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제주방언의 운율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전문연구인력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5-075-A00059
선정년도 2005 년
연구기간 2 년 (2006년 02월 01일 ~ 2008년 01월 31일)
연구책임자 고영림
연구수행기관 제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중단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인간의 의사소통과 관련한 발화행위에 대한 관찰과 분석을 통해 음성의 특징을 해명하는 음성학은 청각적인 인상을 객관적 방법으로 연구하는 분야이다. 음성학적 연구 방법은 언어의 음성구조와 그 구성요소를 정확하게 규명하기 위해 음성의 특징을 정량적으로 조사하는 인간 음성에 대한 기초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음성언어에 대한 연구는 1990년대 이후 공학적, 의학적 관점뿐만 아니라 언어학, 실험음성학, 심리학 등 학제 간 연구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점점 강해지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경향은 인간의 음성언어의 복합성을 다차원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필요성과 함께 실험음성학적 연구 방법 또한 획기적으로 발전하여 음성언어 분석용 컴퓨터 프로그램(PCquirer, CSL(Computerized Speech Lab)등)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실험음성학 연구를 가속화하고 있다.
    연구자는 선행 연구에서 제주지역의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제주방언의 분절음(자음과 모음)의 음향적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면서 제주방언 운율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한 바 있다. 급속한 산업화와 매스컴 및 인터넷의 발달로 제주방언을 구사하는 인구가 점점 감소하고 있는 현실에서, 제주 방언에 대한 언어학적 연구는 더욱 시급한 시점일 뿐만 아니라 실제 방언이 실현되는 모습을 녹음하고 기록하는 현지조사 연구 즉 음성학적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실험음성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제주방언에 나타난 운율의 특징과 기능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연구 목적으로 삼는다. 이러한 목적에 의거하여 제주지역에서 출생하여 제주지역에서 거주하고 있는 인포먼트가 발화하는 음성언어를 현지조사를 통해 녹음하고, 녹음한 음성자료를 음향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운율 변수별로 분석하여 제주방언 운율의 제 양상과 기능을 기술하고 해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제주방언이 실생활에서 실현되는 모습을 음성자료로 구축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전체적으로 조명한 제주방언 운율의 기본 패턴(억양, 액센트, 리듬)을 정립하는 의미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제주방언은 국어의 변천과정 연구에 필요한 모습들을 매우 뚜렷하게 보존하고 있기 때문에 역사언어학적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자료체이기도하다. 제주방언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음운론, 형태․통사론, 어휘․의미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 많은 성과가 축적되어 왔다. 특히 ‘․’ 모음에 대한 연구, 통시적 관점에서 고찰한 음운변화 연구, 타지방 방언과 다른 형태의 어휘 연구, 독특한 어미변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현지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과 논의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제주방언의 기존 연구 결과가 기여한 바가 크지만, 대부분의 선행 연구는 연구자가 청취하여 전사하거나 설문조사에 의하여 어휘 및 음소를 정리하는 이론적 연구에 집중되어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이러한 선행 연구 성과와 비교하여 볼 때 제주방언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현실이다. 따라서 음성언어에 대한 객관적 기술을 요하는 실험음성학적 연구는 제주방언 연구의 균형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주방언 음성의 가치와 보존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제주 방언의 현황 파악과 함께 방언 구사 인구의 감소에 대한 문제의식 및 그 원인에 대한 탐구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과정과 그 결과를 지역거점대학인 oo대학교의 <oooo연구소>의 정기세미나를 통해 발표함으로써 제주지역 학생들에게 제주방언 연구의 필요성과 방언 보존을 통한 정체성 유지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효과를 꾀할 수 있을 것이다.
  • 기대효과
  • 첫째, 본 연구결과는 제주 방언 연구 방법의 다양화를 추구함으로써 후속 연구자들에게 제주방언의 실험음성학적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둘째, 방언음성의 표준음성정립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음성자동처리(음성합성/음성인식)분야에 필요한 학제 간 연구 기반을 제공한다.
    셋째, 제주방언을 구사하는 사람들의 언어장애연구 및 재활치료에 필요한 표준음성모델을 제시하여 언어병리학적으로 응용 가능한 자료로 제공한다.
    넷째, 제주방언지역 내 거점대학의 연구소의 중심연구과제로 지속하여 제주학 연구발전에 기여한다.
    다섯째, 연구 결과를 지역 언론과 제주지역 중등교육과 대학교육 현장에서 발표함으로써 제주지역의 학생들에게 현재 제주방언의 모습과 현황을 보여주고 방언의 정체성을 유지하도록 도모하여 지역민들에게 방언음성을 지역의 문화․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인식시킨다.
    여섯째, 현지 조사를 통해 녹음하고 전사한 내용을 제주방언을 구사하는 화자들(제주방언을 구사하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부모)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청취테스트 통해 제주방언 연구가 연구자 집단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제주방언 화자들의 참여를 통해 완성된다는 사실을 인식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 연구요약
  • <연구의 범위>
    제주방언 운율에 대한 실함음성학적 선행 연구를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본 연구는 공시태적 관점에서 제주지역 내에서 적어도 2-3대 이상 현거주지에서 거주하고 있는 인포먼트와 재일 제주출신 인포먼트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음성을 녹음하여 연구한다. 제주지역 내에서의 녹음은 행정구획에 따라 제주시, 서귀포시, 북제주군의 한림읍, 애월읍, 조천읍, 구좌읍, 그리고 남제주군의 대정읍, 남원읍, 성산읍에서 실행함으로써 제주도 전역의 인포먼트를 대상으로 한 음성자료를 확보한다. 재일 제주출신 인포먼트의 경우, 오사카의 재일제주인 밀집지역을 현지 방문하여 이주 당시 언어형을 보존하고 있는 제주방언 화자 1세들을 대상으로 조사 및 녹음한다.
    <녹음대상 인포먼트>
    ①60대 이상 인포먼트 (남녀 각 50명)
    재일제주인 인포먼트 (고령층과 중년층 남녀 각 50명)
    ②40대~50대 인포먼트 (남녀 각 50명)
    ③20대~30대 인포먼트 (남녀 각 50명)
    <방언발화상황>
    ①낭독상황-연구자가 제시하는 문장 낭독 상황
    (서술문, 가-부의문문, 의문사의문문, 부가의문문, 강조문, 명령문, 감탄문, 열거문)
    ②대화상황-연구자와 인포먼트 간 대화 상황 / 2명의 인포먼트 간 대화 상황 (일상적 대화)
    ③서술상황-일정한 주제에 대한 인포먼트의 서술
    (날씨, 일상, 노동, 가족관계 등 인포먼트의 관심사)
    <청취테스트>
    음향 분석을 실행하기에 앞서, 현지 조사를 통해 녹음하고 전사한 내용을 제주방언을 구사하는 화자들(제주방언을 구사하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부모)을 대상으로 하여 운율변수가 청각적으로 어떻게 인지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인 청취테스트를 실시한다.
    <음향분석>
    운율의 기본 세 변수인 길이 변수(duration), 높낮이 변수(pitch), 세기 변수(intensity)의 값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연구를 진행한다.
    ① 길이 변수(단위 ms)는 분절음(자음, 모음)과 음절의 값을, 높낮이 변수(단위 Hz)와 세기 변수(단위 dB)는 모음과 유성자음의 값을 구한다.
    ② 각 운율변수 별로 구한 값을 언술 구성과 대비하여 그 역할을 기술한다.
    ③ 언술의 문장 구성과 대비하여 각 운율변수의 역할 및 운율변수 간 상관관계에 따라 리듬 패턴, 액센트 패턴, 억양 패턴을 수립한다.
    ④ 각 세대별 특징적 리듬 패턴, 액센트 패턴, 억양 패턴을 수립한다.
    ⑤ 각 담화상황별 특징적 리듬 패턴, 액센트 패턴, 억양 패턴을 수립한다.
    ⑥ 세대간 차이와 담화상황간 차이에 따른 운율 패턴의 변이성을 기술하고 변이성의 원인을 해석한다.
    ⑦ 일본거주 제주출신 고령자 인포먼트와 제주거주 고령자 인포먼트 간 결과를 비교하여 제주 방언 운율의 공시태적 변화 양상에 대해 해석한다.
    ⑧ 제주 방언 운율의 기본 모델을 수립한다.
  • 한글키워드
  • 음성공학,리듬패턴,높낮이변수,길이변수,현지조사,인포먼트,음절,음향분석,청취테스트,억양패턴,액센트패턴,재일제주인,세기변수,음성의학.,운율,제주방언,실험음성학,방언학
  • 영문키워드
  • dialectology,experimental phonetic,prosody,Cheju dialect,rhythm pattern,intonation pattern,acoustic analysis,informant,communication discorder.,speech engenieering,intensity,pitch,duration,field work,syllable,perception test,accent patter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제주방언의 운율을 실험음성학적 방법으로 조명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제주지역에 거주하면서 제주방언을 구사하는 3세대의 화자 즉 60대 이상의 고령화자, 40대~50대의 중년화자, 20대~30대의 청년화자를 인포먼트로 하여 제주방언을 실현할 때 나타나는 운율변수의 양상들을 기술하고 해석하였다. 제주방언 고유의 운율패턴들이 실현되는 양상을 관찰하고 분석하기 위해 제주도 전 지역의 남녀 인포먼트를 방문하여 인터뷰하였고, 인포먼트들이 발화한 낭독담화, 대화담화, 서술담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 세 담화에 나타난 운율변수를 실험음성학적방법(PCquirer Vers.6.0)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값을 구한 후, 운율변수(말높이변수, 말길이변수)의 값에 의거하여 나타난 운율패턴(억양패턴, 리듬패턴)을 유형별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고령, 중년, 청년 화자의 운율이 낭독, 대화, 서술담화에 나타난 변이성을 공시태적 관점에서의 해석을 시도한 의미있는 작업으로. 제주도민과 학생들의 방언 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토대로 하여 향후 제주방언의 전형적인 운율패턴들을 종합적으로 제시하고 더 나아가서는 제주방언의 운율모델을 정립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 영문
  •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Cheju Dialect Prosody are analysed and describes by experimental phonetic method(PCquirer 6.0 vers.). 3 types of informants (more than 60s, 40s~50s, 20s~30s) living in Cheju island and speaking Cheju Dialect have recorded 3 types of discourses(reading, conversation, description) for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ir prosodic variables, pitch and duration. By divers aspects of variation of these 2 variables, typical intonation patterns and rhythm patterns of Cheju Dialect are proposed as prosodic models of Cheju Dialec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of proposition of prosodic patterns of Cheju Dialect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heju Dialect research and edu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제주방언은 국어의 변천과정 연구에 필요한 모습들을 매우 뚜렷하게 보존하고 있기 때문에 역사언어학적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자료체이기도하다. 제주방언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음운론, 형태·통사론, 어휘·의미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 많은 성과가 축적되어 왔다. 특히 ‘·’ 모음에 대한 연구, 통시적 관점에서 고찰한 음운변화 연구, 타지방 방언과 다른 형태의 어휘 연구, 독특한 어미변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현지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과 논의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제주방언의 기존 연구 결과가 기여한 바가 크지만, 대부분의 선행 연구는 연구자가 청취하여 전사하거나 설문조사에 의하여 어휘 및 음소를 정리하는 이론적 연구에 집중되어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이러한 선행 연구 성과와 비교하여 볼 때 제주방언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현실이다. 따라서 음성언어에 대한 객관적 기술을 요하는 실험음성학적 연구는 제주방언 연구의 균형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주방언 음성의 가치와 보존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제주방언 운율 전반에 관한 패턴을 수립하기 위하여 제주 전역의 인포먼트를 대상으로 현지 조사를 실시하고 녹음한 담화에 대해 실험음성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운율변수를 분석한다. 음성음향분석용 프로그램인 PCquirer (ver.6.0)을 사용하여 운율변수들을 분석함으로써 제주방언 운율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제주지역에서 2~3대 이상 거주해온 인포먼트를 대상으로 낭독담화, 대화담화, 서술담화를 실현하고, 이 세 유형의 담화를 통하여 나타나는 제주방언 특유의 운율패턴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말높이(pitch), 말길이(duration), 말세기(intensity) 변수의 값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후 언술 내에서 실현되는 다양한 양상들을 해석하여 억양, 리듬 및 액센트 패턴을 제시하기로 한다. 1차년도는 60대 이상 고령화자, 2차년도는 40~50대 중년화자와 20~30대 청년화자를 대상으로 한 현지조사와 운율변수에 대한 음향 분석을 수행하기로 한다. 3차년도는 1차년도와 2차년도의 연구결과를 종합함으로써 세대별 차이와 담화별 차이에 따라 나타나는 제주방언 특유의 운율 패턴들의 다양성과 변이성을 공시태적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차년도에는 제주지역 60대 이상 인포먼트를 대상으로 운율의 기본 3변수를 분석하여 리듬 및 액센트 패턴과 억양 패턴을 관찰하고 분석하기 위해 제주도 12개의 행정구역(시·읍·면)에서 남성화자 36명과 여성화자 77명, 총 113명을 인포먼트로 하여 녹음을 실시하였다. 녹음한 담화는 낭독담화, 대화담화, 서술담화이고 이 세 담화 유형별로 운율변수를 실험음석학적방법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운율변수들의 값에 의거하여 운율패턴을 유형별로 (억양패턴, 리듬 및 엑센트패턴) 제시하였다.
    2차년도에는 1차년도의 분석 대상인 60대 이상의 고령화자들의 제주방언에 나타난 운율변수의 특징과 비교하기 위한 후속 단계로써 40대~50대 중년화자와 20대~30대 청년화자, 총 195명이 제주방언을 실현할 때 나타나는 운율변수의 양상들을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낭독담화, 대화담화, 서술담화로 분류한 음성자료를 녹음한 후 제주방언의 구사하는 중년화자와 청년화자의 담화에 나타난 3개 운율변수들의 양상들을 관찰함으로써 각 세대별로 운율이 실현되는 전체적인 경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경향을 통해서 연구 대상인 두 세대에 나타나는 제주방언의 억양패턴, 리듬 및 액센트 패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고령, 중년, 청년 화자의 운율이 낭독, 대화, 서술담화에 나타난 변이성을 공시태적 관점에서 해석을 시도할 수 있는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일 뿐만 아니라. 제주도민과 학생들의 방언 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주방언의 전형적인 운율패턴들을 종합적으로 제시하고 더 나아가서는 제주방언의 운율모델로 정립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 색인어
  • 제주방언, 방언학, 현지조사, 실험음성학, 문장유형, 담화유형, 낭독담화, 대화담화, 서술담화, 가부의문문, 의문사의문문, 명령문, 감탄문, 열거문, 부가의문문, 고령화자, 중년화자, 청년화자, 억양패턴, 리듬패턴, 액센트패턴,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