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s

연구과제 상세정보

기업 마케팅 요구에 부합되는 전시부스 디자인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7-332-G00023
선정년도 2007 년
연구기간 2 년 (2007년 08월 01일 ~ 2009년 07월 31일)
연구책임자 이란표
연구수행기관 배재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전시산업은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큰 산업으로서 독일, 미국과 같은 선진국을 비롯하여 중국, 홍콩, 싱가포르, 대만 등의 아시아 국가들도 전시산업을 국가적 전략산업으로 집중육성하고 있다. 무역전시는 비즈니스 마인드의 기본이며 소비자를 위한 기업활동인 마케팅 활동의 일환으로서 마케팅이 최고도로 집약발전된 최첨단 산업이다. 무역전시의 최대 장점은 마케팅을 위해 소비자를 일일이 찾아가는 것이 아니라, 한 장소에 불러 모으는 현장 마케팅을 통해 손쉽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즉 무역전시는 상품, 정보, 서비스를 직접 보고 듣고 만지고 느낄 수 있는 직접적인 매개체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쌍방 커뮤니케이션을 형성하여 마케팅의 효과를 최대화시키는 수단과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 역시 전시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최근 대규모 전시장을 건립하면서 다양한 전시회 유치 및 개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성 결여와 영세성, 전시조직 시스템 부재로 인한 유사 전시회의 난립, 전문적 전시인력의 부족 등은 현재 국내 전시산업의 문제점으로 남아 있다. 특히 전시는 기업 마케팅 활동의 일환으로서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부합할 수 있어야하며 전시부스 디자인 역시 그와 발맞추어 발전되어야 하나 현실 상황은 그렇지 못하다.
    게다가 국내의 전시는 일반적으로 유니트화된 부스로 전시하는 기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유형의 전시형태를 소화시키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는 무엇보다 전시부스 디자인의 이론적인 기초 및 토대가 되는 기본원리는 물론이고 실질적인 적용현장인 무역박람회에서 이를 어떻게 적용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아직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부스디자인은 수많은 부스 중에서도 참가업체의 부스에 대한 참관객의 흥미와 관심을 집중시켜 부스를 기억하게 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전시회에 참여하는 기업은 자사에 의해 제공되는 제품, 기술력 및 서비스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참관객들에게 홍보하며 판매.계약 상담으로 직접 연결시킬 것인가에 주력해야 한다. 부스디자인의 산물 그 자체인 부스는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그 효과 측면에서 다른 정보전달매체와 비교해 볼 때, 전 감각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다른 정보전달매체와는 달리 관람객들을 직접 참여시키게 함으로써 공간적 시각성이 가지고 있는 효과를 경험하게 해준다. 따라서 전시회에서 기업의 마케팅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부스디자인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전시부스 설치비가 전체 전시회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기 때문에 부스디자인을 어떻게 하는냐가 비용측면에서 참가회사의 고민이 되는 부분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비용에 따른 부담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유니트화된 기본부스로 대부분의 전시가 영세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전시부스는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부합하지도 않을뿐더러 다양한 유형의 전시형태 또한 소화시키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전시에 참여하는 기업에게 있어 동일분야의 첨예한 경쟁의 상황에서 상품과 기업 고유의 아이덴티티를 차별화하여 부각시키는 작업은 그리 쉽지 않기 때문에 전시부스 디자인을 위한 효과적인 Corporate Identity Design의 요구는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자체 내의 CID 조직을 운용하거나 외주를 주는 일반 기업들과는 달리 단기간 내에 CI제작을 해야만 하거나 CI 컨셉 설정에 많은 정열을 기울이기 힘든 중소기업들은 기업 혁신, 제품의 질, 커뮤니케이션 스키마, 글로벌 스탠다드와 같은 본래 CI 컨셉에 속하는 내용들을 제대로 이미지화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토대가 되는 전시부스 디자인의 이론적 기본원리 및 실제적으로 활용가능한 디자인 특성이 연구된다면 대기업은 물론이고 중소기업에서도 효과적인 CID를 부스에 적용하는데 활용가능할 것이다.
    결국 전문성과 국제성을 갖춘 전시 선진국이 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무역박람회 전시와 부스디자인에 관련된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기초가 수립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전시산업 선진국과 최근 전시산업을 집중육성하고 있는 국가들의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유형별 분류와 디자인 특성을 도출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에서는 전시부스 디자인의 이론적 기초를 정립하고 이것의 토대 하에 기존의 전시디자인에서 고려되지 못했던 CID 컨셉에 부응하는 부스디자인 기본 원리와 기업마케팅 요구에 부합되는 디자인 솔루션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 기대효과
  • 마케팅 요구에 부합되는 공간 구성 및 디자인 해결안을 제시하기 위해 전시산업의 대표국가의 사례들을 분석하는 가운데 전시회들에서 이루어지는 실제적인 디자인 특성을 참조하면서 국내 기업의 CID에 부합하는 디자인적 특성을 도출하여 국내 전시부스의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며 부스디자인을 위한 실증적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내용이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1) 본 연구를 통해 21세기 전시산업의 미래와 전망에 의거해 볼 때 실제 방문객들과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전시부스 디자인의 기본원리 및 실제적인 디자인 적용 방안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2) 본 연구는 CI 컨셉에 속하는 내용들을 제대로 이미지화시키지 못해 어려움을 가지 있는 중소기업에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나라의 특성상 중소규모 부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디자인 모형사례를 제시하고 디자인 해결방안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3) 이론적 토대 하에 다양한 디자인 적용방안을 유형별로 뷴류하여 다양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디자이너나 건축가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4) 본 연구의 기초로서 전시부스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스키마와 표현 방식 그리고 CI 및 마케팅 요구에 부합되는 디자인 방법은 다양한 변용을 가능케 해주는 유기적 틀로서 디자인 측면에서만이 아니라 경제적인 측면과 환경친화적인 측면에서도 최대한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전시부스 시스템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5) 또한 전시 부스산업에 이론적 기초를 제공해줌으로서 객관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인 일반화 작업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점에서 전시디자인 수립을 위한 디자인 전략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이론적 기초설정에 대한 제시를 통해 연구 및 응용의 활성화를 위한 계기를 마련해주는 동시에, 산학 및 학제 간 연구의 단초를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6) 이상의 결과를 통해 궁극적으로 전시부스의 효용성을 극대화하고 디자인 발전에 있어 겪게 될 물리적, 시간적 낭비 및 시행착오를 경감시킬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 이론적 토대 하에 다양한 디자인 적용방안을 유형별로 뷴류하여 다양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디자이너나 건축가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전시 디자인 업체에게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전시 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전시 조직자, 전시 업체 그리고 전시 디자이너 간의 효율적이면서 생산적인 유기적인 협력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전시문화에 적합한 전시부스 디자인 기반을 형성하게 하는 자료로서 이용 가능할 것이다.
    2) 따라서 본 연구는 CI 컨셉에 속하는 내용들을 제대로 이미지화시키지 못해 어려움을 가지 있는 중소기업에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단지 이론적 제안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디자인 적용방안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다양한 모형사레를 제시하게 될 디자인 방법론을 마련해줄 본 연구의 결과는 전시업체에게는 체계적인 디자인 접근방법론을 제시해 줌으로써 디자인 문제를 해결.적용.응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3) 본 연구는 전시디자인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이론적 토대와 방법론적 기초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전시부스디자인 분야에서의 교재가 전무한 상황에서 이를 위해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교재개발이 이루어진다면 전시부스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전시 디자인의 원리, 전시부스 시스템, CID 부스사례 등과 같은 전시부스 디자인에 관해 학생들은 전문적인 지식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4) 또한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실제 교육과정에 접목가능하며 최근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전시부스디자인 분야에서 체계적, 실무적인 디자인 정보를 제공하여 실내디자인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현실적이면서도 체계적인 디자인 접근 방법을 제시해줄 수 있고 실제 디자인 전개 및 문제를 해결하는데 이용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5) 본 연구의 결과가 선진국들의 전시 디자인과 비교 검토되는 가운데, 공유점과 차별점까지도 도출된다면, 전시부스 디자인에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실질적인 디자인 모형도 제시 가능하리라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크게 문헌연구와 실태조사 및 사례연구 그리고 디자인 해결책 모색으로 나뉘어 이루어진다.

    우선 문헌연구에서는 전시부스 디자인의 중요개념인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이론들, 예를 들면 커뮤니케이션 이론, 매체미학 등과 같은 최근의 이론들을 연구하면서 전시부스에 있어서의 커뮤니케이션 형성방식과 전시부스의 커뮤니케이션의 특성을 도출해내는 작업이 수행될 것이며,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세부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1) 커뮤니케이션의 원리: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상징적인 기호들과 이미지들은 보조적이고 부차적인 수단들이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자체를 이끄는 주체들로 생각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상징적 기호들과 이미지들이 이루는 작동체계와 기능방식에 대한 이해는 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열쇠가 되는 것이다. 무역박람회 전시에서도 결정적인 것은 상품이 아니라, 상품이 방문객과 의사소통을 나누는 방식 또는 상품의 이미지이다. 전시는 상품, 정보, 서비스를 직접 보고 듣고 조작해볼 수 있는 직접적인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일방적인 정보전달 체계와는 달리 쌍방 커뮤니케이션을 형성하여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수단과 방법이다. 본 장에서는 현대 커뮤니케이션 이론가들 중에서 전시 디자인과 관련하여 언급될 수 있는 중요한 이론가인 볼즈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비롯하여 현대 매체 및 커뮤니케이션 이론들이 다뤄질 것이다.
    2) 전시부스 디자인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의 작용원리: 본 장에서는 전시부스 디자인이 기초로 삼아야 할 커뮤니케이션의 기본적인 작동원리가 ①건축과 디자인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②제품이미지, ③일관된 메시지, ④기억 속에 남는 부스 등의 네가지 측면에서 모색될 것이다.
    3) 전시 부스의 커뮤니케이션 스키마: 본 장에서는 커뮤니케이션 작용원리들에 의거하여 전시부스를 디자인 하는데 있어서 규모의 크고작음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는 전시 커뮤니케이션 스키마의 기본구성영역들과 기본 형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이다. 전시 커뮤니케이션 스키마를 구성하는 영역들은 ①관심유도 영역, ②제품전시 영역, ③심층상담 영역, ④기능 및 서비스 공간 등 네 가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네가지 영역들을 포함하는 스키마는 전시부스의 배치에 따라 row stand, end stand, corner stand 등의 세 가지 형태로 구상될 수 있다. 본 장에서는 이러한 기본 형태를 기반으로 국내 현실에 부합되는 다양한 전시부스유형을 모색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것이다.
    4) 커뮤니케이션 표현요소들: 본 장에서는 전시 부스의 커뮤니케이션 스키마를 구체화 시키는데 있어서 부스 디자인에 실제로 투입되는 커뮤니케이션 표현요소들로서 ①커뮤니케이션 오브제, ②공중에 떠있는 건축적 요소들, ③텍스트 작성, ④텍스트 위치, ⑤글자 디자인, ⑥이미지와 텍스트 복합, ⑦시선이동경로 등의 일곱가지 요소들이 분석될 것이다.
    또한 문헌고찰을 통해 마케팅 수단으로서의 전시회의 의미와 전시 마케팅의 의의를 연구하고 Corporate Identity에 따른 기업이미지 산출과정과 이에 따른 전시부스디자인 개념과 통합적 마케팅 수단으로서의 전시부스의 기능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는 작업 역시 이루어진다.

    실태조사 및 사례연구에서는 먼저 컨벤션 시설과 무역전시회 전시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와 관련자료를 조사·분석하고 연구의 동향을 살펴본다. 그리고 나서 국내 무역전시회 현장방문조사를 통해 국내 무역전시회부스의 이용실태 및 전시부스 공간의 현황을 파악하고 특히 중소기업 부스디자인에서의 문제점에 대해서 원인과 개선필요성을 밝혀낸다. 아울러 전시 선진국의 실증적인 사례연구에서는 국내의 중소기업의 전시부스 디자인 해결방안에 부합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들을 추출해낸다. 특히 시스템부스와 독립부스의 형태를 구분하여 CID이 적용된 전시부스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마지막으로 디자인 해결책에 관한연구에서는 마케팅 요구에 부합되는 디자인 해결방안이 모색될 것이다. 원론적인 측면에서 전시부스 디자인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원리와 커뮤니케이션 스키마 그리고 이를 기초로 한 커뮤니케이션 표현요소들이 이론적으로 정립되고, 이를 통해 국제적이고 전문적인 전시회들에서 통일적인 CID가 반영된 유형들이 구체적으로 연구·분석된다면, 이를 기반으로 하여 우리나라의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는 ‘마케팅 요구에 부합되는 디자인 해결방안’이 모색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전시 부스 디자인에 있어 마케팅 요구에 부합되는 디자인 해결방안을 ‘기업 이미지 묘사’, ‘전시품과 서비스 프레젠테이션’,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세 가지 범주에 따라 제시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이미지,무역전시회,전시부스 디자인,기업 아이덴티티 디자인,커뮤니케이션,전시부스 커뮤니케이션 스키마,마케팅 컨셉. 기업 문화,마케팅,디자인 솔루션
  • 영문키워드
  • Communication,Marketing,Marketing concept,Corporate Culture,Design solution,Image,Corporate Identity Design,Exhibition Booth Design,communication schema,Trade Fair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광의의 의미에서 전시부스디자인은 공간적이고 건축적인 형태들을 포괄하며 협의의 의미에서는 조명과 색채 그리고 재료 등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전시부스 디자인은 단지 도구적으로만 이해될 수 없는 공간적 이미지 디자인의 산물이라는 사실이 고려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전시디자인에서는 발신자, 수신자, 대상과 같은 요소들만이 아니라, 다양한 이미지와 설치물 같은 기호적인 요소 역시 다차원적인 커뮤니케이션 형성에 기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차원적인 커뮤니케이션 모델 대신에 지각된 대상과 기호적인 이미지 간의 관계인 커뮤니케이션의 네 번째 요소에 주목하는 3차원적 커뮤니케이션 모델로 대체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1년차 연구에서는 커뮤니케이션 개념들에 관한 최근의 논의들을 고찰할 뿐 아니라, 이차원적 커뮤니케이션 모델과 3차원적 모델을 비교·분석함으로서 전시부스디자인과 표현방식에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해주는 것을 목적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최근 국내의 전시산업은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으며, 일반 국민들에게도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현재 우리나라 역시 전시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최근 대규모 전시장을 건립하면서 전시회 유치 및 개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전시산업은 독립적 산업으로서의 인식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전문성 결여와 영세성, 전시조직 시스템 부재로 인한 유사 전시회의 난립, 전문적 전시인력의 부족 등은 현재 국내 전시산업의 시급한 문제점으로 남아 있다. 전시회의 역사가 짧아 국제 수준의 무역 전시회를 유치하지 못하는 것 또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학문적 연구의 대상으로 포착되기 시작한 역사도 매우 짧다. 더구나 전시부스 설치비가 전체 전시회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기 때문에 부스디자인을 어떻게 하느냐가 비용측면에서 참가회사의 가장 큰 고민이 되는 부분이며, 실제로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유니트화된 기본부스로 대부분의 전시가 영세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전시부스는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부합하지도 않을뿐더러 다양한 유형의 전시형태 또한 소화시키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일관적으로 적용할 통합적 이미지 관리를 마련하며, 기업이 추구하는 경영이념을 바탕으로 전시회에서 기대되는 마케팅 요건 사항이 부스 디자인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2년차의 첫 번째 연구는 기업의 전시마케팅과 기업의 고유한 아이덴티티 요구에 부합되는 효과적인 전시부스 디자인의 가능성 조건을 해명하며 이에 부합되는 범례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업의 전시부스는 그 기업의 고유한 이미지에 부합되게 혹은 기업 고유의 이미지의 쇄신을 통해 현실의 마케팅 사안을 실현시키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한다. 따라서 부스디자인은 무역박람회의 부스마케팅과의 관련 속에서 기업 이미지 묘사, 제품과 서비스의 프레젠테이션, 방문객과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과 같은 세 가지 기본 과제들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기업이미지 묘사에 집중하여 이미지 묘사의 지표들을 규정하고 사례들을 분석하는 본 연구자의 선행작업을 기초로 하여 2년차 두 번째 연구에서는 특히 중소형부스의 부스유형별 적용가능성 측면에 집중하여 제품 및 서비스의 프레젠테이션, 방문객과의 커뮤니케이션 등의 각 주제의 목표에 부합하는 사안들을 제시하고 개별 분석지표들을 중심으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중소형부스에 가장 효과적인 전시부스디자인 가능성 조건들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전시품, 서비스, 기술력 프레젠테이션의 측면에서는 다양한 시각매체의 활용, 공간 내의 공간이라는 공간적 효과를 내기 위한 건축적 형태의 사용, 그래픽과 장식의 효율적 배치 등이 주요 가능성 조건들로 도출되었으며, 방문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의 측면에서는 자연적 요소들의 인위적 배치를 통한 ‘인위성의 자연적 효과’, 공간의 합리적 구분을 목표로 한 ‘공간에 의한 공간화’, 그리고 ‘개방적 디자인’ 등이 주요한 가능성 조건들로서 도출되었다.
  • 영문
  • The exhibition booth is the product of the spatial image design which cannot be understood only instrumentally, and also that in the exhibition design not only the elements such as the sender, the recipient and the objects, but also the semiotic element such as the various kinds of images and installations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communication. Therefore it is inevitable that one must substitute the concept of the two-dimensional communication (‘the sender-the message-the recipient’) with the concept of the three-dimensional which especially takes notice of the fourth element of the communication, ‘the 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and the semiotic image’. The study of the first period was purposed to furnish the theoretical fundamental of the communication for the exhibition booth design and its expressional elements through the consideration on the recent discussions about the concepts of the communication and also the comparison of the two-dimensional communication model with the three-dimensional.
    Faced to the problems in the area of the exhibition industry, the first study of the second period was purposed to shed light on the possible conditions of the effective booth design which is in accord with the corporate identity and also to indicate some exemplary cases that are representative of those conditions. As for the analysing method, the theoretical grounding of the conditions of the exhibition marketing which is oriented to the CID and the case study was undertaken in sequence. Through an analysis of the scrupulously selected design examples by the 4 basic expressional elements, 'form, material, color, symbol', on the basis of 5 indicators of the exhibition marketing this study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1) The expressions by the expressional elements which correspond to the indicators of the exhibition marketing can be typologically formulated. 2) The exhibition communication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exhibition marketing can be renovated or promoted by the independent imaging process of the exhibition booth.
    The exhibition booth of a corporation plays a role of the medium, through which the marketing aims can be accomplished according to the proper image of the corporation or on the basis of the renewing efforts. Because of that the booth design should carry out the tasks such as the delineation of the corporate image, the presentation of the products and the services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visitors in consideration of the booth marketing. The second study of the second period was purposed to come up with the design solutions which correspond on the one hand to the individual aims of the presentation of the products and the services and on the other to the aims of the communication with the visitors. With these works it was attempted to indicate the possible conditions for the most effective small exhibition booth design by analyzing the booth design cases with the individual analyzing indicators.
    As the consequences of the study it can be in two ways formulated: from the aspect of the presentation of the products and the services the main possible conditions such as 'the use of various visual media', 'the use of the architectural forms for the spatial effect', 'the effective arrangement of the graphic and the ornaments' are considered. And from the aspect of the communication with the visitors the three possible conditions such as 'the naturalizing effect of the artificial through the artificial arrangement of the natural elements', 'the spatialization through the spaces aimed at the rational differentiation of space', 'the open design' are induced from the analysi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무역전시회는 제품과 서비스, 기술력의 전시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개최장소이다. 오랫동안 무역전시회의 역할이 궁극적으로는 제품의 판매를 준비하는 것에 놓여있었다고 할지라도 현재 전 세계에서 무역전시회는 제품의 판매와 홍보를 넘어서 제품, 서비스, 기술정보의 전시, 생산자, 연구자, 디자이너, 언론인, 방문객과의 유기적인 상호접촉, 판매망 확대, 시장조사 및 시장흐름 조망, 기업이미지의 효과적인 홍보 등과 같은 다양한 목적들을 실현시키기 위한 가장 영향력있는 포럼으로서 자리매김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들에서 알 수 있듯이 그 어떠한 매체도 무역전시회만큼 원하는 대상층에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없을 것이다. 현재 제품과 기술력 발전에 있어서 서로 구분하기 힘들 정도로 첨예한 경쟁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기업 자체의 상품이 지니는 고유한 아이덴티티를 차별화하여 부각시키는 일뿐 아니라 기술과 디자인에 있어서 유사한 제품들 사이에서 그 제품을 생산한 기업고유의 아이덴티티를 사람들에게 각인시키는 작업도 어려운 일이다. 더구나 이러한 제품들 및 이를 뒷받침해주는 기술력과 서비스를 전시하는 수많은 대규모 무역전시회들에서 특정한 기업과 그 기업에 의하여 생산된 제품을 차별적으로 부각시키는 일은 더더욱 힘든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시부스 디자인을 위한 효과적인 Corporate Identity Design 의 요구는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며, 마케팅 전문가, 디자이너, 건축가 등이 함께 참여하는 부스디자인이 다각도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전략적 차원에서 자체 내에 가지고 있는 독자적인 CID 조직을 운용하거나 전문적인 광고회사에게 외주를 줌으로써 기업과 아이템의 이미지를 부각시키는데 성공한 대기업들과는 달리, 단기간 내에 Corporate Identity 제작을 해야만 하거나 CI 컨셉 설정에 많은 정열을 기울이기 힘든 국내의 중소기업들은 국내의 전시회에서는 물론 해외 전시회에서도 기업 혁신, 제품의 질, 커뮤니케이션 스키마, 글로벌 스탠다드와 같은 본래 CI 컨셉에 속하는 내용들을 제대로 이미지화시키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단순하게 유니트화된 부스로 전시하는 기법을 여전히 사용하고 있고 전시부스의 디자인은 기업이 요구하는 다양한 전시형태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부스의 가변적 조절능력 등의 시스템화가 미흡하기도 하려니와 무엇보다 마케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CID 컨셉에 적용된 부스디자인의 중요성과 마케팅과의 밀접한 관련성이 인식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대부분의 출품회사들은 중소기업으로서 소형부스형태로 전시회에 참여하고 있다. 통상 이러한 작은 규모의 부스 대부분은 이 업체가 전시에 참여하고자 하였던 원래의 의도가 무색하게 특색이 거의 없고 눈에 뜨이지 않는 좌석배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명확한 CI 혹은 인식가능한 전시의도 없이 단지 제품과 그래픽으로만 가득 차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만일 토대가 되는 전시부스 디자인의 기본원리 및 기초적인 부스 공간 구성 등이 연구된다면 이 내용은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부스위치와 유형에 따른 디자인 특성 분석 및 해결안은 대기업은 물론이고 중소기업에서도 효과적인 CID 컨셉을 개발하고 또한 적용시키는데 있어서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이를 기초로 한 실제 전시디자인을 통해 기업이미지 개선, 대중적 인지도 증대, 기업의 대외적 활동성 강화 등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기존의 전시디자인에서 고려되지 못했던 CID 컨셉개발을 위한 부스디자인 기본 원리와 기업마케팅 요구에 부합되는 디자인 솔루션을 제시해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무엇보다 전문성과 국제성을 갖춘 전시 선진국이 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무역전시회 전시와 부스디자인에 관련된 실제적으로 응용가능한 체계적인 이론적 기초가 수립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전시디자인에서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원칙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커뮤니케이션 목표와 커뮤니케이션 스키마를 도출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전시산업 선진국과 최근 전시산업을 집중육성하고 있는 국가들의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며 유형별 도출작업과 디자인 특성작업을 도출하는 가운데 기업 마케팅에 부합하는 부스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고 적용가능한 디자인 솔루션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차년 도에 이루어진 미디어 및 커뮤니케이션 논의들에 대한 분석에서 정립된 다양한 미디어 개념들을 토대로 각각에 내재되어 있는 개별 함의들을 비판적으로 해명하는 가운데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결론이 도출될 수 있었다.
    첫째, 20세기 중반부터 이야기되기 시작한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 전환의 시도들을 통해 미디어에는 내용 전달도구가 아니라 그 자체로 메시지의 위상이 부여되었고, 이와 더불어 미디어의 작용형식에 관심의 초점이 모아지게 되었다.
    둘째, 맥루한의 미디어 이론과 구성주의적 지각이론, 그리고 루만의 체계이론적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근거한 볼츠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으로부터 자기 지시적이고 자기 생산적인 커뮤니케이션의 독자적 작동체제가 추론될 수 있었다.
    이 같이 도출된 결과에 근거해보자면, 종래의 2차원적 모델보다는 정보와 의미전달이 다각도로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제 삼의 창발적 효과가 생기게 된다는 3차원적 모델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따라서 전시디자인 자체에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성취의 임무가 부여될 수 있는 것이다.
    2차년도 첫 번째 연구에서는 ‘전시부스에서 기업의 이미지를 드러내는 주체는 다름 아닌 기업 그 자체이다’라는 사실을 입증하기 위해 먼저 기본적으로 전시부스 디자인 및 건축에 있어 기업 이미지를 나타내주는 형태, 재료, 색채, 상징 등과 같은 디자인 요소들이 구성을 이루고 있는 양태들을 분석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반원 형태의 벽 내지는 물결모양의 형상 또는 공간적 넓이 등은 기업의 힘이나 규모를 나타내주는 표현유형이며, 다양한 색채효과와 통상적이지 않은 재료의 사용 혹은 예술적 오브제의 설치 등은 기업의 혁신적이고 창조적인 이미지를 나타내주는 표현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자연적 색상의 재료들과 형태의 사용은 기업의 안정성과 견고성을 나타내주는 표현유형이다.
    둘째, 전시마케팅에 부합되는 전시커뮤니케이션 과정은 부스디자인의 독자적 이미지작용을 통해 기업의 이미지를 쇄신시켜주거나 배가시키는 것으로 입증될 수 있었다.
    2차년도 두 번째 연구에서는 전시품과 서비스, 기술력 프레젠테이션 측면을 기준으로 한 사례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이 네 가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모니터, 프로젝션 등을 비롯하여 색채나 그래픽 등과 같은 시각적 매체들은 중소형 부스의 마케팅 사안을 함축적으로 표현하는데 있어 유용하다.
    둘째, 중소형부스의 공간적 제한은 큐브, 곡선, 게이트 같은 다양한 건축적 형태들을 통해 ‘공간 내의 공간’이라는 인상적인 공간효과를 야기 시킬 수 있다.
    셋째, 때로 문자는 그래픽보다 더 그래픽적인 직접성이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회사명이나 슬로건의 그래픽적 효과가 그것이다.
    넷째, 장식과 같은 보조적 수단과 전시대상의 간의 관계에 대한 재설정을 통해 보다 확대되고 심화된 전시효과가 가능해질 수 있다.
    방문객과의 커뮤니케이션 측면을 기준으로 한 사례분석 결과로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소위 ‘인위성의 자연적 분위기효과’라는 원칙이 중소형부스 디자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둘째, 공간의 합리적 구분은 효과적인 상담과 기업의 신뢰라는 두 가지 효과를 야기 시킬 수 있다. 여기에는 ‘공간에 의한 공간화’라는 원칙이 작용하는데, 이 원칙은 방문객에 대한 기업의 배려와 기업의 합리적 사고를 체현하는 직접적인 기제이다.
    셋째, 개방적 디자인 경향은 기업의 열린 이미지를 표방해줄 뿐만 아니라 방문객들을 자연스레 부스로 유도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활용방안을 가지고 있다.
    1) 이론적 토대 하에 다양한 디자인 적용방안을 유형별로 뷴류하여 다양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디자이너나 건축가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전시 디자인 업체에게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전시 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전시 조직자, 전시 업체 그리고 전시 디자이너 간의 효율적이면서 생산적인 유기적인 협력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을 것이다.
    2) 본 연구는 CI 컨셉에 속하는 내용들을 제대로 이미지화시키지 못해 어려움을 가지 있는 중소기업에 체계적인 디자인 접근방법론을 제시해 줌으로써 디자인 문제를 해결.적용.응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참가업체들에게는 현실적이며 체계적인 전시 디자인 방법론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3) 본 연구의 결과는 실내디자인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현실적이면서도 체계적인 디자인 접근 방법을 제시해줄 수 있으며 실제 디자인 전개 및 문제를 해결하는데 이용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색인어
  • 전시부스디자인, 공간적 이미지 디자인, 3차원적 커뮤니케이션, 전시마케팅, 기업 아이덴티티, 부스마케팅, 기업 이미지, 제품과 서비스의 프레젠테이션, 방문객과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