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조기 특기교육과 부모의 인식이 유아의 정서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박사후연수과정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4-037-B00074
선정년도 2004 년
연구기간 1 년 (2005년 01월 01일 ~ 2005년 12월 31일)
연구책임자 권정윤
연구수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현행 유아교육은 유치원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하여 계획한 교육계획을 따라 이루어지고 있지만, 유아 교사 외에 다른 교사를 통한 조기 교육 또한 많은 유치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이기숙, 장영희, 정미라, 홍용희, 2002). 유아교육 학자들은 이러한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는 우리나라의 조기 특기교육의 열풍에 대해 인지발달만을 강조하는 기형적인 유아들의 양산을 우려하고 있으며, 유아기에 불필요한 사교육비의 부담이 가중되는 결과를 초래한 것과 동시에 관련 특기교육 산업의 난립을 들어 비판해 왔다(우남희, 현은자, 이종희, 1993; 이기숙 외, 2002; 현온강, 공인숙, 김영주, 이완정, 1997).
    유아가 과도한 조기 특기교육아래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밝히는 연구들이 실시되었다. 그 대부분의 연구에서 유아는 이러한 조기 특기 교육에 의한 스트레스로 불안, 과잉 행동, 창의성 발달 저하 등의 정서 인지적인 장애를 보이고 있었다(우남희 외, 1993; Burts, Hart, Chaleswort, & Kirk, 1990; O' Brien, 1988; Sorderman, 1995). 최근에는 조기 특기교육이 유아에게 주는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들을 분석한 연구들도 실시되고 있다(이선화, 1998; 홍은자, 2001).
    유아의 정서와 문제행동은 유아가 무엇인가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스스로 해결이 되지 않을 때 나타나는 내면화 되거나 또는 외면화된 역기능적인 결과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90년대 후반이후 그 중요성이 인식되었으나 정서. 행동문제 자체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지만 아직까지 조기 특기교육 실시가 유아의 정서와 문제행동에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없다. 과도한 조기 특기교육 실시가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아동들이 마음껏 뛰어 놀지 못하는 가운데 쌓이는 많은 문제들이 역기능적인 행동으로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조기 특기교육과 그에 관한 부모의 인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과 동시에 아동들이 어떠한 문제행동을 보이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번 연구과제는 연구자가 사회의 특정한 문제가 되는 유아 조기 특기교육 과열현상을 통하여 최근 유아들이 가지고 있는 정서 및 문제행동을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육기관이나 가정에서 유아들을 도울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연구가 되며 개인적인 연구에 있어서도 연계성을 가지는 의미가 있다.
  • 기대효과
  • 본 연구 결과의 구체적인 기대 효과 및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과도한 조기 특기교육이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조기 특기교육을 시키게 되는 부모의 인식을 조사함과 동시에 그중 하나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부모의 육아불안과의 관련성을 중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심도 있는 인과관계를 찾아볼 수 있다. 이 결과로 해결책을 도출하는 기초 자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조기 특기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우리나라의 부모들을 이해하는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셋째, 학원이나 개인교습으로 놀 시간을 잃어버린 유아들이 가지고 있는 정서와 문제행동을 살펴봄으로써 행동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여 유아들의 행동지도에 사용 할 수 있다.
    넷째, 조기교육이 초래하고 있는 역기능적인 결과물을 제시하여 유아관련 산업체의 규제를 강화하도록 요구하는데 증거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다섯째, 조기 특기교육이 유아의 정서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결과를 알아봄으로써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교육과정 운영이 진정한 ‘발달에 적합한 유아교육 과정’으로 실천하도록 요구하는 교육행정의 기초 자료로 사용 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조기 특기교육과 그에 관한 부모의 인식이 어떻게 유아의 정서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문제

    연구문제 1. 조기 특기교육을 받는 유아의 정서와 문제행동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조기 특기교육의 실시 횟수 및 종류는 유아의 정서와 문제행동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3. 부모의 조기 특기교육에 대한 인식과 유아의 문제행동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4. 부모의 육아불안과 조기 특기교육의 실시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2)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조기 특기교육 실시와 그에 대한 부모의 인식이 유아의 정서와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만 3세 ~ 만 5세의 자녀를 둔 부모 및 그 자녀를 유의표집으로 선정한다. 대상의 표집은 서울에 위치한 사립 유치원과 민간 어린이집 각 5곳씩 총 10기관을 선정하여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2) 측정도구
    ① 유아의 정서 및 문제행동 측정 도구: 아동행동목록표(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CBQ)
    유치원에 다니는 유아의 정서와 문제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교사용 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CBQ)를 사용할 것이다(Rutter, 1967; Rutter, Tizard, & Whitmore, 1970). CBQ는 교사용과 부모용으로 개발된 유아의 행동을 진단하는 측정도구로 여러 나라에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사용되어져 왔으며, 그 타당도와 신뢰도는 이미 검증되었다(Boyle & Jones, 1985; McGee et al., 1985; Morita et al., 1990; Venables et al., 1983). Boyle 과 Jones는 그들의 연구에서 CBQ를 다른 측정도구와 비교하여 유아의 정서와 문제행동을 측정하는데 가장 신뢰적이고 타당한 도구라고 평가하였다. 아동행동목록표의 신뢰도과 타당도는 모두 높게 나타나서, 재검사 신뢰도는 .89, 검사자간 신뢰도는 .72로 보고 되었다(Rutter, 1967).
    이번 연구에서 사용되는 교사용 CBQ는 유아의 행동을 설명하는 총 26문항으로, 아동의 외현적 문제행동과 내재적 문제행동 모두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이다. CBQ에서 진단하는 유아의 정서와 문제행동은 네 가지 범주로 나누어지는데, 외현적 행동(Externalizing), 내재적 행동(Anxious/Withdrawn), 습관적 행동(Habits), 그리고 언어적 문제 행동(Speech difficulties)이다. 교사는 각 문항에 대해 ‘그렇지 않다’, ‘어느 정도 그렇다’, ‘확실히 그렇다’ 의 대답을 함으로써 각각 0, 1, 2점을 주어 전체 합한 총점으로 유아의 정서와 문제행동을 진단할 수 있다. 점수의 범위는 0-52점이 되며, 각 아동의 점수는 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Rutter등의 연구에서 기준점수를 제시하여 아동의 정서와 문제행동을 판별하는 기준으로 삼았는데, 만일 아동의 전체 점수가 9점 이상일 경우 그 아동은 정서와 행동에 문제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② 조기 특기교육 및 부모인식 측정 도구
    조기 특기교육의 실시 정도, 종류 및 가짓수와 그에 관한 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설문지 문항을 구성하여 측정한다. 구성될 문항의 내용은 첫 번째, 조기 특기 교육의 실시 정도, 종류 및 가짓수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 될 것이며 두 번째, 부모의 인식에 관한 문항은 조기 특기교육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에 관한 문항과, 육아 불안을 측정하는 문항, 그리고 부모용 인적사항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 한다.
    개발된 설문지는 부모 예비조사를 실시할 뿐만 아니라 연수기관인 성신여대 유아교육과 교수들로부터 설문지의 타당도 검토를 받고 수정 보완 한다.

    (3) 연구절차
    본 연구에서 선정한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진행하기위한 계획과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연구대상자 선정
    서울에 위치한 사립 유치원 5개 기관과 민간 어린이집 5개 기관, 총 10개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을 선정한다. 유아의 정서 및 문제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 유치원 및 어린이집의 교사가 각 반에 속한 유아의 행동을 진단하도록 선정한다(10 기관 * 80명 = 800명).

    ② 조사도구의 개발
    조사도구는 선행연구를 기초하여 본 연구의 지도교수와 유아교육 전문가를 통한 검토를 거쳐 질문지를 개발한다. 개발된 조사 도구는 예비조사를 통해 그 적합성을 검토한 뒤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한다.

    ③ 예비조사
    일차적으로 개발된 조기 특기교육 및 그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를 둔 부모를 선정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한다. 예비조사의 결과를 가지고 지도교수와의 자문을 통해 문장 및 내용을 수정한 뒤 보완한다.

    ④ 본 조사
    연구자가 선정된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방문하여 연구의 목적을 원장선생님과 교사에게 전달한 후 협조를 받아 설문지 조사를 실시
  • 한글키워드
  • 특기교육(extracurrirula education),부모인식(parents' perception),육아불안(child rearing anxiety),정서와 문제행동(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조기교육(very early educat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최근 몇 년간 급격히 증가된 조기 특기교육은 단지 유아에게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뿐만 아니라 학습지 시장의 규모가 매년 1천억 원 이상 증가하는 등 가정경제에도 심각한 부담을 안겨주고 있다. 또한 과도한 조기 특기교육 실시가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아동들이 마음껏 뛰어 놀지 못하면서 쌓이는 많은 문제들이 역기능적인 행동으로 나타날 것이 우려되고 있는 가운데 아직까지 조기 특기교육 실시가 유아의 정서와 문제행동에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기 특기교육의 전반적인 양상과 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러한조기 교육열 현상의 배경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살펴봄으로써 조기 특기교육과 부모의 인식, 그리고 유아의 문제행동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서울시에 위치한 7곳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4-6세의 자녀를 둔 부모 436명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연구도구는 조기 특기교육의 실시 정도, 종류 및 가짓수와 그에 관한 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가 구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정서 및 행동문제를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판 문제행동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양육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부모 양육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대상 유아들의 대부분은 어떠한 형태로던지 조기 특기교육을 받고 있었다. 특히 6세 유아는 한 명도 빠짐없이 조기 특기교육을 받고 있었다. 유아들의 조기 특기교육을 받는 가짓수는 평균 2.25개였으나 응답이 넓게 분포하였다. 둘째, 부모의 조기 특기교육에 대한 인식과 조기 특기교육을 실시하거나 실시하지 않는 이유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로는 본 연구대상 부모들이 조기 특기교육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러나 본 연구결과의 조기 특기교육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에서 주목할 점은 부모들이 조기 특기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동시에 그에 대한 위해성 또한 높이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본 연구대상 부모들은 낮은 양육스트레스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부모들이 다른 아이들에게 뒤지지 않기 위해 조기 특기교육을 실시하고 싶다고 인식한 경우와 초등학교 입학 전의 체계적인 문자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한 경우 자녀의 학습과 관련한 양육 스트레스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관계가 검증되었다. 넷째, 조기 특기교육을 받고 있는 유아들의 문제행동의 수준은 전체적으로 낮았으나 과잉행동 범주의 평균이 다른 문제행동 범주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부모가 다른 아이들에게 뒤지지 않기 위해 조기 특기교육을 실시하고 싶다고 인식한 경우와 조기 문자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한 경우는 자녀의 불안/위축행동 범주와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만 약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유아의 문제행동을 예측하는 변인으로는 조기 특기교육의 변인이 아닌 부모의 자녀의 기질과 학습에 대한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의 정서 및 문제행동을 예측하는데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This paper describes the current state of Korean parents’ very early education fever and its effects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perceptions of very early learning experiences, parenting stress, and their children’s behaviors. Data were collected from 436 parents of 4-6 year-old children at seven preschools in Seoul, using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lmost all of the parents reported that their child was taking extracurricular lessons and that they view very early education as a positive experience for their child. However, they consider the harmfulness of very early education toward young children as well; 2) the children showed low level of behavior problems, though hyperactivity behaviors were relatively high. There were significant but weak relationships existed between parents' competitive reasons to teach very early extracurricular education, parents' strong believes on early letter education for children and children's withdrawn/anxiety behaviors; 3) the parents did not show high parenting stress. The parents' competitive reasons to push children to learn early and their desires to teach children letters before elementary school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s' education related parenting stress; and 4) children's temperament related parenting stress and child education related parenting stress were two significant variables to explain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 problem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최근 몇 년간 급격히 증가된 조기 특기교육은 단지 유아에게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뿐만 아니라 학습지 시장의 규모가 매년 1천억 원 이상 증가하는 등 가정경제에도 심각한 부담을 안겨주고 있다. 또한 과도한 조기 특기교육 실시가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아동들이 마음껏 뛰어 놀지 못하면서 쌓이는 많은 문제들이 역기능적인 행동으로 나타날 것이 우려되고 있는 가운데 아직까지 조기 특기교육 실시가 유아의 정서와 문제행동에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기 특기교육의 전반적인 양상과 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러한조기 교육열 현상의 배경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살펴봄으로써 조기 특기교육과 부모의 인식, 그리고 유아의 문제행동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서울시에 위치한 7곳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4-6세의 자녀를 둔 부모 436명을 연구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나타난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대상 유아들의 대부분은 어떠한 형태로던지 조기 특기교육을 받고 있었다. 특히 6세 유아는 한 명도 빠짐없이 조기 특기교육을 받고 있었다. 유아들의 조기 특기교육을 받는 가짓수는 평균 2.25개였으나 응답이 넓게 분포하였다. 둘째, 부모의 조기 특기교육에 대한 인식과 조기 특기교육을 실시하거나 실시하지 않는 이유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로는 본 연구대상 부모들이 조기 특기교육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러나 본 연구결과의 조기 특기교육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에서 주목할 점은 부모들이 조기 특기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동시에 그에 대한 위해성 또한 높이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본 연구대상 부모들은 낮은 양육스트레스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부모들이 다른 아이들에게 뒤지지 않기 위해 조기 특기교육을 실시하고 싶다고 인식한 경우와 초등학교 입학 전의 체계적인 문자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한 경우 자녀의 학습과 관련한 양육 스트레스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상관관계가 검증되었다. 넷째, 조기 특기교육을 받고 있는 유아들의 문제행동의 수준은 전체적으로 낮았으나 과잉행동 범주의 평균이 다른 문제행동 범주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부모가 다른 아이들에게 뒤지지 않기 위해 조기 특기교육을 실시하고 싶다고 인식한 경우와 조기 문자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한 경우는 자녀의 불안/위축행동 범주와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만 약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유아의 문제행동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조기 특기교육의 변인이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나지 않았고, 자녀의 기질관련 양육 스트레스와 학습관련 양육 스트레스가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본 연구에서는 과도한 조기 특기교육이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조기 특기교육을 시키게 되는 부모의 인식을 조사함과 동시에 그중 하나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결과로 해결책을 도출하는 기초 자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나타난 조기 특기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현재 우리나라의 부모들을 이해하는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도출된 학원이나 개인교습으로 놀 시간을 잃어버린 유아들이 가지고 있는 정서와 문제행동의 측면은 행동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여 유아들의 행동지도에 사용 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결과는 조기교육이 초래하고 있는 역기능적인 결과물을 제시하여 유아관련 산업체의 규제를 강화하도록 요구하는데 증거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다섯째, 연구결과에 나타난 것처럼 조기 특기교육이 일반유아들의 정서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림으로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교육과정 운영이 진정한 ‘발달에 적합한 유아교육 과정’으로 실천하도록 요구하는 교육행정의 기초 자료로 사용 될 수 있다.
  • 색인어
  • 조기 특기교육, 양육 스트레스, 정서 및 문제행동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