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통사구조와 의미의 접점에 관한 모색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전문연구인력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5-075-A00100
선정년도 2005 년
연구기간 3 년 (2006년 01월 01일 ~ 2008년 12월 31일)
연구책임자 어건주
연구수행기관 경상국립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언어가 ‘체계’라고 일컬어지는 것은 그것이 가지고 있는 구조의 본연적 특징에서 기인한다. 표면적으로는 작위적이고 무질서하며 우연적인 것처럼 여겨지는 언어의 이면을 들여다볼 경우, 그 내부에 제 나름의 질서를 구축하고 있는 정연한 규칙 체계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규칙 체계는 소리와 어휘 그리고 문장 등, 각각의 층위별로 독특한 독립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따라서 그것들 하나하나는 독립적인 언어학의 연구 대상이다. 그러한 독립성과 더불어 각각의 층위는 서로 간에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기도 하다. 낱낱의 소리들이 모여 궁극에 하나의 문장, 즉 하나의 정보를 구성하려면 그들 사이에는 당연히 일정한 관계가 형성되어야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언어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개별 층위들에 대한 연구 뿐 아니라, 그들 상호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또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단면적인 연구 방법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방법론을 통해 러시아어의 본질에 접근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게 될 재료는 러시아어 문장이다. 문장의 문법적 구조와 의미에 대해 알아봄과 동시에, 본 연구에서는 구조와 의미간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의미에 따른 구조적 필연성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구조와 의미의 본질적 상관성이라고 하는 연구의 당위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어 문장의 통사 구조와 의미의 상관관계에 관해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일단 두 가지 요소의 상관성을 살펴보기에 앞서, 문장의 통사 구조적 특징에 관하여 먼저 살펴볼 것이다. 그것은 구조와 의미를 연결짓기 전에, 이 연구가 왜 필요한가 하는 당위성과 이론적 근거를 제공해 줌과 동시에, 보다 정확한 상관관계 도출을 위해 반드시 선행되어야할 준비 과정으로서 필요하다. 이러한 통사 구조 연구에는 다양한 문장의 예들을 수집하고 분류해 보는 구조주의적 방법론과 문장의 본질 파악에 집중하는 생성문법적 방법론이 병행될 것이다. 이러한 방법론은 객관적 연구와 정확한 결과 도출을 위한 수단이다.
    본 연구에서는 각 연차별 주제를 설정하여 그 주제에 해당되는 세부과제를 설정하고 연구를 순차적으로 진행해 나갈 것이다. 1년차에서는 문장 내의 주어 술어 일치 및 지배와 관련된 문제로서, Это был мой брат Иван 유형의 이중주격문의 주어 술어의 일치와 관련된 문제를 살펴볼 것이다. 2년차에서는 일정한 어휘나 문법적 선택이 화자의 의도에 의해 유도되는 문장들을 살펴볼 것이다. 어휘적 선택이 일어나는 예로는 재귀-소유대명사와 인칭-소유대명사간의 수의적 사용의 예를 들 수 있으며, 문법적 선택의 문제로는 부정문에서 주어및 보어의 부정 생격 적용 유무의 문제를 예로 들 수 있다. 3년차에서는 일정한 문장 요소가 생략된, 특히 동사가 생략된 문장의 구조 의미적 특성을 살펴볼 것이다.
    그 하나하나가 독립된 개별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각각의 연차별 연구 과제는 본 연구에서 통사 구조와 의미 간의 인터페이스를 찾기 위한 목표 아래 하나의 과제로 결합되었다. 따라서 각각의 과제에 대한 통사적 연구를 통해 러시아어 통사론 전반에 대한 깊이를 더해 갈 수 있을 것이며, 그것들을 종합하면서 러시아어 통사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갈 수 있을 것이다. 통사 구조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문장에서의 의미 실현 문제를 다룸으로써 통사론 위주의 문법 연구에서의 취약점으로 제시되던 문장의 의미와 기능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분적으로 러시아어 문장의 통사적 특징과 의미적 특징을 파악하고, 종합적으로는 러시아어 사용의 본질을 파악해나가는 하나의 방법론으로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는 궁극적으로 러시아어 화자의 발화 습관, 즉 러시아인들의 언어 관습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문장의 구조와 그에 따른 변별적 의미 표현은 러시아어 학습자들의 생생한 러시아어 습득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다양한 주제에 대한 종합적 연구를 통하여 언어의 작용 원리를 규명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각각의 과제들은 그 자체만으로도 하나의 연구 대상이 될만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러한 다양한 과제들을 “통사 구조와 의미의 상관관계”라는 하나의 대주제하에 포괄하려고 하는 본 연구는, 따라서 각각의 주제 자체에 대한 통사론적, 의미론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문장은 언어생활에서의 사용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화용론적 가치 또한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문장의 통사 구조 파악을 위하여 최소주의 방법론을 사용할 것이다. 최소주의는 언어의 본질 파악을 위한 언어능력 연구라는 생성문법의 입장은 그대로 고수하면서도 과거 생성문법 이론들의 단점을 상당히 보강하였다. 따라서 연구 자료로서의 문장에 대한 최소주의적 분석은 순수 통사론적 입장에서 러시아어 문장의 통사 구조 파악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분석과 연구는 보편 문법이라고 하는 생성문법의 궁극의 목표인, 인간의 언어능력에 대한 연구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중주격문에서 다루게 될 일치소와 술어성의 문제는 통사론 전반을 관통하는 대단히 중요한 주제로서, 그에 대한 명확한 연구는 러시아 언어학 뿐 아니라, 일반 언어학적 연구에도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어휘 및 형태 선택과 관련된 통사 영역의 개념 설정 또한 문장의 통사적 분석에 기능적 요소를 가미하는 보다 세련된 문장 분석 기법으로 발전될 수 있다.
    연구를 하며 얻어지는 다양한 종류의 문장들의 의미에 관한 연구는 러시아어 학습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문장들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각 문장의 의미에 관한 연구에서는 문장을 구성하는 어휘들의 의미 파악을 통한 의미 해석 외에도, 그러한 문장이 어느 경우에 발화되는가에 관한 연구도 병행할 것이다. 모국어 화자들의 다양한 발화 사례 분석을 통한 러시아어 문장들의 상황 의미 파악은 외국어로서 러시아어를 학습하는 사람들에게 올바른 지침이 될 수 있다. 즉, 해당 문장에 대한 의미론적, 화용론적 분석은 단순히 상황에 따른 문장 사용의 예일 뿐 아니라, 러시아어 학습자에게는 올바른 러시아어 표현의 토대로 작용할 것이다.
    순수 통사 구조와 문장의 의미라는 각각의 연구내용을 토대로 문장의 의미와 구조간의 상호 연관성도 파악해 볼 것이다. 즉, 문장의 의미를 실현시키는 의미 요소들의 특별한 통사적 결합가를 유도하는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 가도 연구해 볼 것이다. 이렇게 통사 구조에 따른 유형적 의미와 각 구조에 따른 의미 차이의 기준을 세움은 통사론적 분류뿐만 아니라 외국어 교수법에 있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어 문장의 통사 구조와 의미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심층적 연구를 위하여 각 연차별로 연구 주제를 정하고, 그에 따른 세부과제를 설정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각 연차별 연구 주제에 따른 세부 과제는 아래에 제시된 과제 외에도 연구 진행 과정 중에 각 주제 내에 포함되는 보다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될 수 있다.

    1년차 연구 주제: 문장 내에서의 위치와 통사적 역할
    세부 과제: “이중주격문에서의 주어의 문제”
    2년차 연구 주제: 문법적 선택과 의미의 관계
    세부 과제: “통사 영역과 의미 선택의 관계”
    3년차 연구 주제: 부재의 역할과 기능
    세부 과제: “생략과 무동사문”

    1년차 과제인 “이중주격문에서의 주어의 문제”에서는 Это был мой брат Иван과 같은 유형의 문장에서 발생하는, 어느 성분이 문장의 주어인가를 결정하는 문제와 관련이 있다. 과거 시제를 표현하는 быть가 등장하는 문장에서 быть는 술어 위치의 명사와 자신의 성을 일치시키고 있다. 그러한 것에 근거하여 일부 학자들은 그 명사를 주어로 보고, это를 소사로 간주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문장에서 주어의 문제를 다룸으로써 это의 본질 파악과 더불어 술어성의 한 부분인 일치소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한다. 그와 함께 Это был мой брат Иван과 같은 유형의 문장에서 나타나는 의미적 강조 현상 또한 파악해 볼 것이다.
    2년차 과제인 “통사 영역과 의미 선택의 관계”에서는 문장의 표층 구조에 영향을 끼치는 화자의 의도를 분석해 볼 것이다. 이를 위해 러시아어 재귀-소유대명사와 인칭-소유대명사의 호환성에 따른 의미 차이와 그러한 의미 실현과 관련된 통사적 영역의 특성을 상호 비교해 볼 것이다. 그리고 부정문에서 나타나는 주어 및 보어의 문법적 형태, 즉 부정 생격의 적용 유무에 관한 문제 역시 통사적 영역과 연관하여 분석해보겠다. 그를 통해 의미적, 형태적 특징의 발현이 통사적 영역과 관련되어 있음을 밝혀볼 것이다.
    3년차 과제인 “생략과 무동사문”에서는 러시아어 통사론에서 생략의 사용과 그를 통해 나타나는 무동사문의 통사 구조를 분석하고, 통사 구조 분석에서 더 나아가 그들이 지닌 문체적 가치와 의미 표현력에 대하여 알아볼 것이다.
    해당 주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통사 분야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형태의 예들을 수집하고 분류해 보는 구조주의적 방법론과 문장의 본질 파악에 집중하는 생성문법적 방법론을 병행하여 수행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부정 생격,재귀 소유 대명사,러시아어 문법,이중주격문,통사 의미 구조,의미론,통사론,생성문법,감정이입,생략,무동사문
  • 영문키워드
  • Semantics,Syntactic and semantic structure,Syntax,Russian Grammar,Generative grammar,Empathy,Ellipsis,Nonverbal sentence,Reflexive possessive pronoun,Negated genetive,Binominal sentenc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년차: "이중주격문에서 주어의 문제"
    본 논문에서는 это был мой брат Иван과 같은 유형의 이중주격문에서 나타나는 주어의 일치 문제를 다루었다. 형태론적으로 지시대명사 중성 형태인 это는 전통적으로 술어와 일치관계를 이루지 못하고 술어의 명사류 부분에 일치된다고 여겨졌다. 또한 주어 술어 일치 관계의 부재라는 약점으로 인해 주어로서의 역할을 의심받고, 소사로 간주되기도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기존의 분석 방식의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명확한 문법 관계의 확립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그것을 위하여 먼저 이중주격문이란 무엇이며, 어떠한 구조적 특성을 지니는 가를 살펴보았다. 그와 함께 기존의 это был мой брат Иван과 같은 유형의 이중주격문에 대한 두 가지 입장을 살펴보면서 각각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에는 단순히 문법적이고 통사적인 접근 방법 뿐 아니라, 의미-논리적 방법도 이용하였다.
    그러한 분석을 토대로 하여 본 논문에서는 это был мой брат Иван과 같은 이중주격문에서 주어는 대명사인 это이며, 그것은 소사가 아니라 독립품사인 대명사로서 하나의 문장 성분을 구성함을 증명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통하여 대명사 это의 본질 문제에 접근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문장들의 비교를 통하여 대명사 это가 지시대명사 패러다임을 구성하는 중성형 это와는 다름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그러한 자질을 지닌 это는 외부 세계와의 교류를 통하여 자신의 자질을 부여받음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장 논란거리인 это의 일치 문제도 본 고에서 살펴본 이론적 바탕 하에서는 쉽게 해결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2년차: "통사 영역과 의미 선택의 문제"
    본 연구의 목적은 화자가 문장에서 자신의 의도를 실현하기 위해 어떻게 구체적인 어휘나 문법 형태를 선택하는가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그런데 화자의 의도를 밝힌다는 것은 상당히 추상적인 분야에 속하는 것이므로 연구의 편의와 명료성을 위하여, 여기서는 두 요소가 서로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예들을 분석 모델로 삼을 것이다. 즉, 러시아어 재귀-소유대명사와 인칭-소유대명사의 호환성과 관련한 문제이다.
    러시아어 재귀-소유대명사와 인칭-소유대명사는 자신의 의미 자질을 통해 화자의 선택을 유도하고, 발화를 통해 화자의 의지를 반영한다. 비록 그러한 의미 자질이 재귀-소유대명사와 인칭-소유대명사의 주요 의미 자질은 아닐지라도, 그것들이 화자의 선택을 강요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의미는 주요 의미가 아닌 부가적 의미로 불릴 수 있다. 부가적 의미란 재귀-소유대명사 본유의 재귀적 의미나 인칭-소유대명사의 소유주 지시 의미를 제외한, 화자의 의도에 따라 발화상에 나타나는 내재적 의미를 가리킨다. 그러한 부가적 의미로는 감정이입(empathy)의 유무와 배분적/집합적 의미를 들 수 있다.
    형태적으로 고유의 지시 의미를 갖지 못하는 재귀-소유대명사들은 문장 내에서 사용되면서 자신의 지시 대상을 우선적으로 획득하려 한다. 따라서 자신의 선행사와의 상호 관계 정립이 우선적으로 요구되며, 그러한 관계 정립을 통해 자신의 의미 자질을 실현하려 한다. 이렇게 자신의 의미 자질 실현 과정에서 선행사의 자질을 계승하려는 재귀-소유대명사에 비해, 상응하는 인칭-소유대명사들은 오히려 자신의 피 수식어에 의미를 집중한다. 이러한 의미 지향 방향의 차이로 인하여 이들의 부가적 의미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그것이 화자의 발화 의도에 반영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어 재귀-소유대명사와 인칭-소유대명사의 부가적 의미를 분류하고 그들의 발생원인을 의미지향성과 연관하여 설명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와 더불어 그들의 의미 지향 영역이 생성문법적 분석에 따른, 재귀-소유대명사의 결속 영역과 인칭-소유대명사의 비결속 영역이라는, 자신의 지배범주와 일치됨을 보여줌으로써 통사적 실현과 의미적 발현의 상관성을 증명할 것이다.

    3년차: "생략과 무동사문"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무동사문을 분류하고, 그들만의 고유한 통사 구조를 밝혀내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문장들과 변별되는 심층 기저 구조의 확립은 통사론적 연구 대상으로서의 무동사문의 위치를 확고히 해줄 것이다. 또한 그들의 의미론적, 문체론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의미론적, 화용론적 분석을 통하여 어휘 의미 외에 무동사문이 표현하는, 화자의 의도와 연관된 상황적, 맥락적 의미 또한 어느 정도는 파악될 수 있었다고 여겨진다. 그리고 그러한 분석들을 바탕으로 하여 무동사문에서 나타나는 의미와 구조간의 상관성에 관해서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영문
  • 1. <A Study of the Syntactic Properties of Russian Double Nominative Constructions>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the syntactic properties of russian double nominative constructions of the type «Eto byl moj brat Ivan» and the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he pronoun Eto. This type of sentence consists of a form of verb BE, a pronoun Eto and a noun phrase in the nominative case. The second chapter is devoted to definition of the ordinary russian double nominative constructions and the pronominal substantive Eto. The third chapter deals with the russian double nominative constructions, copular sentences in which the predicate nominal stands in the nominative case. A Minimalist program and cognitive and structural analysis are employed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in analyzing the syntactic and semantic structure of these constructions.

    2. <A Research of a Correlation between Syntactic Domain and Meaning Selection>
    This study addresses the correlation between syntactic domain and meaning selection. For this purpose the author analyzed the additional meanings of russian possessive pronouns.
    Russian possessive pronouns express empathy, distributive meaning and collectional meaning. (Empathy is the speaker's identification with a person/thing that participates in the event or state that he describes in a sentenc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aning nature of russian possessive pronouns and discusses how speaker decides a selection between personal-possessive pronoun and reflexive-possessive pronoun.
    Personal-possessive pronoun and reflexive-possessive pronoun stand in complementary relation for each other. It is due to the their meaning directivity.
    (1) a. Я бы не мог ударить мою жену. ⇒ [S ... [NP мою → (жену)]]
    b. Я бы не мог ударить свою жену. ⇒ [S (я) ← свою ]
    In the case of examples in (1.a) and (1.b), the difference in meaning directivity of pronouns is based on meaning properties of themselves. And schema for meaning directivity of russian pronouns looks like (2).
    (2) a. Head-oriented pronoun: [NP Personal-possessive pronoun → (Head)]
    b. Antecedent-oriented pronoun: [S (Antecedent) ← Reflexive-possessive pronoun]
    Their meaning directivity are hold the same syntactic structure with binding domain. Then the meaning representation has a strong correlation with syntactic structure.

    3. <A Study of a Ellipsis and Nonverbal Sentences in Russia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syntactic properties of russian ellipsis sentences and the russian nonverbal sentenc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어 문장의 통사 구조와 의미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심층적 연구를 위하여 각 연차별로 연구 주제를 정하고, 그에 따른 세부과제를 설정하였다.

    ● 1년차 연구 주제: 문장 내에서의 위치와 통사적 역할
    세부 과제: “이중주격문에서의 주어의 문제”
    ● 2년차 연구 주제: 문법적 선택과 의미의 관계
    세부 과제: “통사 영역과 의미 선택의 관계”
    ● 3년차 연구 주제: 부재의 역할과 기능
    세부 과제: “생략과 무동사문”

    각 연차별/주제별 세부 과제의 개략적 내용과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1년차 과제인 “이중주격문에서의 주어의 문제”에서는 Это был мой брат Иван과 같은 유형의 문장에서 발생하는, 어느 성분이 문장의 주어인가를 결정하는 문제와 관련이 있다. 과거 시제를 표현하는 быть가 등장하는 문장에서 быть는 술어 위치의 명사와 자신의 성을 일치시키고 있다. 그러한 것에 근거하여 일부 학자들은 그 명사를 주어로 보고, это를 소사로 간주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문장에서 это가 소사가 아니라 주어임을 밝히고, 그에 따른 это의 문법적 본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럼으로써 문장 내에서 일반적 의미에서의 주어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 더불어 это의 본질 파악과 술어성의 한 부분인 일치소의 문제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당초 연구계획에 따라 1년차 연구과제였던 “이중주격문에서 주어의 문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재단 등재후보지인 학술지 『언어와 언어학』에 게재하였으며, 그 연구를 토대로 대명사 это의 지시적 성격에 따른 문법적 요구(주어 술어 일치의 문제와 조격 술어 허용 여부)의 문제를 규명하고자 연구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 이 연구는 연구계획에 따른 본 연구를 진행해나가는 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한 주제로서, 문법과 의미의 상호 연관 관계를 밝히고자하는 본 과제의 대명제에 부합하는 것이며, 대명사 это의 본질을 밝히는 문제이기도 하다.
    2년차 과제인 “통사 영역과 의미 선택의 관계”에서는 문장의 표층 구조에 영향을 끼치는 화자의 의도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러시아어 재귀-소유대명사와 인칭-소유대명사의 호환성에 따른 의미 차이와 그러한 의미 실현과 관련된 통사적 영역의 특성을 상호 비교해 보았다. 그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문장 내에서 일정한 형태에 대한 화자의 선택은 우연적인 문제가 아니라 화자의 발화 의도가 반영된 문제임을 증명하고자 하였으며, 그러한 형태적 의미적 선택이 일어나는 기저에는 동시에 통사적 문제 또한 관련되어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주제에 대한 연구 논문은 재단 등재후보지인 학술지 『동유럽연구』에 게재하였다.
    소유대명사의 선택 문제와 더불어 부정문에서 나타나는 주어 및 보어의 문법적 형태, 즉 부정 생격의 적용 유무에 관한 문제 역시 통사적 영역과 연관하여 분석해 볼 수 있다. 그것을 통해 의미적, 형태적 특징의 발현이 통사적 영역과 관련되어 있음을 밝혀볼 것이다.
    3년차 과제인 “생략과 무동사문”에서는 러시아어 통사론에서 생략의 사용과 그를 통해 나타나는 무동사문의 통사 구조를 분석하고, 통사 구조 분석에서 더 나아가 그들이 지닌 문체적 가치와 의미 표현력에 대하여 알아볼 것이다. 무동사문의 통사 구조의 독자성을 인정하면서 우리는 통사 구조 분석에서 더 나아가 그들이 지닌 문체적 가치와 의미 표현력에 천착할 수 있을 것이다. 문장 내에 어떠한 성분이 결핍되어 있고, 그것이 화자의 의도적인 발화 행위에서 비롯되었다면, 그러한 발화 행위 내에는 어떠한 목적이 존재할 것이다. 문장이란 기본적으로 화자의 의미 표현 욕구로부터 발생하는 것이고, 그 욕구 속에는 현실 세계에 대한 화자의 태도와 인식이 깃들어 있기 때문이다.
    그와 같은 견지에서,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무동사문을 분류하고, 그들만의 고유한 통사 구조를 밝혀내고자 한다. 다른 문장들과 변별되는 심층 기저 구조의 확립은 통사론적 연구 대상으로서의 무동사문의 위치를 확고히 해줄 것이다. 또한 그들의 의미론적, 문체론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의미론적, 화용론적 분석을 통하여 어휘 의미 외에 무동사문이 표현하는, 화자의 의도와 연관된 상황적, 맥락적 의미 또한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분석들을 바탕으로 하여 무동사문에서 나타나는 의미와 구조간의 상관성에 관해서도 알아보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다양한 주제에 대한 종합적 연구를 통하여 언어의 작용 원리를 규명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각각의 과제들은 그 자체만으로도 하나의 연구 대상이 될만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러한 다양한 과제들을 "통사 구조와 의미의 상관관계"라는 하나의 대주제하에 포괄하려고 한 본 연구는, 따라서 각각의 주제 자체에 대한 통사론적, 의미론적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문장은 언어생활에서의 사용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화용론적 가치 또한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문장의 통사 구조 파악을 위하여 최소주의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최소주의는 언어의 본질 파악을 위한 언어능력 연구라는 생성문법의 입장은 그대로 고수하면서도 과거 생성문법 이론들의 단점을 상당히 보강하였다. 따라서 연구 자료로서의 문장에 대한 최소주의적 분석은 순수 통사론적 입장에서 러시아어 문장의 통사 구조 파악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분석과 연구는 보편 문법이라고 하는 생성문법의 궁극의 목표인, 인간의 언어능력에 대한 연구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중주격문에서 다루게 될 일치소와 술어성의 문제는 통사론 전반을 관통하는 대단히 중요한 주제로서, 그에 대한 연구는 러시아 언어학 뿐 아니라, 일반 언어학적 연구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어휘 및 형태 선택과 관련된 통사 영역의 개념 설정 또한 문장의 통사적 분석에 기능적 요소를 가미하는 보다 세련된 문장 분석 기법으로 발전될 수 있다.
    연구를 하며 얻어진 다양한 종류의 문장들의 의미에 관한 연구는 러시아어 학습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각 문장의 의미에 관한 연구에서는 문장을 구성하는 어휘들의 의미 파악을 통한 의미 해석 외에도, 그러한 문장이 어느 경우에 발화되는가에 관한 연구도 병행하고자 하였다. 모국어 화자들의 다양한 발화 사례 분석을 통한 러시아어 문장들의 상황 의미 파악은 외국어로서 러시아어를 학습하는 사람들에게 올바른 지침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즉, 해당 문장에 대한 의미론적, 화용론적 분석은 단순히 상황에 따른 문장 사용의 예일 뿐 아니라, 러시아어 학습자에게는 올바른 러시아어 표현의 토대로 작용할 것이다.
    순수 통사 구조와 문장의 의미라는 각각의 연구 내용을 토대로 문장의 의미와 구조간의 상호 연관성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렇게 통사 구조에 따른 유형적 의미와 각 구조에 따른 의미 차이의 기준을 세움은 통사론적 분류뿐만 아니라 외국어 교수법에 있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러시아어, 이중주격문, 주어, 소사, 대명사, 재귀-소유대명사, 재귀-인칭대명사, 감정이입, 분배적 의미, 결속, 최소주의, 생략, 무동사문, 통사적 분포, 의미, 맥락적 의미, 주격, 집합적 의미, 결속 영역,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