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어의 격 중첩과 격 교체에 관한 연구: 제약기반 접근법을 중심으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선도연구자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4-041-A00193
선정년도 2004 년
연구기간 1 년 (2004년 12월 01일 ~ 2005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조세연
연구수행기관 강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한국어의 격에 관한 그토록 많은 논의에도 불구하고 누구나 수긍할 수 있는 분석법이 제시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논제는 한 언어 현상에 관하여 연구를 개시할 때 어쩌면 가장 기본적인 가설(hypothesis)로서 점검을 요하는 문제이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추구되지 않은 채 남겨져 있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를 포함한 자연언어의 격에 관한 일반 특성을 규명하고 또한 한국어 개별 언어의 특성에 잘 맞는 격에 관한 보편타당한 이론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이러한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경험적으로는 한정된 언어데이터의 틀을 벗어나서 광범위한 자료 수집과 수집된 데이터의 재해석을 통하여 새로운 해석 및 이해를 창출하고, 이론적으로는 그 연구방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행해 오던 문장 구조적 (Structure) 접근법이나 이동 (Movement) 접근법에 국한하지 않고 언어학의 제반 분야를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새로운 제약 기반적 (Constraint-based) 접근법으로 설명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러한 격에 관한 기저생성 접근법적 분석법은 주지하다시피 격이 한국어의 언어연구에 근간을 이루는 형태 및 통사적 분야의 주요한 분야라는 점을 인식할 때 그 파급효과는 지대하다 하겠다. 또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방법론들에 비해 대폭 보완된 데이터를 통해 다양한 구문 내의 격 현상들을 재점검하여 새로운 격 이론 발전에 기여하고 격 교체 및 격 중첩이라는 개념을 재해석하는 시금석이 될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 기대효과
  • 본 연구 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효과와 활용 방안이 기대된다.

    1) 영어와는 달리 형태소가 대단히 발달한 한국어의 격 및 각종 표지에 관한 연구를 주목표로 하는 본 연구는 새로운 기저생성 접근법을 바탕으로 격 관련 현상들을 새로이 해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새로운 해석은 한국어에 있어서의 격의 중요도를 고려할 때 기존의 분석된 격과 관련된 많은 구문들을 재검토하게 하는 시금석이 될 것으로 믿는다. 심지어는 중 주어 (Double Subject/ Double Nominative) 구문 및 중목적어 (Double Object/ Double Accusative) 구문과 같은 그저 단순한 하나의 격 표지처럼 보이는 명사들에 관해서도 새로운 시각으로 재해석해야 될지도 모를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그러나 이는 파괴적인 잠재력이라기보다는 격에 관한 한 새로운 이론과 관점의 장을 열수 있는 문일 것을 기대한다.

    2) 본 연구과제는 한국어를 포함하는 자연언어의 격에 관한 폭 넓은 자료 수집과 분석을 바탕으로 하는 경험적 연구를 중시한다. 이러한 연구는 제약 기반이론인 HPSG 문법 내에서 이루어지며, 이는 기술적 타당성에서 출발한 보다 정확한 문법 기술을 위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3) 언어정보와 여러 제약들의 상호 작용을 중요시하는 제약기반 이론을 그 이론적 틀로 사용하는 본 연구과제는 한국어의 격 관련 현상에 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추상적 구조를 중요시하는 변형적 이론과 시각을 달리하는, 문법 간의 상호 작용을 바탕으로 한 수학적 엄밀성이 뒷받침하는 격 체계에 관한 이론을 제공할 것이다. 이는 언어의 격 이론 발전을 위한 건전한 비판과 경험적 연구를 중시하는 촉진제가 될 것이다.

    4) 문법 정보의 상호 작용을 중시하는 본 분석은 격을 포함한 형태소의 사용에서 보이는 다양한 현상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 방향은 형태적,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 정보들이 언어현상에서 서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밝혀 줄 것이다.

    5) 어휘적 정보를 중시하며 전산언어학적 응용이 용이한 제약기반이론의 틀에서 이루어지는 본 연구의 연구 결과물은 한국어 문법의 형식화와 명사 형태소들의 체계를 (Chae 1995 참조) 구성하기 위한 주춧돌이 될 것이라 믿는다.
  • 연구요약
  • 자연언어(Natural Language) 중 한국어와 같이 형태론이 발달된 언어에서의 격(Case) 및 초점(Focus)등의 표지(Marker)들의 문제는 여전히 체계적인 설명이 요망되는 분야이다. 환언하면 변형문법 초기부터 현존하는 다양한 문법이론들의 분석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어의 명사표지(Nominal Marker)인 '가’, '에게’, 또는 '를’ 등은 여전히 많은 논란의 대상이다.
    영어의 경우처럼 비교적 단순한 격 체계를 갖고 있는 언어에서는 기껏해야 2개의 격을 설정함으로써 설명이 가능한 것으로 보이지만, 그러나 상대적으로 훨씬 복잡한 형태소 체계를 가지고 있는 한국어의 경우에서는 격의 문제가 상기한 영어의 경우와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한국어의 격에 관련한 기존 이론들을 살펴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구문별로 그 분석법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그간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었던 존재동사(Existential Predicates)구문 등에서 발생하는 격의 현상은 학자마다 또는 이론마다 너무도 다양한 제안들을 제시해 온 바 있다. 이러한 기존 제안들의 대부분의 관심사는 대체로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Chae & No 1998, Kim 1990, Lee 1992, Yoon 2002, Youn 1998 등 외 다수)

    가)격 교체 현상 - 첫째는 '철수가 영희에게/를 돈을 주었다.' 에서처럼 명사 '영희' 에 다양한 명사 표지들의 실현 가능성에 관한 현상을 다루는 격 교체(Case Alternations)문제의 경우이다.
    나) 격 중첩현상 - 둘째는 '철수게에가 돈이 많다.' 에서처럼 해당 명사인 '철수'에 격 표지가 ‘에게가’와 같이 마치 두개의 격이 중첩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는 현상에 관한 문제이다.

    이러한 격 중첩(Case Stacking)의 경우에 관한 한 Schütze(1996, 2001)는 해당 표지인 ‘에게가’가 여격 표지(Dative Case Marker)인 ‘에게’와 초점표지(Focus Marker)인 ‘가’의 결합으로서 격의 중첩이 아니라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반하여 Yoon(2001)을 위시한 다수의 학자들은 Schütze(1996,2001)의 이론이 경험적 타당성을 인정받는 경우, 한국어의 격 문제조차 보편성 있게 다룰 수 있음에는 동의하지만 이론적 및 경험적 타당성의 결여를 이유로 받아들이지 않고 여격과 주격의 중첩 현상으로 간주한다.
    대체로 한국어의 격에 관한 위의 두 가지의 현상을 규명하기 위한 기존의 접근법들은 두 부류의 비명시적 가설을 근간으로 하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아니 된다.

    이러한 기존 가설은 소위 ‘Cleft Copula Construction' 테스트에서 재미있는 차이를 보인다. 우선 ’이-‘를 포함하는 긍정계사구문의 바로 앞의 보어는 구조격인 ’가‘의 표지를 허용하지 않고, ’아니-‘를 포함하는 부정계사구문은 이러한 제약이 없다. 이에 준하면, Schütze(1996,2001)의 가설은 왜 '돈이 많은 것은 철수(*에게가)이다.' 가 불가능한지 설명이 어려우나, Yoon (2001)의 가설은 ’-가‘ 표지가 모두 [+nom]자질을 갖기에 불가능하다는 설명이 가능하다. 그러나 Yoon (2001)의 가설은 '내가 시리얼을 부은 것은 우유에다가가 아니고 물에다가 이다' 와 같은 다양한 표지들을 설명하는 데는 역시 난관에 부딪힌다.

    [상기한 격 현상에 관한 새로운 제안]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가정의 틀을 깨고 상기한 두 현상에 대하여 새로운 가설을 바탕으로 격의 종류를 세분화함으로써 해당현상들에 관한 어휘적 그리고 제약기반 분석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기저생성 접근법하의 새로운 제안 (가설)
    a. 형태소 ‘가’는 [+nom, -foc], [+nom, +foc], [-nom, +foc] 등 세 가지 기능을 한다.
    b. 형태소 ‘를’은 [+acc, -foc], [+acc, +foc], [-acc, +foc] 등 세 가지 기능을 한다.
    c. 형태소 ‘에게’는 여격 또는 처소격 등의 의미격 표지이다.

    만약 우리가 위에서 제시한 가설을 받아들인다면 상기한 격 현상들에 대하여 새로운 해석을 도출할 수 있다. 우선, 기존의 격 교체 현상이란 주격과 여격처럼 구조격간의 교체를 뜻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의미격의 한 종류인 ‘에게’가 구조격인 주격 ‘가’ 대신 나타나는 것을 허락하는 현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본 연구의 분석에서는 격 교체란 구조격 (문법격)과 의미격 (내재격)간의 교체만을 허용할 뿐이지 구조격간의 격 교체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격 중첩의 경우에서도 Yoon(2003) 등에서 주장하는 이론이나 Schütze(1996, 2001)와는 달리 해당 구문들의 격 현상들을 설명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제시한 기존의 분석법들과 새로이 제안한 기저생성 분석법이 아래와 같은 격과 관련된 각종 현상들에 관하여 어떻게 답변할 수 있는지를 고찰하고 어느 분석이 가장 타당한 설명법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격과 관련된 현상들과 가능 분
  • 한글키워드
  • 존재동사,'가',격중첩,격교체,격,구문,형태론,구조,연결이론,통사,복합표지,문법격,의미격,촛점,내재격,구조격,제약기반,비교급구문,부사부정극어,의미역,계사구문,사역구문,수여구문,의미,표지,'에게',격여과장치,핵어문법,변형문법주의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한국어의 격에 관련한 기존 이론들을 살펴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구문별로 그 분석법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그간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었던 존재동사(Existential Predicates)구문 등에서 발생하는 격의 현상은 학자마다 또는 이론마다 너무도 다양한 제안들을 제시해 온 바 있다. 이러한 기존 제안들의 대부분의 관심사는 대체로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Chae & No 1998, Kim 1990, Lee 1992, Yoon 2002, Youn 1998 등 외 다수)

    가)격 교체 현상 - 첫째는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철수’뒤에 나타난 명사 표지들의 실현 가능성에 관한 현상을 다루는 격 교체(Case Alternations)문제의 경우이다.

    (1) a. 철수-에게/가 돈이 많다.
    b. 내가 철수가/를/에게 집에 가라고 설득했다.

    나) 격 중첩현상 - 둘째는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해당 명사의 격 표지가 ‘에게가’또는 ‘에게를’처럼 마치 두개의 격이 중첩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는 현상에 관한 문제이다.

    (2) a. 철수-에게가 돈이 많다.
    b. ( )철수가 영희-에게를 돈을 주었다.

    상기한 격 중첩(Case Stacking)의 경우에 관한 한 Schütze(1996, 2001)는 해당 표지인 ‘에게가’가 여격 표지(Dative Case Marker)인 ‘에게’와 초점표지(Focus Marker)인 ‘가’의 결합으로서 격의 중첩이 아니라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반하여 Yoon(2001)을 위시한 다수의 학자들은 Schütze(1996,2001)의 이론이 경험적 타당성을 인정받는 경우, 한국어의 격 문제조차 보편성 있게 다룰 수 있음에는 동의하지만 이론적 및 경험적 타당성의 결여를 이유로 받아들이지 않고 여격과 주격의 중첩 현상으로 간주한다.
    상기한 한국어의 격에 관한 두 가지의 현상을 규명하기 위한 기존의 접근법들은 대체로 아래와 같은 두 부류의 비명시적 가설을 근간으로 하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아니 된다.

    (3) A. Yoon (2001)의 가설
    a. ‘에게’ 와 ‘가’는 모두 (구조)격 표지인 단일 형태소이다.
    b. 형태소 ‘에게’는 여격표지이다.
    c. 형태소 ‘가’는 주격표지이나 자질상 [+nominative]와 [+nominative, +focus]로 실현이 된다.
    d. 구조격들의 중첩은 가능하다.

    B. Schütze(1996,2001)의 가설
    a. 형태소 ‘에게’는 여격표지이다.
    b. 형태소 ‘가’는 주격표지인 것과 초점표지 인 것으로 두 가지가 있다.
    (Yoon (2001)의 해석으로는 [+nom]과 [+foc]의 두 가지가 있다.)
    c. 형태소 ‘를’은 목적격표지인 것과 초점표지 인 것으로 두 가지가 있다.
    d. 구조격들의 중첩은 불가능하다.

    상기한 기존 가설은 소위 ‘Cleft Copula Construction' 테스트에서 재미있는 차이를 보인다. 우선 ’이-‘를 포함하는 긍정계사구문의 바로 앞의 보어는 구조격인 ’가‘의 표지를 허용하지 않고, ’아니-‘를 포함하는 부정계사구문은 이러한 제약이 없다. 이에 준하면, Schütze(1996,2001)의 가설은 이 차이를 설명하기 어려우나, Yoon (2001)의 가설은 ’-가‘ 표지가 모두 [+nom]자질을 갖기에 불가능하다는 설명이 가능하다.
    그러나 Yoon (2001)의 가설은 아래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표지들을 설명하는 데는 역시 난관에 부딪힌다. 환언하면 (4)에서 제시된 예문에서 계사 앞의 ‘-가’는 Yoon의 가설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것이다.

    (4) a. 내가 시리얼을 부은 것은 우유에다가가 아니고 물에다가(이)다.
    b. 내가 영희에게 편지를 쓴 것은 볼펜으로가가 아니고 연필로가(이)다.

    [상기한 격 현상에 관한 새로운 제안]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가정의 틀을 깨고 상기한 현상들에 대하여 (5)와 같은 새로운 가설을 바탕으로 격의 종류를 세분화함으로써 본인의 논문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해당현상들에 관한 어휘적 그리고 제약기반 분석법을 제시하고 있다.

    (5) 기저생성 접근법하의 새로운 제안 (가설)
    a. 형태소 ‘가’는 [+nom, -foc], [+nom, +foc], [-nom, +foc] 등 세 가지 기능을 한다.
    b. 형태소 ‘를’은 [+acc, -foc], [+acc, +foc], [-acc, +foc] 등 세 가지 기능을 한다.
    c. 형태소 ‘에게’는 여격 또는 처소격 등의 의미격 표지이다.
  • 영문
  • There are at least two conflicting views as to the number of -kas found in Korean. Schütze (2001) claims that there are two kas -- a nominative case marker and a focus marker, which can be used to distinguish ka from that ‘stacked on top of‘ the dative -eykey. Following Yoon’s (2001) argument, I define that the latter has [+foc] while the former, [+nom].
    Contrary to Schütze’s claim, Yoon (2001) argues for one morpheme with two functions: [+nom] and [+nom, +foc]. Under Yoon’s (2001) analysis, the -ka can be the [+nom] or the [+nom, +foc], which indicates a non-nominative subject. Though both of these analyses have merits, only Yoon’s analysis passes the Cleft Copula Construction (CC) test, where no element with [+nom] can appear immediately before the copula.
    This test demonstrates that Yoon’s analysis, where -ka can function as either [+nom] or [+nom, +foc], can account for why -ka cannot appear immediately before the copula, whereas Schütze’s analysis cannot explain why the focus marker -ka cannot occur in the CC. Hence, Yoon’s analysis seems to be better able to describe the grammatical properties of -ka in Korean. However, it still cannot explain the full extent of the -ka phenomena. When the -ka is attached to the locative PP, it can occur just before the copula.
    In this paper, I assert that there is a third use of -ka whose function is to focus on the non-subject to which it is attached. So I argue that in Korean, -ka functions in three different ways: ka1 and ka2 stand for [+nom, +/-foc] and [-nom, +foc], respectively.
    Specifically, ka1 with [+nom, +/-foc] can occur either in the normal subject position or in a so-called case-stacking position headed by existential predicates. However, ka2 of ‘(-ta)ka’ with [-nom, +foc] may occur with predicates requiring various thematic roles such as Locative or Instrumental ones. To support my claim that there is a third use of -ka in which it functions as a pure focus marker, I will provide data on its working applications.
    Furthermore, if the claim that the dative is considered to be not a structural case but an oblique case, following Choi (2004), is accepted, various case alternation with -eykey can be easily analyz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is paper is mainly concerned with case stacking and case alternation phenomena occurring in sentences headed by existential predicates in Korean. Against the so-called Case Filter, Yoon (2001) accepts case stacking such as N+dative+nominative in Korean. On the other hand, Sch?tze (2001) rejects it by suggesting that the case stacking should be analyzed as N+dative+focus. Because of the lack of decisive supporting data for Sch?tze (2001), Yoon's analysis seems to be preferable. However, I claim here that similar to Sch?tze (2001), there is no case stacking in Korean on the basis of Choi (2004). Furthermore, the analysis made in this paper enables us to account for case alternations in the constructions at issue, by providing various relevant data. Consequently, this theory provides a new way of analyzing other constructions involving case stacking and case alternations in Korean.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은 효과와 활용 방안이 있다고 본다.
    영어와는 달리 형태소가 대단히 발달한 한국어의 격 및 각종 표지에 관한 연구를 주목표로 한 본 연구는 새로운 기저생성 접근법을 바탕으로 격 관련 현상들을 새로이 해석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해석은 한국어에 있어서의 격의 중요도를 고려할 때 기존의 분석된 격과 관련된 많은 구문들을 재검토하게 하는 시금석이 될 것으로 믿는다. 심지어는 중 주어 (Double Subject/ Double Nominative) 구문 및 중목적어 (Double Object/ Double Accusative) 구문과 같은 그저 단순한 하나의 격 표지처럼 보이는 명사들에 관해서도 새로운 시각으로 재해석해야 될지도 모를 잠재력을 제시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는 파괴적인 잠재력이라기보다는 격에 관한 한 새로운 이론과 관점의 장을 열수 있는 시도가 되리라 믿는다.
  • 색인어
  • case, case stacking, case alternation, existential predicate, dative, nominative, focus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