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 고문헌에 나타난 음악사상 및 그 변천양상에 관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술연구교수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4-050-G00001
선정년도 2004 년
연구기간 3 년 (2004년 09월 01일 ~ 2007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한지훈
연구수행기관 홍익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음악이 무엇이냐에 대한 탐구는 동서양 할 것 없이 고대로부터 출발하여, 서양의 경우 19세기 후반 음악학이 정립되면서 근대적 의미의 학문으로 태동되었지만, 동양의 경우는 그렇지 못하였다. 고대 동양 특히 중국의 경우 서양 못지 않게 나름대로의 정치한 철학적 음악이론을 발전시켜 왔으나, 19세기 후반 중국이 서구 열강에 의해 지배당하면서 이러한 이론에 근거한 중국과 동아시아의 음악예술은 서구적 가치관과 음악관에 의해 왜곡되고 평가절하되어 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서양에서는 음악학의 시조로 피타고라스가 거론되고, 그 이후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로 그 음악적 성찰이 이어지는데서 알 수 있듯이, 음악이 무엇이고 또한 음악은 어떻게 존재하는가 라는 등의 근원적인 문제들은 결국 철학자들의 엄밀한 사고의 대상이 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러한 사실은 중국에서도 마찬가지다. 공자는 이전부터 내려오던 음악 즉 樂의 예술성과 교화성에 주목하여, 이를 禮와 더불어 이상적인 정치지도자 즉 군자가 갖추어야 할 인격완성을 위한 빼놓을 수 없는 덕목이자 治世의 수단으로 그 의미와 가치를 확립시켜 놓았다. 공자의 이러한 음악관은 荀子에 의해 이어졌고, 이를 근간으로 한 儒家의 예악사상은 漢 초에 '禮記'의 '樂記'편으로 총결되었으며, 이와 같은 이론체계는 19세기 말까지 중국의 지배적인 음악사상으로 자리잡게 된다. 이런 점에서 동아시아의 음악학은 서양의 음악학과는 달리 예악사상이라는 인문정신의 맥락과 전통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 나라 역시 당시 세계의 중심국인 중국의 음악문화의 영향을 삼국시대부터 받아왔고, 그들의 음악사상이 우리에게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역사적 사실이다. 물론 그러한 상황에서도 우리의 독자적인 음악예술을 발전시켜 온 것 또한 분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해방 이후 이러한 사실은 도외시한 채 음악을 이해하고 가르쳐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무조건 우리 음악이 좋다고만 할 수는 없다. 우리 음악이 좋다면 왜 좋은지 그 전통음악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인, 사상적 배경이나 심미의식 등을 분명히 밝혀서 이를 이론화하고 체계화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목표는 바로 이러한 작업을 통해 한국음악의 정체성과 독자성을 입증하고 확립하기 위한 것이다.
  • 연구요약
  • 우리의 전통음악이나 樂論은, 한국의 철학 종교 사상은 물론 중국의 철학 종교사상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아왔다. 따라서 이러한 사상적 배경에 대한 이해는 한국의 음악사상 및 그 변천양상을 밝히는 전제가 된다. 예를 들어 무교, 신선사상, 풍류사상, 음양오행사상, 유교, 불교, 도교, 현학, 성리학, 실학 등을 한국음악의 사상적 배경으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사상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이들이 한국음악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는지를 고문헌을 통해 확인, 분석, 입증하는 것이 이 연구의 내용이고 방법이다.

    1차년도에는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에 관한 문헌을 토대로 거기에 나타난 음악사상을 밝힌다. 이 시대의 대표적인 사상으로는 무교, 신선사상, 풍류도, 유교, 불교, 도교, 현학 등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들 사상에 대한 연구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런 다음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핵심자료에 나타난 음악사상을 밝힌다. 핵심자료로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삼국사절요', '최치원문집' 등을 들 수 있다.

    2차년도에는 고려시대에 관한 문헌을 토대로 거기에 나타난 음악사상을 탐색한다. 핵심자료는 '고려사', 고려사절요', '치평요람', '동국통감', '대동야승' '대동운부군옥' 등이다. 이 시기의 대표적인 사상은 1차년도에 이미 소개한 것이 대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외에 고려말 유입된 중국의 성리학에 대한 연구와 소개가 추가된다. 이를 토대로 앞에 제시한 자료에 나타난 음악사상을 확인한다.

    3차년도에는 조선전기에 관한 문헌을 토대로 거기에 나타난 음악사상을 살핀다. 이 시기는 중국 성리학이 토착화되어 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핵심자료는 '조선왕조실록', '국조오례의', '악학궤범' 그리고 개인문집 등이다.

    이상 3차년도까지의 연구결과, 한국의 주요 음악사상과 그 본질적 특성은 무엇이며 그것은 또한 어떻게 변천해 왔는지 그 양상이 밝혀질 것이다. 이는 결국 국내 최초로 한국음악사상사의 기반을 조성하고 정립하는 것이 되며, 이것이 바로 이 연구의 성과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 한글키워드
  • 동국통감,도교,한국음악사,한국음악,불교,유교,음양오행사상,신선사상,풍류도,논어,예기 악기,성리학,현학,무교,고려사,삼국유사,삼국사기,한국음악사상사,악보,개인문집,관찬악서,관찬사서,악학궤범,조선왕조실록,국조오례의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 연구내용

    본 연구주제인 "한국 古文獻에 나타난 음악사상 및 그 변천양상에 관한 연구"의 내용은, 고문헌을 중심으로 그 안에 기록된 음악사상 관련 내용을 시대별로 탐색․정리․비교하고, 아울러 이를 토대로 그 변천양상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단 음악사상에 관한 연구인만큼,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철학 종교사상(巫敎․神仙思想․風流思想․陰陽五行思想․儒敎․佛敎․道敎․玄學․性理學․實學 등)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이러한 사상이 음악사상으로 표현된 음악론 관련 문헌들을 연구하였다. 그런 다음 이상의 한국이나 중국의 철학 종교사상과 樂論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의 古文獻을 해독하였다. 일단 당시의 음악관을 가장 뚜렷이(의도적으로) 기록으로 남긴 계층은 지배계급일 수밖에 없으므로 다음과 같은 官撰史書가 그 핵심자료가 되었다. 예를 들면 『三國史記』『三國遺事』『高麗史』『高麗史節要』『朝鮮王朝實錄』 등등이다.


    ○ 1차 년도 연구 및 연구결과

    1차 년도의 연구주제는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의 음악사상이며, 그 범위는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로 설정하였다. 먼저 總論 格으로 이 무렵의 대표적인 한국과 중국의 철학 종교사상의 핵심내용을 관련 전문서적을 통해 탐구하였다.
    그런 다음 이 시대에 관해 알 수 있는 얼마 안 되는 古文獻인 『三國史記』『三國遺事』『三國史節要』『崔致遠文集』 등등의 관련부분의 원본과 이의 번역본을 철저히 탐색․비교하여 철학 종교사상 및 음악사상 관련 내용을 빠짐없이 그리고 정확하게 찾아내, 그것이 해당 사상의 표현이며 반영임을 입증하였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이 학술지에 투고․게재하였다.
    1. 「고구려 문화전통과 거문고」, 『인문연구』제48호(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5)
    2. 「鸞郞碑序의 風流道에 대한 하나의 해석」, 『韓國民族文化』第26輯(釜山大學校 韓國民族文化硏究所, 2005)
    3. 「『삼국사기』악지에 나타난 독창적 음악관」, 『국학연구』제7집(한국국학진흥원, 2005)
    4. 「풍류도(風流道), 한국음악의 철학과 뿌리」, 『인문연구』제49호(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5)
    5. 「『三國史記』樂志에 나타난 음악사상」, 『대동문화연구』제55집(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大東文化硏究院, 2006)


    ○ 2차 년도 연구 및 연구결과

    2차 년도의 연구주제는 고려시대의 음악사상이며 그 범위는 고려시대를 모두 다루었다. 이 시대의 가장 핵심자료는 물론 『高麗史』가 된다. 번역본으로 10권이 넘는 적지 않은 분량이기도 하지만, 그 중요성에 비추어 번역문과 원문을 대조하여 매우 세심하게 탐색해야 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3-4개월 정도의 연구기간을 예정하였으나 실제로는 3-4개월이 더 필요하였다. 그 외에 『高麗史節要』『高麗圖經』『大東韻府群玉』『大東野乘』 등을 참조하였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이 학술지에 투고․게재하였다.
    1. 「『고려사』에 나타난 팔관회의 음악양상 및 그 사상적 배경에 관한 고찰」, 『한국학연구』제33호(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6)
    2. 「『고려사』에 나타난 연등의례의 음악양상 및 그 사상적 배경에 관한 고찰」, 『음악과 민족』제33호(민족음악학회, 2007)
    3. 「아악고(雅樂考)」, 『민족문화연구』제46호(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7)
    4. 「백희가무를 통해 본 고려시대 팔관회의 실상」, 『전통예술 우수 논문집』(문화관광부․한국국악학회, 2007) (2007년도 문화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논문)

    ○ 3차 년도 연구
    3차 년도의 연구주제는 조선전기시대의 음악사상이다. 그 범위는 애초 朝鮮 初부터 壬亂 무렵까지를 다룰 예정이었으나 朝鮮 初에 그쳤다. 왜냐하면 고려시대의 연구가 3차 년도에 들어와서도 반년 이상 계속 지속되었기 때문이다. 사상적인 측면은 앞서 중국의 性理學을 소개하였으므로, 이곳에서는 李滉과 李珥의 性理學과 理氣論, 徐敬德과 曺植의 哲學思想 등을 연구․소개하려 하였으나 이는 다음의 과제로 미루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시대의 가장 핵심적인 자료는 물론 『朝鮮王朝實錄』『國朝五禮儀』『樂學軌範』 등이다. 이 가운데 가장 방대한 자료는 宣祖 때까지만 국한한다 해도 단연 『朝鮮王朝實錄』이다. 일단 『朝鮮王朝實錄』의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어서 『國朝五禮儀』『樂學軌範』 등을 살피려 하였으나 다만 『朝鮮王朝實錄』에 그치고 말았다.
  • 영문
  • First Year

    1. Koguryeo cultural tradition and Geomun-go
    2. An Interpretation of Poong-ryu-do in the 「Nan-rang-bi-seo」
    3. The Original Point of view on the 『Samguksaki』akji, regarding Korean music
    4. Poong-ryu-do, a philosophy and root of Korean Music
    5. The Thought of music on the 『Samguksaki』akj

    Second Year

    1. A Study of the Palgwan-hwae Ceremony's music aspect and thought background on the 『Koryeosa』
    2. A Study of the Yeondung-hwae Ceremony's music aspect and thought background on the 『Koryeosa』
    3. An Inquiry of Aak(East-Asia Courtesy Music)
    4. A real facts of the Palgwan-hwae Ceremony on the Koryeo Dynasty through as the Baekhee-Gamoo(various stunt-songs and danc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연구 주제의 의의
    우리가 전통음악사상을 이해하려는 것은 곧 우리 음악문화의 당면 과제인 ‘전통음악을 창조적으로 계승하고 외래음악을 주체적으로 수용’하는데 반드시 전제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사상적 배경 등에 대한 지식은 우리 음악을 이해하는 데에는 물론, 이를 세계에 알리는 데에도 매우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더 나아가 이를 통해 전통음악의 아름다움과 훌륭함을 우리 민족뿐만 아니라 세계인들도 공감할 수 있도록, 보편적 언어와 이론체계로 그 의미를 이해시킬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 주제는 바로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음악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입증하고 확립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서 그 의의를 갖는다.

    ◎ 연구주제의 창의성 및 독자성
    1.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은 주제였다.
    본 연구 주제인 "한국 古文獻에 나타난 음악사상 및 그 변천양상에 관한 연구"는 국내외를 통해 최초로 연구되는 주제이다. 물론 그 동안 한국음악의 사상적 기반 또는 배경에 대한 문제제기나 연구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음악의 사상적 배경 및 그 변천양상을 주제로 하여 이를 역사적 맥락에 따라 삼국시대부터 조선 초까지 다양한 古文獻을 두루 섭렵해서, 이를 한국이나 중국의 종교 철학사상과 긴밀히 연관 지어 종합적으로 연구한 결과물은 없었다.

    2. 고유한 지식체계를 창출하였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우리의 전통음악이나 樂論은 한국의 철학 종교사상은 물론 중국의 철학 종교사상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아왔다. 따라서 이러한 사상적 배경에 대한 이해는 한국의 음악사상을 밝히는 전제가 된다. 예를 들어 巫敎․神仙思想․風流思想․陰陽五行思想․儒敎․佛敎․道敎․玄學․性理學․實學 등을 한국음악의 사상적 배경으로 꼽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상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이러한 사상이 한국음악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는지를 고문헌을 통해 확인․분석․파악하는 작업은, 곧 한국의 음악사상 및 그 사상의 변천양상을 밝히는 핵심사항이 된다. 따라서 이처럼 한국의 음악사상 및 그 역사적 변천양상을 한국사상이나 중국사상을 근거로 이와 관련지어 종합적으로 심도 있게 탐구하는 것은, 한국음악학의 한 분야인 한국의 음악철학이나 음악미학에 관한 고유한 지식체계를 창출한 것이 된다.

    3. 새로운 지식 또는 이해를 창출하였다.
    한국전통음악에 대한 이해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다. 하나는 음악현상에 대한 이해이고 다른 하나는 음악사상에 대한 이해이다. 음악현상에 대한 이해는 음악의 樂曲 分析이나 음악의 演奏(實技) 理論, 音樂史 등의 이해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음악사상에 대한 이해는 그러한 음악현상의 배후에 대한 이해를 뜻한다. 그러나 이 둘은 表와 裏의 관계로 음악현상을 통해 음악사상을 확인할 수 있고, 반대로 음악사상을 통해 음악현상을 좀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허나 지금까지는 대체로 음악현상에 대한 연구가 한국음악학의 주된 내용이었다. 따라서 한국의 음악사상 및 그 변천양상에 대한 종합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는, 한국음악학의 한 분야인 한국음악철학에 대한 새로운 지식과 한국전통음악현상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창출한 것이 된다.

    4. 새로운 해석이나 적용의 가능성을 열었다.
    21세기를 살고 있는 우리가 한국전통음악의 사상적 배경 및 그 역사적 흐름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하는 이유는, 우리의 당면과제인 ‘전통음악의 창조적 계승과 외래음악의 주체적 수용’을 실천하기 위한 하나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서다. 예컨대 한국의 전통음악에서 말하는 樂歌舞一體로서의 樂(雅樂)은, 禮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지금 우리들이 말하는 음악과는 발생연원은 동일하지만 그 뉘앙스는 좀 다르다. 말하자면 전통음악은 樂에 가깝고 외래음악은 현대적 의미의 音樂으로 이해되고 있다면, 이 괴리를 보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음과 같은 물음들에 대해 진지하게 반성적으로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즉 음악이란 무엇인가라는 본원적인 물음으로부터, 음악의 아름다움을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그리고 음악의 사회적 기능은 무엇인가, 음악의 궁극적 가치는 무엇인가 등등에 대해 이 시대의 관점에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통해 삼국시대 이후 통일신라시대․고려시대․조선시대를 이어온 한국 전통음악의 사상적 배경을 이해한다면, 한국전통음악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확립하고 나아가 세계화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사항들을 새롭게 정립하는 이론적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 작업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물을 얻었다.

    [전문서적]
    한흥섭, 『한국 고대 음악사상』(예문서원, 2007)
    (2007년도 문화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역 서]
    작자미상, 한흥섭 옮김, 『예기․악기』(책세상, 2007)

    [연구논문]
    1. 「백희가무를 통해 본 고려시대 팔관회의 실상」, 『전통예술 우수 논문집』(문화관광부․한국국악학회, 2007) (2007년도 문화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논문)
    2. 「Traditional Korean Music : Its Genre and Aesthetics」, 『Korea Journal』Vol.47(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2007)
    3. 「아악고(雅樂考)」, 『민족문화연구』제46호(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7)
    4. 「『고려사』에 나타난 연등의례의 음악양상 및 그 사상적 배경에 관한 고찰」, 『음악과 민족』제33호(민족음악학회, 2007)
    5. 「『고려사』에 나타난 팔관회의 음악양상 및 그 사상적 배경에 관한 고찰」, 『한국학연구』제33호(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6)
    6. 「韓國音樂哲學의 硏究 現況과 그 展望」, 『韓國音樂史學報』제36집(韓國音樂史學會, 2006)
    7. 「『三國史記』樂志에 나타난 음악사상」, 『대동문화연구』제55집(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大東文化硏究院, 2006)
    8. 「풍류도(風流道), 한국음악의 철학과 뿌리」, 『인문연구』제49호(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5)
    9. 「『삼국사기』악지에 나타난 독창적 음악관」, 『국학연구』제7집(한국국학진흥원, 2005)
    10. 「鸞郞碑序의 風流道에 대한 하나의 해석」, 『韓國民族文化』第26輯(釜山大學校 韓國民族文化硏究所, 2005)
    11. 「고구려 문화전통과 거문고」, 『인문연구』제48호(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5)

    이상의 연구 결과가 학계와 사회에 대해 갖는 기여도,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은, 연구 영역 혹은 주제, 연구 방법, 연구의 시각 등과 관련하여 살필 수 있다.


    ◎ 연구 결과에 대한 기대 효과

    (1) 韓國音樂思想史의 기반 조성 및 정립
    이 연구결과는 국내 최초로 한국음악사상사의 기반을 조성하고 정립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그 동안 한국음악학의 한 영역인 한국음악철학(미학)은 미개척 연구 영역으로 남아 있었으나, 한국음악사상사의 정립을 계기로 이 분야의 연구가 활발해 지리라 기대한다. 또한 한국음악사 연구의 폭과 관점을 넓히고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것으로도 기대한다.

    (2) 한국전통음악의 정체성 확보 및 심화
    위 연구결과물을 토대로 앞으로 시대별, 사상별, 인물별 등으로 범주화하여 단행본으로 출간하는 경우, 예를 들어 시대별로는, "삼국시대의 음악사상", "고려시대의 음악사상" 등의 제목으로 출간된다면, 우리는 전통음악에 대한 이제까지와는 매우 다른 새롭고 신선한 시각을 공유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즉 우리 음악에 대한 피상적 혹은 서구 중심적 음악관에서 탈피하여 우리의 음악문화를 우리의 가치관이나 심미의식에서 이해하고, 이를 좀 더 깊은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3) 세계음악문화와의 교류 기반 확보
    위 연구결과물은 국내의 한국음악학 연구자 및 일반인들에게는 물론이고, 동아시아 음악문화계에도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며, 더 나아가 이러한 작업은 우리 민족의 특수한 문화 예술적 경험을 세계음악문화의 발전과 변혁에 주체적이며 창조적으로 기여하게 하는 길이 될 것이며, 이를 토대로 동서양의 정신문화가 교류하고 담론을 나누는 데 유용한 기반을 제공하는 가치도 갖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 교육에의 활용 정도

    (1) 이 연구결과는 일차적으로 한국음악학 전문 연구자와 한국음악사상사에 관심 있는 연구자에게, 이 연구에서 얻은 새로운 고찰과 시각, 그리고 방법론이 활용될 것이다. 또한 조선전기 이후 한국음악사와 한국음악사상사를 연구하는데 있어서도 새로운 관점과 연구 방법론을 제공하는데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나아가 전통음악에 관심 있는 일반 대학생이나 일반인들에게도 그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유용하게 활용되리라 생각한다.

    (2) 한국음악을 전공하는 전문 연구자뿐만 아니라, 한국철학 또는 중국철학을 전공하는 연구자들에게도 그 방면의 미개척 분야의 이해에 또 다른 시각을 주고 새로운 관심과 연구의욕을 고취하고 유도할 것으로 기대한다.

    (3) 또한 본 연구수행자가 주로 강의하는 강좌인 한국전통음악 관련 강좌와 동양음악사상의 강의 내용으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전통사상과 한국전통문화와 관련된 강좌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전통음악사상, 한국전통음악의 정체성과 자긍심, 樂論, 巫敎․神仙思想․風流思想․陰陽五行思想․儒敎․佛敎․道敎․玄學․性理學․實學, 음악철학, 음악미학, 음악현상, 『三國史記』, 『三國遺事』, 『高麗史』, 『高麗史節要』, 『朝鮮王朝實錄』 , 『禮記․樂記』, 왕산악, 우륵, 진흥왕, 금, 삼현삼죽, 향가, 옥보고, 팔관회, 연등회, 아악, 당악, 향악,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