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스페인어 대명사구문 연구와 문법교육 -의미, 통사, 화용론적 고찰과 그 교육학적 활용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전문연구인력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4-075-A00048
선정년도 2004 년
연구기간 3 년 (2004년 09월 20일 ~ 2007년 09월 20일)
연구책임자 박숙희
연구수행기관 덕성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스페인어 대명사구문 연구가 한국의 스페인어 학습자나 전공자에게 반드시 필요한 문법적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여건 때문에 그것의 체계적인 연구가 늦춰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총괄주제를 “스페인어 대명사구문 연구와 문법교육 - 의미, 통사, 화용론적 고찰과 그 교육학적 활용”으로 잡고, 대명사구문 때문에 스페인어 문법을 정복하지 못했던 학습자와 연구자들, 그리고 스페인어 작품을 번역할 때 대명사구문의 재귀대명사 로 인하여 곤란을 겪거나 오류를 범하기도 하는 서-한번역자들에게 많은 대명사구문들을 서로 구별해낼 수 있는 명백한 의미, 통사, 화용론적 판별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그 과제명에서 보듯이 교육학적 활용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것은 본 연구의 목적이 교육학적으로 활용가치가 없는 ‘학문을 위한 학문’에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즉, 스페인어 대명사구문에 관한 심도 있고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학문적 집대성을 이룩한 다음, 이것을 교육학적으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단서를 제공함으로써 순수학문의 활용 가치를 높이고자 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순한 이론들의 나열과 공방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대명사구문을 여러 가지로 세분화하고 개별 영역화를 확립한 후 그것들을 단계적으로 구분해낼 수 있는 여과장치를 개발하고, 동시에 그 변별적 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가장 큰 연구목적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습득되는 변별력은 스페인어 언어학분야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지식을 제공 할 뿐 아니라, 스페인어 문법 뿐 아니라, 강독이나 작문 등의 과목을 가르치는 교육현장에서 그 활용이 극대화 될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에서는 단순한 이론들의 나열과 공방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스페인어 연구자나 학습자, 그리고 교육자들에게 재귀대명사와 대명사구문들을 서로 정확히 구분할 수 있는 판별력을 키워 실제 연구자들 뿐 아니라 교육현장에서 이해 가능한 수준의 유용한 지식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아직까지 국내의 스페인어 언어학계에 대명사구문과 그 재귀대명사에 관한 정립된 연구와 이론이 존재하지 않은 현실에 비추어 볼 때, 본 연구가 제안하는 독창적이고 체계적인 의미, 통사, 화용론적 여과장치는 다른 언어학 분야, 교육학 분야의 연구자들에게도 큰 활용가치와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구체적인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가) 재귀대명사와 대명사구문의 영역화 확립: 스페인어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대명사구문이 분석 불가능한 부류로 소홀히 다뤄져 왔던 각 대명사구문의 영역화 작업의 토대를 마련함과 동시에 영역화의 시도가 더욱 활발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
    나) 스페인어 언어학계에 중간태의 존재 입증: 스페인어권 학자들 사이에서도 그 존재와 개념에 대해 정립이 되어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국내에서 전문성 있는 대명사구문 연구를 통해 중간태에 대한 심화된 연구가 나온다면 그것의 존재가 명백히 입증될 것이다.
    다) 강조구문에 대한 개념 확립: 아직 국내 학계에서 강조구문에 대한 개념 정리가 부족한 상태이므로, 본 연구를 통해 강조구문의 정확한 판별기준이 제공된다면 그것에 대한 존재와 기본적 특성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라) 여과장치 개발로 교육학적 활용가치 극대화: 본 연구에서 각 대명사와 대명사구문의 판별기준을 제시하고 이것을 통한 단계적 여과장치를 개발한다면, 교육현장에서 그 활용적 가치와 효용성은 극대화될 것이다. 또한, 스페인어 문법이나 강독, 작문 등의 여러 과목의 교수법에서도 그 적용 가능서이 상당히 클 것으로 예상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총괄주제 “스페인어 대명사구문 연구와 문법교육 - 의미, 통사론, 화용론적 고찰과 그 교육학적 활용”에서는 스페인어 대명사구문을 총 8가지로 분류함으로써 기존의 일반화된 분류에 의한 4 종류 보다 훨씬 세분화된 작업을 시도할 것이다. 이 세분화는 지금까지 의미통사론적 시각에서 열외로 취급되면서 ‘기타재귀구문’ 혹은 ‘비재귀구문’이라는 애매모호한 이름을 갖는 대명사구문들에 대한 본격적인 재조명 작업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심층적인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했던 일명 ‘기타재귀구문’ 혹은 ‘비재귀구문’으로 통하는 ‘분류 불가능한 대명사구문’들을 과감하게 5가지로 분류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강조구문과 중간태구문의 개념도입과 영역화가 확실하게 정립될 것이다. 이로서 ‘분류 불가능한 대명사구문’을 ‘분류 가능한 대명사구문’으로 새롭게 인식시킴과 동시에 강조구문과 중간태구문들, 그리고 강제보어구문 등을 독립된 영역으로 자리매김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수행될 세부주제는 총 8가지로 기존의 분류법과 차별화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그것은 다음과 같다:

    ① 무인칭대명사구문 - 의미, 통사, 화용론적 고찰과 그 교육학적 활용
    ② 수동태대명사구문 - 의미, 통사, 화용론적 고찰과 그 교육학적 활용
    ③ 재귀대명사구문 - 의미, 통사, 화용론적 고찰과 그 교육학적 활용
    ④ 내적중간태대명사구문 - 의미, 통사, 화용론적 고찰과 그 교육학적 활용
    ⑤ 수동속성중간태대명사구문과 무인칭속성중간태대명사구문
    - 의미, 통사, 화용론적 고찰과 그 교육학적 활용
    ⑥ 강조대명사구문 - 의미, 통사, 화용론적 고찰과 그 교육학적 활용
    ⑦ 강제보어대명사구문 - 의미, 통사, 화용론적 고찰과 그 교육학적 활용
    ⑧ 고유대명사구문 - 의미, 통사, 화용론적 고찰과 그 교육학적 활용

    여기서 ④, ⑤, ⑥, ⑦번 항목은 기존의 분류법에서 전혀 다뤄지지 않았던 부분으로 본 연구의 독창적 분류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세부주제들은 연차별로 이루어질 것이며, ①, ②, ③은 1차 년도에 수행될 연구이며, ④와 ⑤는 2차 년도에, 그리고 ⑥, ⑦, ⑧은 마지막 연구연도인 3차 년도에 진행될 것이다.
    본 연구의 총괄과제인 “스페인어 대명사구문 연구와 문법교육 - 의미, 통사, 화용론적 고찰과 그 교육학적 활용”은 위와 같이 연차별 세부주제를 두고 그것의 영역화 연구를 심화시킬 것이다. 또한 각 세부주제들은 본 총괄연구주제의 연구 대상과 그 범위를 지정하고 있어 본 연구의 범위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위에서 열거한 8 종류의 대명사구문을 구체적인 범위로 지정하여 연구할 것이며, 단 간접목적어의 형태론적 변형체인 SE(LE, LES)는 연구범위에서 제외시킨다. 이것은 통사론적으로 이미 분명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동사와의 관계에서 볼 때도 동사의 어미활용과 무관하여 별도의 규명 작업이 필요한 문법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본 연구주제와 거리가 멀다.
    연구방법은 총괄주제의 부제에서 보듯이 “의미, 통사, 화용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의미론적 관점과 통사론적 관점뿐 만 아니라 화용론적 관점까지 연구방법에 포함시킬 것이며, 이로서 연구의 다각적이고 상호보완적이며 통합적인 결론을 유도할 것이다. 이런 다각적인 연구의 시도는 위의 세 가지 관점 중 어느 하나만을 택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연구내용의 미비와 낮은 완성도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무인칭구문과 수동태구문은 통사론적으로는 서로 다른 문장구조를 지니지만, 의미론적으로는 별 차이가 없다. 이 때문에 의미론적 시각을 배제할 경우, 대명사구문을 각 영역별로 정의를 내릴 때나 그것들의 개별적 영역화를 위한 단계적인 여과장치를 설정할 때 많은 혼란을 야기 시킬 수 있다. 또한 가장 까다로운 중간태구문을 다룰 때 문법주어의 위치가 중요한 판별기준이 되므로 결코 화용론적 시각도 소홀히 할 수 없다. 따라서 의미론도, 통사론도, 화용론도 배제되지 않은 통합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할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대명사구문과 그 용례를 연구함에 있어 많은 예문들이 제시될 것이다. 인용예문들은 여러 종류의 문학작품이나 잡지, 신문 등에서 선별되어 사용될 것이다. 또한 예문의 선정 시, 그 적절성 여부를 판가름할 수 있도록 스페인어에 대한 언어직관과 완벽한 언어능력을 소지한 스페인어권 원어민의 협조를 전제조건으로 할 것이다. 이는 원어민이 아닌 연구자가 범할 수 있는 오류를 철저히 예방하고자 함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단계적 형태의 의미, 통사, 화용론적 여과장치를 개발하여 누구라도 쉽게 8 종류의 대명사구문과 그 재귀대명사들을 구분해낼 수 있도록
  • 한글키워드
  • 내적중간태대명사구문,재귀대명사구문,강조대명사구문,무인칭속성중간태대명사구문,강제보어대명사구문,수동태대명사구문,무인칭대명사구문,여과장치,문법교육,화용론,의미론,통사론,교육학,재귀대명사,스페인어 대명사구문,수동속성중간태대명사구문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스페인어의 여러 대명사구문을 정확히 판별하여 많은 학습자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각 대명사구문의 변별적 특성을 찾아내어 각 대명사구문들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구분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소극적이고 전통적 분류법을 과감하게 수정하여 모든 대명사구문을 새로운 분류법에 의거하여 총 8개로 확대 분류하였다. 8개의 대명사구문이란 무인칭, 수동태, 재귀, 내적중간태, 속성중간태, 강조, 전치사동반보어, 고유대명사구문이다. 각 대명사구문이 갖는 변별적 특성들을 바탕으로 대명사구문 판별을 위한 여과장치를 개발하여 대명사구문판별여과장치에 통과시켰다. 이 들은 총 12단계의 여과과정을 거치면서 각 단계에서 요구하는 판정조건에 따라 좌측 혹은 우측, 좌우측으로 수평이동을 실행했다. 해당 판정조건이 무의미할 경우는 수평이동 없이 바로 수직이동을 했다.
    이 여과장치는 모든 대명사구문을 단계적으로 여과시켜 각 대명사구문이 갖는 고유한 변별적 특성을 쉽게 찾아내기 위한 것으로 대명사구문 판별에 어려움을 겪는 많은 학습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여과장치의 사용방법은 대명사구문을 ①~⑫단계까지 수직으로 여과시키면서, 각 단계마다 괄호 안에 제시된 판정기준에 따라 좌측 혹은 우측 수평이동을 결정한다.
  • 영문
  • Abordamos en esta tesina uno de los temas m?s controvertidos de la gram?tica del espa?ol: el an?lisis de las construcciones pronominales con se (CPs) a las que se han referido las gram?ticas como impersonales, pasivas, reflexivas y pseudorreflexivas. En cuanto a estas ?ltimas, se han dicho como un 'terreno movedizo' de la sintaxis del espa?ol por su dificultad de caracterizarlas. Para solucionarlo, tratamos primero de clasificar las CPs del espa?ol en las 8: las impersonales, las pasivas, las reflexivas, las medias internas, las medias gen?ricas, las intensivas, las con suplemento y por ?ltimo las propias.
    Para conseguir sus caracterizaciones, las analizamos tanto desde el punto de vista formal, como el sem?ntico y pragm?tico, y despu?s encontramos los caracteres distintivos y criterios referidos con tanto el sujeto gramatical y el nocional como el objeto gramatical y el nocional, con los cuales todos los estudiantes del espa?ol puedan distinguir f?cilmente unas CPs de las otras. As? pues, bas?ndonos en aquellos criterios distintivos, formamos un 'filtro para distinguir las CPs' a trav?s del cual se vean las diferencias gramaticales y pram?ticas de las CPs con mucha claridad y facilidad, para contribuir a la ense?anza de la gram?tica del espa?o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스페인어는 다른 외국어에 비해 읽기가 쉬워 배우기 쉬운 외국어로 알고 있다. 하지만 학습수준이 중급이상이 되는 학습자들에게 스페인어는 그리 쉽지만은 않다. 그 이유 중 가장 큰 부분이 바로 스페인어 대명사구문이다. 이것이 문법적 난제로 여겨지는 이유는 그것의 종류가 다양할 뿐 아니라 기능상의 분류와 영역화가 분명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은 스페인어 학습자들 뿐 아니라 교수자들 사이에서도 발생한다. 따라서 대명사구문의 경계를 정하는 문제는 그 논란의 끝이 없으며, 가장 어렵고 까다로운 문법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현실에도 불구하고 이 과제가 그 해결책을 못 찾는 이유는 스페인어 대명사구문들이 갖는 다양성 이외에도, 그것이 단순히 통사적 관점에서만 해결될 수 없는 복합적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스페인어 대명사구문을 분석함에 있어 통사론적 관점뿐만 아니라, 의미론과 화용론적 연구를 같이 병행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교육학적 활용을 그 최종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에 연구수행의 결과가 많은 스페인어 학습자와 교수자들 모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본 연구과제의 총괄주제인 "스페인어 대명사구문 연구와 문법교육 - 의미, 통사, 화용론적 고찰과 그 교육학적 활용"에서 보듯이, 본 연구는 다양한 스페인어 대명사구문과 그 재귀대명사들을 통사론과 의미론, 화용론적 입장에서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분류하여 그 판별기준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도한 개별적인 대명사구문들을 판별할 수 있는 변별적 여과장치의 개발을 통해 많은 스페인어 교육현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 최종 목표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스페인어에 있어서 대명사구문과 그 재귀대명사는 그 종류가 다양하고 복잡하여 그것의 분류작업을 위한 연구는 장기간을 요구한다. 만약 그 분류작업이 완료 되었다 해도 그것들을 체계적으로 문법 기능을 정리하고 각 대명사구문을 개별적 영역으로 범주화 시킨다는 것은 그리 단순하지가 않다. 즉, 짧은 기간 안에 연구가 종료될 수 있는 단기연구의 주제가 아니다 보니, 스페인 언어학 내에서의 간학문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 장기연구 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페인어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을 모두 적용시키는 통합적 연구이며, 그 연구결과가 실제 교육현장에서 쉽게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스페인어 대명사구문과 그 재귀대명사들을 통사론과 의미론, 화용론적 입장에서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분류하여 그 판별기준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또한 개별적인 대명사구문들을 판별할 수 있는 변별적 여과장치의 개발을 최종 목표로 삼고 있다. 이 목표를 실현하는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과 범위는 기존의 문법서에 제시된 단순한 대명사구문의 분류법을 따르지 않고, 자체적인 광의의 분류법에 따라 총 8가지로 나누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다룰 세부주제는 역시 8가지로서 그것은 다음과 같다:
    1) 무인칭대명사구문; 2) 수동태대명사구문; 3)재귀대명사구문; 4) 내적중간태대명사구문; 5) 속성중간태대명사구문; 6) 강조대명사구문; 7) 전치사동반보어대명사구문; 8) 고유대명사구문
    이 분류법에 따라, 1), 2), 3)은 1차 연도인 2004년-2005년에 이미 수행되었으며, 4), 5)는 2차 연도인 2005년-2006년 중에 수행완료 예정이며, 6), 7), 8)은 마지막 3차 연도인 2006년-2007년에 수행되었다. 이렇듯, 총 8종류의 대명사구문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각 연차별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런 세분화된 분류법은 이미 언급하였듯이 광의의 분류법이다. 물론 이 분류법은 기존의 전통적인 분류법과 비교하면 그 상세함에 있어 현격한 차이를 나타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광의라 칭한 것은 이 분류 속에 다시 하위범주의 대명사구문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선, 1) 무인칭대명사구문은 자동무인칭대명사구문과 타동무인칭대명사구문으로 나뉘고, 3) 재귀대명사구문은 직접재귀대명사구문, 간접재귀대명사구문, 상호재귀대명사구문으로 세분화되며, 5) 속성중간태대명사구문의 경우는 무인칭속성중간태와 수동속성중간태로 각각 나뉜다. 6) 강조대명사구문은 자동강조대명사구문과 타동강조대명사구문으로 각각 세분화된다. 이 하위범주의 대명사구문은 각 연차마다 다뤄질 연구범위에 속한다.
    단, 연구범위에서 제외되는 것은 간접목적어의 형태론적 변형체인 SE(LE, LES)가 삽입된 경우이다. 이것은 통사론적으로 이미 분명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동사와의 관계에서 볼 때도 동사의 어미활용과 무관하여 별도의 규명작업이 필요한 문법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본 연구과제의 범위를 벗어난다.
    본 연구에서 취할 연구방법은 연구과제의 부제에서 보듯이, 의미적, 통사적, 화용적 관점을 두루 활용할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연구의 다각적이고 상호보완적인 관점을 유지하기 위함도 있지만, 본 주제가 한 가지 관점만으로는 그 규명이 어려운 문법적 난제이기 때문이다. 이런 다각적 연구의 시도는 위의 세 가지 관점 중 하나만을 택했을 겨우 발생할 수 있는 이론적 오류를 줄이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무인칭대명사구문과 수동태대명사구문은 통사적으로는 서로 다른 문장구조를 갖고 있지만, 의미론적으론 별 차이가 없다. 강조대명사구문에서도 문법주어의 위치가 매우 중요하게 다뤄지므로 화용론적 입장을 무시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통사적 기준 외에, 의미론적 기준 혹은 화용론적 기준을 배제할 경우 각 대명사구문을 각 영역별로 정의할 때나 여과장치를 설정할 때 많은 혼란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이고 다각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교육학적 견지에서 대명사구문 판별 여과장치의 적용여부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연구를 소홀히 하지 않을 것이다. 이 판별도구는 스페인어 학습자들이 대명사구문들을 쉽게 판별할 수 있는 단계적 형태의 의미, 통사, 화용론적 관점에 입각한 여과장치를 의미한다. 이 장치의 개발은 그 연구의 출발점이 순수언어학적 입장에서 이루어지지만, 그것의 응용가치는 교육학적 관점에서 더욱 증대될 것이다.
  • 색인어
  • 스페인어대명사구문, 여과장치, 무인칭대명사구문, 자동무인칭대명사구문, 타동무인칭대명사구문, 재귀대명사구문, 직접재귀대명사구문, 간접재귀대명사구문, 상호재귀대명사구문, 속성중간태대명사구문, 무인칭속성중간태구문, 수동속성중간태구문, 강조대명사구문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