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근대 한러관계 연구 -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한국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분야지원심화연구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5-079-AM0008
선정년도 2005 년
연구기간 3 년 (2005년 09월 01일 ~ 2008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하원호
연구수행기관 동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이희수(고려대학교)
김종헌(건국대학교)
이재훈(조선대학교)
최규진(대진대학교)
박영준(국방대학교)
구범진(서울시립대학교)
민경현(고려대학교)
반병률(한국외국어대학교)
홍웅호(성균관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한국관련 자료를 토대로 학제간 공동연구를 통해 한 단계 진전된 근대 한러관계의 역사상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사회는 19세기에 들어와 서구가 주도한 세계체제에 편입되었다. 동아시아의 세계체제 편입 과정은 다른 지역과는 달리 지역 내 각 민족의 상호 의존과 대항을 통해 실현되었고, 그에 따라 민족간의 대립도 격화되어 갔다. 한국의 경우 중국과 일본을 통해 세계체제에 편입되었고, 중국과 일본도 서구세력의 외압을 받으면서 그 모순을 한국에 전이시키는 과정에서 경쟁과 대립을 할 수밖에 없었다. 러시아 역시 19세기 후반 연해주 지역을 편입해 한국과 국경을 접하고 동아시아의 영역국가로 등장했다. 러시아는 전통적 남하정책을 통해 동아시아 각국과 대립했다. 그 결과 19세기 후반 이후 20세기에 이르기까지 동아시아 사회는 전 세계에서도 유래를 찾기 어려운 격렬한 분쟁과 대립의 역사를 겪었다.
    한국과 러시아의 관계도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관련해 시기에 따라 단절과 연속, 대립과 협력을 경험하며 전개되었다. 한국은 1884년의 수교 이후 러일전쟁에 이르는 시기에 걸쳐 중국이나 일본의 외압에 대응하기 위한 방편으로 러시아를 끌어들이고자 했다. 러시아 역시 남하정책과 동방진출을 추구하며 한국에 교두보를 마련하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러일전쟁에서 러시아가 패배하고, 일본이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면서 양국의 외교관계는 단절되고 말았다. 하지만 이후에도 한말 의병운동이나 식민지시대 민족해방운동 과정에서, 그리고 한국인의 러시아 이주문제 등으로 한국과 러시아는 상호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해방 후에는 러시아가 북한의 후원자로 등장하면서 남한과는 외교관계가 단절된 채 대립했으나, 냉전체제 붕괴 이후인 1990년에는 다시 수교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지금 동아시아 사회에는 남북문제, 일본의 우경화 문제, 국가간 국익문제 등으로 적지 않은 갈등이 온존해 있다. 한러관계 역시 이 같은 국가간 대립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따라서 동아시아 사회는 19세기 후반 이후의 갈등과 분쟁의 역사를 극복하고 화해와 공존의 장으로 나아가야 하는 역사적 과제를 안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상호간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또한 과거의 분쟁의 역사에 대한 반성 없이 동아시아 사회에서의 평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근대 동아시아 국가간 상호 관계에 대한 역사적 성찰은 현재의 동아시아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의 기원을 밝힐 수 있다는 점에서 현재적 의미가 있다. 동아시아지역 다른 나라와의 관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성과가 부족한 한러관계사 연구가 학문적으로나 사회적으로도 긴급히 요구되는 과제인 것도 이 때문이다. 특히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에 걸친 근대 한러관계의 연구는 현재 한러관계의 기원적 의미를 가지지만, 체계적인 학문성과는 찾기 어렵다.
    근대 한러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던 것은 무엇보다 열악한 연구여건에 기인한다. 냉전기의 시대적 제한성은 역사인식 면에서 양국간의 관계를 객관화하기 어렵게 했을 뿐만 아니라, 한국 학자들은 러시아의 기초적 자료에 대한 접근조차 힘들었다. 그 결과 한국학계의 연구는 외국의 연구성과에 의존하는 학문적 종속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외국학계의 한러관계 연구는 동아시아에서의 열강과 러시아의 대립이라는 큰 구도에 종속된 부차적인 문제로 인식될 뿐이어서 한러관계의 독자적 측면이 충분히 규명되지 못했다. 따라서 한국과 러시아의 원자료, 그리고 동아시아 각국의 자료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토대로 한 근대 한러관계사의 체계적 연구는 현재 우리 학계가 이루어내야 할 과제인 것이다.
    그래서 이 연구과제에서는 동아시아의 국제관계를 전제로 한국사를 중심에 둔 근대 한러관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려 한다. 한국사 중심의 연구라는 것이 일국사적 입장의 학문적 배타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동아시아 각국의 상호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그동안 간과되어 온 한러관계의 독자성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그래서 서구의 학문적 편향, 냉전적 역사인식, 그리고 일국사적 연구의 한계를 넘어서 객관성을 가진 새로운 한러관계의 역사상을 구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왕의 연구와 사료의 비판적 검토에 기초해 한러관계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전면적으로 고찰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것은 한러관계의 기원에서부터 다시 출발해야 한다. 이 연구과제의 목적은 바로 여기에 있다.
  • 기대효과
  • 1.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
    1) 한러관계 연구의 활성화와 한국근대 역사상의 재정립
    이 연구과제는 한국과 러시아자료는 물론 서구와 동아시아 각국 자료를 교차 검토하면서 동아시아 국제관계를 전제로 한국사를 중심에 둔 연구를 진행한다. 따라서 그동안 한러관계 연구의 자료적 제한성을 넘어 설 뿐만 아니라 학문적 편향성을 극복하고 객관적 근대 한러관계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구대상도 정치사 중심의 연구를 지양하고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한러관계의 전면적 고찰로 확대한다. 따라서 근대 한러관계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뿐 아니라 한국근대사 연구에서 부족한 연구분야였던 한러관계를 종합적으로 밝힘으로써 한국 근대 역사상의 재정립에도 도움이 된다.

    2) 연구자료와 결과의 공유
    우리 연구진은 연구자료와 결과를 학계와 학문적으로 공유하기 위하여 러시아 자료번역집과 자료목록집을 발간하고 학술총서을 간행한다.
    자료번역집은 언어적 제약을 해소해 러시아자료의 활용 편의성을 제고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가능하게 하고, 자료목록집은 한러관계 연구자들에게 자료접근과 확보에 편의을 제공할 것이다. 또 매년 1회의 학술대회를 통해 연구 성과를 학계에 보고하고, 『근대한러관계사 연구총서』를 발간하여 연구결과를 공유한다.
    이와 같은 연구자료와 연구결과의 공유는 다양한 분야에서 한러관계에 대한 연구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일보 진전되는데 기여할 것이다.

    2. 연구결과의 사회적 기여
    1) 정책수립의 현실성 제고

    현재의 한국과 러시아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상대국의 역사, 문화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현재 러시아 관계와의 기원인 근대한러관계에 대한 깊이있는 성찰이 이 점에서 절실하다. 하지만 그동안 해외학계의 학문적 성과에 종속된 연구성과로는 객관적 이해가 어렵다. 우리의 연구가 제시할 근대한러관계의 새로운 역사상은 한국사의 입장에 서 있어 한러관계를 주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우리의 연구 결과는 러시아와의 관계를 주체적으로 이해하고 현재의 대러정책을 수립하는데 역사적으로 중요한 판단기준을 제공해 주어 정책의 내실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동아시아 사회에 평화와 화해의 토대를 구축하는데도 도움이 된다고 본다.

    2) 민간교류의 활성화
    한러관계사와 관련하여 정확한 사실관계의 규명은 한러간의 상호인식과 상호이해의 폭과 깊이를 확대․심화시켜 주고, 객관적 대러시아관을 형성시켜주어 국가적 차원에서는 물론 민간적 차원에서도 양 국민의 교류활성화와 우호증진에 기여할 것이다.

    3. 교육과의 연계활용 방안
    1) 강좌활용
    한러관계 연구의 학문적 성과를 실질적으로 확대하고 후학을 양성하는 차원에서 연구전임인력이 직접 강사로 참여하는 교양강좌와 전공강좌를 학부에 개설할 것이다. 또한 대학원의 전공자들을 상대로 특강을 개설하여 연구결과를 교육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것이다.

    2) 일반국민교육과정에의 기여
    한러관계에 대한 한국적 관점에서의 연구는 객관적 역사관에 입각하여 한국근대사를 재정립하기 위한 작업이다. 이런 연구 취지에 알맞게 효과적인 대중매체를 이용하여 일반 국민들에게 연구 성과를 적극 홍보한다. 효과적이면서 저렴한 대중매체로 등장하고 있는 인터넷이 가장 현실적인 홍보방법이다. 여타 대중매체들과는 달리 정보교환의 쌍방향성을 확보하고 있는 인터넷이 교육의 현장성이란 측면에서 이상적 대안이라고 본다.
    그래서 우리 연구팀은 홈페이지를 개설해 연구 성과를 게재하고 일반인과 토론을 유도하려한다. 이를 통해 객관적 한국근대의 역사상을 대중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연구요약
  • 1. 연구주제의 선정

    현재 우리 학계나 외국 학계가 가지는 연구편향을 극복하고 러시아자료와 한국, 중국, 일본 등의 자료를 교차분석하면서 새로운 근대 한러관계의 역사상을 정립하려는 것이 우리 연구의 과제이다. 그동안 대부분의 연구는 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이란 입장에 서 있었고, 한러관계의 시기 구분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열강의 대립과정에서 부차적으로 언급되어 온 한러관계 연구의 한계를 넘어 독자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한국사의 입장에 선 한러관계사 연구가 요구된다. 더구나 역사적 전개과정에 대한 시기적 엄밀성은 역사연구에 필수적이다.
    그래서 이 연구과제에서는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에 이르는 한러관계를 한국사의 전개과정과 관련해 그 내용과 성격에 따라 크게 위와 같이 세 시기로 구분하였다. 시기구분의 중요한 분기점은 근대 한러관계의 생성과 발전, 단절을 보여주는 한러수교, 아관파천과 러일전쟁이다. 시기별 분류의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제1기 : 수교와 교섭 시기의 한러관계
    ▷ 제2기 : 아관파천과 한러관계의 진전
    ▷ 제3기 : 러일전쟁을 전후한 한러관계의 변화

    한편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정치외교 분야에 국한되었거나, 러시아나 한국 가운데 한 국가의 시각으로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균형 잡힌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한 한러관계의 전면적 고찰은 시급히 요구되는 과제이다. 그래서 이 연구과제에서는 한러관계의 ‘전면적 고찰’을 위해 동아시아 국제환경, 정치외교적 관계, 인적․물적 교류, 상호인식이라는 4개 분야를 설정했다. ‘균형 잡힌 역사인식’을 위해 한국과 러시아 뿐 아니라 동아시아 각국의 입장을 대비할 수 있도록 분야별 연구주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각 분야의 구체적인 연구주제는 다음과 같다.

    ▷ 동아시아 국제환경 : ① 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
    ② 한반도를 둘러싼 러중관계
    ③ 한반도를 둘러싼 러일관계
    ▷ 정치외교적 관계 : ① 한국의 대러시아정책
    ② 러시아의 대한국정책
    ③ 한국 주재 러시아 외교관의 활동
    ▷ 인적・물적 교류 : ① 한러간 물적 교류 관계
    ② 러시아의 한국 유이민
    ▷ 상호인식 : ① 한국의 러시아 인식
    ② 러시아의 한국 인식

    2. 연구 내용

    이상과 같은 시기별, 분야별 분류에 따라 각각의 주제들로부터 다음의 연구과제들이 도출된다.

    (1) 동아시아 국제환경

    1) 연구 필요성
    한러관계에 대한 균형잡힌 시각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주제로 삼았다. 한러관계를 이해하는데 있어 일국사를 넘어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바라보는 객관적 시각이 필요하다는 데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이 시기 동아시아를 둘러싸고 전개된 열강의 각축이 한러관계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단절에 많은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2) 주제별 연구내용

    ① 러시아의 동아시아 인식과 정책의 변천
    러시아 동방론자의 동아시아 인식과 극동정책을 분석하고 시베리아철도 건설과 동아시아 정책의 관련성을 밝힌다. 또한 비테와 베조브라조프의 논쟁을 통해 러일전쟁의 원인과 결과를 살펴본다. 이러한 연구는 러시아의 동아시아 정책과 제국주의적 이데올로기의 변화과정을 규명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② 한반도를 둘러싼 러중관계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 체결 이후 만주와 한반도를 무대로 한 열강의 세력구도가 어떠한 변화를 겪었는가를 고찰한다. 러일전쟁 발발과 그 전개과정에서 중국이 보인 반응을 통해서 러일전쟁을 전후한 동아시아의 판도를 읽는 데 요긴한 실마리를 제공해 줄 것이다.

    ③ 근대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러일관계
    이 연구는 러시아의 시베리아 진출 이후 러일관계, 특히 청일전쟁 시기 러시아의 일본 및 한국정책이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검토한다. 그리고 청일전쟁 이후 러시아와 일본이 한국을 둘러싸고 어떠한 세력 각축을 벌였는가를 밝힌다. 이를 통해서 러일전쟁을 중심으로 러시아와 일본의 한국 전략, 전쟁 수행과정 중의 한국정책 변화과정을 규명하게 될 것이다.

    (2) 정치외교적 관계

    1) 연구 필요성
    여기서는 정부차원에서의 한러관계의 진전을 다룬다. 정치 외교관계는 양국간 관계의 성격과 내용을 규정하는 일차적 요인이다.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양국간 교류의 형식과 내용이 어떤 방식으로 발전되었는지를 밝힐 수 있다. 또한 한국에서의 러시아외교관의 활동을 통해 러시아의 대한정책이 구체적으로 현실정치에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고찰할 것이다.

    2) 주제별 연구 내용

    ① 한국의 대러시아정책
    1차 년도에는 임오군란 이후 전통적 조공체제에 가탁해 한국의 내정을 간섭하면서 제국주의적 지배를 기도한 중국에 반응해 러시아를 이용하려한 한
  • 한글키워드
  • 한러수교,일본,중국,러시아,한국,동아시아,러시아 자료,외교,정치,대러정책,대한정책,극동정책,러시아문서보관소,한국사,한러관계,이즈볼스키,브리너,슈페이에르,러시아 한인,상호 인식,문화,경제,사회,근대,플란손,로마노프,람즈도르프,쿠로파트킨,베조브라조프,비테,부동항,제국주의,국제관계,한러밀약,러일전쟁,아관파천
  • 영문키워드
  • Russia,Policy toward Korea,Foreign Relations,Koreans in Russian Far East,Mutual Understanding,Culture,Economy,Society,Diplomacy,Politics,Policy toward Russia,Russian Archives,Korean History,Relation between Korea and the Russia,Modern Period,Ice-Free Ports,Imperialism,Korea,East Asia,Materials related to Korea,Far East Policy,Agreement between Korea and the Russia,Russo-Japanese War,Refuge in Russian Legation,Amity between Korea and the Russia,Japan,China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3개년에 걸쳐 「근대 한러관계연구」를 수행한 과제이다. 각 연차별, 시기별 연구주제는 수교와 교섭의 시기 한러관계, 아관파천과 한러관계의 진전, 러일전쟁 전후 한러관계의 변화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① 한러관계를 러중, 러일관계 등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환경 속에서 조망함으로써 일국사적 연구시각을 극복하고, ② 러시아 측의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한국 및 중국, 일본 등의 자료와 상호 비교 검토함으로써 한러관계의 형성, 진전 및 변화를 객관적으로 이해하며, ③ 한러 간의 정치외교 관계 및 인적 물적 교류, 상호인식의 변화 과정 등에 대해 학제간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한러관계를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전체 주제를 모두 4부로 나누었다.
    <제1부-동아시아 국제환경>에서는 첫째, 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을 연구했다. 이 연구에서는 각 시기 러시아의 동아시아 정책의 변화과정과 성격, 만주철도부설권 획득을 통한 적극적인 동아시아의 개입, 러일전쟁 이전 차르의 주도적 동아시아정책을 살펴보았다. 둘째, 한반도를 둘러싼 러중관계를 연구했다. 이 연구에서는 러시아와 중국의 조약 체결을 통한 화이적 질서관의 변용과 그 의미, 청러관계의 국제정세에 따른 연대와 견제의 내용, 러일전쟁의 영향으로 청의 군제 개혁이 취해진 과정을 고찰했다. 셋째, 한반도를 둘러싼 러일관계를 고찰했다. 이 연구에서는 일본지식인의 국제질서관과 러시아위협론이 일본의 아시아 정책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음을 살펴보았다. 청일전쟁 이후 일본인들이 전후 국가구상과 러시아를 포함한 국제질서의 인식을 조명했다. 그리고 러일전쟁기에 일본의 재해권 장악에 주목해 러시아와 일본의 해상권을 비교 연구했다.
    <제2부-정치 외교적 관계>에서는 첫째, 한국의 대러시아정책을 다루었다. 이 연구에서는 수교 이후 청의 외압에서 벗어나기 위해 러시아를 끌어들이려는 한국의 외교적 노력을 재구성했다. 아관파천 이후 한국의 대러정책과 환궁 이후 대러관계가 상대적으로 소원해지는 과정을 논증했다. 또한 러일전쟁 전후 한국이 주도적으로 대러시아정책을 수행하기는 힘들었지만 독자적인 정책을 추진하려했음을 밝혔다. 둘째, 러시아의 대한국정책을 고찰했다. 이 연구에서는 러시아의 한국정책을 시기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러시아가 아관파천을 통해 조선이 일본의 보호령으로 전락을 막는 것이 러시아의 기본 정책이었음을 밝혔다. 셋째, 한국주제 러시아 외교관의 활동을 연구했다. 연구에서는 수교이후 청일전쟁까지 한국에서 활동한 러시아 외교관 베베르와 슈페이예르의 활동을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제3부-인적 물적 교류>에서는 첫째, 한러간 물적교류를 고찰했다. 이 연구에서는 한러간의 교역관계 변화를 각 시기별 교역의 추이와 성격, 발전과정을 통해 해명했다. 또한 러시아의 제국주의적 진출이 민간교역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분석했다. 그리고 러일전쟁 직전 한러경제관계의 성격을 규명했다. 둘째, 러시아의 한국유이민들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초기 한인들의 러시아 이주와 한인 마을 형성과정, 러시아 당국의 대응을 분석했다. 특히, 아관파천 이후 러시아한인들의 활동 및 러시아로 유학한 양반자제들의 존재를 밝혔다. 그리고 러일전쟁 전후 유이민들의 독립운동을 안중근과 관련하여 연구했다.
    <제4부-상호인식>에서는 첫째, 한국의 러시아인식을 조명했다. 이 연구에서는 러시아 인식을 국왕과 개화파 관료, 척사파, 민중 등으로 나누어 접근하였다. 그리고 아관파천 이후 러시아에 대한 인식의 변화 과정을 고찰했다. 또한 한국지식인들의 제국주의 국가이자 사회주의국가라는 이중적 러시아 시각을 분석했다. 둘째, 러시아인의 한국인식을 고찰했다. 이 연구에서는 러시아의 한국인식에 대해 여행기, 각종 보고서, 지리협회를 중심으로 한 한반도 탐사 작업 등을 통해 러시아인들이 한국에 대해 인식한 것을 분석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한국, 러시아, 일본, 중국 등 각국의 자료를 함께 검토함으로써 한러관계의 객관적, 종합적인 체계화를 시도한 본 과제의 연구 결과는 앞으로 이 분야 연구의 진전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본다.
  • 영문
  • This study performed over three years on theme "The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Korea and the Russia in the Modern Period - Through the Materials related to Korea kept in the Russian Archives -." Each annual main subjects of this three year study are composed like followings; "Korean-Russian Relation in the period of amity and conversation" in first year; "Ko-jong’s refuge to Russian Mission in 1896 and progress in Korean-Russian Relation" in second year; and "Transition of Korean-Russian Relation i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Russo-japanese War in 1904 year" in third year.
    It is the purposes of this study ① to overcome the korean's own national historic viewpoint by study abut international politic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② to objectively understand progress and change of the korean-russian relations by gathering and organizing historic materials in Russia and also by cross-review and compare russian materials with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information on their international relations in East-North Asia; ③ to systematically recognize relations of Koera and Russia by inter-discipline research for political relations,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and mutual recognition between them.
    To perform research efficiently overall theme was separated by 4 parts.
    Part 1 - East Asian International Environment>. In this part Russia's East Asian policy was researched firstly. In this research program process and the substance of the Russian east-asian foreign political changes in every partitioned period, far east intervention of Russia through acquiring right of railroad construction in Manchuria and Tsar's East Asian main policy were studied. Second, Sino-russian relations over the Korean peninsula has researched. In this study we have gotten a deep analysis on change of traditional international political system in east asian area after th signing of treaty between Russia and China and it's significance.
    <Part 2 - Political and diplomatic relations>. In the chapter Korea's foreign policy toward Russia has scrutinized. In the study of korean diplomatic relations with Russia, Korea's diplomatic efforts to escape from chines political pressure were reconstructed. In addition, we try to discovering that after sino-japanese war Korea strived to carry out her own foreign policy toward Russia. Second, the review of Russia foreign policy toward Korea were said. In this study Russia's Korea policy looked at divide by each period.
    <Part 3 - human and materi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Russia>. In this Part economic exchanges between these countries was researched. This study analyzed change of trad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Russia through each periodically nature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their trade relation. In addition, how reflected in the private trade, Russia's imperialistic appearance in East Asia.
    <Part 4 - Mutual recogni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Main aim of this research section was analyzing the russian recognition about South Korea. This study has three levels of analysis, i.e, a level of King Kojong's recognition of Russia, a level of civilization party's recognition of Russia and, finally, a level of people'. And we explored how changed Russian recognition of Korea since Ko-jong’s refuge to Russian Mission in 1896. Also, South Korean intellectual's viewpoint toward dual Russia, the imperialist countries and socialistic countries. Second, our study team considered what is the russian's recognize of Korea.
    In performance of this study, we had cross-check objectively historical paper source of South Korea, Russia, Japan, China and other main countries. We hope our academic attempt to refining the theme on international rel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in the period of early modernization of Korea will be helpful to other scholars and to development and progress of this field of research issue in fu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3개년에 걸쳐 「근대 한러관계연구」를 수행한 과제이다. 각 연차별, 시기별 연구주제는 수교와 교섭의 시기 한러관계, 아관파천과 한러관계의 진전, 러일전쟁 전후 한러관계의 변화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① 한러관계를 러중, 러일관계 등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환경 속에서 조망함으로써 일국사적 연구시각을 극복하고, ② 러시아 측의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한국 및 중국, 일본 등의 자료와 상호 비교 검토함으로써 한러관계의 형성, 진전 및 변화를 객관적으로 이해하며, ③ 한러 간의 정치외교 관계 및 인적 물적 교류, 상호인식의 변화 과정 등에 대해 학제간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한러관계를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전체 주제를 모두 4부로 나누었다.
    <제1부-동아시아 국제환경>에서는 첫째, 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을 연구했다. 이 연구에서는 각 시기 러시아의 동아시아 정책의 변화과정과 성격, 만주철도부설권 획득을 통한 적극적인 동아시아의 개입, 러일전쟁 이전 차르의 주도적 동아시아정책을 살펴보았다. 둘째, 한반도를 둘러싼 러중관계를 연구했다. 이 연구에서는 러시아와 중국의 조약 체결을 통한 화이적 질서관의 변용과 그 의미, 청러관계의 국제정세에 따른 연대와 견제의 내용, 러일전쟁의 영향으로 청의 군제 개혁이 취해진 과정을 고찰했다. 셋째, 한반도를 둘러싼 러일관계를 고찰했다. 이 연구에서는 일본지식인의 국제질서관과 러시아위협론이 일본의 아시아 정책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음을 살펴보았다. 청일전쟁 이후 일본인들이 전후 국가구상과 러시아를 포함한 국제질서의 인식을 조명했다. 그리고 러일전쟁기에 일본의 재해권 장악에 주목해 러시아와 일본의 해상권을 비교 연구했다.
    <제2부-정치 외교적 관계>에서는 첫째, 한국의 대러시아정책을 다루었다. 이 연구에서는 수교 이후 청의 외압에서 벗어나기 위해 러시아를 끌어들이려는 한국의 외교적 노력을 재구성했다. 아관파천 이후 한국의 대러정책과 환궁 이후 대러관계가 상대적으로 소원해지는 과정을 논증했다. 또한 러일전쟁 전후 한국이 주도적으로 대러시아정책을 수행하기는 힘들었지만 독자적인 정책을 추진하려했음을 밝혔다. 둘째, 러시아의 대한국정책을 고찰했다. 이 연구에서는 러시아의 한국정책을 시기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러시아가 아관파천을 통해 조선이 일본의 보호령으로 전락을 막는 것이 러시아의 기본 정책이었음을 밝혔다. 셋째, 한국주제 러시아 외교관의 활동을 연구했다. 연구에서는 수교이후 청일전쟁까지 한국에서 활동한 러시아 외교관 베베르와 슈페이예르의 활동을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제3부-인적 물적 교류>에서는 첫째, 한러간 물적교류를 고찰했다. 이 연구에서는 한러간의 교역관계 변화를 각 시기별 교역의 추이와 성격, 발전과정을 통해 해명했다. 또한 러시아의 제국주의적 진출이 민간교역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분석했다. 그리고 러일전쟁 직전 한러경제관계의 성격을 규명했다. 둘째, 러시아의 한국유이민들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초기 한인들의 러시아 이주와 한인 마을 형성과정, 러시아 당국의 대응을 분석했다. 특히, 아관파천 이후 러시아한인들의 활동 및 러시아로 유학한 양반자제들의 존재를 밝혔다. 그리고 러일전쟁 전후 유이민들의 독립운동을 안중근과 관련하여 연구했다.
    <제4부-상호인식>에서는 첫째, 한국의 러시아인식을 조명했다. 이 연구에서는 러시아 인식을 국왕과 개화파 관료, 척사파, 민중 등으로 나누어 접근하였다. 그리고 아관파천 이후 러시아에 대한 인식의 변화 과정을 고찰했다. 또한 한국지식인들의 제국주의 국가이자 사회주의국가라는 이중적 러시아 시각을 분석했다. 둘째, 러시아인의 한국인식을 고찰했다. 이 연구에서는 러시아의 한국인식에 대해 여행기, 각종 보고서, 지리협회를 중심으로 한 한반도 탐사 작업 등을 통해 러시아인들이 한국에 대해 인식한 것을 분석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한국, 러시아, 일본, 중국 등 각국의 자료를 함께 검토함으로써 한러관계의 객관적, 종합적인 체계화를 시도한 본 과제의 연구 결과는 앞으로 이 분야 연구의 진전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본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가. 연구논문의 학술지 게재 및 󰡔근대한러관계연구 연구총서󰡕 발간
    지난 3년간 연구 학술회의를 통해 총 30편의 연구 논문을 작성했다. 이 연구 논문들을 전문학술지에 게재했거나 게재할 예정이며, 이 연구 성과 중 1차년에 해당하는 연구 성과를 모아 󰡔근대한러관계연구 : 수교와 교섭의 시기 한러관계󰡕를 발간했다. 이후 근대한러관계연구 연구총서 Ⅱ, 󰡔근대한러관계연구 : 아관파천과 한러관계의 진전󰡕(가칭), 근대한러관계연구 연구총서 Ⅲ, 󰡔근대한러관계연구 : 러일전쟁 전후 한러관계의 변화󰡕(가칭)를 발간할 예정이다.

    나. 󰡔근대한러관계연구자료 번역집󰡕 발간
    러시아 자료를 충실히 활용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한편, 중요한 자료들을 탈초, 번역했다. 이를 토대로 󰡔근대한러관계자료 번역집 I : 수교와 교섭의 시기󰡕, 󰡔근대한러관계자료 번역집 Ⅱ : 아관파천과 한러관계의 진전󰡕, 󰡔근대한러관계자료 번역집 Ⅲ : 러일전쟁을 전후한 한러관계의 변화󰡕를 연구결과물로 제출했다.
    이 중 우선 2차년에 해당하는 자료를 탈초 및 번역해 󰡔근대한러관계연구 : 러시아문서 번역집Ⅰ󰡕을 발간했다.

    마. 󰡔근대한러관계연구 러시아자료 목록집󰡕 발간
    근대한러관계 연구를 위해 수집한 근대 한러관계 관련 러시아 자료를 연구자들은 물론 대중들이 보다 실질적이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수집, 분류, 정리한 자료들을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는 󰡔근대한러관계연구 러시아자료 목록집󰡕을 작성, 연구결과물로 제출했다.

    2. 활용방안

    1) 연구결과의 학문적 활용

    가. 한러관계 연구의 활성화와 한국근대 역사상의 재정립
    우리는 한국과 러시아 자료는 물론 서구와 동아시아 각국 자료를 교차 검토하면서 동아시아 국제관계를 전제로 한국사를 중심에 둔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대상도 정치사 중심의 연구를 지양하고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한러관계의 전면적 고찰로 확대했다. 따라서 근대 한러관계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뿐 아니라 한국근대사 연구에서 부족한 분야였던 한러관계를 종합적으로 밝힘으로써 한국 근대 역사상의 재정립에도 도움이 된다.

    나. 연구 자료와 결과의 공유
    우리 연구진은 연구 자료와 결과를 학문적으로 공유하기 위하여 󰡔러시아문서 번역집 Ⅰ󰡕을 간행했고, 󰡔러시아 자료번역집󰡕Ⅱ, Ⅲ을 간행할 것이다. 이는 언어적 제약을 해소해 러시아 자료의 활용 편의성을 제고함으로써 다양한 관련 분야의 연구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근대한러관계연구총서를 󰡔근대한러관계연구 : 수교와 교섭의 시기 한러관계󰡕라는 이름으로 발간했고, 추후 󰡔근대한러관계연구󰡕Ⅱ, Ⅲ을 발간할 예정이다. 이 연구성과는 향후 역사학, 정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러관계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진전되는데 기여할 것이다.

    다. 강좌활용
    한러관계 연구의 학문적 성과를 실질적으로 확대하고 후학을 양성하는 차원에서 ‘근대한러관계사’, ‘근대 동아시아 국제관계’ 등 강좌들이 개설되었다. 이 후 이 연구의 성과를 대학 및 대학원의 전공자들을 상대로 교육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것이다.

    2) 연구결과의 사회적 활용
    가. 정책수립의 현실성 제고
    현재의 한국과 러시아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상대국의 역사, 문화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가 필요한데, 현재 러시아 관계의 기원인 근대한러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이 이 점에서 절실하다. 우리가 수행한 연구는 한국사의 입장에서 한국사의 입장에서 근대한러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한러관계를 주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우리의 연구 결과는 러시아와의 관계를 주체적으로 이해하고 현재의 대러시아정책을 수립하는데 역사적으로 중요한 판단기준을 제공해 주어 정책의 내실을 기여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나. 민간교류의 활성화
    한러관계사와 관련하여 정확한 사실관계의 규명은 양국의 상호인식과 상호이해의 폭과 깊이를 확대․심화시켜 주고, 객관적인 대러시아관을 형성시켜주어 국가적 차원에서는 물론 민간적 차원에서도 양국 국민의 교류활성화와 우호증진에 기여할 것이다.
  • 색인어
  • 한러관계, 한국사, 러시아문서보관소, 러시아자료, 동아시아, 한국, 러시아, 일본, 중국, 한러수교, 한러밀약, 수교와 교섭, 아관파천, 러일전쟁, 극동정책, 대한정책, 대러정책, 정치, 외교, 사회, 경제, 문화, 상호인식, 러시아 한인, 국제관계, 제국주의, 부동항, 비테, 베조브라조프, 쿠로파트킨, 람즈도르프, 플란손, 이즈볼스키, 베베르, 슈페이예르, 고종, 탐사, 여행기, 블라디보스토크, 만주, 경흥, 만주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