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글, 한자의 이중문자 처리자의 문어처리 기제에 대한 연구: 한글, 한자 혼용에 대한 언어심리학적 근거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전문연구인력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5-075-A00054
선정년도 2005 년
연구기간 3 년 (2006년 01월 20일 ~ 2009년 01월 19일)
연구책임자 윤혜경
연구수행기관 인제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우리나라에서는 한글이 발명되기 전에는 한자 또는 이를 변형한 이두가 사용되어 역사적으로 한글표기체계와 한자표기체계 두 가지를 병행해 왔다. 그런데 지난 수십 년간 한글전용  한자사용에 대한 논의가 끊이지 않았다. 한자사용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한글만 사용할 경우 많은 어휘혼란이 있게 된다는 것이며 근본적으로 한글 단어의 60%이상이 한자어이기 때문에 우리글이 한자에 의존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주장한다. 무엇보다도 한자는 표의문자로 바로 의미를 전달하므로 문장이해가 용이하다고 주장하며 한자의 의미 축약력, 간결성 등과 같은 장점을 강조하는 것이다. 반면에 한글 전용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한자는 발음정보가 부재하여 문자의 시각-청각 대응을 어렵게 하며 한자병용론자들이 주장하는 어휘혼돈문제는 문맥에 의해 구분이 된다고 반박한다. 또한 우리말의 60% 이상이 한자어라는 것 자체가 우리말이 전적으로 우리 한글에 의존해야하는 이유가 된다는 것이다. 물론 무엇보다도 한글의 수월성(편리성) 즉 쓰기도 편하고, 읽기도 편하고, 간단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한글전용, 한글-한자 병용, 혼용 등의 문제를 논하기 위해서는 한글이나 한자의 문자처리 특성과 두 문자가 우리의 언어와 인지처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과학적으로 검토하고 이 두 문자처리의 상대적 효율성을 검토한 후에 이 문제에 대한 과학적 근거에 기초한 구체적인 논의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심성어휘집은 우리의 인지체계(cognitive system) 내에 있어서 외부에서 들어오는 문자들의 의미를 해석하는 마음 속에 있는 사전으로서 이 사전은 언어획득의 과정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심성어휘집은 그거 어떤 언어적 환경을 거쳐 왔느냐 하는 것에 의해서 각각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국한문 혼용세대와 한글 전용세대가 공존하고 있지만 이들의 인지체계 속에 존재하는 심성어휘집의 구성이 다르고 그곳에 접근하는 통로 또한 달라서 한글과 한자의 이해과정이 사람에 따라서 다르다. 한글전용세대와 국한문 혼용세대간의 논의가 합의점으로 수렴하지 못하고 평행선을 달리는 것은 심성어휘집의 상이성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글-한자처리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연구는 매우 드문 편이며 따라서 한자표기단어나 한자가 들어간 문장처리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거의 없다. 영어나 한글 문장이해과정에 대한 연구는 매우 활발하지만 한자단어나 문장에 관한 연구들은 적은 편이며 또한 그러한 자료가 있다 하더라도 이것은 한국인의 한자나 한자가 들어간 문장이해과정 혹은 우리의 한글한자의 사용문제에 대한 답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한국 사람들은 한자표기에 대해서 한글표기와 동일한 음운표상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에서와 다른 발음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한자와 한글을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에서는 이에 대한 실험연구가 실제로 어려운 상황이다. 그 이유는 중년기 이후의 사람들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한국학생들은 한글에는 매우 능숙하지만 한자는 읽는 것조차 어려워 한자 읽기나 기억, 처리과정이나 한자와 한글처리의 상대적인 효과 등을 검토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요즈음의 한글 한자 혼용문제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한자, 한글의 두 문자를 읽고 이해하는 것이 가능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문어 처리과정에 대한 수행을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한글과 한자 중 어떤 문자형태가 더 기억하기 쉬울까, 한글문장, 한자문장 중 어느 것이 더 읽기 쉬울까, 어떤 형태의 문장이 이해하기 용이할까, 한글과 한자의 혼합문은 한글문장, 한자문장 보다 읽기에 용이할 것인가. 이러한 여러 가지가 한글 , 한자의 사용능력정도나 한자세대, 한글세대에 따라서 다를 것인지 등이 실제적인 궁금증이다. 이러한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한글, 한자를 모두 읽을 수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글, 한자표기의 단어나 문장의 문어처리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한글, 한자처리가 모두 가능하므로 동일한 내용을 한글이나 한자로 제시하고 문자수행을 검토함으로서 표기체계가 상이한 두 문자 즉, 표음문자인 한글, 표의문자인 한자의 문어처리 특성을 밝히고 이 두 문자처리의 상대적 효율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이중 문자처리자들의 한글, 한자의 상대적인 사용 능력의 수준에 따라서 두 문자의 처리가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밝혀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우리의 한자와 한글의 혼용 혹은 병용의 문제에 대한 무비판적인 찬성 혹은 반대가 아닌 실증적인 연구결과에 기초한 한글, 한자의 사용방안에 대한 합리적인 제언을 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한글, 한자의 두 문자를 읽고 이해하는 것이 가능한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두 문자의 처리, 두 문자처리의 상호작용 양상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일련의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로부터 기대되는 효과는 크게 이론적인 면과 실용적인 면의 두 가지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본 연구에 따른 이론적인 기대효과는 언어학적 보편성, 특수성에 대한 수렴적 증거를 얻고자 한다. 이 세상에는 많은 언어가 존재하며 또한 많은 문자체계가 이 언어를 나타내고 있다. 문자체계는 크게 표의문자, 표음문자로 대별된다. 한글은 대표적인 표음문자이며 한자는 대표적인 표의문자이다. 본 연구에는 중국어, 한국어의 두 언어에 대해서 동등하게 모국어 수준의 능력을 가징 소위 균형잡힌 이중언어자(well balanced bilingual)들로부터 자료를 얻음으로서 두 문자처리의 특성을 알고 이로부터 상대적인 문자처리의 용이성, 효율성을 검토함으로서 이론적으로 언어처리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본 연구에서는 한글, 한자를 모두 읽고 이해하는 정도나 수준이 다양한 여러 연령이나 집단을 대상으로 한글과 한자처리 양상을 검토하고 또한 한글, 한자의 두 문자처리의 상호작용 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즉 한글과 한자로 된 단어나 문장에 대한 기억이나 읽기수행과 이해과정 등을 검토하고 또한 한글과 한자 혼용문에서 한 문자처리에 다른 문자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문어처리 측면들이 피험자들의 연령에 따른 한글세대, 한자세대의 언어교육적 환경특성, 한자를 아는 정도 등에 따라서 상이한 결과를 보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우리의 한글 한자의 사용문제 즉 한글 전용, 한글-한자 병용, 혼용 등의 교육정책을 위한 과학적인 근거를 제공하고 아동을 위한 한자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는 실용적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서 우리나라 어문교육의 과학화 및 현재 우리나라에서 점차 논의가 확산되고 있는 또다른 이중언어인 영어의 조기교육의 문제에도 과학적인 논의의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문장처리에 대한 정보처리 모델에 입각하여 한글과 한자의 이중문자처리자들의 한자, 한글표기의 문어처리과정에서 다음의 몇 가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첫째, 이중문자처리자들의 한글과 한자표기 단어의 기억 수행을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단어는 문장의 구성요소로서 문장을 읽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부분이 단어처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동일한 의미의 단어를 한글로 혹은 한자형태로 시각적 제시하였을 때 어떤 형태의 문자가 기억수행이 용이할 것이지 보고자 한다. 또한 소리를 나타내는 한글과는 달리 의미를 나타내는 한자의 기억수행에서 의미가 기억단서로서 어떠한 역할을 할 것이지 보고자 한다. 둘째, 이중문자처리자들의 한글, 한자 단어의 재인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이중문자처리자는 두 문자언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한 문자의 처리는 다른 문자처리체계와 어떤 식으로든 관련되어져 있기 때문에 두 문자처리 간의 상호작용양상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단어 음독수행이나 어휘판단에 미치는 점화효과 등을 검토하고자 한다. 셋째, 한글, 한자 문장의 이해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글 읽기의 궁극적인 목적은 이해에 있다. 본 연구는 개별 단어의 해독과 재인을 넘어서 단어들의 모임인 문장, 문장들의 모임인 덩이글(text, paragraph)을 읽고 이해하는 과정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한글, 한자 혹은 한글, 한자가 혼합되어 있는 문장을 읽고 명제표상을 하고 의미를 파악하는 정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문장 읽기과제수행을 통하여 전체적인 처리속도를 검토하고 또한 문장-그림 대응과제 수행을 통하여 문장에서의 명제형성을 검토하며 언어추론과제 수행을 통하여 덩이글에서의 언어추론 정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문어처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언어처리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한글, 한자의 문어처리가 가능한 여러 집단을 연구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우선 한국어, 중국어의 두 언어에 대한 이중언어능력을 가진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화교와 중국에 거주하는 중국 조선족으로서 이들은 중국어, 한국어의 구어능력 뿐 아니라 한글, 한자에 대해서도 동등한 수준의 능력을 가지고 있는 소위 균형 잡힌 이중언어능력자(well-balanced bilinguals)들이다. 두 번째 피험집단은 한국어를 모국어이며 중국어는 모르지만 한글과 한자를 읽는 것이 가능한 한국인들로서 이들은 이중문자처리자들이다. 한자문화 세대에 살았던 현재 65-75세 정도의 고연령층과 한자문화세대는 아니지만 현재 중문과에 재학하거나 한자능력 검정시험에서 높은 수준을 성취한 청소년들과 같은 한자 처리가 능숙한 대상도 연구대상으로 포함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연구주제 뿐만 아니라 연구대상 집단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년도 별 계획을 하고 있다. 1차년도 연구에는 이중언어자(화교)의 한글, 한자표기 단어의 기억 연구와 한국인 한글세대, 한자세대 피험자 대상의 한글, 한자표기 단어 기억연구를 하며 2차년도 연구에는 중국 조선족의 한글, 한자 단어, 문장 음독과제 수행 연구, 화교 대상의 한글, 한자 단어, 문장 음독과제 수행 연구 그리고 한국인 한글세대, 한자세대 피험자 대상의 한글, 한자 단어, 문장 음독수행 연구, 그리고 문장이해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마지막 3차년도 연구에는 중국 조선족 소학교 5학년 학생과 대학생 대상의 점화효과를 통한 단어재인연구, 화교 대상의 점화효과를 통한 단어재인연구 그리고 한국인 한글세대, 한자세대 피험자 대상의 점화효과를 통한 단어재인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글, 한자처리가 모두 가능하므로 동일한 내용을 한글이나 한자로 제시하고
    문자수행을 검토함으로서 표기체계가 상이한 두 문자 즉, 표음문자인 한글, 표의문자인 한
    자의 문어처리 특성을 밝히고 이 두 문자처리의 상대적 효율성을 검토함으로써 이론적인
    면에서 언어학심리학적 의의를 지닐 것이다. 뿐만아니라 이중 문자처리자들의 한글, 한자의
    상대적인 사용능력의 수준에 따라서 두 문자의 처리 양상과 두 문자처리가 어떻게 상호작
    용하는지 밝혀봄으로써 우리나라의 시급한 당면문제인 한자와 한글의 혼용 혹은 병용의
    문제에 대한 무비판적인 찬성 혹은 반대가 아닌 실증적인 연구 결과에 기초한 한글, 한자의
    사용방안에 대한 합리적인 제언을 할 수 있을 것이며 더나아가서 하는 실용적인 기여도 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한글처리,한자처리,이중언어자,한글세대,한글-한자혼용 문제,덩이글추론과제,덩이글 이해,문장-그림대응과제,문장읽기과제,반복점화효과,점화효과,어휘접근후 음운부호,점화단어,어휘판단과제,단어음독과제,어휘접근전 음운부호,문어처리과정,어휘접근,의미부호,음운부호,철자부호,심성어휘집,시각적 단어재인과정,동족어휘군효과,기억책략,한자세대 ,표적단어,한글기억. 한자기억,단어기억,화교,중국조선족,군형잡힌 이중언어자
  • 영문키워드
  • repetition priming effect,priming effect,Lexical Decision Task,Word Reading task,pre-lexical access phonological code,written language processing, ,mixed usage of Hangul-Hanja,mental lexicon,visual word recognition process,memory strategy,word memory,Chinese-Korean,Korean-Chinese,bilingual,Korean-Hangul processing,post-lexical access phonological code,lexical access,Sentence Reading Task,Sentence-Picture Correspondence Task,Text Inference Task,text comprehens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연구1: 본 연구는 중국어와 한국어의 두 언어를 동등한 모국어 수준으로 사용하는 조선족 5학년 아동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두 언어의 문자처리능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우선 동일한 의미를 가진 한자어의 한글단어, 한자단어 그리고 순한글단어를 제시하여 음독하도록 하고 이에 소요되는 반응시간을 살펴보았다. 순한글 이든 한자어 한글이든 한글형태는 한자형태보다 음독시 소요되는 반응시간이 짧았다. 음독과제는 발음생성을 요하므로 한글이 한자보다 문자-발음의 대응관계인 표음심도가 더 얕기 때문에 이 규칙을 더 용이하게 적용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일련의 단어들로 구성된 문장에 대한 음독에서도 단일 단어음독시와 마찬가지로 한글문장이 한자문장 보다 음독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았다. 단어처리와는 달리 문장 처리시 각 단어를 읽어가면서 문장 전체의 표상이 형성되는 의미처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문장 음독 시에는 단어 음독시 보다 심성어휘집에 접근하여 개개 단어의 의미와 그 발음정보를 인출하게 될 수 있고, 이런 경우 한글 문장을 음독할 때 보다는 한자 문장을 음독할 때 발음이 용이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실험 결과는 이와 반대로 한글문장보다는 한자문장 음독 시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연구2: 이중언어능력의 중국 조선족들의 한글, 한자 혹은 한글한자혼합 문장의 기본적인 의미인 명제형성에 관심을 두었다 . 피험자는 조선족 10세 아동과 대학생이었다. 또한 중국 한족도 참여하였다. 결과를 보면, 첫째, 문장-그림대응과제에서 문장 읽기시간을 보면 중국 조선족들이 한글이나 한글이 포함된 한글ㆍ한자혼합문장을 읽는데 한자문장보다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였다. 둘째. 문장-그림대응과제에서의 정반응율은 한글, 한자 혹은 한글한자의 혼합 형태에 관계없이 동일하였으며 단지 피험자의 연령에 따라서 수행수준이 달라졌다, 즉 중국 한족이든 조선족 이든 10세 연령에서는 .6 정도의 수행을, 19세 대학생들은 ,8 정도의 정반응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명제가 최소의 의미 단위로서 문장의 구체적인 특징보다는 문장이 나타내고자 하는 추상적인 의미정보들을 표상하게 되므로 문장의 형태보다는 피험자의 연령에 따른 인지능력 수준이 명제표상 능력을 좌우하는 가장 큰 요인이 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3: 중국어, 한국어의 언어적, 표기적 특성의 차이는 단순문장 이해나 문장이 특정한 주장이나 내용을 중심으로 모인 덩이글 이해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동일의미의 덩이글의 표기형태를 달리하였을 때 읽고 이해하는데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중국 심양 조선족 소학교 10세와 대학생 19세 각각 52명이었다. 또한 중국 한족 10세, 19세도 참여하였다. 일련의 문장으로 구성된 덩이글 이해과제가 사용되었다. 결과를 보면 덩이글 읽기시간은 한자문 덩이글에서 한글 혹은 한글한자 혼합문 덩이글보다 빨랐다. 둘째. 정반응율은 한글 덩이글에서 가장 높았다. 특히 19세들은 한글 덩이글에서 .710으로 한자(.476), 한글ㆍ한자의 혼합(.550) 덩이글보다 높은 수행을 보였다. 더욱이 중국 한족 19세의 한자 덩이글 이해의 정반응율도 .473으로 조선족과 동일하였다. 이것은 한글문 덩이글에서 문장들 간의 관계형성이 한자문 덩이글보다 용이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세번째, 한글덩이글과 한자덩이글 읽기시간에 차이가 없는 19세 조선족들이 한글한자 혼합문 덩이글 읽기시간에서 한글덩이글 보다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였고 이해 정반응율도 더 낮았다. 비록 중국어, 한국어의 두 언어를 동등한 모국어 수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하더라도 혼합문 덩이글을 이해하는데 두 문자체계가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져서 한 문자처리체계에서 다른 문자처리 체계로의 변환과정이 관여되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 영문
  • 연구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reading time of word and sentence reading in Korean script, Hangul and Chinese script Hanja. The Korean-Chinese subjects, 5th grade and University student were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because of his/her bilingual ability. The results of word reading task was that Hangul reading was faster than Hanja reading in both ages, which due to the orthographic depth hypothesis. The spelling-sound correspondence is more regular in Hangul than in Hanja, so the sound construction is more easier in Hangul than in Hanja. In the the result of the sentence reading task, we could see the Hangul sentence reading was also fast than Hanja sentence and mixed sentence (Hangul and Hanja). And in Mixed sentence, reading time was longer than other type sentence.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the process of Hangul and Hanja reading in bilingual Korean-Chinese.

    연구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sentence comprehension, especially the propositional representation of sentence in Korean script, Hangul and Chinese script Hanja. The sentence-picture matching tasks developed for the notebook computer using Super-lab program were used to measure automatically reading time and the correct response rate. One hundred and three Korean-Chinese bilingual subjects who were either 5th graders or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ading time of Hanja sentence was shorter than that of Hangul or Hangul  Hanja sentence in both ages. This result was interpreted as the effect of immediacy of meaning in Hanja script. But correct response rates in the matching tasks were the same regardless of the script types in both ages. It means that the ability of sentence comprehension, especially the propositional representation in a sentence is almost same in Hangul, Hanja and Hangul  Hanja sentence in both ages. It differs only depends on the age.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abstraction of meaning which was the nature of a propositional representation in a sentence and the comprehension process of Hangul and Hanja sentence in bilingual Korean-Chinese.

    연구3: This study focused on the comprehension of texts written either in Korean script(Hangul) or Chinese script(Hanja). For this purpose, we measured the reading time and the correct response in text comprehension tasks with 104 Korean-Chinese children who were either 10 or 19 years old. There was a main effect of script: The reading time of Hanja texts was shorter than that of Hangul or Hangul  Hanja mixed texts. But older subjects who spent the same reading time in both Hangul and Hanja texts showed the longer reading time in Hangul  Hanja mixed texts revealing the interaction between age and script. The correct response rate on the comprehension task was the highest in Hangul text.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independent dual language processing systems in Korean-Chines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지난 수십 년간 한글전용 한자사용에 대한 논의가 끊이지 않았다. 이러한 한글 한자의 사용문제 즉 한글 전용, 한글-한자 병용, 혼용 등의 문제를 논하기 위해서는 한글이나 한자의 문자처리 특성과 두 문자가 우리의 언어와 인지처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과학적으로 검토하고 이 두 문자처리의 상대적 효율성을 검토한 후에 한글, 한자의 사용문제에 대한 과학적 근거에 기초한 구체적인 논의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국어와 한국어의 두 언어를 동등한 모국어 수준으로 사용하는 조선족 5학년 아동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두 언어의 문자처리능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1에서는 동일한 의미를 가진 한자어의 한글단어, 한자단어 그리고 순한글단어를 제시하여 음독하도록 하고 이에 소요되는 반응시간을 살펴보았다. 순한글 이든 한자어 한글이든 한글형태는 한자형태보다 음독시 소요되는 반응시간이 짧았다. 음독과제는 발음생성을 요하므로 한글이 한자보다 문자-발음의 대응관계인 표음심도가 더 얕기 때문에 이 규칙을 더 용이하게 적용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일련의 단어들로 구성된 문장에 대한 음독에서도 단일 단어음독시와 마찬가지로 한글문장이 한자문장 보다 음독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았다. 연구2에서는 이중언어능력의 조선족의 한글, 한자 혹은 한글ㆍ한자혼합 문장의 이해 특히 문장의 기본적인 의미인 명제형성에 관심을 두었다. 동일한 의미의 문장을 표기형태를 다르게 하여 제시하였을 때, 문장을 읽고 이해하는데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선족 소학교 5학년인 10세 아동명과 19세 그리고중국 한족 10세,19세도 참여하였다. 그 결과, 첫째, 문장-그림대응과제에서 문장 읽기시간을 보면 중국 조선족들이 한글이나 한글이 포함된 한글ㆍ한자혼합문장을 읽는데 한자문장보다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였다. 이는 단어, 문장 음독과제수행을 검토한 연구결과와는 다른 것으로 이는 문장-그림대응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문장의 의미를 파악해야만 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즉 한자문장에서는 문장을 읽으면서 의미인출이 동시에 이루어지지만 한글문장 이해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둘째. 문장-그림대응과제에서의 정반응율은 한글문장, 한자문장 혹은 한글ㆍ한자의 혼합문장의 문장형태에 관계없이 동일하였으며 단지 피험자의 연령에 따라서 수행수준이 달라졌다, 즉 중국 한족이든 조선족 이든 10세 연령에서는 .6 정도의 수행을, 19세 대학생들은 ,8 정도의 정반응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명제가 최소의 의미 단위로서 문장의 구체적인 특징보다는 추상적인 의미정보들을 표상하게 되므로 피험자의 연령에 따른 인지능력 수준이 명제표상 능력을 좌우하는 가장 큰 요인이 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한글ㆍ한자의 혼합형태의 문장은 우리나라의 한글ㆍ한자 병용의 문어형태이다. 한글문장과 한자문장 읽기시간이 차이가 없는 19세 피험자들에서 한글ㆍ한자의 혼합문장의 읽기시간이 한글문장 보다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것은 비록 중국어, 한국어의 두 언어를 동등한 수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더라도 한글ㆍ한자의 혼합문장을 읽는데 한글, 한자의 두 문자체계가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져서 한 문자처리체계에서 다른 문자처리 체계로의 변환과정이 관여되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연구3에서는 중국 조선족들의 한글, 한자 혹은 한글ㆍ한자혼합문장으로 구성된 덩이글 이해에 관심을 두었다. 동일의미의 덩이글의 표기형태를 달리하였을 때 읽고 이해하는데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덩이글 읽기시간은 한자문장 덩이글에서 한글 혹은 한글ㆍ한자 혼합 덩이글보다 빨랐다. 둘째. 덩이글 이해과제에서의 정반응율은 한글 덩이글에서 가장 높았다. 특히 19세들은 한글 덩이글에서 .710으로 한자(.476), 한글ㆍ한자의 혼합(.550) 덩이글보다 높은 수행을 보였다. 더욱이 중국 한족 19세의 한자 덩이글 이해의 정반응율도 .473으로 조선족과 동일하였다. 이것은 한글문장의 덩이글에서 문장들 간의 관계형성이 한자문장 덩이글보다 용이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 한글덩이글과 한자덩이글 읽기시간에 차이가 없는 19세 조선족들이 한글ㆍ한자 혼합 덩이글 읽기시간에서 한글덩이글 보다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였다. 이것은 비록 중국어, 한국어의 두 언어를 동등하게 모국어 수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하더라도 한글ㆍ한자 혼합 덩이글을 이해하는데 한글, 한자의 두 문자체계가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져서 한 문자처리체계에서 다른 문자처리 체계로의 변환과정이 관여되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한글, 한자의 두 문자를 읽고 이해하는 것이 가능한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두 문자의 처리, 두 문자처리의 상호작용 양상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일련의 연구를 하였고, 본 연구로부터 얻은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은 크게 이론적인 면과 실용적인 면의 두 가지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본 연구결과가 이론적인 측면에 주는 바는 언어학적 보편성, 특수성에 대한 수렴적 증거이다. 이 세상에는 많은 언어가 존재하며 또한 많은 문자체계가 이 언어를 나타내고 있다. 문자체계는 크게 표의문자, 표음문자로 대별된다. 한글은 대표적인 표음문자이며 한자는 대표적인 표의문자이다. 본 연구에는 중국어, 한국어의 두 언어에 대해서 동등하게 모국어 수준의 능력을 가징 소위 균형잡힌 이중언어자(well balanced bilingual)들로부터 자료를 얻음으로서 두 문자처리의 특성을 알고 이로부터 상대적인 문자처리의 용이성, 효율성을 검토할 수 있었다. 즉 문장의 명제형성은 언어처리의 보편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문장형태에 무관하게 언어처리자의 연령 (에 따른 인지능력)에 따라 좌우되었으나 일련의 문장으로 이루어진 덩이글 이해에서는 문자형태에 따른 차이를 보여 한자문 형태의 덩이글에서 중국 한족과 동일한 수행을 보인 조선족이 한글문 형태의 덩이글 이해수행이 월등히 좋았다. 이것은 한글문장의 덩이글에서 문장들 간의 관계형성이 한자문장 덩이글보다 용이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로 부터 얻을 수 있는 실용적인 측면은 우리의 한글-한자혼용, 병용문제 대한 사사점이다. 비록 중국어, 한국어의 두 언어를 동등하게 모국어 수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하더라도 한글ㆍ한자 혼합 덩이글을 이해하는데 한글, 한자의 두 문자체계가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져서 한 문자처리체계에서 다른 문자처리 체계로의 변환과정이 관여되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즉 한글, 한자혼용문 형태는 문장을 읽고 이해하는 데 그리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가 한자교육의 불필요성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한자단어들이 가진 의미특성이 일종의 기억단서로서 작용하여 단어기억에 '동족어휘군 효과'를 보인다는 것은 한자가 70%에 달하는 우리말에서 어휘력 신장을 위해서는 한자어의 의미를 아는 것이 한글 단어 이해에 도움 될 수 있는 것이다.
  • 색인어
  • 한글한자 혼용문제, 한글-한자 병용문제, 이중언어자, 중국어, 한국어, 한글, 한자, 단어, 문장, 덩이글, 한글문장. 한자문장, 한글한자 혼합문장, 덩이글,명제형성,덩이글 이해,음독과제, 반응시간, 문장-그림대응과제, 중국조선족, 중국 한족,음독시간, 순한글단어, 한자어 단어, 표음심도, 문자처리 특성, 문자-발음대응과정, 문자처리 변환과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