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明 中期 福建의 新縣 設置·運營과 宗族社會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교수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4-003-A00015
선정년도 2004 년
연구기간 1 년 (2004년 07월 01일 ~ 2005년 07월 01일)
연구책임자 원정식
연구수행기관 강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작은 정부’를 지향하며 적극적으로 종족을 활용하고자 하였던 明淸政府의 정책과 이에 호응한 宗族의 대응을 新縣 설치와 운영을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중국 종족의 발달 과정과 존재 양태의 일단을 해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중국사에서 驚異로운 사실의 하나는 3만 명이 되지 않는 관료로 수백만 ㎢와 수천만~수억의 인구를 다스려왔다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많은 학자들이 황제를 중심으로 한 政治史, 관료·행정·과거제·군현제 등을 중심으로 한 制度史, 유학을 중심으로 한 思想 및 宗敎史, 漢字의 중요성을 강조한 文化史, 종족·가족·향촌 등 기층사회를 중심으로 한 社會史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연구를 진행하였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간과할 수 없는 것은 ‘작은 정부’를 지향한 왕조의 정책과 제도가 비교적 성공적으로 작동하였다는 사실과, 거기에는 宗族이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는 사실이다. 즉, 역대왕조의 작은 정부 지향은 安定的 統治라는 목표 달성을 위하여 치안과 재정(刑名과 錢穀) 이외의 문제에 대하여 국가의 간여를 최소화하고 그 나머지는 종족을 적극 활용하여 해결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정책은 비교적 생산성이 낮은 농업경제를 기반으로 한 중국에서, 전통적 중앙집권적 체제인 황제지배체제를 유지하는 과정에서 얻은 수천 년의 경험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老子의 ‘小國寡民’이나 플라톤의 理想國家와 같은 현자들의 오랜 꿈이 사실상 중국사에서는 구현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적은 비용과 최대 효율을 원칙으로 하는 작은 정부는 결국 個人이나 私的 組織에의 의존도를 높이지 않을 수 없었다. 예컨대 明初의 향촌제도의 재편은 里老人이나 里長과 같은 무보수 말단 공무원의 설치나, 六諭나 學校를 이용한 儒敎의 확산을 통해 개인의 내적 절제를 강조한 것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이갑제가 이완되고 사회풍기가 문란해진 예처럼 개인의 자발성은 항상 한계에 도달하였으며, 그때마다 국가의 유지조차 어려워지게 되었다. 이에 새로운 대안을 찾았고 그 예가 명 중기 이후 부각된 보갑제나 향약 실시 및 일조편법·지정은과 같은 세역제도의 개혁이었다. 그런데 흥미 있는 사실은 이러한 새로운 제도 개혁이 급속히 진행되는 시기에 종족도 크게 발달하기 시작하였다는 것이다. 즉, 일반적으로 종족발달의 지표라고 할 수 있는 宗族聯合과 大宗의 형성, 宗祠의 증가와 總祠의 등장, 족산의 증가, 족보 편찬의 일반화, 종족의 향촌 지배 등이 이 시기에 함께 발달하였다. 동시에 鄕約과 保甲의 조직과 운용, 治安유지활동 및 自衛組織과 鄕兵 결성, 市場 개설과 무역 활동 동 전방위에 걸쳐 종족이 개입하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로 종족의 활동범위와 영향력이 커졌다.
    이러한 현실은 종족 자체의 발달과 직결된 것이지만 더욱 간과할 수 없는 것은 지방정부가 종족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 더욱 심화되었다는 사실이다. 예컨대 세역징수나 재판과정에 종족을 활용함으로써 지방정부의 관리비용을 줄이려고 한 결과, 종족의 내부적 결속이 더욱 강화되고 그 세역단위가 종족 단위가 되기도 하였다. 또 지방사회의 지배를 위하여 종족간의 긴장을 이용하였던 ‘以夷制夷’정책이 결과적으로 종족간의 械鬪를 더욱 심화시키고 종족의 내부 결집을 강화시켰던 것도 그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그밖에도 현의 신설과 각종 건축물 건축, 도로와 교량의 건설, 지방지 편찬 등 각종 사업의 관장과 비용 갹출 등이 종족간의 경쟁과 과시를 동반하도록 하여 종족 발달을 촉진하였으며, 종족사회와 공권력의 밀착 및 공권력의 제한을 가져와 종족의 할거를 촉진시켜왔다.
    국가권력이 종족을 필요로 하는 현실, 즉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地方政府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세력을 확대해가는 宗族간에는 상호 공약수가 존재하였으며, 이 공약수는 궁극적으로 종족을 발전시키는 토양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공약수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작동하는가에 대한 분석은 종족의 발달에 대한 해명을 위해서나 전근대 중국의 ‘작은 정부’가 어떻게 실현될 수 있었는가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필수적인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족의 지방정부 및 행정에서의 역할에 대한 기존의 분석은 일부 지역, 일부 분야에 그치고 있으므로 여전히 더 많은 지역과 사례의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지방행정에서의 종족의 역할이 종족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고, 또 종족 활용의 국가정책이 종족발달에 미친 영향은 어떠하였는지 등에 대해서는 본격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 기대효과
  • 첫째, 이 연구는 전근대 중국 지방통치사, 복건 지역사 및 종족사에 기초적 사례를 제공할 것이다.
    둘째, 이 연구는 국가통치사와 종족을 현의 설치와 운영이란 장에서 통합적으로 이해함으로써 기왕의 생산력·생산관계 중심의 역사관이나, 국가권력 중심의 중앙 중심 사관과 지역 중심의 분권적 사관을 극복하고, 전반적이고도 체계적·종합적인 中國 歷史像의 확립에도 一助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셋째, 이 연구는 韓國史上의 군현제, 지방통치, 종족 등의 연구에도 하나의 참고나 자극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작은 정부’를 지향했던 명청시대 정부의 정책과 종족사회에 대한 분석은 궁극적으로 급변하는 중국사회를 안정적으로 포섭해갈 수 있었던 역사적 경험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것은 21세기 세계화, 지방화, 지역화 시대에 중앙과 지방의 갈등, 재화의 적절한 지역적 분배, 지역사회의 자발성의 활용 등 많은 문제에 직면한 우리에게도 유용한 영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동시에 많은 학자들이 찬양하는 ‘작은 정부론’에는 中國宗族史에서 보였던 否定的인 側面도 있을 수 있음을 지적할 수 있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 연구요약
  • 상기의 문제의식과 목표 아래, 이 연구에서는 지방통치의 핵심인 新縣 設置와 그 運營 中에서 宗族이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이다.
    첫째, 지방 통치의 가장 중요한 조직은 縣이기 때문이다. 진한시대이래로 縣은 국가권력을 관철시키는 가장 중요한 행정 조직이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비록 현 이하의 행정단위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항시 국가권력이 관원을 파견하여 치안과 세역을 확보할 수 있었던 가장 분명한 단위는 현이었다. 그러므로 현의 설치와 운영에 역대의 정권의 안정적 통치의 비결이 숨겨져 있다고 생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연구가 주로 제도사의 측면에 치중되어 있으며, 지역사회와 국가권력의 상호관계에 입각한 연구는 비교적 최근의 연구에서 나타나고 있지만, 그것도 종족을 핵심에 둔 분석은 매우 적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므로 종족과 지방정부의 상호관계에 대한 체계적인 개념의 확립과 이를 적용한 구체적인 사례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둘째, 진한제국이래 縣의 수가 크게 변하지 않았다는 특이한 현상에 대한 이해 역시 역대의 정권의 안정적 통치를 이해할 수 있는 열쇠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즉 통치영역의 확대와 인구증가가 현 수의 증가를 가져올 것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역대 현 수가 무한정 증가하지 않았다. 이에 대한 기존의 설명은 “국가권력의 保守性과 민간의 자치적인 市鎭에 의한 기능 대체”를 들고 있다. 매우 타당한 견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가의 보수성”이 구체적으로 무엇인가는 시기와 지역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는 면에서 구체적인 사례 연구가 필요하며, 동시에 “민간의 자치적 시진에 의한 기능 대체” 역시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그런 면에서 新縣의 설치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셋째, 국가권력의 지향과 종족, 그리고 이들 상호관계를 전형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주제이기 때문이다. 결국 통치는 국가의 의지와 지역사회 구성원·종족의 상호관계 속에서 이뤄지는 것이라고 할 때, 그 구체적 실태를 검토하기 위해서는 양측이 만나는 장, 바로 縣에 대한 분석이 가장 필요할 것이기 때문이다. 현재 몇 몇의 연구가 주목되고 있으나 더 진척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중국은 30여개의 성급 행정단위가 있는 광대하고 다양한 지역이므랜옜П맛?진척을 위해서는 각 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연구가 확충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明 中期(15세기 후반~16세기) 福建으로 분석 대상을 제한하고자 하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이다.
    첫째, 중국은 역사가 유구하고 공간이 광대하며, 또 지역마다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연구 범위와 시기의 제한이 불가피하다. 이때 중요한 것이 연구목적을 가장 효과적으로 거둘 수 있는 시기와 지역의 확정이며, 주목되는 것이 바로 明 中期 福建이다.
    둘째, 복건은 중국 전체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다. 자연경관의 면에서 연해와 내륙, 평야와 산지가 있으며, 閩江, 九龍江 등은 황하, 양자강, 주강 등을 연상시키기에 족하며 이들을 통하여 지역적 구분도 가능하다는 면에서 중국 전체의 자연경관과 대비를 이룬다. 또 인문지리적인 면에서 省都인 福州와 경제중심지인 厦門의 관계는 마치 北京과 上海의 그것을 연상시키며, 연해지역과 내륙지역의 상품유통이나 상호의존체제 역시는 전중국의 그것과 유사하다. 이러한 지리적 유사성은 현의 증가나 종족의 발달에서도 드러나서, 한대 이래로 복건에서는 중국 전역의 변화를 반영하면서 지속적으로 현이 증가하였고 종족이 발달했던 곳이다.
    셋째, 明 中期 福建은 급격한 경제·사회적 발전과, 이에 대응한 현의 신설이 엿보이기 때문이다. 즉 복건에서 현이 많이 설치된 시기는 2~3세기, 7~8세기, 10~11세기, 15~16세기, 20세기였다. 2~3세기에는 많은 이주민이 이입되고 삼국 吳의 영역으로 현의 설치와 개발이 전개되었다. 7~8세기에는 기왕에 폐지되었던 현들을 재건하였던 시기이다. 10~11세기는 북으로부터의 인구 유입, 五代 閩의 적극적인 개발, 북송 초 행정구역의 정비 등이 있던 시기였다. 15~16세기는 복건 내륙의 개발이 심화와 해금정책으로 많은 반란이 일어나면서 현의 설치도 많았다. 그리고 20세기 초에는 도서에 현을 설치한 예가 많았다. 그런데 이 15~16세기 복건에서는 해상 사무역과 상품경제가 발달하고 내륙개발이 빠르게 전개된 시기로서, 지역사회의 성장과 변화 속에서 현의 설치라는 국가권력의 지역사회 개입이 어떻게 나타났는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15~16세기는 종족 형성이 확산되었던 시기이자 일조편법, 향약, 보갑 등 각종 제도가 바뀌었던 시기이
  • 한글키워드
  • 明中期,地域社會,族譜,明朝의 政策,地方政府,작은 정부,地方志 ,宗族社會,新縣設置,福建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