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이차술어의 다의성, 대상부류, 그리고 전자사전 기술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선도연구자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4-041-A00503
선정년도 2004 년
연구기간 1 년 (2004년 12월 01일 ~ 2005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이정
연구수행기관 서강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에서 우리는 전자사전 기술 방식에 대해 알아본 후 불어에서 두 문장을 연결하면서 두 문장의 의미관계를 표현하는 서술명사들, 즉 이차술어의 다의성을 분석하고 대상부류를 활용한 전자사전 기술을 시도하고자 한다. 우리는 이전 연구에서 얻은 이차술어의 대상부류 목록과 파리 13대학의 전산 언어학 연구소와 세종사전의 대상부류 목록을 활용하여 전자사전을 구체적으로 기술해 보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대상부류가 다의어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고, 전자사전 기술에 있어서도 대상부류가 어휘들의 다의성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책임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자연 언어의 어휘는 전문어를 제외하면 대부분 다의적이다. 두 문장의 의미관계를 표현하는 이차술어로 등장하는 어휘들 역시 그 용법 이외에 다른 용법들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이미 이전 연구에서 하나의 의미관계를 표현하는 서술명사들이 의미적으로나 통사적으로 동일한 특성을 보이지는 않는다는 것을 증명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어휘들이 복합문에서의 이차술어로서의 용법 외에 어떤 다른 용법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런 다의성이 문장구조와도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또한 이차술어로 쓰이는 어휘군에 대상부류 개념을 적용하여 구체적으로 전자사전 기술을 해 봄으로써 이차술어로 쓰이는 어휘군의 전자사전 기술의 실제 예를 제시하고, 이런 작업을 통해 본 연구의 결과가 어떤 방면에서 활용가능할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지금까지의 대상부류에 관한 연구에서는 대상부류가 다의어 처리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할 뿐, 구체적으로 한 특정 어휘군을 선택하여 다의성을 분석하고 전자사전 기술을 한 연구는 아직 없는 듯 하다. 술어 대상부류 연구 중에서도 이차술어의 다의성에 주목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다룬 연구도 지금까지는 없다. 다시 말해, 지금까지의 대상부류 연구는 거의 대부분이 논항에 대한 연구이고 술어 분야에서는 사건명사, 목적표현 명사 등 두 문장의 의미관계를 표현하는 명사에 한정되어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특정 어휘군, 즉 이차술어의 용법을 지니는 어휘들을 연구대상으로 정하여 그들의 다의성을 분석하고 대상부류를 활용하여 구체적인 전자사전 기술을 시도함으로써 다의성 문제에 대한 대상부류 이론의 실질적 유용성을 증명하고 이차술어의 다의어 전자사전이라는 구체적인 기술의 예를 제시하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다른 한편, 본 연구의 결과는 여러 종류의 전자사전, 그 중에서 특히 이개어 사전, 쌍방향 사전(예를 들면 불한 한불 사전)과 동의어 사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전자사전 기술 방식에 대해 알아본 후 불어에서 두 문장을 연결하면서 두 문장의 의미관계를 표현하는 서술명사들, 즉 이차술어의 다의성을 분석하고 대상부류를 활용한 전자사전 기술을 시도하고자 한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대상부류가 다의어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고, 전자사전 기술에 있어서도 이 어휘들의 다의성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책임을 증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자연 언어의 어휘는 전문어를 제외하면 대부분 다의적이며, 두 문장의 의미관계를 표현하는 이차술어로 등장하는 어휘들 역시 다의적이다. 우리는 이미 이전 연구에서 하나의 의미관계를 표현하는 서술명사들이 의미적으로나 통사적으로 동일한 특성을 보이지는 않는다는 것을 증명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어휘들이 복합문에서의 이차술어로서의 용법 외에 어떤 다른 용법을 가지는지 살펴보고 이런 다의성이 문장구조와도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전자사전의 항목들을 기술하는 데는 여러 정보가 사용된다. 술어대상부류의 기술과 논항대상부류의 기술은 조금 다른 양상을 띠므로 구체적인 예를 들어 살펴보도록 하겠다. 먼저 논항대상부류 기술의 예로 구체명사 autoroute를 들어보자.
    autoroute/G:nf/T:inc/C:voie/D:transp
    전자사전에서는 표제어의 성(G:genre), 자질(T:trait), 대상부류(C:classe d'objet)를 명시해야 하고, 분야(D:domaine)는 관계가 있을 때만 기술한다. 이에 덧붙여 이 표제어의 적정술어(Vap:verbe approprié)를 기술해 줄 수 있다.
    autoroute/G:nf/T:inc/C:voie/D:transp/Vap:prendre
    다른 한편, 술어대상부류의 기술의 예로 서술명사 désir를 들어보면,
    désir/G:nm/T:état/C:but-sent(목적-감정)/W:avoir, poursuivre/V:désirer/
    A:désireux
    논항대상부류 기술에 명시되는 것들 외에도 기능동사(W)를 추가하고, 형태론적으로 연결되는 다른 형태(V:verbe associé, A:adjectif associé)가 있으면 이를 명시해줄 수 있다. 또한 해당 술어가 취하는 논항들의 의미통사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désir/G:nm/T:état/C:but-sent/N0:Nhum/N1:(que P+de Inf+de N+Adj)/W:avoir,
    poursuivre/V:désirer/A:désireux
    이차술어는 해당 어휘의 한 용법이며 이 어휘가 단문에서는 술어나 논항으로 나타나고, 때에 따라서는 이 두 용법을 모두 가지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차술어로 쓰이는 어휘들은 세 종류-① 단문에서 논항으로 쓰이는 경우, ② 단문에서 술어로 쓰이는 경우, ③ 단문에서 술어와 논항으로 모두 쓰이는 경우-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명사 objectif는 첫 번째 경우에 해당한다. 이를 전자사전에서 기술해 보면 다음과 같다.
    objectif1/G:nm/T:inc/C:obj rel conc(관계속성구체물)/D:mil/Vap:atteindre
    그러나 복합문의 objectif는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objectif2/G:nm/T:état/C:but-lc(목적-목적지)/N0:Nnr/N1:(que P+de Inf+de N+
    Adj)/W:avoir
    두 번째 경우에 해당하는 volonté는 단문에서는 인간의 속성을 나타내는 술어이나, 복합문에서는 목적을 표현하는 술어이다.
    volonté1/G:nf/T:état/C:attitude/N0:Nhum/W:avoir/A:volontaire
    volonté2/G:nf/T:état/C:but-int(목적-의도)/N0:Nhum/N1:(de Inf+de N+Adj)/
    W:avoir/V:vouloir
    명사 but는 세 번째 경우에 해당하는 예이다. 단문에서는 구체적으로 스포츠에서의 어떤 목표 지점, 목적지를 가리키거나 골을 뜻하고, 복합문에서는 은유적으로 우리가 달성해야할 목표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단문에서의 but는 논항이거나 술어(골의 경우)이고, 복합문에서는 술어로 나타난다.
    but1/G:nm/T:inc/C:install(설치물)/D:tir/Vap:viser
    but2/G:nm/T:loc/C:esp fonct(기능장소)/D:jeu de ballon/Vap:Vmt
    but3/G:nm/T:act/C:act term(종료행위)/D:jeu de ballon/N0:Nhum/W:avoir/
    Vap:marquer
    but4/G:nm/T:état/C:but-lc/N0:Nnr/N1:(de Inf+de N+Adj)/W:avoir
    이처럼, 어휘의 용법의 차이는 의미구조뿐만 아니라 통사구조의 차이와도 일치한다. 즉, 다의어 어휘는 용법에 따라 다른 대상부류에 속하며 이는 곧 의미구조와 통사구조의 변화를 뜻한다. 그러므로 연결어에 나타나는 명사들의 이런 다양한 용법들은 구분되어야 할 것이고, 이런 구분은 대상부류를 통해 명확해진다. 우리는 본 연구에서 이 관계를 더욱 면밀하게 분석하고 전자사전 기술을 시도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여러 가지 면에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여러 종류의 전자사전, 그 중에서도 이개어 사전, 쌍방향 사전(예를 들면 불한 한불 사전)과 동의어 사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한글키워드
  • 대상부류,동의어 사전,이개어 사전,전자사전 기술,서술명사,다의성,이차술어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대상은 불어에서 두 문장을 연결하면서 두 문장의 의미관계를 표현하는 서술명사들, 즉 이차술어이다. 우리는 전자사전 기술 방식에 대해 살펴본 후 이 술어들의 다의성을 분석하고 이전 연구에서 얻은 이차술어의 대상부류 목록과 파리 13대학의 전산 언어학 연구소와 세종사전의 대상부류 목록을 활용하여 이 술어들의 전자사전 기술을 구체적으로 해보았다. 우리는 어떤 하나의 의미관계를 표현하는 서술명사들이 의미적으로나 통사적으로 동일한 특성을 보이지는 않는다는 것을 이전 연구에서 증명했고, 본 연구에서는 이 어휘들이 복합문에서의 이차술어로서의 용법 외에 다른 용법을 가지고 있으며, 이런 다의성이 문장구조와도 연관이 있음을 확인했다.
    이차술어는 해당 어휘의 한 용법이며 이 어휘가 단문에서는 술어나 논항으로 나타나고, 때에 따라서는 이 두 용법을 모두 가지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차술어로 쓰이는 어휘들은 세 종류-① 단문에서 논항으로 쓰이는 경우, ② 단문에서 술어로 쓰이는 경우, ③ 단문에서 술어와 논항으로 모두 쓰이는 경우-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사 objectif는 첫 번째 경우에 해당한다. 단문에서는 구체물을 나타내는 논항이지만, 복합문에서는 목적을 표현하는 술어이다.
    objectif1/G:nm/T:inc/C:obj rel conc(관계속성구체물)/D:mil/Vap:atteindre
    objectif2/G:nm/T:état/C:but-lc(목적-목적지)/N0:Nnr/N1:(que P+de Inf+
    de N+Adj)/W:avoir
    두 번째 경우에 해당하는 volonté는 단문에서는 인간의 속성을 나타내는 술어이나, 복합문에서는 목적을 표현하는 술어이다.
    volonté1/G:nf/T:état/C:attitude/N0:Nhum/W:avoir/A:volontaire
    volonté2/G:nf/T:état/C:but-int(목적-의도)/N0:Nhum/N1:(de Inf+de N+
    Adj)/W:avoir/V:vouloir
    명사 but는 세 번째 경우에 해당하는 예이다. 단문에서는 구체적으로 스포츠에서의 어떤 목표 지점, 목적지를 가리키거나 골을 뜻하고, 복합문에서는 은유적으로 우리가 달성해야할 목표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단문에서의 but는 논항이거나 술어(골의 경우)이고, 복합문에서는 술어로 나타난다.
    but1/G:nm/T:inc/C:install(설치물)/D:tir/Vap:viser
    but2/G:nm/T:loc/C:esp fonct(기능장소)/D:jeu de ballon/Vap:Vmt
    but3/G:nm/T:act/C:act term(종료행위)/D:jeu de ballon/N0:Nhum/W:avoir/
    Vap:marquer
    but4/G:nm/T:état/C:but-lc/N0:Nnr/N1:(de Inf+de N+Adj)/W:avoir
    이처럼, 어휘의 용법의 차이는 의미구조뿐만 아니라 통사구조의 차이와도 일치한다. 즉, 다의어 어휘는 용법에 따라 다른 대상부류에 속하며 이는 곧 의미구조와 통사구조의 변화를 뜻한다. 그러므로 연결어에 나타나는 명사들의 이런 다양한 용법들은 구분되어야 할 것이고, 이런 구분은 대상부류를 통해 명확해진다.
    우리는 본 연구에서 이 관계를 더욱 면밀하게 분석하고 전자사전 기술을 시도해 보았고, 이런 작업을 통해 대상부류가 다의어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고, 전자사전 기술에 있어서도 대상부류가 어휘들의 다의성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책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한편, 본 연구의 결과는 여러 종류의 전자사전, 그 중에서 특히 이개어 사전, 쌍방향 사전(예를 들면 불한 한불 사전)과 동의어 사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영문
  • L'objet du present travail est des substantifs predicatifs qui figurent dans les locutions conjonctives et prepositives et qui expriment la relation semantique entre deux propositions. Nous les appelons 'predicats du second ordre'. Dans ce travail, nous examinons d'abord comment decrire une entree dans un dictionnaire electronique. Nous analysons ensuite la polysemie des predicats du second ordre. A partir de la liste des classes d'objets que nous avons obtenue du precedent travail(2004), nous essayons de realiser les entrees correspondant aux substantifs predicatifs dans le dictionnaire electronique. Ce travail nous montre que ces substantifs n'ont pas seulement un emploi de 'predicats du second ordre', mais aussi d'autres emplois, et que leur polysemie est en relation avec leur structure syntaxique.
    L'emploi de 'predicat du second ordre' des substantifs en question n'est qu'un de leurs emplois. Un substantif peut etre employe soit comme predicat, soit comme argument, soit comme les deux dans la phrase simple. Par exemple, le substantif 'objectif' est un argument dans la phrase simple, mais un predicat de but dans la phrase complexe :
    objectif1/G:nm/T:inc/C:obj rel conc/D:mil/Vap:atteindre
    objectif2/G:nm/T:état/C:but-lc/N0:Nnr/N1:(que P+de Inf+de N+Adj)/W:avoir
    Quant au substantif 'volonte', il est predicatif non seulement dans la phrase simple mais aussi dans la phrase complexe :
    volonté1/G:nf/T:état/C:attitude/N0:Nhum/W:avoir/A:volontaire
    volonté2/G:nf/T:état/C:but-int/N0:Nhum/N1:(de Inf+de N+ Adj)/W:avoir/
    V:vouloir
    En ce qui concerne le substantif 'but', il peut s'employer comme argument ou predicat dans la phrase simple et comme predicat dans la phrase complexe :
    volonté1/G:nf/T:état/C:attitude/N0:Nhum/W:avoir/A:volontaire
    volonté2/G:nf/T:état/C:but-int/N0:Nhum/N1:(de Inf+de N+Adj)/W:avoir/
    V:vouloir
    Les substantifs polysemiques appartiennent a des classes d'objets tres differentes selon leurs emplois. Nous pouvons donc constater tres clairement que la notion de 'classes d'objets' est un outil efficace pour rendre compte de la polysemie des predicats du second ordre.
    D'autre part, le resultat de ce travail peut etre utile pour divers types de dictionnaire electronique comme dictionnaire bilingue, dictionnaire des synonymes, etc.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대상은 불어에서 두 문장을 연결하면서 두 문장의 의미관계를 표현하는 서술명사들, 즉 이차술어이다. 우리는 전자사전 기술 방식에 대해 살펴본 후 이 술어들의 다의성을 분석하고 이전 연구에서 얻은 이차술어의 대상부류 목록과 파리 13대학의 전산 언어학 연구소와 세종사전의 대상부류 목록을 활용하여 이 술어들의 전자사전 기술을 구체적으로 해보았다. 우리는 어떤 하나의 의미관계를 표현하는 서술명사들이 의미적으로나 통사적으로 동일한 특성을 보이지는 않는다는 것을 이전 연구에서 증명했고, 본 연구에서는 이 어휘들이 복합문에서의 이차술어로서의 용법 외에 다른 용법을 가지고 있으며, 이런 다의성이 문장구조와도 연관이 있음을 확인했다.
    이차술어는 해당 어휘의 한 용법이며 이 어휘가 단문에서는 술어나 논항으로 나타나고, 때에 따라서는 이 두 용법을 모두 가지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차술어로 쓰이는 어휘들은 세 종류-① 단문에서 논항으로 쓰이는 경우, ② 단문에서 술어로 쓰이는 경우, ③ 단문에서 술어와 논항으로 모두 쓰이는 경우-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사 objectif는 첫 번째 경우에 해당한다. 단문에서는 구체물을 나타내는 논항이지만, 복합문에서는 목적을 표현하는 술어이다.
    objectif1/G:nm/T:inc/C:obj rel conc(관계속성구체물)/D:mil/Vap:atteindre
    objectif2/G:nm/T:état/C:but-lc(목적-목적지)/N0:Nnr/N1:(que P+de Inf+de N+Adj)/W:avoir
    두 번째 경우에 해당하는 volonté는 단문에서는 인간의 속성을 나타내는 술어이나, 복합문에서는 목적을 표현하는 술어이다.
    volonté1/G:nf/T:état/C:attitude/N0:Nhum/W:avoir/A:volontaire
    volonté2/G:nf/T:état/C:but-int(목적-의도)/N0:Nhum/N1:(de Inf+de N+Adj)/W:avoir/V:vouloir
    명사 but는 세 번째 경우에 해당하는 예이다. 단문에서는 구체적으로 스포츠에서의 어떤 목표 지점, 목적지를 가리키거나 골을 뜻하고, 복합문에서는 은유적으로 우리가 달성해야할 목표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단문에서의 but는 논항이거나 술어(골의 경우)이고, 복합문에서는 술어로 나타난다.
    but1/G:nm/T:inc/C:install(설치물)/D:tir/Vap:viser
    but2/G:nm/T:loc/C:esp fonct(기능장소)/D:jeu de ballon/Vap:Vmt
    but3/G:nm/T:act/C:act term(종료행위)/D:jeu de ballon/N0:Nhum/W:avoir/Vap:marquer
    but4/G:nm/T:état/C:but-lc/N0:Nnr/N1:(de Inf+de N+Adj)/W:avoir
    다의어 어휘는 용법에 따라 다른 대상부류에 속하며 이는 곧 의미구조와 통사구조의 변화를 뜻한다. 그러므로 연결어에 나타나는 명사들의 이런 다양한 용법들은 구분되어야 할 것이고, 이런 구분은 대상부류를 통해 명확해진다.
    우리는 본 연구에서 이 관계를 더욱 면밀하게 분석하고 전자사전 기술을 시도해 보았고, 이런 작업을 통해 대상부류가 다의어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고, 전자사전 기술에 있어서도 대상부류가 어휘들의 다의성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책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지금까지의 대상부류 연구는 거의 대부분 논항에 관한 연구이고 술어 분야에서는 사건명사, 목적 표현, 원인 표현 명사 등에 한정되어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특정 어휘군, 즉 이차술어의 용법을 지니는 어휘들을 연구대상으로 정하여 그들의 다의성을 분석하고 대상부류를 활용하여 구체적인 전자사전 기술을 시도함으로써 다의성 문제에 대한 대상부류 이론의 실질적 유용성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여러 종류의 전자사전, 그 중 특히 이개어 사전, 쌍방향 사전과 동의어 사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색인어
  • 대상부류(les classes d'objets), 이차술어(les predicats du second ordre), 서술명사(Les substantifs predicatifs), 다의성(la polysemie), 전자사전 기술(la description du dictionnaire electronique)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