서는 스페인어교육(다른 외국어 교육도 해당)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이버 공간을 통해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 즉 그림이나 다양한 자료를 포함한 사이버 강의 컨텐츠에 디지털 음성자료를 첨가하여 함께 동시에 운용하고 나아가 영화나 비디오의 아날로그 자료 ...
본 논문에서는 스페인어교육(다른 외국어 교육도 해당)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이버 공간을 통해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 즉 그림이나 다양한 자료를 포함한 사이버 강의 컨텐츠에 디지털 음성자료를 첨가하여 함께 동시에 운용하고 나아가 영화나 비디오의 아날로그 자료를 디지털화하여 삽입하고, 이들 자료들을 동시에 종합적으로 활용하면서 강의함으로써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게 그때 그때 창의적으로 강의의 수준과 내용을 다양화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들어가기 유비커터스(Ubiquitous)시대에 걸맞는 효과적인 사이버교육을 할 수 있는 방안들에 관한 내용으로 기존의 사이버교육에 비해 보다 새롭고 혁신적인 방법 규명 의지를 밝힘. Windows 98-Windows Me-Windows XP 시대로의 변화에 따른 융통성있는 폰트 문제 해결 가능성 거론함. 사이버공간에서 동영상 스페인어 자료 활용 방법, 동영상 파일 포맷방식, 크기 조절 및 사이버강의자료로 활용 가능성에 대한 제안. 현재의 사이버교육의 한계점들을 극복하고 보다 효과적이고 매력 있는 멀티미디어사이버동영상강의를 구성할 수 있는 방안 제시 의지 밝힘.
2. 현재 국내·외에서의 사이버교육 국내 사이버교육 수준이 외국의 그것보다 앞서가는 것으로 판단, 한양사이버대학교과 서울사이버대학교 등의 내용 분석을 그래픽화 하여 제시함. 이러한 분석 결과, 현재 가장 앞서가는 사이버강의 유형이 사이버텍스트를 기반으로 교수자가 강의를 진행하는 상황을 녹화하여 제공하는 것이나 아직은 강의소개 부문에 국한되거나 일부 강좌에 한하여 이루어지고 있음을 파악함. 본 논문에서는 이 단계를 넘어 사이버강의 전체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하여 원어민의 음성자료와 이 자료를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그리고 수업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에 차이를 두어 속도를 변화시키며 강의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수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음을 보여줌. 동시에 수업에 아날로그 방식의 비디오나 영화자료들을 디지털화하여 함께 제공하며 그 내용을 전사하여 사이버텍스트로 제공하고 필요할 경우 이들 자료에서 음성자료만 추출하여 그 속도를 조절해 가며 강의를 진행함으로써 매우 역동적이며 동시에 효율적인 사이버 멀티미디어 강의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음.
3. 보다 효율적인 사이버강의 구성 방안 기본적으로 Windows XP 및 Microsoft PowerPoint, Windows Movie Maker, Video Studio 7.0 (Video Editing Software), Windows Media Player 등을 운영할 수 있어야 하고, 나아가 Adobe Photoshop, Adobe Premiere, Goldwave, Acoustica, Nero-Burning Rom, 등 기타 많은 응용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원하는 수준의 동영상 사이버 강의를 구성 가능함. eStream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구성하여 제시함.
3.1. 디지털 동영상 멀티미디어 강의 구성 과정 ① Windows XP에 스페인어자판 구성 방법 제시 ② Microsoft PowerPoint로 강의 원안을 구성 방법 제시 ③ ②의 원안에 디지털 동영상 자료를 합성. ④ ③까지 준비된 자료를 기반으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강의 녹화. ⑤ Edutree II나 혹은 File Uploading과정을 통한 탑재 방법 제시
3.2. 아날로그 자료의 디지털화 -MS PowerPoint를 사용하여 슬라이드 위주의 텍스트를 만든 후 이를 eStream Presto3 Encoder를 함께 활용하며 eStream Presto3 Producer로 불러 온 후 강의를 녹화하는 방법 -오디오 및 비디오 자료들을 디지털화 한 후 함께 제공하며 강의 진행 방법 - [비디오-캠코더-컴퓨터] 연계 운용 방법 자세히 제시
3.3. 멀티미디어 디지털 동영상 강의 구성 예 MS PowerPoint로 구성한 사이버텍스트를 기반으로 제반 응용프로그램들을 동시에 활용하여 eStream Presto Producer로 녹화하여 스트리밍방식으로 사이버공간을 통해 제공
1) 텍스트 설명과 오디오 자료 위주의 디지털 동영상 강의 2) 동영상 자료를 중심으로 구성하는 디지털 동영상 강의 이러한 방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였음.
4. 결론 미국-초기 음성자료를 디지털화한 강의(알파벳 발음 강의, 기초적인 회화 내용을 디지털화 한 경우)수준 그 외 대다수 국가나 스페인어 사용국- 사이버텍스트 수준 한국- 교수자의 강의모습을 동영상 처리하여 사이버텍스트와 함께 강의 이 논문에서는 그림이나 다양한 자료를 포함한 사이버 강의 컨텐츠에 디지털 음성자료를 첨가하여 함께 동시에 운용하고 나아가 영화나 비디오의 아날로그 자료를 디지털화하여 삽입하고, 이들 자료들을 동시에 종합적으로 활용하면서 강의함으로써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게 그때 그때 창의적으로 강의의 수준과 내용을 다양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줌.
영문
En este trabajo hemos revisado como se realizan las clases virtuales de multimedia que se les proporcionan a los alumnos a traves de las universidades virtuales. Actualmente la mayoria de las clases virtuales de multimedia se componen del cibertexto, ...
En este trabajo hemos revisado como se realizan las clases virtuales de multimedia que se les proporcionan a los alumnos a traves de las universidades virtuales. Actualmente la mayoria de las clases virtuales de multimedia se componen del cibertexto, imagenes estaticas, datos auditivos e imagenes moviles del profesor que da la clase. Los hispanistas debemos solucionar varios problemas para elaborar buenas clases virtuales de multimedia. En conclusion, en este trabajo, hemos propuesto nuevas ideas y metodos renovadores para mejorar la calidad de las clases virtuales de multimedia que se componen del cibertexto, datos auditivos, imagenes moviles e imagenes simultaneas del profesor que las explica.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지금 세계적으로 사이버 컨텐츠 개발 또는 디지털화 된 강의컨텐츠 제공은 한국이 가장 앞서 가는 것으로 생각된다. 미국의 경우 초기 음성자료를 디지털화한 강의(알파벳 발음 강의, 기초적인 회화 내용을 디지털화 한 경우)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그 외 대다수 국가나 스 ...
지금 세계적으로 사이버 컨텐츠 개발 또는 디지털화 된 강의컨텐츠 제공은 한국이 가장 앞서 가는 것으로 생각된다. 미국의 경우 초기 음성자료를 디지털화한 강의(알파벳 발음 강의, 기초적인 회화 내용을 디지털화 한 경우)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그 외 대다수 국가나 스페인어 사용국들의 경우 사이버텍스트 수준을 크게 뛰어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스페인어 특수폰트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동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사이버동영상 강의를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방안들을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지금까지 대부분의 사이버동영상 강좌 구성에 있어 교수자의 강의모습을 동영상 처리하여 사이버텍스트와 함께 강의하는 수준이 가장 흔한 앞서가는 형태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스페인어교육(다른 외국어 교육도 해당)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이버 공간을 통해 ...
지금까지 대부분의 사이버동영상 강좌 구성에 있어 교수자의 강의모습을 동영상 처리하여 사이버텍스트와 함께 강의하는 수준이 가장 흔한 앞서가는 형태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스페인어교육(다른 외국어 교육도 해당)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이버 공간을 통해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 즉 그림이나 다양한 자료를 포함한 사이버 강의 컨텐츠에 디지털 음성자료를 첨가하여 함께 동시에 운용하고 나아가 영화나 비디오의 아날로그 자료를 디지털화하여 삽입하고, 이들 자료들을 동시에 종합적으로 활용하면서 강의함으로써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게 그때 그때 창의적으로 강의의 수준과 내용을 다양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앞선 유형의 멀티미디어사이버강의를 만들기 위해서는 디지털화 과정이 꼭 필요하며 본 논문에서는 방송국이나 대형멀티미디어실이 아니라도 개인적으로 Samsung SV-7000W 비디오 기기와 Sony디지털캠코더를 통해 아날로그 동영상 자료들을 디지털 동영상 자료로 변환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변환된 자료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음성자료도 그 속도까지 조절해 가면서 이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멀티미디어사이버강의를 구성할 수 있음을 증명해 보였다. 결론적으로, 사이버 강의의 최대 결점인 역동성의 결여, 적극적인 학습활동 동기 부여의 한계, 교수와 학생간의 거리감 등을 극복하고 현장 강의에서 불가능한 테크니컬한 장점들(반복청강, 동영상 자료의 자유로운 응용 및 변경, 등)을 최대한 살려 유비커터스(Ubiquitous)한 환경에서 살고 있는 사이버 신세대 학생들의 취향에 맞는 새로운 페러다임의 멀티미디어사이버동영상 강의를 구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 논문을 통해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또한 특수폰트를 지닌 언어 분야의 사이버동영상 강의 구성에 좋은 선례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