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부정 표현과 호응하는 부사의 결합 제약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선도연구자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4-041-A00225
선정년도 2004 년
연구기간 1 년 (2004년 12월 01일 ~ 2005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임유종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의 목적은 부정 표현과 호응하는 부사의 어휘별 결합 관계를 살피는 데에 있다. '전혀, 절대로, 별로, 차마, 영, 통' 등 비교적 많은 부사 어휘가 부정 표현과 호응하여 문장을 구성한다. 그런데 각 어휘별로 부정 표현과 결합하는 양상이 다르다. '전혀'와 같이 대부분의 부정 표현과 잘 어울릴 수 있는 것들이 있는가 하면, '못'과는 어울리지만 '안'과는 어울리지 못하는 '차마'와 같이 제약이 심한 부류도 있다(차마 {못 하다/*안 하다}). 종전의 부사와 부정극어 관련 논의에서는 이런 개별 어휘들의 차이가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으며, 일부 사례를 제시하는 수준에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부사와 부정 표현의 결합 관계는 어휘별로 차이를 보이는 호응 관계로서, 실제 언어 생활이나 한국어 교육 등에서 매우 요긴한 정보이므로 이 부류의 부사 전체를 대상으로 각 어휘별 결합 제약을 분석하여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어 문법 분야는 물론이고, 한국어 교육, 국어정보학, 사전학 분야 등 여러 방면에 도움이 될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국어학 연구 분야만이 아니라 한국어 교육, 국어정보학 등의 학문 분야에 일정 부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사전 편찬 작업 등에도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1) 국어학 연구의 발전에 기여
    부사와 부정 표현의 어울림 관계는 부사 관련 연구만이 아니라 부정문이나 부정극어, 부정의 범위 등에 관한 연구를 비롯하여 어미 연구 등 여러 문법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이론적 근거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부사와 부정 표현의 구체적인 결합 관계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문법 관련 분야의 연구 및 설명에 직, 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 한국어 교육 분야에 실질적 도움
    부사와 부정 표현의 구체적인 결합 관계나 호응 관계는 어휘마다 차이가 있다. 가령 똑같이 부정 표현을 요구하는 부사인 '전혀'와 '여간'을 비교해 보면 '전혀 {알 수가 없다/모른다}.'는 정문이지만 '*여간 {알 수가 없다/모른다}'와 같이 표현을 하면 비문이 된다. 이러한 구체적인 결합 관계가 제시되지 않으면, 그 용법이나 특성을 가르치는 데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실제 언어 자료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결합 관계를 밝히고, 나아가 자료 분석 과정에서 조사한 빈도 통계를 바탕으로 실제 언어 생활에서의 사용 양상을 검토할 것이므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은 물론이고, 한국인을 위한 국어 교육 분야에도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3) 국어 정보화 분야에 기여
    부정 표현과 어울리는 부사가 구체적으로 어떤 부정 표현들과 어울릴 수 있는지가 명확해지면 형태소 분석 결과에 관한 검증, 구문분석 시스템은 물론, 수식 범위 등과 관련된 의미해석 분야 등에 크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더욱이 대규모 언어 자료에서 추출한 사용 빈도 관련 정보는 통계 기반의 자연언어처리 분야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4) 국어 사전 편찬 작업에 기여
    부사와 부정 표현의 구체적인 결합 관계를 사전에 기술하면,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의미가 유사한 어휘라도 구체적으로 어떤 표현들과 결합이 가능한가 하는 점을 분명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직도 연구가 부족한 관계로 사전에 반영되지 못하는 정보들이 많은데, 부사와 부정 표현의 구체적인 결합 관계도 그런 정보 중의 하나이다.

  • 연구요약
  •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1. 연구의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부정 표현과 호응하는 부사의 어휘별 결합 관계를 살피는 데에 있다. '전혀, 절대로, 별로, 차마, 영, 통' 등 비교적 많은 부사 어휘가 부정 표현과 호응하여 문장을 구성한다. 그런데 각 어휘별로 부정 표현과 결합하는 양상이 다르다. '전혀'와 같이 대부분의 부정 표현과 잘 어울릴 수 있는 것들이 있는가 하면, '못'과는 어울리지만 '안'과는 어울리지 못하는 '차마'와 같이 제약이 심한 부류도 있다(차마 {못 하다/*안 하다}). 종전의 부사와 부정극어 관련 논의에서는 이런 개별 어휘들의 차이가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으며, 일부 사례를 제시하는 수준에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부사와 부정 표현의 결합 관계는 어휘별로 차이를 보이는 호응 관계로서, 실제 언어 생활이나 한국어 교육 등에서 매우 요긴한 정보이므로 이 부류의 부사 전체를 대상으로 각 어휘별 결합 제약을 분석하여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어 문법 분야는 물론이고, 한국어 교육, 국어정보학, 사전학 분야 등 여러 방면에 도움이 될 것이다.


    1.2 연구의 필요성

    (1) 호응 정보는 호응 형태가 구체적으로 기술되어야 활용가능성이 높아진다

    부정 표현과 어울리는 부사에 관하여 현재 사전에서는 '주로 부정하는 뜻을 나타내는 낱말과 함께 쓰여'와 같이 기술되고 있다. 이런 설명은 어휘의 특성이나 용법을 어느 정도 이해시키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만, 실제 언어 생활에서 이 어휘를 사용할 때에는 정보가 불충분한 면이 있다. 가령 '차마'의 경우 '주로 부정하는 말과 함께 쓰여'라는 설명을 본 외국인은 '*나는 차마 밥을 먹지 않았다'와 같은 비문을 발화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이러한 문장이 왜 비문이 되는지, 왜 '차마 밥을 {먹지 못했다/먹을 수 없었다}'와 같이 표현해야 하는지 등을 이해시키는 데에도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다. 부사와 부정 표현의 호응 현상은 부사가 부정 표현과 호응한다는 점에서는 규칙성을 지니고 있지만, 실제 어떤 표현들과 호응하는지는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 활용이 가능한 정보가 되려면 어휘별로 그 구체적인 결합 관계가 세밀히 분석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2) 부정 표현과 어울리는 부사의 목록이 제대로 검토되지 못하였다

    일부 부사가 부정 표현과 호응하는 현상에 관해서는 부사 관련 연구와 부정 극어 관련 연구 분야에서 논의가 이루어져 왔지만 그 목록 작성조차 미진한 감이 있다. 가장 많은 부사어휘를 대상으로 한 손남익(1995)에서 부정 표현과 어울리는 부사의 목록으로 제시한 것은 다음과 같다.

    (1) 결단코, 결코, 과히, 그다지, 도무지, 도시, 도저히, 만부득이, 미처, 바이, 별로, 별로이, 별반, 별양, 비단, 비록, 숫제, 아무리, 아예, 여간, 이루, 일절, 전연, 전혀, 절대, 절대로, 좀처럼, 좀체, 좀체로, 차마, 통

    위의 목록은 다른 연구들에 비해 월등히 많은 어휘를 추출하고 있어서 관련 학문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적지 않다고 본다. 그러나 아쉬운 점도 있는데, 우선 아직까지도 누락된 어휘들이 있다. 얼핏 보아도 '구태여, 그리, 당최, 딱히, 도통, 별달리, 영, 이만저만, 지지리, 채 ...' 등 적지 않은 어휘가 빠져 있다. 또한 (1)의 목록에는 부정 표현과 호응하는 부사로 보기 어려운 것들도 포함되어 있다. 위의 목록 중 '만부득이, 비록, 숫제, 아무리' 등은 부정 표현과 호응하는 부사류로 보기 어렵다. 목록의 추출 및 선정에 다소 미흡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전체적으로 부정 표현과 호응하는 부사 어휘 목록에 관한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본다.

    (3) 어휘별로 차이를 보이는 호응 양상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다

    부정 표현과 호응하는 부사들이 실제로 호응하는 부정 형태나 표현들이 일정하지 않다. 똑같이 부정 표현을 요구하는 부사이지만, 예를 들어 '전혀', '여간', '차마'는 다른 결합 분포를 보여준다. '전혀'와 같이 다양한 부정 표현과 잘 어울리는 어휘가 있는가 하면 '여간, 차마'와 같이 결합 제약이 엄격한 어휘도 있다. 어휘에 따라 어떤 어휘는 '안'과는 결합할 수 있지만 '못'과는 결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어떤 어휘는 '안, 못'과 같은 부정부사와는 호응하지만 '모르다, 다르다'와 같은 부정의 의미를 지닌 어휘들과는 결합할 수 없는 경우도 있는 등 어휘에 따라 다양한 결합 양상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여기에 구절 형태의 '-가 아니다, -가 없다' 등의 표현까지 감안하면 그 결합 양상은 더욱 다양하게 나타난다. 그런데 이러한 어휘 유형들의 개별적 차이에 관한 연구는 미미하게 수행되었다. 부사 관련 논의에서는 일부 목록을 제시하고 그 호응 관계를 예시하는 수준에서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김경훈 1977, 1996, 박선자 1983, 1996, 손남익 1995, 임
  • 한글키워드
  • 부사,말뭉치,부정극어,구어,부정 표현,결합 제약,어울림 관계,문어,호응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의 목적은 부정 표현과 호응하는 부사의 어휘별 결합 관계를 살피는 데에 있다. ‘전혀, 절대로, 별로, 차마, 영, 통’ 등 비교적 많은 부사 어휘가 부정 표현과 호응하여 문장을 구성한다. 그런데 각 어휘별로 부정 표현과 결합하는 양상이 다르다. ‘전혀’와 같이 대부분의 부정 표현과 잘 어울릴 수 있는 것들이 있는가 하면, ‘못’과는 어울리지만 ‘안’과는 어울리지 못하는 ‘차마’와 같이 제약이 심한 부류도 있다(차마 {못 하다/*안 하다}). 종전의 부사와 부정극어 관련 논의에서는 이런 개별 어휘들의 차이가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으며, 일부 사례를 제시하는 수준에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부사와 부정 표현의 결합 관계는 어휘별로 차이를 보이는 호응 관계로서, 실제 언어 생활이나 한국어 교육 등에서 매우 요긴한 정보이므로 이 부류의 부사 전체를 대상으로 각 어휘별 결합 제약을 분석하여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부정 표현과 호응하는 부사가 어떤 것들이 있는지 그 결합 제약은 어떤지를 실제 코퍼스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논의의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부정표현과 호응하는 부사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결코, 결단코, 과히, 구태여, 그다지, 그리, 당최, 딱히, 도대체, 도무지, 도시(都是), 도저히, 도통, 미처, 바이, 별달리, 별로, 별반, 별양(別樣), 비단, 영, 여간, 이루, 이만저만, 일절, 전연, 전혀, 절대, 절대로, 좀처럼, 좀체, 지지리, 차마, 채, 통...

    (2) 실제 코퍼스에 나타난 부정 표현 호응 부사의 목록을 빈도순으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전혀, 결코, 별로, 그리, 도대체, 도저히, 절대, 그다지, 절대로, 도무지, 채, 미처, 좀처럼, 여간, 영, 비단, 차마, 전연, 통, 구태여, 이루, 도통, 과히, 좀체, 별반, 일절, 도시, 딱히, 당최, 이만저만, 결단코, 별달리, 지지리, 별양, 바이

    (3) 위와 같은 부사들은 다양한 부정 표현과 결합이 가능한데, 구체적으로 어떤 부정 표현과 결합이 가능한지를 실제 코퍼스에서 추출하여 분석, 정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어 문법 분야는 물론이고, 한국어 교육, 국어정보학, 사전학분야 등 여러 방면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n the adverbs co-occurred with the negative expressions. It is necessary for some adverbs to co-occur with the negative expression in Korean. These adverbs have different combination constraints with the negative expressions. I analyzed the combination constraints of the adverb and the negative expression concretely, based on the language corpus. Of the 35 adverbs in language corpus, adverbs such as ‘전혀, 결코, 별로’ are the most frequently. I think that these problems are solved for Korean Education, and so forth. I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be applied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the description of Korean dictionary, and NLP(natural language process) etc.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의 목적은 부정 표현과 호응하는 부사의 어휘별 결합 관계를 살피는 데에 있다. ‘전혀, 절대로, 별로, 차마, 영, 통’ 등 비교적 많은 부사 어휘가 부정 표현과 호응하여 문장을 구성한다. 그런데 각 어휘별로 부정 표현과 결합하는 양상이 다르다. ‘전혀’와 같이 대부분의 부정 표현과 잘 어울릴 수 있는 것들이 있는가 하면, ‘못’과는 어울리지만 ‘안’과는 어울리지 못하는 ‘차마’와 같이 제약이 심한 부류도 있다(차마 {못 하다/*안 하다}). 종전의 부사와 부정극어 관련 논의에서는 이런 개별 어휘들의 차이가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으며, 일부 사례를 제시하는 수준에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부사와 부정 표현의 결합 관계는 어휘별로 차이를 보이는 호응 관계로서, 실제 언어 생활이나 한국어 교육 등에서 매우 요긴한 정보이므로 이 부류의 부사 전체를 대상으로 각 어휘별 결합 제약을 분석하여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실제 코퍼스 상의 출현 빈도와 사용 양상을 분석하여 부정 표현과 호응하는 부사의 결합 제약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어 문법 분야는 물론이고, 한국어 교육, 국어정보학, 사전학 분야 등 여러 방면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국어학 연구 분야만이 아니라 한국어 교육, 국어정보학 등의 학문 분야에 일정 부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사전 편찬 작업 등에도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1) 국어학 연구의 발전에 기여
    부사와 부정 표현의 어울림 관계는 부사 관련 연구만이 아니라 부정문이나 부정극어, 부정의 범위 등에 관한 연구를 비롯하여 어미 연구 등 여러 문법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이론적 근거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부사와 부정 표현의 구체적인 결합 관계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문법 관련 분야의 연구 및 설명에 직, 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 한국어 교육 분야에 실질적 도움
    부사와 부정 표현의 구체적인 결합 관계나 호응 관계는 어휘마다 차이가 있다. 가령 똑같이 부정 표현을 요구하는 부사인 ‘전혀’와 ‘여간’을 비교해 보면 ‘전혀 {알 수가 없다/모른다}.’는 정문이지만 ‘*여간 {알 수가 없다/모른다}’와 같이 표현을 하면 비문이 된다. 이러한 구체적인 결합 관계가 제시되지 않으면, 그 용법이나 특성을 가르치는 데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실제 언어 자료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결합 관계를 밝히고, 나아가 자료 분석 과정에서 조사한 빈도 통계를 바탕으로 실제 언어 생활에서의 사용 양상을 검토할 것이므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은 물론이고, 한국인을 위한 국어 교육 분야에도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3) 국어 정보화 분야에 기여
    국어정보화 분야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자연언어처리(NLP) 과정에서 가장 요긴한 정보는 결합 제약과 같은 구체적인 어울림 관계이다. 부정 표현과 어울리는 부사가 구체적으로 어떤 부정 표현들과 어울릴 수 있는지가 명확해지면 형태소 분석 결과에 관한 검증, 구문분석 시스템은 물론, 수식 범위 등과 관련된 의미해석 분야 등에 크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더욱이 대규모 언어 자료에서 추출한 사용 빈도 관련 정보는 통계 기반의 자연언어처리 분야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4) 국어 사전 편찬 작업에 기여
    부사와 부정 표현의 구체적인 결합 관계를 사전에 기술하면,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의미가 유사한 어휘라도 구체적으로 어떤 표현들과 결합이 가능한가 하는 점을 분명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사전에 관한 관심도 높아지고 실제 사전 편찬 작업이 활발해지면서 전체적으로 사전의 구성이나 질이 혁신적으로 높아지고 있음을 실감하게 된다. 그러나 아직도 연구가 부족한 관계로 사전에 반영되지 못하는 정보들이 많은데, 부사와 부정 표현의 구체적인 결합 관계도 그런 정보 중의 하나이다.
  • 색인어
  • 부사, 부정 표현, 부정극어, 결합 제약, 호응, 빈도, 국어정보학, 사전편찬, 한국어 교육, 부정소 호응 부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