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s

연구과제 상세정보

아랍어 기층문화(基層文化) 자료를 통한 아랍인의 의식구조 연구 - 성(聖)과 속(俗), 그 경계의 무너짐-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분야지원심화연구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5-079-AS0146
선정년도 2005 년
연구기간 3 년 (2005년 09월 01일 ~ 2008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인섭
연구수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이명원(한국외국어대학교)
윤은경(한국외국어대학교)
김능우(한국외국어대학교)
김종도(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한 지역의 문화와 관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회 구성원이 속한 사회계층, 곧 상․중․하층의 문화를 관찰해야 한다. 나아가 그 사회의 보편적 문화를 제대로 알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사회 구성원의 다수를 구성하는 하층구조 곧 기층(基層)을 형성하고 있는 서민문화의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다. 민중이 곧 그 지역 역사와 문화를 지탱해오는 받침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왔기 때문이다. 민중의 정서와 사고방식을 정확히 이해하지 않고 한 사회나 국가의 진면목을 알 수 없는 만큼 기층문화(Underlying Culture)에 대한 이해는 해외지역학 연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국외 지역학 연구의 중요 지역 중 하나인 이슬람권 아랍국가들에 대한 지금까지의 국내연구는 이 지역의 지배종교인 이슬람을 중심으로 종교학적 연구나, 시류에 편승한 사건 중심의 현상학적 접근에 집중되어왔으며 그로부터 많은 유용한 결과물들이 나왔다. 기실 이슬람은 지난 14세기 간에 걸쳐 아랍인의 사고와 행동양식을 결정짓는 주요 요인이었으며, 이러한 종교적․사회과학적 측면에서의 연구는 아랍인을 이해하기 위한 1단계 과정으로 필수 불가결하였다.
    이제 이슬람에 대한 집중적인 이해와 더불어 2단계 심화연구를 위해 이슬람이라는 제도의 이면에서 아랍 민중의 사고를 결정짓는 또 하나의 주 요인인 아랍인의 기층문화에 눈을 돌릴 시점이 되었다. 이슬람이 아랍인 삶과 세계관의 근본이자 지침이 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막상 아랍인의 현실에서의 삶은 교리와 율법으로서의 종교규범 외에, 인간 본연의 욕망에서 발원하는 다양한 세속적 관심사와 관련된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아랍서민의 현실 인식은 그들의 민속문화와 대중문화 같은 기층문화에 고스란히 녹아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과제에서 연구의 대상은 이슬람 종교이론이 아닌 실존으로서의 아랍서민들이 느끼는 삶 속에서의 문화인 기층문화이다. 기층문화는 정해진 원리나 이론에 근거한 정태적(靜態的) 문화가 아니라, 실생활에서 살아 움직이는 역동적(力動的)인 문화이다. 또한 일부 지식인이 누리는 고급문화가 아니라 일반 서민들의 애환이 담긴 문화, 삶의 고통을 위로해주는 문화이다.
    본 과제에서는 아랍인의 기층문화를 구성하는 분야들 가운데서 민담과 속담 등의 민속문화(民俗文化)와 더불어, 대중가요의 노랫말, 영화 등의 대중문화(大衆文化)를 우선 연구 대상으로 정하였다. 민담과 속담에는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아랍인의 삶의 지혜와 철학이 녹아있고 영화와 노랫말에는 현대 아랍인 삶의 다양한 양상이 담겨 있다. 따라서 이 4개 분야는 과거와 현재를 통합하는 아랍인 기층문화의 핵심분야들로서 이에 대한 연구는 아랍지역 심층 이해를 위한 선(先)연구(pre-study)로서 가치가 있다. 또한 이를 위한 서론적 고찰로서 성(聖)과 속(俗)을 대표하는 아랍 유목문화와 이슬람에 관해 다룰 것이다.
    본 연구는 이 4개 분야에 관한 아랍어 1차 자료를 인문학적 방식에 근거해 심도 있게 분석함으로써 아랍 민중의 실생활과 사고방식 등 그들의 내면세계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둔다. 특히 본 연구는 오랜 역사에 걸쳐 축적된 아랍인의 세속적(世俗的) 유목문화와, 이슬람 출현과 함께 형성된 종교 중심의 성(聖)스런 문화가 어우러진 아랍 기층문화 자료를 통하여 아랍인의 본질과 의식구조를 밝히는데 그 중요성과 목적을 둔다.
  • 기대효과
  • 국내의 아랍․중동연구는 주로 사회과학 분야에서 현상학적인 연구에 치우쳐 상대적으로 인문학의 기초연구가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인문학의 연구방법과 자료를 활용하여 자료를 집성한다는 점에서 인문학 분야에서, 그리고 아랍인의 의식구조를 다룬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크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학문발전과 국익에 도움이 될 것이다.
    첫째, 아랍 기층문화에 관련한 의식구조 연구를 목표로 하는 본과제는 민담, 속담, 대중가요 노랫말, 영화에 대한 1차 자료를 수집․분류․연구하고, 그 결과를 학술서와 번역서로 출판한다는 점에서 향후 관련 학계를 위해 기여를 할 수 있다. 즉 본 연구결과는 기층문화에 관련된 타학문과의 연계성과 협력을 강화하는 학제간 연구를 증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결과는 교육기관에서 학습․교양 자료로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랍․이슬람문화나 중동지역 학습 관련 대학교 강의와 일반인 교양강좌 등에서 일반적인 사실 설명에 더하여 심층적인 내용으로 설명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아랍어가 중․고등학교 제2외국어 과목에 들어있고, 대입수능에도 채택되어 있는 상황에서 향후 중고등학교 아랍어 교과서와 교사 지도서에서 아랍․이슬람문화 교육을 위한 자료로 적극 활용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 결과는 대(對)중동 정책 수립과 교류를 도모하기 위한 자료로서 활용도가 크다. 아랍인의 내면세계를 다루는 본 연구결과는 오늘날 아랍인의 행동양식과 심리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민관의 교류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특히 아랍권 담당 부서 실무담당자를 위한 교육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결과는 아랍인의 의식구조와 한국인의 의식구조간의 비교를 통해 양 문화간 차이와 이질감을 극복할 방안을 마련하는데 요긴하게 활용될 수 있다. 국외지역학 연구의 목표 중 하나는 타국과의 긴밀한 협력관계 구축을 위한 심층적 이해에 있으며, 아랍 기층문화와 아랍인의 사고방식을 다루는 본 연구결과는 한국 기층문화․한국인의 사고방식과의 비교를 통해 상호간 이질성과 타자(他者)적 시각을 극복하고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기여할 것이다. 특히 최근 한국군의 이라크의 파병 이후 아랍에 대한 이해가 점증하고 있는 가운데, 아랍문화와 아랍인의 사고방식을 파악하기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는 이러한 對아랍권 이해를 위한 중요한 지침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 아랍 기층문화에서 ‘성(聖)과 속(俗)’

    14세기 간 중동세계 문명의 중심을 차지함으로써 아랍인의 사고와 의식구조 형성에 절대적 영향을 미쳤던 이슬람은 아랍 민중에게 거룩함(聖)의 인식(認識)을 제공함으로써 아랍 기층문화에서 큰 비중을 점하였다. 철저한 유일신관, 신자의 이상적 덕목, 이슬람 율법의 준수 등 이슬람 제도의 생활화는 아랍서민의 의식에 거룩함의 요소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아랍인들의 역사 기록은 B.C. 8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또한 A.D. 7세기 이슬람이 등장하기 이전 시대의 아랍어 자료들을 보면 아랍인의 유목생활 속에 나타나는 다양한 가치관, 도덕관, 다신교(多神敎) 종교관 등의 내재된 사고와 관습이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더욱이 이슬람 시대에 들어와서도 비잔틴 로마, 페르시아, 인도, 터키, 지중해권 유럽인들과 지속적인 문화 충돌과 교류를 거듭하는 가운데 아랍인의 의식에는 이슬람외적인 시각, 곧 타문화에 대한 자각과 의식이 배태되어 자리잡았을 개연성이 뚜렷하다. 그러한 아랍 유목문화의 전통적 관념들의 유산과, 새로운 타문화의 인본적․보편적 요소는 아랍 대중의 심리에 무의식적으로 각인되었다. 이러한 면면들은 아랍 기층문화에서 비이슬람적․타문화적 요소와 더불어 세속적인 요소를 형성하는데 기여하였다.
    아랍기층문화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이러한 이슬람의 종교적 관념, 제도가 타문화에 근거한 관념, 인간 본위의 세계관․인생관과 분리되지 않고 함께 공존한다는데 있다. 다시 말해 ‘거룩함(聖, sacredness)과 세속적인 것(secularity)의 혼재, 또는 그 경계의 무너짐’이라는 점에 있다.
    본 연구과제는 아랍민담, 속담, 대중가요 노랫말, 영화 등, 현대 아랍 기층문화를 형성하는 주요 4개 분야 자료를 활용하여 아랍인의 의식과 사고방식을 연구한다. 특히 기층문화에서는 성(聖)의 요소와 세속의 요소가 혼재되어 있음에 주목하여 각 분야별로 논문을 집필할 것이다. 여기에서 聖은 이슬람에 관련된 모든 종교 제도적 내용으로 구체적으로는 코란(al-Qurān), 하디스(al-Hadīth, 예언자 성훈[聖訓])에서 제시하는 일체의 교리 및 행동양식을 가리키는 것으로 전제한다. 또한 세속적인 것은 이슬람외적인 측면 곧, 타문화의 요소들과 더불어 이슬람에 영향 받지 않은 아랍인의 전통적인 관습 및 탈신성화(脫神聖化)된 사고방식으로, 곧 그것은 미신, 통과제의(通過祭儀) 등을 포함하는 아랍인의 다양한 실존적 삶의 양식(樣式)을 가리킨다.
    본 과제의 세부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아랍 기층문화 개관
    아랍의 기층문화는 민속문화와 대중문화로 대별된다. 전자는 민담과 속담을, 후자는 노랫말과 영화를 포함한다. 아랍 기층문화에서는 이슬람으로 상징되는 성(聖)의 요소와 더불어 세속적인 인간 본연의 모습간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가운데 양자가 혼합되어 있다. 본 연구는 성(聖)과 속(俗)을 나타내는 아랍어 인사말, 통과의례에서 사용되는 이슬람식 기원문, 민속 전통에서의 축하 표현과 관용 표현 등을 다루기로 한다.
    아랍 유목사회 현상의 예로는 부족의 결속성과 순수성, 유목 사회에서 이웃의 개념과 그 대상 및 범주, 부족과 가문의 명예를 지키기 위한다는 명목하에 진행되는 ‘명예살인’의 원인과 양태, 아랍인의 출생, 할례, 성인식, 결혼, 죽음과 관련되는 통과의례의 특징, 이슬람에서 가르치는 성(聖)스러운 성(性)문화와 통속적인 성문화의 차이점, 아랍인의 종교적인 금기와 문화적인 금기의 차이 등이 있다. 한편 이슬람이 각 지역의 토속 유목문화와 섞이면서 조금씩 다른 형태로 정착한 결과로 생겨난 비드아(bidah, ‘革新’, 곧 非이슬람적인 관습) 현상이나, 이슬람과 타종교와의 혼재 양상을 살펴본다.

    2. 아랍 민담
    아랍민담에서 흥미로운 점은 사막의 유목 문화가 지닌 인간의 순수한 욕정(欲情)을 음미할 수 있다는 점이다. 거기에는 아랍 유목민의 기개와 더불어 애증과 해학이 버무려져있다. 아랍민담에서 주된 역할을 맡는 요소는 절대신이 아니다. 기이한 존재인 진(jinn, 魔神)이거나, 예지력을 지닌 신비한 인간, 또는 마술적 능력이거나 신통력을 가진 동물 등 우리가 꿈에서나 상상할 수 있는 신묘(神妙)한 현상들이 압도적이다. 또한 신앙에 의지하기보다는 인간의 감정에 따른 충동적 욕구나 어설픈 의지가 이야기를 이끌고 나가는 힘이 되고 있다. 곧 절대신이 아니라 인간, 그리고 이 세상에서 인간이 만날 수 있거나 상상 속에 꿈꾸는 존재들이 바로 아랍민담의 주인공들인 것이다.
    이처럼 인간의 삶을 인간 자신이 직접 바라보는 측면이 강한 아랍민담은 아랍문학의 다양한 장르 중에서 인본주의를 가장 잘 구현하고 있다. 아랍민담은 원시적 상상력이 충만할 뿐만 아니라 아랍민중이
  • 한글키워드
  • 무함마드,자힐리야,커피점,탈신성화,오리엔트 문명,잠잠,수피,하디스,코란,이집트,잠잠,중동,마시릭,마그립,무오류성,이슬람,아랍기층문화,기층문화,아랍,경전의 백성,종교음악,아잔,모로코,시리아,레바논,레반트,속(俗),터부,알라,카시다,모티프,움무 쿨숨,명예살인,출생,할례,유목문화,마신,진,아랍영화,아랍노랫말,아랍속담,아랍민담,성(聖),성인숭배,예언자,아랍,미나렛,아랍시,통과의례,비드아
  • 영문키워드
  • prophet,Satan,Jinn,Sunna,Hadith,Koran,typology,Mohammed,secularity,sacredness,Arabic poetry,rite of passage,Oriental civilization,Allah,azan,motif,Morocco,Syria,Lebanon,Egypt,Sharia,Arabian movie,words of Arabian song,Arabian proverb,Arabian folktale,islamic civilization,Islam,nomads,underlying culture,Arab,Levant,Maghrib,Middle East,Arabs' society,taboo,Islamic law,religion,saint worship,honor killing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아랍기층문화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이슬람의 종교적 관념, 제도가 타문화에 근거한 관념, 인간 본위의 세계관․인생관과 분리되지 않고 함께 공존한다는데 있다. 다시 말해 ‘성(聖)과 세속(世俗)의 혼재, 또는 그 경계의 무너짐’이라는 점에 있다. 본 과제에서는 아랍기층문화를 구성하는 분야들 가운데서 민담과 속담 등의 민속 문화(民俗文化)와 더불어, 대중가요의 노랫말, 영화 등의 대중문화(大衆文化)를 연구 대상으로 정하였다. 기층문화 연구에서는 이집트, 마그립, 레반트 세 지역의 문화 정체성을 잘 드러내는 모티프, 聖과 俗의 경계가 드러나는 언어 표현, 여성의 전통 복장과 이슬람이 권장하는 복식 문화, 아랍인의 통과의례, 명예살인, 예언과 점술 및 부적, 성인 숭배, 종교적 & 문화적 금기 등을 통합적으로 다루었다. 현대 이슬람교 모습에 영향을 준 전통과 문화 요소로는 이집트의 꼽트 교와 아프리카 민속, 마그립 지역의 다문화, 레반트 지역의 유목 문화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현대 이슬람교는 아랍인을 둘러싼 다문화의 영향이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랍 민담에 나타난 性, 사회생활, 종교 모티프를 중심으로 아랍인의 의식구조를 다룬 결과, 민담은 이슬람교를 포함하되 그것에 국한되거나 일방적으로 영향 받지 않고 아랍인의 역사와 경험에서 우러난 광범위한 삶의 의식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性과 관련해 민담에는 인간의 자연스런 성욕을 해소하려는 의식이 엿보인다. 이슬람은 성 본능을 억제하기보다는 절제를 중시하는 성향이 있기에 아랍 사회에서 성은 개방적 성격을 띠었으며 이 점은 민담에서도 확인된다. 둘째, 사회생활 모티프와 관련해 민담에서 관찰된 아랍 여성의 지위 문제는 이슬람의 여권 존중, 신 앞에서 남녀평등이라는 이상적 교리와는 큰 괴리를 드러낸다. 또한 무슬림들은 타종교나 타인종 집단과 증오 및 갈등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셋째, 종교 모티프와 관련해 민담은 공식 이슬람의 교리나 입장 외에도 다양한 민간 신앙의 현상들을 보여준다. 속담은 인간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 가운데 상황에 알맞은 적절한 표현으로 민중의 기층문화를 이해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자료이다. 본 논문은 속담을 통해 본 아랍인의 의식구조로 이들의 의식구조를 고찰하기 위하여 모티프 요소를 크게 성, 사회생활, 종교를 중심으로 성과 속을 넘나들며 삶의 지혜의 방편으로 속담을 어떻게 생성해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아랍인들은 성에 있어서 종교가 지배하고 있는 사회임에도 불구하고 여성에 대하여 다소 부정적이고 편파적인 여성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남자의 권위나 남성다움을 강조하는 측면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사회생활과 관련하여 대인관계에서는 친구나 지인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아랍인들은 이 세상의 재산은 신탁물이라 자기 소유보다는 나누어 가져함을 강조하고 있다. 마지막 모티프로 종교와 관련한 속담에서는 신에 대한 절대적인 복종이나 숭배를 절대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종교생활의 어려움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속담도 있었다. 결국 아랍속담에는 성(聖)적인 요소는 종교완 관련된 속담에 주로 분포되어 있었고 속(俗)적인 요소는 성이나 사회생활에 편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아랍인들은 이 두 요소의 공존을 통하여 조화로운 삶을 영위해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노랫말을 통하여 본 아랍인의 의식구조는 성과 속이 적당히 균형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집트, 마그립 지역 모두 종교와 관련된 모티프는 전지전능한 하나님의 권능과 섭리,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절대복종, 사도와 성인 찬양, 이슬람의 정명론에 대한 아랍인 인들의 의식을 엿 볼 수 있었다. 성(性)에 관련된 모티프로는 남녀 간의 사랑에 대한 솔직한 감정, 사랑과 연민, 정열, 이루어 질 수 없는 사랑에 대한 회한 등이 나타났다. 사회생활에 관한 모티프로는 전원적이고 목가적인 분위기의 노랫말, 인간 최대 덕목으로서의 자비와 관용에 대한 믿음, 아랍 사회에 존재하는 남아 선호 사상 등이 의식구조 속에 남아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집트 영화는 아랍 서민사회의 진정한 모습을 일상생활의 모티프를 통해 재현하고 있다. 아랍의 고유한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임을 이집트 영화가 보여주고 있다. 마그립 영화를 통해본 아랍인들의 변화들은 전통적인 생활방식에 어긋나지 않았다. 마그립 사회의 외관상의 변화는 크지만 내면적인 변화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레반트 영화의 모티프들 중에는 팔레스타인 문제와 관련된 레바트 지역의 지정학적 특수성으로 인하여 아랍민족의 통합과 무슬림 동포애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키는 것들과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주류를 이루었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Arab people's way of thinking through the underlying cultural data written in Arabic: Arab folk tales, proverbs, songs, films. The first researcher handles some typical motives showing cultural identity in Egypt, Maghreb and Levant areas complementarily. The most important subjects in this three-year research are expressions that show the border between the sacredness and secularity, difference between women's traditional clothes and islam-oriented clothes, Arab's passage rite, honor killing, prediction and fortune-telling, an amulet, saint worship, taboo in religion and culture and others in a consolidated way. Among the traditional and cultural influences on the Islam in these days there are Coptic christianity and African fork in Egypt, multi-cultural elements in Maghreb, nomad's culture in Levant area. This research shows how deeply the multi-cultural elements surrounded the Arab influenced on the modern Islam.
    In the study of the Arab's way of thinking through Arabic folk tales focusing on the motifs of sex, social life and religion, the research reached a conclusion that though most of them are Muslims, the Arabs are not always in pursuit of Islamic holy values, but they keep balanced life between religious holiness and secularity. Firstly, the folk tales show common people's intents to quench their primitive sexual desires. Secondly, as for the women's position, there is a big gap between the real life of women and the ideal creeds of Islam on women. And some stories prove that the problem of hatred and feud between Muslims and the members of other religions have been serious. Thirdly, the Arabic folk tales represent aspects of folk beliefs connected with popular customs such as worship of saints and practice of shaman ritual, which are essentially opposite to Islam.
    In the study of Arabian proverbs, the researcher concentrates on the three motifs-gender, social life and religion-which have an effect on the Arabian daily life. The gender describes the major constituents-marriage, male as a driving force, making light of female and female as a driving force. The religion describes the having a dread of Allah, faithful belief and blessing of Allah. The social life describes the interpersonal relation and view of money. Thirdly, the researcher concludes that the different secular and sacred elements in the Arabian proverbs play important roles in their daily lives.
    In the study of Arab songs,the researcher tried to illustrate characteristics of Arab songs and find the Arab people's way of thinking through the texts of songs by classifying motifs of Arab songs focused on religion, and social life and sex. Most of the songs express happiness and sorrows and religious beliefs of the people. We can devide several categories of Arab songs. They are religious song, pilgrim songs, lamentation, songs of joy, love-songs and songs of celebration. Finally, we can say that most of Arab people keep balanced life between religious holiness and secularity. The Arab Cinema shows true character of popular society through motif of omnipresent daily life. Arab Cinema awakens the Arab that the most proper is the most world famous. Egyptian Cinema is not an exception of this trend. The changes of Arabs through the Maghrib Cinema are not largely contrary to the traditional Islamic living style. It seems that the outward changes of the Maghrib society are big but the internal ones are nearly not found. The most of films in the public sector of Syria and Lebanon treated the ravages of war and patriotic senti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아랍기층문화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이슬람의 종교적 관념, 제도가 타문화에 근거한 관념, 인간 본위의 세계관․인생관과 분리되지 않고 함께 공존한다는데 있다. 다시 말해 ‘성(聖)과 세속(世俗)의 혼재, 또는 그 경계의 무너짐’이라는 점에 있다. 본 과제에서는 아랍기층문화를 구성하는 분야들 가운데서 민담과 속담 ,대중가요의 노랫말, 영화 등을 연구 대상으로 정하였다.
    1. 기층문화 연구에서는 이집트, 마그립, 레반트 세 지역의 문화 정체성을 잘 드러내는 모티프, 聖과 俗의 경계가 드러나는 언어 표현, 여성의 전통 복장과 이슬람이 권장하는 복식 문화, 아랍인의 통과의례, 명예살인, 예언과 점술 및 부적, 성인 숭배, 종교적 & 문화적 금기 등을 통합적으로 다루었다. 현대 이슬람교 모습에 영향을 준 전통과 문화 요소로는 이집트의 꼽트 교와 아프리카 민속, 마그립 지역의 다문화, 레반트 지역의 유목 문화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현대 이슬람교는 아랍인을 둘러싼 다문화의 영향이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아랍 민담에 나타난 性, 사회생활, 종교 모티프를 중심으로 아랍인의 의식구조를 다룬 결과, 민담은 이슬람교를 포함하되 그것에 국한되거나 일방적으로 영향 받지 않고 아랍인의 역사와 경험에서 우러난 광범위한 삶의 의식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性과 관련해 민담에는 인간의 자연스런 성욕을 해소하려는 의식이 엿보인다. 이슬람은 성 본능을 억제하기보다는 절제를 중시하는 성향이 있기에 아랍 사회에서 성은 개방적 성격을 띠었으며 이 점은 민담에서도 확인된다. 둘째, 사회생활 모티프와 관련해 민담에서 아랍 여성의 지위는 이슬람의 여권 존중, 신 앞에서 남녀평등이라는 이상적 교리와는 큰 괴리를 드러낸다. 또한 무슬림들은 타종교나 타인종 집단과 증오 및 갈등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셋째, 종교 모티프와 관련해 민담은 공식 이슬람의 교리나 입장 외에도 다양한 민간 신앙의 현상들을 보여준다.
    3.속담은 인간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 가운데 상황에 알맞은 적절한 표현으로 민중의 기층문화를 이해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자료이다. 속담에서 아랍인들은 성에 있어서 종교가 지배하고 있는 사회임에도 불구하고 여성에 대하여 다소 부정적이고 편파적인 여성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남자의 권위나 남성다움을 강조하는 측면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사회생활과 관련하여 대인관계에서는 친구나 지인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아랍인들은 이 세상의 재산은 신탁물이라 자기 소유보다는 나누어 가져함을 강조하고 있다. 종교와 관련한 속담에서는 신에 대한 절대적인 복종이나 숭배를 절대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종교생활의 어려움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속담도 있었다.
    4.노랫말을 통하여 본 아랍인의 의식구조는 성과 속이 적당히 균형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집트, 마그립 지역 모두 종교와 관련된 모티프는 전지전능한 하나님의 권능과 섭리,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절대복종, 사도와 성인 찬양, 이슬람의 정명론에 대한 아랍인 인들의 의식을 엿 볼 수 있었다. 성(性)에 관련된 모티프로는 남녀 간의 사랑에 대한 솔직한 감정, 사랑과 연민, 정열, 이루어 질 수 없는 사랑에 대한 회한 등이 나타났다. 사회생활에 관한 모티프로는 전원적이고 목가적인 분위기의 노랫말, 인간 최대 덕목으로서의 자비와 관용에 대한 믿음, 아랍 사회에 존재하는 남아 선호 사상 등이 의식구조 속에 남아있음을 알 수 있었다.
    5. 영화는 시, 음악, 춤, 건축, 그림, 조각 등에 이어 제7의 예술로 알려져 있다. 이는 영화가 앞서의 6가지 예술을 종합해 놓은 것이라는 의미이다. 또한 한 나라의 영화는 그 나라의 모든 문화, 예술 코드들을 간직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집트 영화는 아랍 서민사회의 진정한 모습을 일상생활의 모티프를 통해 재현하고 있다. 아랍의 고유한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임을 이집트 영화가 보여주고 있다. 마그립 영화를 통해본 아랍인들의 변화들은 전통적인 생활방식에 어긋나지 않았다. 마그립 사회의 외관상의 변화는 크지만 내면적인 변화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레반트 영화의 모티프들 중에는 팔레스타인 문제와 관련된 레반트 지역의 지정학적 특수성으로 인하여 아랍민족의 통합과 무슬림 동포애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키는 것들과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주류를 이루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국내의 아랍․중동연구는 주로 사회과학 분야에서 현상학적인 연구에 치우쳐 상대적으로 인문학의 기초연구가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인문학의 연구방법과 자료를 활용하여 자료를 집성한다는 점에서 인문학 분야에서, 그리고 아랍인의 의식구조를 다룬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학문발전과 국익에 도움이 될 것이다.
    첫째, 아랍 기층문화에 관련한 의식구조 연구를 목표로 하는 본 과제는 민담, 속담, 대중가요 노랫말, 영화에 대한 1차 자료를 수집․분류․연구하고, 그 결과를 학술서로 출판할 근간을 마련한 점에서 향후 관련 학계를 위해 기여를 할 수 있다. 즉 본 연구결과는 기층문화에 관련된 타 학문과의 연계성과 협력을 강화하는 학제 간 연구를 증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결과는 교육기관에서 학습․교양 자료로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랍․이슬람문화나 중동지역 학습 관련 대학교 강의와 일반인 교양강좌 등에서 일반적인 사실 설명에 더하여 심층적인 내용으로 설명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아랍어가 중․고등학교 제2외국어 과목에 들어있고, 대입수능에도 채택되어 있는 상황에서 향후 중고등학교 아랍어 교과서와 교사 지도서에서 아랍․이슬람문화 교육을 위한 자료로 적극 활용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 결과는 대(對)중동 정책 수립과 교류를 도모하기 위한 자료로서 활용도가 크다. 아랍인의 내면세계를 다루는 본 연구결과는 오늘날 아랍인의 행동양식과 심리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민관의 교류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각종 정부 기관, 중동 진출 기업체, 시민 단체 등의 문화 강좌를 통해 아랍 문화 교육용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결과는 아랍인의 의식구조와 한국인의 의식구조간의 비교를 통해 양 문화 간 차이와 이질감을 극복할 방안을 마련하는데 요긴하게 활용될 수 있다. 국외지역학 연구의 목표 중 하나는 타국과의 긴밀한 협력관계 구축을 위한 심층적 이해에 있으며, 아랍 기층문화와 아랍인의 사고방식을 다루는 본 연구결과는 한국 기층문화․한국인의 사고방식과의 비교를 통해 상호간 이질성과 타자(他者)적 시각을 극복하고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기여할 것이다. 특히 최근 한국과 아랍 세계와의 교류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아랍문화와 아랍인의 사고방식을 파악하기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는 이러한 對아랍권 이해를 위한 중요한 지침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기층문화, 이집트, 마그립, 레반트, 聖, 俗, 이슬람, 아랍인, 통과의례, 명예살인, 예언, 점술, 부적, 성인 숭배, 금기, 꼽트 교, 아프리카 민속, 다문화, 유목 문화, 민담 , 모티프, 진, 성인 숭배, 속담 , 성(性), 사회생활, 종교, 대인관계, 아랍음악, 대중가요, 마왈, 민요, 아랍영화, 이집트 영화, 베일, 히잡, 할례, 라마단, 아단, 모로코 영화, 튀니지 영화, 일부다처, 이혼, 샤리아, 레반트 영화, 시리아 영화, 레바논 영화, 여성의 성에 관한 관심, 지하드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