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SF문학에 재현된 몸 담론의 종교적 의미: 문학과 종교학의 협동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협동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4-042-A00076
선정년도 2004 년
연구기간 1 년 (2004년 12월 01일 ~ 2005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노재호
연구수행기관 서강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재영(서강대학교)
김봉은(고신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문학, 과학, 종교의 간극을 탐구하며 SF문학에 재현된 뭄과 정신과 구원에 대한 태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학과 종교학의 학제간 연구인 본 연구는 기존 SF문학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확장할 것이며 SF문학에 대한 종교학적인 입장을 참신하게 제시할 것이다. SF문학에 나타나 있는 종교적인 주제들--몸과 정신의 관계, 구원, 영생의 가능성 등--을 종교학 이론의 지평에서 분석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몸을 과학과 종교학을 연결하는 매체로 규정하고, 몸과 정신 혹은 몸과 의식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심도 있게 그려진 SF소설들을 선택하여, 몸의 의미를 종교학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할 것이다. 더 나아가 SF소설에 재현된 몸 담론을 종교학의 핵심 주제 중에 하나인 구원의 관점에서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William Gibson의 Neuromancer와 Pattern Recognition, 그리고 Richard Powers의 Galatea 2.2를 SF문학의 구체적인 예로 분석할 것이다.
  • 기대효과
  • SF작품에 나타난 몸 담론에 대한 종교학적인 해석은 SF문학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이며, 본 연구에서 시도하는 문학과 종교학의 학제간 연구는 SF문학 일만에 대한 다양한 연구의 가능성을 제공하여 후속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Gibson과 Powers의 작품들은 과학주의와 물질주의가 기배적인 현 시대에서 인간적, 종교적 의미와 가치를 추구한다. 이는 신과 같은 절대적 authority에 의존하고자 하는 태도가 아니라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휴머니즘 등이 지배담론이 되어가는 현실에서 인본주의적인 가치를 지키고자 하는 nostalgic한 태도라고 요약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인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도 이와 같은 SF소설들에서,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제간 연구의 중요성과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참여하는 연구자들은 영문학과 종교학 분야에서 공통된 주제와 문제의식을 가지고 학제간 연구의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논문을 발표할 것이다. 또한, 연문학과 수업에 종교학 이론을 도입하고 종교학 수업에 SF문학 작품 분석을 도입하여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는 수업 내용으로 학생들의 시여를 개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연구요약
  • SF문학과 fantasy 문학이 동일시되거나 혼동되는 경우가 많은데, SF문학은 fantasy 문학과는 명백한 차이가 있다. 신비적 또는 초자연적인 fantasy 문하과는 달리 SF문학은 Adam Roberts가 주장하듯이 "a discourse of possibility"에 의존한다. SF소설의 작가는 어떠한 이론적인 전제를 설정하고 그 것의 논리적인 결과를 탐구하는 일종의 "thought experiment"를 실시하는 것이다. SF문학에 나타난 몸 담론의 종교적인 의미를 검토하기 위한 본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이 세 단계로 진행할 것이다.
    1. 연구의 이론적인 기저를 구축하기 위하여 종교학 연구의 전반적인 경향과 이론적 배경을 소개한다. Wilfred Cantwell Smith, Ninian Smart, William LaFleur 등의 종교학자들의 저서가 구체적으로 인용될 것이다. SF문학 연구에서 종교적인 문제들을 깊이 있게 탐구하는데 필요한 종교학 연구의 전반적인 경향과 이론적 배경을 두 단계에 걸쳐 간략히 소개한다. 최근 종교학 연구의 경향은 "이분법적인 사고의 해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첫째는 종교학과 과학의 이론적, 논리적 접근의 차이가 사가라지는 추세이고, 둘째는 몸과 정신에 대한 종교학적인 담론에서 몸과 정신이 분리되지 않으며 몸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추세이다.
    2. SF문학, 과학, 종교학을 연결시키는 통합된 이론적 접근으로 Gibson의 Neuromancer와 Pattern Recognition에 재현된 몸 담론을 분석한다. SF문학에 재현된 몸 담론 분석을 심화하기 위한 SF문학, 과학, 그리고 종교학 이론을 통합하는 접근을 제시하겠다. 이러한 접근으로 분석하면, Neuromancer와 Pattern Recognition의 핵심 주제는 몸과 구원으로 집약된다. Neuromancer는 가상현실의 공간에서 몸으로부터 해방되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하지만 의식의 전산화를 통해 획득되는 영생은 직접적인 체험을 통한 몸으로의 귀환과 대치된다. Pattern Recognition은 컴퓨터학 이론에서 발전된 네트워크 이론을 반영한다. 물질주의와 유행만 있을 뿐 공유할 수 있는 의미/가치나 미래에 대한 희망은 존재하지 않는 현실에서, 우리의 공통된 인간성(humanity)이 유일하게 공유할 수 있는 가치로 제시되며 이는 몸을 통해서만 확인된다.
    3. Powers의 Galatea 2.2에 나타난 몸 담론을 과학, 윤리, 종교와 연관하여 종교학적인 지평에서 분석한다. Galatea 2.2에 재현된 몸 담론의 종교학적 의미를 다음과 같은 순서로 검토하겠다. 첫째, Galatea 2.2를 간략히 소개하고 작품의 주제는 구원의 가능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규정한다. 둘째, Powers가 이분법적인 경계를 해체하는 양상과 의미를 분석한다. 셋째, 해체된 모든 경계가 몸을 통해 융합되고 연계되어, 몸을 통한 구원의 가능성이 제기되는 양상과 그 윤리적 종교적 의미를 논의한다.
  • 한글키워드
  • 뉴로맨서(Neuromancer),패턴 레코그니션(Pattern Recognition),몸,몸과 정신,SF문학,리쳐드 파위즈(Richard Powers),윌리엄 깁슨(William Gibson),포스트휴머니즘,포스트모더니즘,종교철학,종교학,문학과 과학,구원,몸 담론,갈라테아 2.2(Galatea 2.2)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William Gibson의 Pattern Recognition은 과학과 종교학의 담론을 반영하지만 전통적인 SF와는 달리 현재, 특히 9/11 테러사건 이후의 시대배경을 다루고 있다. 주인공 Cayce Pollard는 인터넷에 나타나고 있는 짧고 순서도 없는 동영상 시리즈(소설에서 "the footage"로 불림)에 사로잡혀 있는데, 이러한 집착은 9/11 테러 당시 사라진 아버지의 사망의 증거를 찾고자 하는 집착을 대신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Footage에서 가상의 narrative를 찾고자 하는 그녀의 시도는 아버지의 죽음을 잊고자 하는 시도이며, 동시에 그녀의 삶에서 사라진 질서를 되찾고자 하는 시도이다. 소설 후반부에 footage를 창조하고 있는 자가 Nora Volkova라는 러시아 여성임이 밝혀지는데, 그녀도 테러 사건으로 부모를 잃었으며, 그 폭탄에 의해 자신의 뇌도 손상되었다. 결국, 이 동영상들은 순서도 narrative도 없으며, Nora가 사망한 부모를 무의식적으로 재현하고 있는 것이다. Nora를 만난 이후, Cayce는 footage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고 아버지의 죽음을 인정하게 되며, 소설은 그녀와 그녀의 애인 Peter와의 동침으로 끝난다. 이 소설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Andy Clark의 과학이론, Manuel Castells의 사회이론, James Nelson의 종교이론 등을 적용한다. Clark는 신경과학, 인공지능 이론, 언어철학 등을 접목하여 인간의 지능이 뇌/몸/환경의 상호작용의 산물이라고 주장한다. Castells는 모든 인간사회의 조직이 컴퓨터 네트워크와 유사하게 분산된 구조에서 중앙통제가 없이 효율적인 체계를 정립한다고 주장한다. Nelson은 고통을 극복하고 서로와 소통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인간으로써의 정체성 자체도 우리의 몸에서 비롯된다는 몸의 신학(body theology)을 이론화한다. 본 연구는 Gibson이 추상적인 담론이나 narrative를 거부하고 Nelson의 bodyself(몸을 정체성과 인관관계의 핵심으로 이해하는 자아)와 유사한 개념을 통하여 인간으로써 우리가 공유하는 근본적인 가치들에 호소한다고 Pattern Recognition을 분석한다.
  • 영문
  • My paper is an attempt to read William Gibson’s Pattern Recognition in connection to neuroscience, network theory and empiricist views of religion. Cayce Pollard is a "coolhunter" who tracks "the street-level emergence" of new styles by trying to recognize the formation of "a group behavior pattern around a particular class of object." She is also obsessed with a series of video clips known as "the footage" to the on-line community for whom the debate over whether the clips are fragments of a work in progress (as the Progressives believe) or nonsequential segments of a finished film (as the Completists believe) has almost "theological" implications. This obsession with discovering logical order (or narrative) is another example of the impulse toward pattern recognition. Cayce’s search for her father and why he disappeared in lower Manhattan on September 11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discover a pattern where none exists. Andy Clark claims that the human mind is a "pattern-completing" system in which the simple functions of the brain interact with "complex, well-structured environments" to produce more complex behavior and "second-order" cognition. Patterns emerge from these interactions "without central executive control," as products of a distributed system incorporating brain, body and environment. Nora Volkova, after a terrorist bombing that killed her father and damaged her brain, has been producing the clips by editing video from the hospital’s security system. They are fragments without order or narrative, emerging from Nora’s fragmented mind. What drew Cayce to the footage is the pattern of trauma that she shares with Nora; she "began to follow the footage" after September 11 "to unremember" everything outside the disembodied space of the footage and the web community emerging around it. Network theory posits that computer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increasingly creating a world in which individuals are functional nodes in decentralized, distributed networks. But Manuel Castells argues that the patterns ("assigned meanings") that emerge from such networks are inherently unstable, and produce a desire for "the anchoring in eternal values." One such anchoring is in the body, which is where September 11 and the footage ultimately converge. No pattern emerges from Cayce’s search for the meaning of September 11, but the compensation for her trauma and the resulting loss of order and stability is represented by clip #135 ("the Kiss") and enacted by the ending of the novel, where Cayce kisses her lover. The disembodied Parkaboy of the footage community has now become the flesh-and-blood Peter Gilbert, and through their physical union, Cayce’s "soul" returns to her, "warmly socketed." Ninian Smart claims that religion itself has become "empirical;" consciousness and meaning emerge from "matter" and personal, embodied experience. Our sense of self (or consciousness) emerges from our interactions with others and the world around us, and only in that embodied space can we find the patterns that complete u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William Gibson's Pattern Recognition borrows from the discourses of science and religion but is set in the historical present, dealing in particular with the aftermath of 9/11. Its protagonist Cayce Pollard is obsessed with a series of random video clips (known as "the footage") that are appearing on the internet, but this obsession turns out to be a substitute for her obsessive search for evidence of her father's death in the terrorist attack on the World Trade Center; her attempt to discover a narrative in the footage is both an attempt to "unremember" her father's death and a compensation for the loss of order in her life. The footage was created by a Russian woman named Nora Volkova whose brain was damaged by a terrorist bomb that also killed her parents; it is a subconscious representation of her parents that has no logical order. After meeting Nora, Cayce stops obsessing about the footage and accepts her father's death, and the novel ends with the physical union between Cayce and her new lover Peter. In order to make sense of the novel, I refer to Andy Clark's theory that human cognition is a product of brain-body-environment interaction, Manuel Castells' theory that all human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have the structure of decentralized and self-organizing networks, and James Nelson's "body theology" in which he argues that our bodies are central to our identities and our abilities to deal with pain and connect with each other. I argue that Gibson rejects grand narratives in favor of something like Nelson's notion of the "bodyself" and appeals to our shared humanity.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0월에 미국 Washington에서 개최된 American Studies Association 국제학술대회에서 연구원 3명이 한 session을 구성하여 논문을 발표하였다. 최종 연구결과물인 논문 3편은 각자 학술지에 게재였거나 2006년내에 게재할 것이다. 앞으로도 SF문학, 종교학, 과학이론 등을 종합한 연구를 계속 할 것이며, 이러한 interdisciplinary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세미나, 학술대회, 강연 등을 기회 및 개최할 것이다.
  • 색인어
  • William Gibson, Pattern Recognition, science fiction, religion, 9/11, neural net, cognition, consciousness, body theology, bodyself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