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사막화(沙漠化; 荒漠化; desertification) 문제는 중국을 비롯하여 한국, 일본 등 국제적인 관심사로 등장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사막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고 여겨지는 황사문제는 동북아시아의 갈등과 화해 그리고 협력에 있어서 상징적인 정치적 사안의 하나가 ...
중국의 사막화(沙漠化; 荒漠化; desertification) 문제는 중국을 비롯하여 한국, 일본 등 국제적인 관심사로 등장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사막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고 여겨지는 황사문제는 동북아시아의 갈등과 화해 그리고 협력에 있어서 상징적인 정치적 사안의 하나가 되고 있다. 그럼에도, 한국에서 중국의 사막화 및 황사문제에 관한 연구들은 중국측의 연구에 크게 의존하였으며, 한국에서의 연구는 중국에서 한국으로 날아오는 바람과 먼지의 성격에 관련된 기상학적 연구 이외에는 큰 진전이 없었다. 특히 중국 사막화의 현상과 성격 및 과정에 대한 규명은 중국의 학자들이 주장하는 내용이 여과 없이 수용되는 측면이 많았다. 그러나, 중국의 사막화 및 황사문제가 동아시아의 민감한 정치적 사안으로 발전한 이상, 더 이상 중국측의 연구에 의존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 대두하고 있다. 사막화의 진행과 방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에 대해서 중국이 서로 다른 판본들을 제시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중국 내몽고 동부지역에서 사막화 진행과정에 대해 시계열적으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 지역에서 사막화가 어떠한 자연적 조건하에서, 어떠한 사회적 과정을 통하여 진행되었는가에 대해서 밝히고자 하며, 특히 토지이용의 변화와 사막화의 관계에 주목하고자 한다. 중국의 북방 건조지역은 남동 계절풍의 영향을 비교적 크게 받는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 내륙하천수계와 그렇지 않은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두 지역에서 나타나는 사막화의 메카니즘과 패턴 역시 상이하다. 그간 중국의 사막화에 관련된 현지조사연구는 후룬베이얼 지역, 신쟝의 롭노르 지역에 국한되어 있었고, 그 외에는 단편적인 언급이 이루어졌을 뿐이며, 반건조지역이면서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지역인 내몽고 동부지역에 대해서는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는 내몽고 동부지역이 베이징의 사막화 위협과 관련하여 직접적인 위치에 있고, 또한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황사의 새로운 발원지로 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극복되어야 할 과제라고 생각된다. 내몽고 동부지역은 후룬베이얼시(呼倫貝爾市), 싱안맹(興安盟), 통랴오시(通遼市), 츠펑시(赤峰市)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 20세기 동안 가장 급격한 사막화가 진전된 것으로 알려진 커얼친 사지 지역(통랴오시와 츠펑시)이 연구의 현지조사 대상지역이다.
기대효과
중국 내몽고 동부지역의 토지이용과 사막화 문제를 다루는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황사문제로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중국의 사막과 사막화 문제, 특히 내몽고 동부지역의 사막화 문제에 관한 조사연구는 황사문제와 ...
중국 내몽고 동부지역의 토지이용과 사막화 문제를 다루는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황사문제로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중국의 사막과 사막화 문제, 특히 내몽고 동부지역의 사막화 문제에 관한 조사연구는 황사문제와 관련한 한,중,일의 협력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건조지역의 지리적 상황에 대한 연구가 적은 우리나라의 실정에서,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있는 중국 건조지역에 대한 연구와 자료의 수집으로 인문지리학 및 자연지리학, 아시지리, 중국학 분야의 교육을 내실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세째, 최근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시민운동 단체들의 중국 사막화 방지사업에 대한 참여에 있어서,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요약
이 연구는 커얼친 사지를 사례로 하여 내몽고 동부지역의 토지이용과 사막화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현지조사와 지도 및 통계자료를 통해 이루어진다. 연구자는 이 지역에 대하여 이미 2차의 예비 답사를 수행하였으며, 본격적인 연구는 하계와 동계 방학을 ...
이 연구는 커얼친 사지를 사례로 하여 내몽고 동부지역의 토지이용과 사막화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현지조사와 지도 및 통계자료를 통해 이루어진다. 연구자는 이 지역에 대하여 이미 2차의 예비 답사를 수행하였으며, 본격적인 연구는 하계와 동계 방학을 이용하여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예상목차는 다음과 같다.
Ⅰ. 서론 1.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2. 선행연구의 검토
Ⅱ. 연구지역의 개관 1. 내몽고 동부의 생태적 특성과 역사적 배경 2. 커얼친 지역의 생태적 조건
Ⅲ. 커얼친 지역의 토지이용 변화: 1949∼2000 1. 전통적 초지 이용방식과 사회구조 2. 토지이용의 변화 과정: 초지의 개간과 농업의 전개 3. 토지이용 변화의 사회적 배경
Ⅳ. 커얼친 지역의 사막화 과정: 1949∼2000 1. 사막화 현상의 시계열적 분석 2. 사막화와 토지이용의 관계에 대한 분석 3. 사막화의 진행과 황사의 발생빈도에 대한 분석
Ⅴ. 종합토론 1. 중국 사막화의 유형과 커얼친 사례의 위치 2. 사막화의 사회적 과정과 갈등의 문제 3. 커얼친 사례의 사막화 방지에 대한 시사점
Ⅵ. 결론
<참고문헌>
한글키워드
사막화의 사회적 과정,생태이민,내몽고 동부,토지이용,사막화,황막화,커얼친 사지(사막),관개농업,초과방목,황사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