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인터넷을 통한 문화간 의사소통: 한국인과 호주인의 사례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협동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4-042-A00073
선정년도 2004 년
연구기간 1 년 (2004년 12월 01일 ~ 2005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김해연
연구수행기관 중앙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Roland Sussex(The University of Queensland)
유경애(중앙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지금까지 사회학에서 주를 이루던 문화에 대한 연구는 언어학과 제2 언어교육 분야에서 문화간 의사소통에 대한 연구로 진행되었지만 온라인상의 문화간 의사소통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한국에서 그 연구의 시급함에도 불구하고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한국인과 호주인 사이의 키팔(keypal) 활동및 이메일 프로젝트를 운영하여 컴퓨터를 매개로한 문화간 교류에서 실용적인 언어교육과 문화교육의 가능성를 경험적으로 연구하고, 문화간 의사 소통에서 일어날 수 있는 오해와 갈등의 언어학적 요인과 사회 문화적 요소들을 찾아내어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전략을 제시하려한다.Gass and Varonis(G & V 1991)는 문화간 의사소통의 주요 장애물로 문법적 오해와 사회문화적 오해를 들고, 문화에 대한 상호 이해가 부족할 때 담화 과정 중 발생하는 문제가 고의적 발화행위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본 연구는 G & V(1991)의 가설이 한국인과 영어권 화자 사이의 온라인상의 대화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보고 담화에 문제가 생겼을 때 일어나는 의미협상과 교정과정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다음과 같은 연구를수행하고자 한다: (1) 온라인상의 문화간 의사소통에서 한국인이 사용하는 언어학적 전략에 대한 연구, (2) 온라인상의 문화간 의사소통에서 영어 토박이 화자가 비영어권 화자에게 사용하는 언어학적 전략에 대한 연구, (3) 온라인상의 문화간 교류에서 영어화자의 언어적 전략과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언어적 전략을 비교, 문법적 오해와 사회문화적 오해 중 어떤 요소가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더 큰 방해가 되는지 연구, (4) 문화간 의사소통에서 ‘콩글리시’에 의한 의미적 혼동과 콩글리시가 대화에 미치는 영향력 조사, (5) 인터넷을 통한 문화간 의사소통의 이론적 모델 제시
    온라인 상의 문화간 의사소통은 시공간의 제한을 넘어 여러 민족과 만나 의사소통을 할 수 있으므로 영어교육과 문화 교육에 혁신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한국인과 호주인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온라인 상에서 문화간 의사소통을 할 때 영어 학습자와 영어권 화자가 사용하는 영어 사이에 어떤 구조적 차이점이나 유사성이 있는지를 조사하여 인터넷을 통한 문화간 의사소통의 이론적 모델을 제시하고 또한 이것이 제2 언어 교육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그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 기대효과
  • 현대 사회에서 국제적 무역량과 문화적 교류가 증가함에 따라 사회, 과학, 문화의 모든 분야에서 다양한 민족들간의 만남이 온라인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인터넷은 문화간 교류의 필수적인 연결점이 되었고,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가장 손쉬운 방법이 되었고, 혁신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장을 열게 되었다. 인터넷을 통한 문화간 의사소통은 외국을 가지 않고도 다른 나라 사람들과 대화하고 정보를 교환하고 우정을 쌓고 협동 할 수 있는 길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언어학과 언어 교육 분야에서 지금까지 소홀하게 대해온 온라인상의 문화간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의 초석이 될 것이며 아울러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제공할 것이다.
    (1) 본 연구는 지금까지 면대면 의사소통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이론적 틀을 수정하는 동기 제공.
    (2) 본 연구는 온라인상의 문화간 의사소통에 대한 경험적 연구의 자극제가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앞으로 온라인상의 문화간 의사소통에 대한 연구는 격식성(formality), 젠더(gender), 연대감과 거리감 등의 사회 문화적 맥락적인 매개체를 포함하여 더욱 다양한 연구로 진행될 것이다.
    (3) 본 연구의 방법론을 통해 언어 교육과 문화교육에서 키팔(keypal)이나 이메일 프로젝트를 실제 수업의 한 도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법론은 현재 한국에서 일고 있는 조기 영어 교육뿐만 아니라 성인 영어 교육에서도 확대 활용될 수 있는 효과적이고 혁신적인 언어 교육과 문화교육의 한 방법이다.
    (4) 본 연구는 문화간 의사소통에서 콩글리시의 긍정적 부정적 역할을 연구함으로써 올바르고 효율적인 언어 운용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5) 본 연구는 언어학습자로 하여금 문화마다 다른 언어습관이나 규범, 가치 기준을 인정하고, 적절한 언어전략을 구사할 수 있는 언어 운용 능력과 화용능력에 대한 관심도를 높여줄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학생들이 온라인을 통해 다양한 문화를 배우고 문화간 의사소통을 할 때 영미인들 뿐만 아니라 영어를 국제적 의사소통 도구로 사용하는 다른 민족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도 나침판의 역할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종류의 연구는 한국뿐만 아니라 아시안 지역에서도 앞으로 다루어야 할 영어 교육 연구에 새로운 과제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기존의 문화연구에서 제시한 문화유형의 이론적 틀(Gudykunst and Ting-Toomey 1988; Hofstede 1980, 1991; Trompenaars and Hampden-Turners 1988)을 바탕으로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문화간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로서 영어권 화자와 한국인의 담화에 나타나는 언어학적 요소와 사회문화적 요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Trompenaars와 Hampden-Turners(1988)의 문화유형 기준에 의하면, 한국문화는 가족문화(family culture)로 분류 될 것이며, Hofstede(1980, 1991)의 문화유형 기준을 따르면, 한국은 집단주의 문화 (collectivism) 남성중심 문화(masculine culture), 힘과 거리감이 높은 문화(high power distance), 높은 불확실성 회피의 문화(high uncertainty avoidance culture)로 분류될 것이다. Gudykunst와 Ting-Toomey(1988)의 문화에 따른 언어적 유형 분류 기준을 따르면, 영어권 화자가 직접적이고(direct), 정확하고 (exacting), 개별성을 강조하는 개인적(personal) 언어 스타일과 화자 중심의 도구적(instrumental) 언어 스타일을 사용한다면, 한국인 화자는 간접적이고 (indirect), 과묵하고(succinct), 상황맥락적(contextual) 스타일, 청자 중심의 정서적(affective) 언어 스타일을 구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문화적 유형들이 온라인상의 대화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 그중에서도 Gudykunst와 Ting-Toomey(1988)의 언어분류 기준에 입각하여 영어권 화자와 한국인이 사용하는 영어의 구조적 차이점과 유사성에 관심을 기울일 것이다.
    문화에 대한 기존의 연구자들이 제시한 바와 같이, 만약 문화마다 언어 스타일에 대한 선호도와 해석이 다르다면 그 차이들은 문화간 의사소통에서 오해와 갈등을 일으키게 될 것이다. Gass and Varonis (1991)는 문화간 의사소통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1) 대화가 중단되거나, (2) 문제를 무시하고 대화를 계속 진행하거나, (3) 의미의 협상이 있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본 연구는 한국인이 온라인상의 문화간 의사소통을 할 때 생겨나는 가장 큰 문제점이 무엇인지 조사하고, 콩글리시가 사용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Gass and Varonis (1991)의 가정에 따라 다음 세 가지로 가정한다.

    (1) 콩글리시는 대화의 중단 또는 회피의 원인이 된다.
    (2) 콩글리시에 의해 생기는 문제를 피하기 위해 콩글리시를 무시하고 대화를 계속한다.
    (3) 콩글리시는 교정(repairs)과 의미의 협상 (negotiation of meaning)을 통해 지속적인 대화에 긍정 적인 역할을 한다. 즉, 콩글리시가 대화의 새로운 자원이 될 수 있다.

    이 세 가지 가정 중에서 본 연구는 콩글리시의 사용이 의미의 협상과 교정 장치를 통해 어떻게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며 이 과정이 언어 습득에 어떤 도움을 주는지 주목할 것이다.
    또한 Brown and Levinson(1987)의 공손성 전략이 온라인상에서도 적용되는지, 공손성의 전략에 대한 화자의 인식이 청자의 응답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만약 온라인상의 대화에서 나타나는 공손성의 규칙이나 전략이 문화에 따라 다르다면, 그 차이는 무엇인지, 그 개별적인 규칙이나 전략을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은 무엇인지 고찰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컴퓨터를 매개로 한 문화간 의사소통의 활용이 언어 교육과 문화 교육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고 적절한 언어 전략을 구사할 수 있는 언어 운용 능력과 화행 능력의 향상이 영어 교육에서 얼마나 중요한 과제인지를 부각시키게 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수정메카니즘(repair mechanism),컴퓨터매개상호작용(computer-mediated interaction),의미협상(negotiation of meaning),문화간 의사소통(intercultural communication),문화와 언어(language and culture),사회문화적 오해(sociocultural misunderstanding)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논문은 인터넷을 통한 문화간의 의사소통의 문제를 한국인과 호주인 대학생, 대학원생들간에 키팔을 통해 서로간의 문화간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의사소통에서의 문제점을 다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문화간의 차이점, 즉 서구문화와 한국의 문화간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의사소통의 문제가 있으리라는 가정하에 문화의 정의와 서구문화와 한국문화의 특징과 차이점을 논의한 다음, 최근에 인터넷 키팔을 통한 의사소통의 연구에 대한 연구의 배경과 동기를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연구방법에 대한 논의를 하고 있는데, 한국인과 호주인 피실험대상자들에 대한 소개와 자료수집의 방법과 연구절차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 다음으로 수집된 자료를 정량분석과 정성분석을 통해 의사소통의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우선 정량분석에서는 상호간에 어휘사용이 어떻게 차이가 나는가 하는 문제를 중심으로 명사, 대명사 등 어휘명사의 사용빈도수를 상호비교하였다. 다음으로 정성분석에 있어서 오해에서 비롯된 언어수행의 문제점을 언어사용전략, 오류 분석, 의사소통의 문제 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정성분석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자들은 문화간의 접촉에 있어서 문화간의 차이로 인해서 대립과 오해가 발생하는데, 이를 흥정의 과정과 상호 협조를 통해 대립과 오해를 회피하과자 하는 회피전략, 흥정, 등 여러 화용론적 전략이 사용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 영문
  • In recent years, researchers have shown interest in face-to-face or onlin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s a way of understanding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present research shows how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s carried out on the Internet through an analysis of discourse data of Korean and Australian students. In this paper, we discuss communication and miscommunication between Anglophone Australians and Koreans using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along with the concepts of cultur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We compare choice of lexical words used in their email letters by quantitative analysis and analyze their different writing styles by qualitative analysis, in terms of uncertainty and negotiation. Our research shows that in cultural contacts on the Internet, cultural differences are reflected as in face-to-face conversations and that people negotiate to avoid conflicts and misunderstandings. In other words, native cultural norms and language conventions affect intercultural interactions on the Internet as well. Nevertheless, globalization may lead to a multi-cultural perspective on human communication with East and West combined, and thus understanding differences between cultures is necessary for effectiv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Abstract>
    In recent years, researchers have shown interest in face-to-face or onlin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s a way of understanding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present research shows how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s carried out on the Internet through an analysis of discourse data of Korean and Australian students. In this paper, we discuss communication and miscommunication between Anglophone Australians and Koreans using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along with the concepts of cultur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We compare choice of lexical words used in their email letters by quantitative analysis and analyze their different writing styles by qualitative analysis, in terms of uncertainty and negotiation. Our research shows that in cultural contacts on the Internet, cultural differences are reflected as in face-to-face conversations and that people negotiate to avoid conflicts and misunderstandings. In other words, native cultural norms and language conventions affect intercultural interactions on the Internet as well. Nevertheless, globalization may lead to a multi-cultural perspective on human communication with East and West combined, and thus understanding differences between cultures is necessary for effectiv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There is no systematic cross-cultural study on intercultural online interactions, although some intercultural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in face-to-face contexts. Researches 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on the Internet is becoming increasingly urgent because we live in one global village (McLuhan 1962), communicating by computer networks, and the Internet is a hub that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modern societies. Our study aims to be a foundation and a stimulus for the future researches.
    This study shows that we have to revise the theoretical framework on which intercultural studies are based, and to prepare both a theoretical context and an empirical basis for onlin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e next step for future research is to map out the contextual parameters on the Internet, e.g., formal-informal context, public-private context, male-female context, or the social factors, e.g., solidarity, power and distance.
    In addition, this study has immediate application to the teaching of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in Korea, which is a major strategic priority area in Korean education policy. The model of online intercultural interaction in this study will provide an example for innovative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For example, this study will encourage language teachers to use the practical methods used in the study, such as keypal programs and e-mail projects, in their classrooms from primary schools to tertiary educations including schools for adults.
    Also, our research on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aspects of Konglish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s can contribute to increased emphasis on communicative competence (Hymes 1972). These kinds of research will help EFL learners acknowledge not only grammatical miscommunication but also sociocultural miscommunication. The ESL learners will pay more attention to diverse cultural social norms, different language behaviors, and pragmatic differences in language use.
    Finally, we hope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training and upgrading of language skills in Korean business people, scientists and public servants in their intercultural contacts, not only with native English speakers, but also with speakers of other languages who use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 색인어
  •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keypal, culture, pragmatic strategies, cross-cultural pragmatic failures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