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취업/비취업 주부의 소비생활경험 및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질적 접근-ESM을 중심으로-
A Qualitative Approach on the Consumption Experiences and Perceived Quality of Korean Employed and Unemployed Housewives through the Experiential Sampling Method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교수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5-003-C00190
선정년도 2005 년
연구기간 1 년 (2005년 07월 01일 ~ 2006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유현정
연구수행기관 충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현대인의 삶에서 소비활동이 갖는 중요성은 더 부연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적 풍요와 정교화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은 삶의 주체가 되어야 할 인간을 오히려 객체인 상품에 예속시키는 역전현상(descentering)을 가져오는 등 소비의 증가와 확대는 또 다른 부작용을 야기시키기도 한다. 생활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구입한 가전제품이나 최신 정보통신 기기를 사용하려면 시험공부하듯 매뉴얼을 익혀야 하고, 컴퓨터가 없이는 아무런 업무도 할 수 없는 지경이 되었으며, 보다 싼 상점과 쇼핑몰을 검색하지만 결국 싸다는 미명하에 불필요한 상품들을 사들임으로써 소비자효율성은 그다지 실현되지 못한다. 과도한 소비에 맹목적으로 심취하는 중독소비나 경제적 능력에 맞지 않는 과시소비, 합리적 의사결정에 따르지 않는 충동구매 등은 모두 소비사회를 살아가는 오늘의 소비자들에게 있어 많게, 혹은 적게나마 보편적으로 발생하는 불행한 현실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생활을 통해 궁극적으로 소비자가 경험하고 평가하는 주관적 삶의 질이 어떻게 고양될 수 있는가에 연구의 초점이 맞춰져야 할 때이다. 특히 주부들은 일상 생활 중에서 소비생활이 차지하는 부분이 다른 누구보다도 많으며, 이로 인해 소비생활경험이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또한 다른 가족원보다 매우 크리라 예상된다. 그러나 주부들은 취업여부에 따라 소비생활의 스타일이 현저히 차이를 보이므로 취업/비취업 주부를 대상으로 그들의 소비생활경험을 심층적으로 관찰, 분석할 수 있다면 현대 소비자의 소비생활이 그들의 삶 속에서 갖는 의미를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과거 실증주의적 연구방법을 통한 연구들 대부분이 한계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일반화를 시도함으로써 이론으로서만 존재할 수밖에 없는 공허함을 유지해 온 것이 사실이다. 이에 최근 들어 자연주의적 패러다임이 수용되기 시작하였고, 소비자학 분야에서도 민속지학적 면접법이나 심층면접, 너레이티브 등을 이용한 연구들이 소수 발표되었으나 이러한 접근을 통해서는 현대인들의 소비생활의 단면을 그려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생활 단면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고 그 안에서 소비자들이 경험하는 바를 깊이 있게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요구되며 본 연구에서는 그 대안으로서 ESM을 제안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소비활동의 주축이 되고 있는 주부들의 일상 소비생활에 대한 양적, 질적으로 풍부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둘째, 인간의 일상생활 연구를 위한 새로운 연구법을 시도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수 있다. 즉, 집중 관찰법과 문화인류학적 방법 혹은 시간 일지법과 같은 기존의 연구방법론의 한계를 극복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소비생활경험과 주관적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소비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실용적 차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취업주부 및 비취업 주부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사회 지지체계(support system) 조성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취업/비취업 주부의 소비생활경험 및 주관적 삶의 질 측정을 위해 ESM이라는 질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취업/비취업 주부의 소비생활경험은 어떠한가?
    [1-1] 취업 주부의 소비생활경험은 어떠한가?
    [1-2] 비취업 주부의 소비생활경험은 어떠한가?
    [연구문제2] 취업/비취업 주부가 인지하는 주관적 삶의 질은 어떠한가?
    [2-1] 취업 주부가 인지하는 동기(motivation), 정서(emotion), 관여도(involvement), 효율성
    (efficiency)은 어떠한가?
    [2-2] 비취업 주부가 인지하는 동기(motivation), 정서(emotion), 관여도(involvement), 효율성
    (efficiency)은 어떠한가?
    [연구문제3] 취업/비취업 주부의 소비생활경험과 주관적 삶의 질의 관련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4] 취업/비취업 주부의 주관적 삶의 질에의 영향요인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수도권지역에 거주하는 50명의 취업/비취업 주부를 대상으로 일주일간 하루에 8회에 걸쳐 무선적으로 울리는 핸드폰 문자메시지에 응답하게 하는 방법으로 ESM을 실시하여 현대 소비자들이 경험하는 소비생활의 단면과 그 경험이 개인의 삶의 질에 어떻게 관련하며, 영향을 받는지 상황과 맥락을 전체적으로 이해하는 방식으로 깊이있게 접근해 보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경험표집법(ESM: Experiential Sampling Method), 소비생활(Consumption Experiences), 주관적 삶의 질(Perceived Quality of Life), 취업/비취업 주부(Employed and Unemployed Housewives).
  • 영문키워드
  • 경험표집법(ESM: Experiential Sampling Method), 소비생활(Consumption Experiences), 주관적 삶의 질(Perceived Quality of Life), 취업/비취업 주부(Employed and Unemployed Housewives).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