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생명 윤리 교육 활성화를 위한 범교과적 교육과정 구성과 교수-학습 자료 개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협동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4-042-B00170
선정년도 2004 년
연구기간 1 년 (2004년 12월 01일 ~ 2005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김희백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조은희(조선대학교)
소경희(조선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미래의 시민이 될 학생들의 생명 윤리 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교육을 활성화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생명 윤리와 관련된 지식과 다양한 집단의 이해를 고려하여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범교과적인 교수-학습 자료를 제공하고, 현실적으로 현 교육과정에서 생명 윤리 교육이 가능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첫째, 생명 윤리에 대한 학교 교육의 실태와 교사, 학습자의 의식 조사를 하고자 한다. 제 7차 교육과정의 전 교과를 대상으로 교과서에서 생명 윤리와 관련된 내용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교사와 학습자의 생명 윤리와 관련한 흥미와 요구도와 생명 윤리 의식을 파악한다. 둘째, 생명 윤리 교육의 필요성과 의사 결정 모형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참조하고, 사회적으로 쟁점화 되고 있는 구체적 사례를 중심으로 한 생물 윤리 교육 교수-학습 모듈을 구성한다. 셋째, 학교 교육에서 생명윤리 교육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마련한다. 이 과정에서 과학 교육 내의 생명 윤리 교육 방안과 범 교과적인 생명 윤리 교육 방안을 도출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기대 효과와 전망을 갖는다.
    1) 학습자에게는 교수 학습 모듈을 통해 생명 윤리 의식 고취를 기대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생명 공학에 관련된 정확한 정보의 습득과, 관련된 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 결정 과정에서 다각적인 영향을 함께 고려하는 비판적이고 고차원적인 사고 능력을 키울 수 있다. 또한 간접적으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다.
    2) 교사는 본 연구 결과 제시되는 생명 윤리 교수-학습 모듈을 통해 직접적인 교수 자료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선행 연구에서 생명 윤리 교육의 제한점 중의 하나였던 구체적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부족이나 최신 생명 공학 정보의 습득과 자료의 재구성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교수-학습 모듈은 교사와 학습자의 흥미와 인식, 학습자의 의사 결정 과정 등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학습 과정 동안에 고려되는 인지적,정의적 요소를 함께 제시하였다. 따라서 교사가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체계와 변화를 이해하고 이러한 정보를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
    3) 본 연구는 생명 공학 전문가, 과학교육 전문가, 교육과정 전문가의 협동 과정을 통해 현 국가 교육 과정에서 생명 윤리 교육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으며, 해당 과정 교과 전문가와의 협의회를 통한 생명 윤리 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포함한다. 따라서 앞으로 개발될 제8차 국가 교육과정 방안에 직접적인 제언이 가능하다.
  • 연구요약
  • 현대인은 발달한 과학을 바탕으로 고도로 발달된 문명 속에 살고 있다. 최근의 유전학이나 생명 공학의 발달은 배아 복제, 유전자 치료, DNA의 상품화 등 이전의 기계 혁명으로 대변되는 사회와는 다른 모습을 가져왔고, 이러한 변화는 인식의 변화를 요구한다. 현대 시민은 생명 공학 기술의 사용 유무를 결정해야 하고, 이러한 기술의 사용이 초래할 긍정․부정적 영향을 함께 고려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미래 시민이 되는 학생들이 이러한 주제를 적절히 다루기 위해서는 생명 공학 기술에 대한 기사나 자료를 읽고 이해하는 능력, 도덕적인 판단 능력, 지식에 근거한 합리적 의사 결정 능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과학 과목에서의 생명 윤리 의식 교육, 생명 윤리 의식을 포함하는 관련 과목 간의 유기적인 구성 등 교육적 탐색이 요구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생명 윤리에 관련된 학교 현장교육의 실천적 연구는 소수이며, 거의 생물 교과에 국한되어 있다.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생명 윤리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7차 교육과정의 각 교과에서 생명 윤리와 관련된 내용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교사와 학생들의 생명 윤리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등 현재의 교육 현실에 대해 살펴보고 문제점을 파악한 후, 사회적으로 쟁점화 되고 있으며 첨단 생명 과학 내용과 관련되는 주제를 선택하여 학습 모듈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 생명 윤리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과학 교과 내에서 또는 과목 간이나 현재의 과목과는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탐색한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모든 교과목에서 생명 윤리 교육의 실태를 살펴본다는 점에서 과학과 도덕 교과에만 제한적이었던 이전의 연구와 차이가 있으며, 이슈가 되는 특정 주제나 사건을 중심으로 과목간의 합리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 결정 과정을 경험하는 모듈을 제공하고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실천적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한글키워드
  • 의사 결정,범 교과적 생명 윤리 교육 과정,생명 윤리 교수-학습 모듈,생명 윤리 인식 실태,교육 과정 분석,생명 윤리 교육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과학기술의 사회라 하는 현대 사회에서는 과학 기술의 사용이 사회에 주는 영향을 알고 과학 기술 관련 쟁점에 대해 합리적으로 의사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특히 생명공학기술 성과물이 우리 삶 속에서 널리 사용되고 이와 관련된 윤리적 쟁점에 대한 의사결정 기회가 증대되고 있는 점에서 볼 때, 미래 사회의 시민이 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생명윤리교육이 필요하다. 생명윤리교육을 위해서는 관련된 과학적·생물학적 지식뿐만 아니라 생명에 대한 존귀의 가치관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쟁점에 대해 비판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이 동시에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초, 중등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생명윤리 교육 목표, 내용, 방법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교과별로 이루어지는 생명윤리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교사들의 생명윤리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조사를 기초로 하여 생명윤리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분석을 위해서 생명윤리 전문가, 생물교육 전문가, 교육과정 전문가들의 논의를 통해 생명윤리교육의 내용을 범주화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본 분석틀로 하여 7차 교육과정의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 해당하는 3~10학년의 ‘국어’, ‘윤리’, ‘사회’, ‘과학’, ‘기술·가정’ 교과를 분석하여 제시된 내용의 종류, 학년별 연계성, 교과별 계열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개의 관련 교과에서 모두 생명윤리교육 내용을 다루고 있지만 과목간의 계열성이나 학년간 연계성을 갖추고 제시되기 보다는 관련 내용이 다루어질 때 흥미 유발의 방편 정도로 다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학교급별로 생명윤리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계열화하고, 교과별로 생명윤리교육 내용을 차별화하거나 주제별로 통합된 생명윤리교육이 이루어지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 현장에서 생명윤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해 약 550명의 초등학교 교사, 600여 명의 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생명윤리교육 내용을 다뤄본 경험과 현장에서 생명윤리교육을 실시할 때의 제한점과 필요한 점 등을 살펴보았다. 현직 교사들은 생명윤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동의하지만 자료나 관련 경험의 부족, 그리고 평가 방법의 모호함 등이 현실적인 제한점이 된다고 지적하였다. 학교급별, 교과별 생명윤리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를 위한 교수 학습 자료의 개발과 보급, 교수 학습 방법의 개발과 적용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교사 연수를 통한 지원도 필요하다.
    셋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생명윤리 쟁점을 이해하고 합리적 의사 결정을 하도록 돕는 생명윤리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학교에서 가장 많이 다루며 많은 교사가 다룰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 세 가지 쟁점인 ‘낙태’, ‘인간 배아 복제’, ‘장기이식’을 주제로 하였으며, 교사들이 생명윤리교육에서 제한점으로 생각하는 관련 과학 지식, 의사결정에 필요한 준거들을 교수-학습 방법에 준하여 제공하였다. 추수 연구에서는 이 교육 자료의 효과 분석과 더불어 좀더 다양한 생명윤리 주제에 관한 교육자료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영문
  • Recent biotechnology development is growing very fast along with interest in bioethics education. In bioethics education, one should have the sense of respect for life primarily, the knowledge about the basic biological fact, and the informed decision making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and what to teach about bioethics in both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to plan for the implementation of bioethics educat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discussion of the specialists of the bioethics, the biology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school curriculum, the coverages of bioethics education were categorized. And the National Curriculum(from the 3rd to the 10th grade) and the textbooks of five subjects, such as Korean Language, moral education, social studies, science, and Practical Arts (or Technology & Home Economics) in which topics of bioethics were supposed to be dealt with, were analyzed. As the result of analysis, many contents in bioethics education were covered in 5 subjects but they were presented just as the catcher without the designed educational plan. So the contents and objects of bioethics education should be cleared along with school grade and the types of bioethics education such as an independent subject or an integrated subject should be sought.
    Second, to examine how bioethical issues were integrated in classrooms, we performed surveys targeting 550 teachers at primary schools and 600 at secondary schools. Six types of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for the survey : one for primary school teachers and five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of five subjec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agreed with the necessity of the bioethics education but the bioethical issues were not taught at their classes because of the limited supply of teaching materials, and the lack of related teaching experiences and the knowledge of the evaluation methods. So for the activation of bioethics educati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actical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were needed.
    Third, the programs on bioethics education were developed, which help students to understand the given bioethical issues and to make their decision. They were about 'the abortion', 'the replication of the human embryo', and 'the organ transplantation', which were selected to correspond to the results of teachers' answers about the 'what materials should be taught in bioethics education '. Educational effects of these programs need to be explored at following researches and more practical teaching materials which cover the diverse topics about bioethics should be develop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현대 사회에서는 과학 기술의 사용이 사회에 주는 영향을 알고 과학 기술 관련 쟁점에 대해 합리적으로 의사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초, 중등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생명윤리 교육 목표, 내용, 방법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교과별로 이루어지는 생명윤리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교사들의 생명윤리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조사를 기초로 하여 생명윤리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생명윤리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서 생명윤리교육의 내용을 범주화 하고 이에 준하여 7차 교육과정 문서와 ‘국어’, ‘도덕’, ‘사회’, ‘과학’, ‘기술·가정’의 5개 교과의 교과서를 분석하여 제시된 내용의 종류, 학년별 연계성, 교과별 계열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생명윤리교육이 이루어지는 상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약 550명의 초등학교 교사, 약 600명의 중등 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생명윤리교육 내용을 다뤄본 경험과 현장에서 생명윤리교육을 실시할 때의 제한점과 필요한 점 등을 살펴보았다. 선행 실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활용 가능한 생명윤리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해 보기 위해 생명윤리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는 설문 결과 교사들이 학교에서 가장 많이 다루며 다룰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 ‘낙태’, ‘인간 배아 복제’, ‘장기이식’의 세 가지 주제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교사들이 생명윤리교육에서 제한점으로 생각하는 관련 과학 지식, 의사 결정에 필요한 준거들을 교수-학습 방법에 준하여 제공한 것이다. 생명윤리교육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인 방안을 교과내에서의 방안과 독립적인 교과로 활용하는 방안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 결과는 생명윤리교육 현황과 개발한 생명윤리교육 프로그램의 두 부분으로 나눠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명윤리교육 내용을 ‘생명존중윤리’, ‘생명의료윤리’, ‘생명공학윤리’ 교육의 세 부분으로 구분하였고, 논의된 생명윤리교육 내용을 기준으로 7차 교육과정의 ‘국어’, ‘윤리’, ‘사회’, ‘과학’, ‘기술·가정’ 교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생명존중윤리’ 영역의 내용을 주로 다루며, ‘중등학교에서는 ’생명존중윤리‘ 외에 ’생명의료윤리‘와 ’생명공학윤리‘ 영역의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제시된 내용과 방법은 교과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과학과 기술·가정 교과에서 가장 많이 다루며 대부분이 인지적 측면의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이에 비해 국어 교과에서는 다른 내용보다는 주로 생명존중윤리와 관련된 내용이 많았으며, 사회 교과에서는 생명공학발달로 인한 사회적 영향을 다루는 내용이 많이 있었다. 5개 교과에서 다양한 생명윤리교육의 내용을 다루고 있었지만 적극적으로 의견을 논하는 토론 등의 형태는 사회과와 과학과 일부에 제한되어 있었다.
    현장의 교사를 대상으로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관심과 이해, 그리고 현재 생명윤리교육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필요한 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다수의 교사가 관심이 있지만 잘 이해하고 있지는 않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생명윤리교육이 사회적 현상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으며 학생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였지만, 관련 개념의 어려움이나 자료의 부족, 경험 부족 등이 실행의 장애 요인이 된다고 지적하였다.
    실태 파악을 바탕으로 하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생명윤리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학교에서 가장 많이 다루며 많은 교사가 다룰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 세 가지 쟁점인 ‘낙태’, ‘인간 배아 복제’, ‘장기이식’을 주제로 하였으며, 교사들이 생명윤리교육에서 제한점으로 생각하는 관련 과학 지식, 의사결정에 필요한 준거들을 교수-학습 방법에 준하여 제공하였다.
    기존의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연구는 과목이나 학교급에 제한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 제시한 학년별, 교과별 생명윤리교육의 내용은 추후에 생명윤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타 교과와의 관련성 그리고 이전 학년에서 배운 내용과의 연계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게 돕는다. 따라서 교사가 하나의 생명윤리 쟁점을 가르치고자 할 때 통합적이고 간학문적인 교수학습 자료를 구성하는데 참고자료가 된다. 뿐만 아니라 국가 차원의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있어서도 내용 조직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또 현장의 교사가 겪는 실제적인 어려움이나 요구 사항들은 추후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교사 연수나 생명윤리교육을 위한 자료 마련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며, 추후 개발될 생명윤리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해 준다. 특히 개발된 생명윤리교육 프로그램은 실제적인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모색 뿐 아니라, 생명윤리 쟁점을 이해하고 합리적 의사 결정을 하도록 돕는 다양한 준거들에 대해 학생들이 쉽게 접근하도록 함으로서 기존 연구에서 지적된 학생의 제한된 사고력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색인어
  • 생명윤리교육, 생명윤리교육 실태,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생명윤리교육 내용의 계열성과 연계성, 생명윤리 교수학습 프로그램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