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교사중심 현장개선연구에서 전개되는 과학수업의 담화분석을 통한 사회과학적 규범의 규명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6-332-B00418
선정년도 2006 년
연구기간 1 년 (2006년 07월 01일 ~ 2007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신명경
연구수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연구경험을 갖고있는 교사와 과학교육연구자의 멘토-멘티 시스템을 구축하여, 교사중심 현장개선연구를 실시하고 수업의 변화를 미시적으로 관찰하고 서술하고, 이 수업의 담화분석을 통해 사회과학적 규범을 규명한다
  • 기대효과
  • (1) 과학교육의 새로운 연구방향을 모색
    - 과학교육에서 새로운 사회과학적 규범에 대한 이론적 및 경험적 규명을 통해 새로운 연구테마를 제안한다.
    (2)교사전문성 신장에 대한 사례연구의 촉진
    - 교사전문성을 수업의 변화로 귀결시키는 시도를 통해 유기적인 교사변화와 수업변화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또한 교사전문성 신장연구의 사례가 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과학고의 우수교사에게 실시한 ‘과학하기’라는 경험을 계기로 교사를 위한 멘토-멘티 시스템을 적용하려한다. 이는 교사의 전문성신장이 단기적이고, 개인적 차원의 그리고 학교가 아닌 상황에서 전개된 변화들이 수업의 개선과 변화로 이어지기가 매우 어렵다는 논의들에 기인한다(Van den Berg, Lunetta & Finegold, 1995; Yager , 1992). 한편 이런 논의 속에서 교사를 위한 교사중심 행동연구에 대한 대표적인 사례를 찾고 이를 분석하여 그 가능성과 효과를 보다 미시적으로 살펴보고 그 과정에 대한 기술을 통해 과학교사 전반에 대한 전문성 개선 신장에 대한 이론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연구의 경험을 반영하는 수업은 어떠해야하는가? 여러가지 측면에서 그 의의를 둘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인 수업으로 규명하였다. 과학적인 대화와 논의들이 수업에서 전개되고, 과학자들의 경험으로 간주될 수 있는 유사한 상황이 연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1990년대를 통해 한동안 얘기되어왔던 과학,기술,사회의 이슈들을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과학수업에서 ‘과학하기’를 맛보려했던 시도와 비숫하나.한가지 다른 점은 사회과학적 이슈들이 어떻게 접목이 되고 과학의 문제로 수렴되어가는가를 보는 데 더 큰 의의가 있다. 이를 사회과학적 규범으로 정의하고자한다. 과학수업이 교실담화를 분석하고 이 담화의 유형과, 내용에서 어떤 과학다운 수업, 과학하기가 실천되는 수업의 독특한 규범들을 담아냄으로써 사회과학적 규범을 규명하고자 한다. 교사중심의 현장개선연구 속에서 교사는 자신의 과학하기의 경험을 반영하고 그 결과로 수업의 방향은 ‘수업담화 속에서 사회과학적 규범들이 잘 담아지는’ 의미로서의 과학하기 수업을 전개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 한글키워드
  • 과학교사 멘토-멘티 시스템,현장개선연구,사회과학적 규범,교사전문성신장
  • 영문키워드
  •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Science Teacher mentor-mentee system,Action Research,Socioscientific Norm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세개의 부분으로 나뉠 수 있다. 우선은 멘토 멘티 시스템을 과학고 교사에게 적용한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자는 교실에서의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가를 면밀히 관찰하였다. 두번째는 초등과학교과서의 탐구에 대한 분석이다. 이연구는 본 연구의 주테마인 사회과학적 규범을 수업의 담화로 이해하기 위해 실시한 연구이다. 초등과학교과서에서 어떤 탐구의 내용이 제시되는가를 먼저 살펴보고나서 이를 바탕으로 사회과학적 규범을 파악하고자한 것이다. 세번째가 수업에서의 담화패턴을 분석하고 이것이 결국 사회과학적 규범으로 제안될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한국 과학교사들이 과학연구와 실험에 참여하게 된 기회가 있었고, 첫번째 연구는 수업과 학습에 대해 교사가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알아보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즉 교사의 연구참여이후에 멘토와 함께 교실을 개선해나가는 과정을 그린 것이다. 이 연구는 교사가 3주의 지질, 천문, 화학, 물리, 수학, 컴퓨터, 환경공학에서의 연구참여를 하고 그 연구참여의 결과가 어떻게 교실에서 그려지는가를 알아보았다. 교사의 변화와 학생의 변화를 보았고, 학생의 변화는 태도와 수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 그리고 면담을 통한 심층적인 학생 반성적 사고의 결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두번째 연구를 통해 초등과학에서의 탐구에 대한 이해를 하고자 하였고. 교과별로 별다른 차이가 없으며 주로 학생들의 사고를 유발하는 탐구보다는 요리책 식의 주어지고 짜여진 탐구가 많아 실제 교실에서 과학수업을 통해 학생들과 교사가 사회과학적 규범을 드러내는 탐구를 하기 어려움을 알게 된다.
    세번째의 연구를 통해 수업에서 어떤 유형의 담화가 있는지 알아보았고 이를 사회과학적 규범으로 수용하여 제시하였다.
  • 영문
  • This research was divided into three. The first one is regarding a case of Mentor-mentee for a science teacher in a magnet high school. I investigated how the teacher have changed in terms of her classes. The next one is regarding science textbook for elementary students focusing on scientific inquiry. It was a base research for exploring classroom discourse analysis in order to figure out what socioscientific norms are.

    Korean science teachers were provided with science research lab and field experiences. The first study intended to find evidences of changes in teacher belief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a case of infusing research experiences in teaching modules since their research participation. The research units that teachers participated for three weeks were in seven fields of geology, astronomy, chemistry, physics, mathematics, computer science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research participation program in terms of changing teacher beliefs and their production of teaching modules using their research.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changes of beliefs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fter participating at the research. Also a case study of a participant teacher’s modules was descriptively done by comparing her teaching modules after the program. We found that the program affected on the new modules and the research experiences affected participants’ beliefs toward student centeredness.
    The second research in scientific inquiry has reported that providing various types of inquiry were more easily to reach the goals of students‘ science learning in terms of 'providing students with doing actual science in various ways' than exposing one type of inquiry. This article develops the frameworks for analysis of scientific inquiry types, basing on the nature of scientific enterprise. We selected three types of scientific inquiry: these are minds-work, hands-work, and experimenting.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were analysed by each subject area of earth science, physics, biology, and chemistry. A total of 61 teaching units in 3rd through 6th gr. science textbooks were investigated in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he frequencies of each type of inquires were slightly different among each area of four subjects.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type in physics and chemistry was hands-work type , while minds-work in earth science and biology.
    Thirdly, science classes have been evaluated in terms of productive patterns of classroom interaction in the trend of recent science educational research. This paper describe patterns of social interactions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The teacher intended to encourage students to be involved in active verbal interactions with him and among student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of socioscientific norms, this paper adapted it into elementary science classes. This paper was to explore how socioscientific norms were found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by means of analysing classroom discourse. It has not found yet how socioscientific norm was defined in elementary science class discourse.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somewhat related to classroom discourse pattern, and student perceptions of their learning environment. Two 4th graders' science classes were videotaped for this study. This study explored descriptively the potential elements of socioscientific norms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s wel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교사중심 현장 개선연구에서 나타나는 과학수업의 변화와 수업에서의 담화를 통한 사회과학적 규범이 탐색이이루어졌다. 교사중심 개선 연구의 사례는 두가지로 제시하였고, 과학고 교사의 수업사례와 초등교사의 담화분석이 이루어졌다. 아울러 교사와 학생의 태도등의 다양한 변인이 조사되었다. 한편 초등과학에서의 사회과학적 규범이라는 특성을 살려내기 위해 탐구에 대한 분석적 연구도함께 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교사의 멘토-멘티 시스템을 통해 교사는 다각도로 변화를 이루어 내었고, 이는 학생의 다양한 변인을 통해 나타날 수 있었다. 한편 수업에서의 담화의 형태는 그대로 사회과학적 규범으로 이어졌고 이를 통한 다양한 수업에서의 변화에 대한 제안이 시도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과학 논증을 통한 새로운 탐구의 유형에 대한 제안이 시도되는데 그 기초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 색인어
  • 사회과학적 규범, 수업담화, 탐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