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중국 江南지역 明淸代 문화 후원시스템(Patronage System)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분야지원심화연구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5-079-AM0044
선정년도 2005 년
연구기간 2 년 (2005년 09월 01일 ~ 2007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권석환
연구수행기관 상명대학교& #40;천안캠퍼스& #41;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박계화(연세대학교)
김순희(상명대학교(천안캠퍼스))
장미경(성균관대학교)
임병권(상명대학교)
지순임(상명대학교)
이은상(단국대학교)
이행렬(상명대학교(천안캠퍼스))
진석용(대전대학교)
심우영(상명대학교(천안캠퍼스))
김연주(홍익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명청대의 강남지역을 시공간적 범주로 삼아, 중국적 후원 시스템을 밝혀내려는 목적에서 비롯된다. 근대적인 부르조아 문학예술의 번영 원인을 사회 문화적인 환경에서 규명하기 위해, 인문학과 사회학 그리고 예술학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된 학제적 연구 방법을 통해 진행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중국 명청대 江南지역의 문예 후원시스템의 작동방식 규명

    ○ 후원시스템과 그에 의해 생산된 문학예술 작품과의 상관관계 규명

    ○ 후원시스템의 변화에 따른 예술문학의 생산 환경 변화 양상 고찰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장르적 경계를 뛰어넘는 학제적 연구 방법을 통해 연구될 것이며, 중국 소재의 紹興文理學院 越文化 연구소 · 蘇州大學 吳文化 연구센터 · 上海師範大學을 비롯한 강남 현지의 문화연구단체와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연구될 것이다. 이는 한국의 중국 지역학 연구에 있어 모범적인 선례가 될 것이다.

    (1)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이며 실질적인 활용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

    ○ 강남지역 문화후원 시스템 관련 학술총서 및 조사보고서 발간

    ○ 중국 지역 문화의 전자정보 제공

    ○ 중국관련 문화 교육 및 산업에 직접적으로 기여

    (2)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문예의 생산(창작)과 유통 및 소비 구조에 대한 이해

    ○ 중국 상업문화의 역사적 상황에 대한 이해

    ○ 한․중 문화 교류의 핵심 지역에 대한 이해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문인결사 · 출판시장 · 극단활동 · 회화유파 · 원림문화의 제 분야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에 방점을 두어 연구에 착수한다.

    (1) 문인결사와 문화 권력 : 강남지역 문인결사에 관한 연구는 문학예술 후원자 계층의 총체적 특성과 연관되며, 나아가 특정 부류의 양식에 후원이 편중되었다는 정황은 문인결사가 일종의 문화 권력을 형성하였다는 점을 보여준다. 본 분과에서는 문인결사를 蘇州의 지주 문인의 결사, 南京 상인 지식인의 결사, 그리고 佛敎와의 교류를 통해 결성된 결사라는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王世貞(1526-1590)· 汪道昆(1525-1593)· 屠隆(1542-1605)을 비롯한 각 유형 결사의 대표적 인물을 중심으로, 그들의 교류 활동과 에스프리의 형성과정 및 문학예술에의 심미적 영향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 서로 다른 지식인 사회의 결사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며, 이를 통해 형성된 에스프리가 문학과 예술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연구한다.

    ○ 불교와의 교류를 중심으로 결성된 결사는 어떠한 에스프리를 형성하며 문학과 예술에는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연구한다.

    (2) 출판시장 형성과 문예 유통 : 강남지역 문예출판 담당자층의 문예 유통에의 후원양상을 연구하려 한다. 본 분과에서는 먼저 문예출판 담당자층의 문화수준 및 신분계층을 살펴보고, 판각· 인쇄를 비롯한 출판시장에서의 역할에 관해 사회적 시스템 차원에서 접근하게 될 것이다. 이는 출판업의 흥성 배후에는 출판업자 및 장서가의 후원이 존재하였다는 전제 하에 시작된다. 단지 텍스트의 작가와 주제만을 다루는 기존의 연구방법에서 탈피하여, 텍스트의 보급 및 유통에 관련된 출판활동을 살펴봄으로써, 명청대 문학형태의 총체적 변화 양상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강남지역 명청대 문예출판 후원의 주체는 누구이며, 대중성과 상업성을 지닌 백화소설의 전파와 그 후원양상은 어떠한지 밝힌다.

    ○ 강남지역 명청대 문예출판의 지역별 특징과 그 후원 양상은 어떠하며, 문인들이 주체가 된 문언소설의 출판과 그 후원 양상은 어떠한지 밝힌다.

    (3) 극단활동과 후원 양상 : 강남지역 연극예술의 흥성 기반은 경제적 번영을 바탕으로 한 독특한 후원 시스템의 성립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분과에서는 16-18세기 강남지역에서 크게 성행한 곤극 가정극단의 극단주를 연극예술에 대한 후원자로 간주하고, 먼저 시대적인 구심점의 이동에 따라 문인 계층과 상인 계층으로 나누어, 극단주의 특성 및 후원의 목적을 분석하며, 나아가 극단활동 후원자의 곤극예술에의 재정적· 미학적 후원 양상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는 후원에 따른 연극예술의 변이과정, 즉 부의 축적을 바탕으로 하는 후원시스템이 연극예술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관한 논의에 기초가 될 것이다.

    ○ 가정극단 극단주의 특성 및 곤극예술 후원의 목적은 어디에 있는지 살핀다.

    ○ 극단활동 후원자는 곤극예술의 재정적, 미학적 기반을 마련하였는지 고찰한다.

    (4) 화파의 특징과 후원 양상: 명청대는 이전 시기와 달리 직업화가와 문인화가의 차이 및 평가가 극명하게 갈리는 시기였다. 일례로 명대 문인화가의 그림은 士氣와 書卷氣가 있다고 칭송받고, 직업화가의 그림은 俗氣가 있다고 폄하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평가는 예술에 있어서 후원을 받은 양식과 그렇지 못한 양식 간에 분명한 대립각을 형성하게 하였고, 당시 회화의 양식이 문인화 경향 일색으로 흐르게 된 원인이 되었다. 본 분과에서는 명청대 회화예술에 대한 후원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주류 회화 양식의 시대적 변화과정을 시스템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 명대 회화의 양상과 그 후원시스템은 어떠했으며, 浙派와 吳派 회화의 전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핀다.

    ○ 청대 揚州畵派와 海派의 문화 후원시스템의 양상은 어떠했으며, 회화의 전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핀다.

    (5) 원림문화와 후원시스템 : 강남지역 원림은 중국 고전원림 중에서도 私家園林의 극치를 이룬 지역이다. 명청대에는 관료· 지주· 상인이 南京· 揚州를 비롯한 강남 일대에 수많은 원림을 조성하였는데, 특히 양주 瘦西湖의 園林群은 鹽商의 상업자본과 원림 조성의 관계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이다. 이는 園主를 비롯한 후원자가 강남지역 원림문화의 발달을 촉진시켰다는 점을 보여준다. 본 분과에서는 원림 후원자의 다양한 유형을 분석한 다음, 각 유형 중에서 핵심적인 인물을 선정하여 원림 건축 및 원림 문학에의 후원 시스템을 밝히고자 한다.

    ○ 원림 후원시스템과 원림 문학은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였는지 고찰한다.

    ○ 원림 후원자의 특성과 원림 문학의 후원 양상은 어떠하였는지 살핀다.
  • 한글키워드
  • 중국,문화학,출판시장,문인결사,부르조아,후원자,후원시스템,원림문화,회화유파,극단활동,지역학,강남
  • 영문키워드
  • China,regional study,culture studies,bourgeois,patron,patronage culture,Jiangnan, literati society,garden culture,painting school,theatrical activities,publishing marcket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팀은 중국 명청대 강남지역의 문예와 문화후원시스템과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장강 중하류 삼각주 지역에 형성된 ‘江南’지역 문화는 南宋 이후 줄곧 중국의 경제발전과 함께 성장하였고, 특히 16세기 중엽에 이르러 예술과 문학의 분야에서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였다. 陽明學과 같은 새로운 사상이 유행함에 따라 실용적인 지식에 대한 관심과 과학적 정신이 고양되었고, 문화 각 방면에서 자유롭고 독창적인 정신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예술분야에서는 전통에 도전하는 창의적인 작품들이 양산되고, 자의식이 강한 낭만적인 문학이 크게 발전하였다. 유럽의 르네상스에 필적하는 이러한 明末의 ‘문예부흥’에는 왕실의 행정적인 후원과 경제적 지원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지만, 그 이면에는 부유한 상인, 문예작품의 감정 수집가, 사대부 혹은 관리들의 호의적인 협력이 있었다. ‘상업자본’이 형성되고 ‘시장경제’가 발달하기 시작한 18세기에 이르러서는 왕실보다는 오히려 그들이 더욱 중요한 후원자로 등장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후원들이 하나의 사회시스템의 형태로 나타나 명청대의 문학예술 및 학술의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가설에서 출발하였다. 즉 명청대의 예술과 문학의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한 구성요소들, 연극(戱班), 회화, 원림의 세 문예 장르와 그 문예의 발생 흥성의 환경요소라 할 수 있는 ‘문인결사’와 ‘도서출판’ 등에 대하여 상업자본의 후원이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나타났고, 그것들이 상호작용이 안정된 패턴을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것을 명청 시대 강남 지역으로 ‘후원시스템(patronage system)’으로 명칭하고, 명청대 문화 후원의 형태, 후원시스템과 그에 의해 생산된 예술 및 문학작품의 상관관계, 명말 상공인의 출현과 시장경제가 가져온 후원시스템의 변화, 그리고 그로 인한 예술과 문학의 생산 환경 변화 양상 등을 다음과 같이 해명하였다.
    첫째, 강남지역 명청대 문화 후원은, 서구 르네상스 시대 王公이나 귀족 또는 가톨릭 성당에 의한 후원예술 후원(art patronage)과 달리 훨씬 더 다양하면서 복잡한 후원형태들을 보여주고 있다. 즉 동일한 후원자가 동일한 장소에서 여러 장르에 걸쳐 후원을 하는 형태를 띠게 된다는 점이다. 예컨대 원림소유자가 원림경영 뿐 아니라 장서, 서화 감정 및 수집, 시서화 창작, 가반활동, 문인결사·문인 雅集을 두루 지원하는 형태를 띤다. 더 나아가 창작자-유통자-소비자가 혼재된 후원 양상은 매우 독특한 예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중국만의 독특한 후원시스템을 확인하였고, 특히 ‘문인사단’이 행사한 문화적 권력의 본질을 밝히는데 노력하였다.
    둘째, 후원시스템과 그에 의해 생산된 예술 및 문학작품의 상관관계를 탐색하였다. 후원이란, 후원자와 피후원자간에 형식상 주종관계에 있지만 실제적으로는 상호 호혜적 관계, 때로는 긴장과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협력 또는 갈등이 존재하는 것은, 후원관계가 예술가 또는 문학가의 생계를 보장하는 경제적 관계임과 동시에 피후원자의 사회적 관계 및 정신세계에 일정한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관계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후원시스템이 예술가 및 문학가의 사회적 관계와 심리 상태에 미친 영향이 무엇이며, 후원자의 이익과 취향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셋째, 명말 상공인의 출현과 시장경제가 가져온 후원시스템의 변화, 그리고 그로 인한 예술과 문학의 생산환경 변화 양상을 살폈다. 유럽에서 르네상스 이후 17세기에 이르기까지 진행되었던 것과 유사하게 강남지역에서도 예술과 문학 방면에서 상업화가 촉진되고 문예 출판이 활발해졌는데, 그 결과 문예의 소비자들이 새로운 형태의 ‘후원자’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들이 바로 소비자 후원자(consumer-patron)임을 확인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started from a hypothesis that these patronage assumed a form of a kind of social system and played a decisive role to the development of literary art and learning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Namely, we came to confirm the fact that the constituent elements which played as an important dynamic force of art and literature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three literary genres, namely, drama, painting and garden and the social and literary gathering of literati and publication which might be the environmental elements for the occurrence and flourish of these literary activities had received for a long time the patronage of commercial capital. We also came to confirm that the interplay of all of them showed a stable pattern.
    The study designated the interplay as the patronage system in the region of Jiangnan of Ming and Qing dynasties and explained the pattern of cultural patronage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patronage system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production of art and literature, the emergence of businessmen in the late Ming and the change of patronage system brought by the market economy, and the changing aspects of the environment of production of art and literature as below:
    First, the cultural patronage in the Jiangnan region of Ming and Qing dynasties showed much more diverse and complicated patronage patterns than that of the nobilities and Catholic church in the Renaissance in Europe. Namely, the patronage in China assumed the pattern that the same patron at the same place supported many genres simultaneously. For example, the patronage of the owner of a garden reached in various parts such as the management of garden, the collection of books, the collection and connoisseurship of calligraphy and painting, the creation of poetry and painting, the activity of family theatrical troupes, the social and literary gathering of literati. Furthermore, the patronage aspects combining the creator, the circulator and the consumer might be a very unique example. Therefore, the study has tried to confirm the patronage system uniquely showing in China, especially, the nature of the cultural power played by the literati group.
    Second, we has sought to find the patronage system and its relationship with art and literature. Even though it is true that there was some formal relation between master and servant in between the patron and the recipients, in practice, reciprocity and sometimes tension and conflict might be happened. The reason why cooperation or conflict existed is because the patronage relation was that of economic relation which guaranteed the livelihood of artist and literary man and at the same time that of psychological relation which influenced the social relation and spiritual world between the patron and the recipient. The study has considered the fact that what is the influence of the patronage system on the social relation and the psychological condition of artist and literary man and how the benefit and taste of patron reflect.
    Thirdly, we have examined the emergence of businessmen in late Ming, the change of patronage system the market economy brought, and the resultant changing aspect of production environment of art and literature. The commercialization in the fields of art and literature was accelerated and the literary publication was active in the Jiangnan area, which phenomenon was comparabe to the Renaissance in Europe in the seventeenth-century. The new form of patron came to emerge as the result and we confirmed that they were the very consumer-patr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팀은 중국 명청대 강남지역의 문예와 문화후원시스템과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장강 중하류 삼각주 지역에 형성된 ‘江南’지역 문화는 南宋 이후 줄곧 중국의 경제발전과 함께 성장하였고, 특히 16세기 중엽에 이르러 예술과 문학의 분야에서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였다.
    陽明學과 같은 새로운 사상이 유행함에 따라 실용적인 지식에 대한 관심과 과학적 정신이 고양되었고, 문화 각 방면에서 자유롭고 독창적인 정신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예술분야에서는 전통에 도전하는 창의적인 작품들이 양산되고, 자의식이 강한 낭만적인 문학이 크게 발전하였다.
    유럽의 르네상스에 필적하는 이러한 明末의 ‘문예부흥’에는 왕실의 행정적인 후원과 경제적 지원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지만, 그 이면에는 부유한 상인, 문예작품의 감정 수집가, 사대부 혹은 관리들의 호의적인 협력이 있었다. ‘상업자본’이 형성되고 ‘시장경제’가 발달하기 시작한 18세기에 이르러서는 왕실보다는 오히려 그들이 더욱 중요한 후원자로 등장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후원들이 하나의 사회시스템의 형태로 나타나 명청대의 문학예술 및 학술의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가설에서 출발하였다. 즉 명청대의 예술과 문학의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한 구성요소들, 연극(戱班), 회화, 원림의 세 문예 장르와 그 문예의 발생 흥성의 환경요소라 할 수 있는 ‘문인결사’와 ‘도서출판’ 등에 대하여 상업자본의 후원이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나타났고, 그것들이 상호작용이 안정된 패턴을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것을 명청 시대 강남 지역으로 ‘후원시스템(patronage system)’으로 명칭하고, 명청대 문화 후원의 형태, 후원시스템과 그에 의해 생산된 예술 및 문학작품의 상관관계, 명말 상공인의 출현과 시장경제가 가져온 후원시스템의 변화, 그리고 그로 인한 예술과 문학의 생산 환경 변화 양상 등을 다음과 같이 해명하였다.
    첫째, 강남지역 명청대 문화 후원은, 서구 르네상스 시대 王公이나 귀족 또는 가톨릭 성당에 의한 후원예술 후원(art patronage)과 달리 훨씬 더 다양하면서 복잡한 후원형태들을 보여주고 있다. 즉 동일한 후원자가 동일한 장소에서 여러 장르에 걸쳐 후원을 하는 형태를 띠게 된다는 점이다. 예컨대 원림소유자가 원림경영 뿐 아니라 장서, 서화 감정 및 수집, 시서화 창작, 가반활동, 문인결사·문인 雅集을 두루 지원하는 형태를 띤다. 더 나아가 창작자-유통자-소비자가 혼재된 후원 양상은 매우 독특한 예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중국만의 독특한 후원시스템을 확인하였고, 특히 ‘문인사단’이 행사한 문화적 권력의 본질을 밝히는데 노력하였다.
    둘째, 후원시스템과 그에 의해 생산된 예술 및 문학작품의 상관관계를 탐색하였다. 후원이란, 후원자와 피후원자간에 형식상 주종관계에 있지만 실제적으로는 상호 호혜적 관계, 때로는 긴장과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협력 또는 갈등이 존재하는 것은, 후원관계가 예술가 또는 문학가의 생계를 보장하는 경제적 관계임과 동시에 피후원자의 사회적 관계 및 정신세계에 일정한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관계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후원시스템이 예술가 및 문학가의 사회적 관계와 심리 상태에 미친 영향이 무엇이며, 후원자의 이익과 취향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셋째, 명말 상공인의 출현과 시장경제가 가져온 후원시스템의 변화, 그리고 그로 인한 예술과 문학의 생산환경 변화 양상을 살폈다. 유럽에서 르네상스 이후 17세기에 이르기까지 진행되었던 것과 유사하게 강남지역에서도 예술과 문학 방면에서 상업화가 촉진되고 문예 출판이 활발해졌는데, 그 결과 문예의 소비자들이 새로운 형태의 ‘후원자’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들이 바로 소비자 후원자(consumer-patron)임을 확인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단은 2년간의 연구수행 결과로 20여편의 학술연구논문을 발표하였고, 6권의 학술총서 발행을 준비하고 있으며, 4종의 자료집 제작을 준비하고 있다. 학술총서는 '문인결사와 문화권력' '원림문화와 후원시스템' '극단활동과 후원양상' '출판시장과 문예유통' '회화후원과 그 관련 화파의 특징' 등 5권의 출간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자료집은 '문인후원록' '장서루록' '서방록' '원림문예록' 등 네 부문으로 나누어 자료를 수집,정리할 것이다.
    이 연구 성과는 서구 르네상스 시기의 것과는 달리 중국 특유의 후원시스템의 면모를 보여줄 것이며, 상업자본과 문예의 상호 관계에 대한 규명 및 중국 문화에 대한 전면적인 시각의 전환을 불러올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명청대 강남 후원시스템을 연구할 후속세대뿐만 아니라 일반 독자들이 이 시기 문화와 예술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익한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중국의 지역문화연구의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뿐 아리라, 중국지역문화의 교과과정의 개발과 차세대 문화전문가를 양성하는데 일익을 담당하리라 생각된다.
  • 색인어
  • 후원시스템(Patronage System), 강남지역, 후원자, 피후원자, 예술 후원, 후원시스템, 문화권력, 상업화, 문예 소비자, 문인결사, 출판, 연극, 회화, 원림, 아집, 장서가, 극단,가반, 서화 수장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