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중국 농경문화형 광장공연예술의 발전양상과 문화적 위상 조사 연구 -淮河 및 黃河中流 지역을 중심으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분야지원심화연구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5-079-AS0138
선정년도 2005 년
연구기간 3 년 (2005년 09월 01일 ~ 2008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민혜란
연구수행기관 국립목포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안동환(목포대학교)
이서건
양귀숙(전남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기본 목표는 중국 漢族의 농경문화형 광장공연예술의 기원과 양상 및 이와 관련된 민속문화의 기능과 위상 등의 조사연구를 통해 학문적으로 소외된 부분을 개척하여 중국연구의 지평을 확대하는데 있다. 궁극적인 목표는 중국 공연예술의 민속문화를 실증적인 차원에서 정리 분석하여, 한·중 민속문화 비교연구를 위한 토대 마련과 학제간 활발한 연구활동을 진작하게 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목표를 이와 같이 설정한 것은 본 연구의 필요성에 기인한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이다.
    1. 한국과 중국의 민속문화 교류 및 비교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해야 할 필요성 때문이다. 본 연구는 우리 나라와 중국과의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문화교류의 비교연구를 위한 토대 마련이다. 특히 두 나라간 공연예술의 교류 역사를 정리하는데 이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2. 동아시아문화 심층이해의 자료로 사용되어 공동체적 문화권 구성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연구는 공간과 대상의 확대에 일조하여, 동아시아 권역 국가들의 문화접촉을 통한 동아시아 민속문화 공동체 구성에 기여하고 이를 통해 공동번영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 3. 국내에서 연구가 거의 진척되지 않고 있는 묘회에 관한 민속문화방면의 지식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인류학·종교학·사회학·문학·경제학·지역학 등의 묘회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학문분야의 연구자들이 쉽게 연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학제간의 활발한 연구활동을 고취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4. 중국 광장예술의 유래와 역사 연구를 통해 巫俗과 舞蹈와 희곡과의 관계 속에서 상호 관계를 재정립하고 상호간의 성격을 밝힘으로써 중국희곡의 기원 및 발전 탐색에 크게 기여하여, 공연예술과 관련된 학문의 기초자료로 삼을 수 있기 때문이다. 5. 본 연구는 과거 고대문명을 선도했던 지역의 민속문화 연구로서, 이를 통해 한·중 교류의 내실을 기할 수 있는 학문적 기반을 조성해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역사적 민속문화 교류의 현장 등이 밝혀지는 연구 성과를 통해 두 국가간 혹은 지역간 지속적인 교류 증진의 기반을 조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6. 민속문화는 오늘날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로 문화산업의 발전과 문화적 콘텐츠 개발의 중점분야이기도 하여, 이 연구를 통해 문화산업을 통한 경제적인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 기대효과
  • 오늘날 동아시아 공동번영의 기치아래 이미 동북아 문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중국의 다면적이고 다층적인 이해를 통해 동북아 문화공동체 형성에서 우리가 문화론적 대응전략을 세우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인 기대효과와 활용계획은 다음과 같다.
    1.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대효과. 첫째, 동북아 문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협력적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 대상지의 광장공연예술 연구는 중국의 권역별 문화적 이미지를 살피는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는 한·중·일 삼국간 동북아 공동의 문화유산에 대한 공동연구에서 전략적 우위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동북아 문화공동체의 동아시아 지역 확대방안을 위한 기초 연구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한국 고대 공연문화의 자료를 발굴해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중국의 강남지역과 우리나라의 서남부 지역은 청동기 시대부터 교류한 흔적이 유물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공연문화의 원형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중국 공연문화자원의 정보화 측면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넷째, 학제간 연구를 활성화시키고 중국문화자원의 정보화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다. 다섯째, 일반인들의 중국이해를 돕고 전통문화산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이 연구를 통해 중국 민속문화 연구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고, 중국광장공연예술이라는 미개척 분야에서의 학문 후속세대의 연구능력을 향상시켜 나갈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 교육과의 연계를 통한 기대 효과. 첫째, 강의와 연구가 서로 상승작용을 하면서 실천적 연구가 가능하도록 한다. 둘째, 현장감 있는 인문학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셋째, 한·중 비교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실효성 있는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넷째, 교양강좌와 대학원 과정의 정규 교과과정에 활용될 수 있다.
  • 연구요약
  • 1. 연구내용. 漢族의 주요 거주지역은 黃河·長江·珠江의 3대 유역과 松遼平原 지역으로 자연환경과 생산환경이 유리한 지역이다. 이들 지역의 광장공연예술은 또한 서로 다른 지리적 조건으로 인해 종류가 다양하고 풍격이 다른 유파를 생성시켰다. 크게 북방의 '秧歌'와 남방의 '花燈'·'花鼓' 등으로 구분된다. 북방의 앙가는 소박하고 강인한 풍격이며, 남방의 花燈 계열은 섬세하고 유려하며 고풍스런 풍격이다. 그리고 황하와 장강 사이 淮河지역의 '花鼓燈'은 남북의 특징을 동시에 지녀 유연함과 강함이 공존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광장예술은 강한 지역성을 띤다고 볼 수 있다. 본 과제는 안휘성 회하 유역, 산서성 황하 중유역, 섬서성 황하 중유역 등 크게 세 지역의 광장공연예술의 요소를 대상으로 하여 1) 광장공연예술의 유래와 발전과정을 연구할 '유래와 변천', 2) 광장예술의 문화유형 구분을 바탕으로 한 '구성요소와 공연양상', 3) 광장예술의 전통적 계승 발전의 장으로서 세시풍속과 廟會의 文化를 규명하는 '전승의 장과 기능', 4) 지방정부의 문화관광정책과 문화민족주의 정책을 중심으로 하는 '문화적 위상' 등의 네 개의 주제로 분류하여 조사 연구를 진행한다. 2. 연구방법. 본 연구팀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크게 네 단계로 연구를 진행한다. 첫 번째는 문헌자료 및 영상자료의 조사, 정리 단계이다. 동시에 현지연구기관과 현지 연구자들의 협조에 의해 현지조사대상 지역 및 면담 대상자의 선정 등이 진행된다. 두 번째는 현지 문헌조사, 현지답사 및 관련자 면담이다. 세 번째는 실증적 분석연구로 조사 연구된 자료에 근거하여 해당년도의 중점연구를 진행한다. 네 번째는 연구보고서 작성 및 단행본 간행을 진행한다. 3. 연차별 연구계획. 1) 1차년도는 안휘 회하유역으로, 歌·舞·樂·戱 등의 안휘 화고등 구성요소를 문학적·무도적·음악적·연극 및 기예적인 측면에서 시대적 변천사를 개관하고, 현장을 통해 조사 분석한다. 2) 2차년도는 산서 황하 중유역으로, 춘절기간 동안 산서성 남부 臨汾의 '堯廟正月廟會 根祖文化旅遊月'과 중부의 '晋商社火節'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세시풍속 및 묘회문화와 함께 중국의 문화정책을 연구한다. 3) 3차년도는 섬서 황하 중유역으로, 섬서인들의 정서가 깊이 침윤된 광장예술의 속성 및 중국 북방 앙가의 보편적 체제를 실증적으로 조사, 연구한다.
  • 한글키워드
  • 장강,회하,산서성,舞蹈,춘절,묘회,세시풍속,동아시아문화,광장공연예술,농경문화,문화교류,민속문화,현지조사,花燈,영상자료,섬서성,황하,문화산업,희곡,비교연구,안휘성,花鼓燈,花鼓,秧歌
  • 영문키워드
  • Huadeng,Yangge,Changjiang,Huanghe,Huaihe,Cultural Status,Development,Traditional Folk Arts,Chinese,East Asia,Huagu,Anhui,performance art,agriculture,dance,Sanxi,Huagudeng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과제는 안휘성․산서성․섬서성 세 지역의 대표적인 광장공연예술 및 이와 관련된 민속문화를 대상으로 하여 1)유래와 변천, 2)구성요소와 공연양상, 3)전승의 장과 기능, 4)문화적 위상 등의 네 개의 중주제로 분류하여 현지조사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1)유래와 변천에서는 농경문화형 광장공연예술의 형성과 오늘날까지의 역사 및 유파의 성립 유무 등의 특성을 개관하는 것이며, 2)구성요소와 공연양상의 연구에서는, 무도적․음악적․연극적 요소 등을 분리하여 연구함(구성요소)과 동시에, 이들 요소를 공연학적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연구하는(공연양상) 것이다. 물론 민간의 연행예술은 기계적인 형식 결합을 하지 않는다는 특징으로 인해 각 요소의 분석적인 연구보다는 원천적이고 통합적인 연구가 중시되었다. 3)전승의 장과 기능에서는 광장예술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장으로서의 묘회를 중심으로 해당 묘회문화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 이와 관련된 민속문화 방면의 지식이 체계적으로 정리되는 부분이다. 4)문화적 위상에서는 지역 민속문화 연구를 통해 중국 정부의 관광정책 및 문화민족주의 정책 등을 살피며, 동시에 민속문화를 사회구조와 정치와의 관련선상에서 즉 국가와 사회의 상호관계의 틀에서 조명하여 민속현상을 통해 중국 농촌 민간사회의 내부적 역동성을 살피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1차년도 주요 연구 대상인 ‘花鼓燈’은 집중 연행기간인 춘절기간을 이용하여 회하유역의 대표적인 화고등 전승지역인 潁上縣․鳳臺縣․懷遠縣․蚌埠市 등의 순서로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민간 화고등의 연행 현장의 영상자료 및 구술자료와 함께 문헌 자료를 확보하고 원소절 화고등 경연대회를 통해 연출상황 등을 조사할 수 있었다. 또한 ‘塗山禹王廟會’의 현지조사를 통해서는 묘회 활동과 관련된 제사의 대상이 되는 神靈과 祭場 등과 민속활동을 조사한 바 있다. 산서 지역의 춘절 현지조사는 臨縣․五寨縣․平遙縣․太谷縣 등의 순서대로 傘頭秧歌․八大角秧歌․평요고성의 춘절민속활동․太谷社火 등의 공연을 관람하고 연출 장면을 영상자료 등으로 남기고 구술자료 등도 면담조사를 통해 확보하였다. 산서 묘회연구는 晋祠廟會를 대상으로 하여 晋祠의 역사 배경 및 晋祠廟會活動에 대해 종합적인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섬서 지역의 춘절조사는 安塞腰鼓․洛川縣 京兆老秧歌와 蹩鼓․寶鷄市 陳倉區 天王鎭 사화 검보예술․隴縣 東南鎭 社火游演 활동․보계시구 대규모 원소절 社火游演活動 등을 중심으로 조사 연구가 진행되었다. 섬서 지역의 묘회 조사는 堯山聖母廟會를 중심으로 진행된 바 있다. 이렇듯 ‘잔존문화(survival culture)’의 보고라고 할 수 있는 이들 지역의 춘절 민간 광장예술 및 묘회 민속활동의 조사 연구를 통해 중국 민속문화의 발전과정과 현황의 큰 틀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물로서 조사 연구과정에서 수집 정리된 문헌과 면담자료 및 사진과 영상자료들은 모두 CD형태로 간행될 것이다. 또한 워크숍발표를 통해 번역된 두 권의 책과 최종 연구성과물도 출판되어 ‘중국광장공연예술’ 방면의 후진 연구 및 중국문화 방면의 연구에도 폭넓게 활용될 정보콘텐츠가 구축될 것이다.
  • 영문
  • To study the representative folk performance art and its related folk culture in Anhui(安徽省), Shanxi(山西省) and Shanxi(陝西省) region, we subdivided the theme of this research into the following sub-topics: 1) the origins and changes, 2) the underlying components and performance aspects; 3) the ground of tradition and its function; and 4) the cultural status of the traditional folk square art and its related folk culture in Anhui(安徽省), Shanxi(山西省) and Shanxi(陝西省). Here, the traditional folk art represents the performance arts such as songs and dances performed by private citizens at their country yards or squares rather than at formal stages.
    The section of the origins and changes overviews the formation of the square performance art typical of farming culture, its history and other characteristics inherent in the formation of each new art school. The part of the underlying components separately explores dancing, music, and dramatic elements while the section of performance aspects examines the above elements from the integrative perspective of performance arts. Considering that the folk performance art is not mechanically combined in its form, we focused on the fundamental and integrative aspects. The section of the ground of tradition and its function focuses on 'Miaohui(廟會) culture' as the ground for transmitting the traditional folk performance art and synthesizes the Miaohui(廟會) culture and its related knowledge about folk culture. The part of the cultural status examines tourism policy of the Chinese government and its cultural nationalism through a review of folk activities related to the research topic, and also studies the folk culture in relation to the Chinese social structure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is section explores the dynamics inside of the Chinese rural folk society.
    In the study on Huagudeng(花鼓燈), which is the 1st year subject of this research, we have performed an on-site study in the order of Yingshangxian(潁上縣), Fengtaixian(鳳臺縣), Huaiyuanxian(懷遠縣), Bengbu city(蚌埠市) at the basin of Huaihe (淮河) during Chunjie holidays(春節) when the performances are frequently presented, and acquired documentary records together with video data and oral statements on the performance sites of folk Huagudengban(花鼓燈班). In addition, we have examined Miaohui(廟會) activities and comprehensive folk activities through an on-site study on Yuwang Miaohui(禹王廟會) of Tushan(塗山).
    In the on-site study in Shanxi(山西) area during the Chunjie(春節) period, we have inspected folk activities such as Santou Yangge(傘頭秧歌) of Linxian(臨縣), Badajiao Yangge(八大角秧歌) of Wuzhaixian(五寨縣), Taigu Shehuo(太谷社火) of Taiguxian(太谷縣), and obtained video data of representations and the oral statements through interviews. The research on Miaohui(廟會) of Shanxi(山西) area has been performed synthetically, focusing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the formation of Jinci and Miaohui(晋祠廟會) activities.
    The study on the Chunjie(春節) in Shanxi(陝西) area is performed centering around Ansai Yaogu(安塞腰鼓), Lao Yangge(老秧歌) and Biegu(蹩鼓) of Luochuanxian(洛川縣), Ma Shehuo(馬社火) of Dongnanzhen(東南鎭), Shehuo(社火) performance of Dongnanzhen(東南鎭), Longxian(隴縣); and the large-scale Shehuo(社火) performance of Baoji City during the Yuanxiaojie(元宵節). The study on Miaohui(廟會) in Shanxi(陝西) area had been performed before centering around Shenmu Miaohui(聖母廟會) of Yaoshan(堯山).
    As described above, we have examined the large framework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and current status of the Chinese traditional folk culture through the research on the folk performance art and folk activities of the places which are called the treasures of residual culture. We assume that we laid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continuously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과제는 안휘성․산서성․섬서성 세 지역의 대표적인 광장공연예술 및 이와 관련된 민속문화를 대상으로 하여 1)유래와 변천, 2)구성요소와 공연양상, 3)전승의 장과 기능, 4)문화적 위상 등의 네 개의 중주제로 분류하여 현지조사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1)유래와 변천에서는 농경문화형 광장공연예술의 형성과 오늘날까지의 역사 및 유파의 성립 유무 등의 특성을 개관하는 것이며, 2)구성요소와 공연양상의 연구에서는, 무도적․음악적․연극적 요소 등을 분리하여 연구함(구성요소)과 동시에, 이들 요소를 공연학적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연구하는(공연양상) 것이다. 물론 민간의 연행예술은 기계적인 형식 결합을 하지 않는다는 특징으로 인해 각 요소의 분석적인 연구보다는 원천적이고 통합적인 연구가 중시되었다. 3)전승의 장과 기능에서는 광장예술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장으로서의 묘회를 중심으로 해당 묘회문화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 이와 관련된 민속문화 방면의 지식이 체계적으로 정리되는 부분이다. 4)문화적 위상에서는 지역 민속문화 연구를 통해 중국 정부의 관광정책 및 문화민족주의 정책 등을 살피며, 동시에 민속문화를 사회구조와 정치와의 관련선상에서 즉 국가와 사회의 상호관계의 틀에서 조명하여 민속현상을 통해 중국 농촌 민간사회의 내부적 역동성을 살피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1차년도 주요 연구 대상인 ‘花鼓燈’은 집중 연행기간인 춘절기간을 이용하여 회하유역의 대표적인 화고등 전승지역인 潁上縣․鳳臺縣․懷遠縣․蚌埠市 등의 순서로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민간 화고 등반의 연행 현장의 영상자료 및 구술자료와 함께 문헌 자료를 확보하고 원소절 화고등 遊演活動(경연대회)을 통해 연출상황 등을 조사할 수 있었다. 또한 ‘塗山禹王廟會’의 현지조사를 통해서는 묘회 활동과 관련된 제사의 대상이 되는 神靈과 祭場 등과 민속활동을 조사한 바 있다. 산서 지역의 춘절 현지조사는 臨縣․五寨縣․平遙縣․太谷縣 등의 순서대로 傘頭秧歌․八大角秧歌․평요고성의 춘절민속활동․太谷社火 등의 공연을 관람하고 연출 장면을 영상자료 등으로 남기고 구술자료 등도 면담조사를 통해 확보하였다. 산서 묘회연구는 晋祠廟會를 대상으로 하여 晋祠의 역사 배경 및 晋祠廟會活動에 대해 종합적인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섬서 지역의 춘절조사는 安塞腰鼓․洛川縣 京兆老秧歌와 蹩鼓․寶鷄市 陳倉區 天王鎭 사화 검보예술․隴縣 東南鎭 社火游演 활동․보계시구 대규모 원소절 社火游演活動 등을 중심으로 조사 연구가 진행되었다. 섬서 지역의 묘회 조사는 堯山聖母廟會를 중심으로 진행된 바 있다. 이렇듯 ‘잔존문화(survival culture)’의 보고라고 할 수 있는 이들 지역의 춘절 민간 광장예술 및 묘회 민속활동의 조사 연구를 통해 중국 민속문화의 발전과정과 현황의 큰 틀을 살펴볼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1차년도 주요 연구 대상인 ‘花鼓燈’은 집중 연행기간인 춘절기간을 이용하여 회하유역의 대표적인 화고등 전승지역인 潁上縣․鳳臺縣․懷遠縣․蚌埠市 등의 순서로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민간 화고 등반의 연행 현장의 영상자료 및 구술자료와 함께 문헌 자료를 확보하고 원소절 화고등 遊演活動(경연대회)을 통해 연출상황 등을 조사할 수 있었다. 또한 ‘塗山禹王廟會’의 현지조사를 통해서는 묘회 활동과 관련된 제사의 대상이 되는 神靈과 祭場 등과 민속활동을 조사한 바 있다. 산서 지역의 춘절 현지조사는 臨縣․五寨縣․平遙縣․太谷縣 등의 순서대로 傘頭秧歌․八大角秧歌․평요고성의 춘절민속활동․太谷社火 등의 공연을 관람하고 연출 장면을 영상자료 등으로 남기고 구술자료 등도 면담조사를 통해 확보하였다. 산서 묘회연구는 晋祠廟會를 대상으로 하여 晋祠의 역사 배경 및 晋祠廟會活動에 대해 종합적인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섬서 지역의 춘절조사는 安塞腰鼓․洛川縣 京兆老秧歌와 蹩鼓․寶鷄市 陳倉區 天王鎭 사화 검보예술․隴縣 東南鎭 社火游演 활동․보계시구 대규모 원소절 社火游演活動 등을 중심으로 조사 연구가 진행되었다. 섬서 지역의 묘회 조사는 堯山聖母廟會를 중심으로 진행된 바 있다. 이렇듯 ‘잔존문화(survival culture)’의 보고라고 할 수 있는 이들 지역의 춘절 민간 광장예술 및 묘회 민속활동의 조사 연구를 통해 중국 민속문화의 발전과정과 현황의 큰 틀을 살펴볼 수 있었으니, 본 연구를 통해 관련 방면의 학제간 주제 연구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셈이다.
    또한 본 연구의 핵심 주제이기도 한 민간무도와 관련하여 학제간의 활발한 연구활동을 진작시키기 위해 『中華舞蹈志․安徽卷』(中華舞蹈志 編輯委員會 編, 上海, 學林出版社, 2000)은 이미 번역서로 출판한 바 있으며, 『中國民間舞蹈文化敎程』(羅雄巖 著, 上海, 上海音樂出版社, 2001) 역시 지속적인 워크숍 윤독 발표를 통해 2차 교정 작업 마무리 단계를 거쳐 출판을 앞두고 있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일련의 작업들은 현재 실증적인 차원에서 연구결과가 도출되는 과정에 있으며, 이미 10여 편의 논문이 국내 및 국외 전문 학술지에 기고된 바 있다. 앞으로 1년 여 안에 관련 논문들이 지속적으로 더해질 것이며 최종결과물 역시 단행본으로 출판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 공연문화자원의 정보화 측면에서 활용되어 향후 중국과의 대중문화산업에 대한 비교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과정에서 관련 자료들이 번역되고 출판됨과 동시에 연구 성과들이 CD ROM과 문화 컨텐츠 등으로 개발되어 중국 관련 고고․역사학 연구자와 민속학 연구자, 지역학 연구자 등의 전공자들에게 제공되어 중국학 연구의 공간을 넓히고 다양성을 제공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와 관련된 중국의 예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전통문화산업을 발전시켜나가는 문화정책 입안자들에게 비교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민간 및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중국의 광장예술공연단과 우리의 전통 공연단이 상호 교류함으로써 또는 이를 주제로 국제학술대회 등을 개최함으로써 중국과 다양한 측면에서 상호 이해를 증진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공연예술과 민속 등 중국문화 방면의 인문학 교육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중국 민속문화 방면 연구 전문가가 양성되었다는 점도 중요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 색인어
  • 安徽省, 山西省, 陝西省, 淮河, 황하, 농경문화, 광장예술, 민속문화, 전승, 민속무, 음악, 연극, 공연, 춘절, 元宵節, 拜年活動, 拜廟活動, 예비공연, 廟會, 社, 社長, 廟宇, 신령,무속, 제의, 관광정책, 문화민족주의, 잔존문화, 花鼓燈, 예능인, 각색, 禹王廟會, 遊演活動, 傘頭秧歌, 八大角秧歌, 太谷社火, 平遙古城, 晋商, 晋祠廟會, 安塞腰鼓, 老秧歌, 蹩鼓, 社火臉譜, 馬社火, 堯山聖母廟會, 면담, 영상자료, 국가, 사회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