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謠曲에 나타난 歌人의 모습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선도연구자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5-041-A00482
선정년도 2005 년
연구기간 1 년 (2005년 12월 01일 ~ 2006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임찬수
연구수행기관 중앙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에서는 가인이 등장하는 곡목 중에서도 즉, 「定家」「蟻通」「誓願寺」를 통해 일본의 유명한 歌人, 藤原定家 紀貫之 和泉式部의 모습을 전거내용, 작품의 주제, 작자의 의도에 따라 등장인물이 어떻게 묘사되고 변형되는지를 알아본다. 작품속에 사용된 和歌의 내용과 분석 그리고 주인공의 歌人으로서의 경력과 능력, 和歌의 효용성을 통해 작자의 의도와 미의식 그리고 공통된 주제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 기대효과
  • 謠曲은 근세에 고전문학텍스트로 사용되었고 매니어층도 형성되어 있었다. 유명한 歌人의 和歌나 설화 또는 漢詩가 많이 인용되어 詩劇이란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으며 문장도 7 5조로 리듬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한 장르에 다른 장르의 문학이 융합되었을 때 인용된 문학이 어떤 효과를 나타나는지를 알아볼 수 있다.
    좀더 연구가 진행되면 주제에 따라 謠曲을 幽玄 哀傷 戀慕등의 작품군으로 나누어 단어에 대한 조사나 인용부분 분석뿐만 아니라 통일된 이론과 사상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즉, 노에서 추구하는 사상적 ‘論’으로 통합 전개시켜 나갈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 연구요약
  • 가인이 등장하는 작품에는 먼저 전거가 되는 이야기가 있고 이에 따라 작자의 상상력과 의도에 따라 주인공의 성격과 역할이 결정된다. 「定家」의 경우에 스토커로 묘사한 것은 바로 이루지 못한 사랑에 대한 집착을 넝쿨로 표현되는 스토커로 작자의 상상력을 동원하여 새롭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불교의 힘으로도 성불될수 없다는 종교에 대한 거부감도 나타나 있다.「蟻通」는 和歌에 대한 작자의 신념을 貫之를 통해 보여주려고 和歌의 효용성을 주제로 하였고, 和泉式部를 주인공으로 한 「誓願寺」에서는 誓願寺연기를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式部를 극락세계의 歌舞보살로 등장시켜 아미타보살이 지배하는 극락세계를 그리고 있다. 이는 가인으로서의 그녀의 이력과 불도에 의해 지배되는 극락세계는 和歌에 의해 성불되는 모습과 같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
    곡목의 주제에 따라 등장하는 가인의 모습이 현실세계의 모습과는 전혀 다르게 전개된다는 것을 보았다. 이는 어디까지나 극작법에 의한 것이다. 『三道』에서 전거(種)에 대한 설명 중에서 특별히 연기와 노래라는 기예에 적합한 주인공을 선택하라(その態をなす人体にして、舞歌のため大用なる事を知るべし。そもそも遊楽体とは舞歌なり)고 한 것은 주인공의 선택에 따라 歌舞에 커다란 영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시에 詩劇이라는 관점에서 能를 바라보았을 때 시적인 문장과 취향이 작품 전체에 녹아있는 연극이므로 歌語사용은 물론 和歌說話나 가인의 등장이 시적세계를 더욱더 부각시키는데 필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가인의 등장은 불가결한 요인이었다고 생각한다.
  • 한글키워드
  • 전거 와카의 효용성 가인의 역활 데이카 이즈미시키부 기노쓰라유키 세간지 아리도오시 작품의 주제
  • 영문키워드
  • SEIGANJI,an effect of WAKA,KINOYURAYUKI,IZUMISIKIBU,TEIKA,a role of poet,the subject of nho scrnario,based on a sound authority,ARIDOOSI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謠曲에는 『平家物語』의 武士이야기, 비운의 여성이야기, 유명한 歌人들의 설화등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특히 歌人을 테마로 한 작품으로는 平安시대의 뛰어난 女流歌人인 小野小町가 대표적인 예이다. 「通小町」「卒塔婆小町」「鸚鵡小町」「関寺小町」등의 작품은 그녀와 관련된 설화를 題材로 하고 있으며, 젊었을 때의 아름다운 미모에 대한 칭송과는 달리, 추한 모습으로 늙어버린 인생의 허무함을 그려내고 있다. 또한 『伊勢物語』에서 ‘昔男’로 비유된 在原業平는 벚꽃이 만개한 들판을 배경으로 한 「小塩」와 『伊勢物語』의 비사를 전하는 「雲林院」등에 직접 등장한다.
    그 외에도 여러 작품에 다양한 歌人이 등장한다. 이 논문에서는 일본의 대표적인 歌人 紀貫之, 和泉式部, 定家가 등장하는 작품, 즉 「蟻通」「誓願寺」「定家」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으로, 「蟻通」는 貫之의 和歌說話를 근거로 歌德사상을 표출하고 있으며, 「誓願寺」는 歌舞菩薩로 등장한 和泉式部를 통해 淨土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定家」는 式子内親王와의 연애담을 통해 사랑에 대한 망집과 無常感을 나타낸 작품이다.
    歌人이 등장하는 작품에는 먼저 典據가 되는 이야기가 있고 이에 따라 작자의 상상력과 의도에 따라 주인공의 성격과 역할이 결정된다. 定家를 스토커로 묘사한 것도 바로 사랑에 대한 망집을 묘사하기 위한 조치이다. 물론 기존의 說話를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和歌를 인용한 문장등은 歌人이 주인공이므로 가능한 구조이다. 「蟻通」는 和歌에 대한 작자의 신념을 貫之라는 歌人을 등장시켜 보여주려고 한 작품으로, 和歌의 효용성을 주제로 하였다. 효용성의 근거는 바로 『古今集』서문이었다. 和泉式部를 주인공으로 한 「誓願寺」에서는 『誓願寺縁起』를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式部를 극락세계의 歌舞보살로 등장시켜 아미타보살이 지배하는 극락세계와 和歌가 성불의 인연이라는 佛道와 和歌의 一體化를 암시하고 있다.
    세 작품 모두 유명한 歌人을 주인공으로 하고 있지만 歌人 개인을 찬양하거나 높이 평가하는 내용이 아니라, 歌人의 행적 중 한 부분을 통해 주제를 설정하고 이를 부각시키기 위해 歌人이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작품의 주제에 따라 등장하는 歌人의 모습이 현실세계의 모습과는 전혀 다르게 전개되는 것도 바로 위와 같은 이유일 것이다.
    또 한 가지는 극작법에 의한 것이다. 『三道』에서 전거(種)에 대한 설명 중 "주인공의 선택이 能의 舞歌에 커다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라. 원래 遊樂의 근본은 舞와 歌이다.(その態をなす人体にして、舞歌のため大用なる事を知るべし。そもそも遊楽体とは舞歌なり)" 고 한 것은 能에서 歌舞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한 것이고 歌舞의 연기를 할 수 없는 주인공은 아무리 유명한 古人이거나 巨匠이라 할지라도 연극의 재미를 표출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 부분이다. 그러므로 歌人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는 것은 연극적이며 음악적인 요소가 있고 흥미를 유발할 수 요인을 가지고 있어야 가능하였던 것이다. 동시에 詩劇이라는 관점에서 能를 바라보았을 때 시적인 문장과 連歌的 수사법은 음악과 함께 어우러지는 연극으로서는 필수 불가결한 구성이며, 歌語사용은 물론 和歌說話나 歌人의 등장이 시적세계를 더욱더 부각시키는데 필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歌人의 등장은 불가결한 요인이었다고 생각한다.

  • 영문
  • The literary work where the tanka poet appears first has a source to become a story. Hereupon, characteristics and role of the hero in the work are determined by the author's imagination and intention.
    Depicting TEIKA as a stalker is also a device in order to illustrate a deep-rooted delusion of love. Of course, it is based on the tale, but the sentences citing WAKA are possible due to the hero, a tanka poet.
    ARIMITSU, using utility as theme, tries to present the writer's belief in WAKA by making a poet appear on the stage. The source of utility is the preface of 『KOKINSYU』.
    Even though the hero is IZUMISIKIBU in SEIGANJI based upon SEIGANJIENGI, having SIKIBU appear as KABU in heaven implies that Buddhism and WAKA are integrated through heaven governed by AMITABOSAL and WAKA attaining Buddhahood.
    All of the three works are famous for having a poet as a hero; however, the poets in the work are not highly praised or overstated, but the poet appears so as to highlight and set the theme by showing part of the poet's contributions.
    This is the reason why the poet is portrayed totally opposite from what he/she is in real life.
    Also, the other reason is dramaturgy. We should be aware that in the explanation about source in SANDO the decision made by the hero has a great effect on NOH's singing and dancing. Basics of YUGAKU are singing and dancing which are very essential to songs and dance in NOH. This emphasizes how important singing and dancing are. However famous or outstanding the heroes are, they are not able to express amusement of the play.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a poet as hero in the play represents the factor stimulating the interest. When NOH is viewed as the point of verse play, poetic sentences and rhetoric along with music are vital in the play.
    In addition to the use of poetic words, because WAKA narration and poet's appearance is an important device which underscores the poetic world, I think that appearance of the poet is a crucial ele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謠曲에는 『平家物語』의 武士이야기, 비운의 여성이야기, 유명한 歌人들의 설화등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특히 歌人을 테마로 한 작품으로는 平安시대의 뛰어난 女流歌人인 小野小町가 대표적인 예이다. 「通小町」「卒塔婆小町」「鸚鵡小町」「関寺小町」등의 작품은 그녀와 관련된 설화를 題材로 하고 있으며, 젊었을 때의 아름다운 미모에 대한 칭송과는 달리, 추한 모습으로 늙어버린 인생의 허무함을 그려내고 있다. 또한 『伊勢物語』에서 ‘昔男’로 비유된 在原業平는 벚꽃이 만개한 들판을 배경으로 한 「小塩」와 『伊勢物語』의 비사를 전하는 「雲林院」등에 직접 등장한다.
    그 외에도 여러 작품에 다양한 歌人이 등장한다. 이 논문에서는 일본의 대표적인 歌人 紀貫之, 和泉式部, 定家가 등장하는 작품, 즉 「蟻通」「誓願寺」「定家」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으로, 「蟻通」는 貫之의 和歌說話를 근거로 歌德사상을 표출하고 있으며, 「誓願寺」는 歌舞菩薩로 등장한 和泉式部를 통해 淨土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定家」는 式子内親王와의 연애담을 통해 사랑에 대한 망집과 無常感을 나타낸 작품이다.
    歌人이 등장하는 작품에는 먼저 典據가 되는 이야기가 있고 이에 따라 작자의 상상력과 의도에 따라 주인공의 성격과 역할이 결정된다. 定家를 스토커로 묘사한 것도 바로 사랑에 대한 망집을 묘사하기 위한 조치이다. 물론 기존의 說話를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和歌를 인용한 문장등은 歌人이 주인공이므로 가능한 구조이다. 「蟻通」는 和歌에 대한 작자의 신념을 貫之라는 歌人을 등장시켜 보여주려고 한 작품으로, 和歌의 효용성을 주제로 하였다. 효용성의 근거는 바로 『古今集』서문이었다. 和泉式部를 주인공으로 한 「誓願寺」에서는 『誓願寺縁起』를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式部를 극락세계의 歌舞보살로 등장시켜 아미타보살이 지배하는 극락세계와 和歌가 성불의 인연이라는 佛道와 和歌의 一體化를 암시하고 있다.
    세 작품 모두 유명한 歌人을 주인공으로 하고 있지만 歌人 개인을 찬양하거나 높이 평가하는 내용이 아니라, 歌人의 행적 중 한 부분을 통해 주제를 설정하고 이를 부각시키기 위해 歌人이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작품의 주제에 따라 등장하는 歌人의 모습이 현실세계의 모습과는 전혀 다르게 전개되는 것도 바로 위와 같은 이유일 것이다.
    또 한 가지는 극작법에 의한 것이다. 『三道』에서 전거(種)에 대한 설명 중 "주인공의 선택이 能의 舞歌에 커다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라. 원래 遊樂의 근본은 舞와 歌이다.(その態をなす人体にして、舞歌のため大用なる事を知るべし。そもそも遊楽体とは舞歌なり)" 고 한 것은 能에서 歌舞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한 것이고 歌舞의 연기를 할 수 없는 주인공은 아무리 유명한 古人이거나 巨匠이라 할지라도 연극의 재미를 표출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 부분이다. 그러므로 歌人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는 것은 연극적이며 음악적인 요소가 있고 흥미를 유발할 수 요인을 가지고 있어야 가능하였던 것이다. 동시에 詩劇이라는 관점에서 能를 바라보았을 때 시적인 문장과 連歌的 수사법은 음악과 함께 어우러지는 연극으로서는 필수 불가결한 구성이며, 歌語사용은 물론 和歌說話나 歌人의 등장이 시적세계를 더욱더 부각시키는데 필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歌人의 등장은 불가결한 요인이었다고 생각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논문은 일본의 전통연극 중의 하나인 能의 시나리오 속에 歌人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작품을 분석하여 주인공의 모습이 어떻게 묘사되고 인식되고 있는지를 연구한 것이다. 和歌의 작자로서의 평가는 보이지않고 歌人와 관련된 설화나 전해오는 전설에 의해 극이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따라서 이 결과를 통해 歌人의 노래는 물론 노래와 관련된 歌論을 찾아볼수 있다. 그리고 歌人과 관련된 설화를 통해 당시의 설화문화 산문문화의 모습을 엿볼수 있으며 어떤 내용이 독자들에게 어필하고 있는지도 파악할 수 있다. 극문학의 시나리오를 통해 운문문학과 산문문학 그리고 극문학의 모습을 파악하는데 활용될수 있다.
  • 색인어
  • 和歌의 효용성, 「蟻通」「誓願寺」「定家」, 佛道, 典據, 和歌설화, 歌論書, 紀貫之, 和泉式部, 定家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