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지위, 연결망 그리고 시장지배력이 경력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할리우드 영화산업의 영화배우들을 중심으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6-332-B00119
선정년도 2006 년
연구기간 1 년 (2006년 07월 01일 ~ 2007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김태영
연구수행기관 성균관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논문은 미국의 학회에서 최근에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는 정체성 (identity)의 형성과정에 초점을 두고 있다. 정체성은 개인 혹은 기업이 어떠한 특정분야의 경험에 근거하여, 외부관객과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매개체를 의미한다. 정체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어떠한 정체성이 개인 혹은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가에 대한 논의에 국한되어 왔다. 따라서, 개인 혹은 기업의 자기정체성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형성되었는가에 대한 원인적 규명에는 소홀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즉 정체성이 성과에 주는 영향을 독립변수적 측면에서 주로 파악하였지, 정체성형성과정에 대한 종속변수적 접근방식은 주된 연구주제가 아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정체성연구의 경험적 대상으로, 1986년부터 2005년 사이 미국영화산업에서 활동하는 영화배우들의 ‘경력정체성’을 출현한 영화의 장르의 법주화로 규정하고 그들의 지위, 연결망 그리고 시장의 영향력 이라는 관점에서 정체성에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정체성형성과정에 대한 본 연구는 개인은 물론 기업의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정체성연구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기대효과
  • 사람들은 어떻게 자신의 경력을 관리해 나아가는 것일까? 이 논문은 이 질문을 ‘사람들은 자신의 경력정체성을 어떻게 만드는가? 라는 사회 정체성 이론의 관점으로 재구성해봄으로써 이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이 논문이 역할 고착화(typecasting)를 막고 다른 범주에로의 변화 가능성을 높이는 성공적인 경력 관리는 ‘지위’와 ‘사회적 네트워크’ 그리고 ‘시장의 역할’이라는 사회적 경험의 함수로 구성된다는 함의를 줄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역할 고착화는 사회적 행위자가 이러한 고착 과정을 능가할 지위나 네트워크 혹은 시장을 힘을 잘 활용하지 못했을 때, 보다 잘 발생한다는 잠정적인 가설을 만들어 볼 수 있을 것이다.

    개인의 정체성 문제와 관련하여 널리 알려진 책인 ‘Stigma: Notes on Management of Spoiled Identity’에서 Goffman(1963)은 개인들이 낙인이 찍히는 동안에 어떻게 그들의 (사회적) 정체성을 관리해 나가는지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여기서 Goffman(1963)은 낙인의 세 가지 유형을 제시하였는데, 신체적 결함, 성격상의 오점, 그리고 종족 낙인 (예: 인종, 국가, 그리고 종교)이 그것들이다. 한 범주 안에서의 동일한 역할 반복에 대한 배태성은 그것이 개개인의 추상적인 성격을 ‘이미 알려져 있는 경력을 통해 추론’ 한다는 점에서 낙인의 두 번째 유형을 가지고 해석할 수 있다. 낙인 관리의 사회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Goffman(1959)은 배우가 참여하는 공연과 보다 광범위한 사회적 맥락 안에서 그것이 갖는 의미들에 자기 스스로를 관여시키는 극적 접근 방식을 연구에 활용하였다.

    이 논문은 Goffman의 이론을 두 가지 중요한 방식으로 확장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Goffman은 신체적 결함을 다루는 방식에 크게 비중을 두었지만, 이 논문은 사회적 행위자들이 두 번째 형태의 낙인을 극복해 가는 심리적 기제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즉, 미국영화산업에서 지위, 사회적 네트워크 그리고 시장의 영향력이라는 관점에서 비슷한 배역을 계속적으로 맡는 것을 고찰해 봄으로써 개인이 가진 성격상의 결함에 초점을 맞춘 심리학적 연구의 지평을 보다 넓혀 줄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Goffman의 행위자들의 극적 접근 방식(dramaturgical approach)은 수동적인 기법으로 간주되곤 한다. 낙인을 적극적으로 없애려는 행위자의 모습이 아니라 받아들이고 순간상황을 모면하려는 행위자들로 묘사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Goffman의 두 번째 낙인을 연구한다는 것은 사회적 역할이론에서 연구한다는 것은, 다른 범주로 이행하는 ‘사회적 이동 전략’으로서의 전술을 연구한다는 의미와도 일맥 상통한다는 점에서 역할고착화를 벗어날 수 있는 대안적 방안에 대한 연구이기도 하다.
  • 연구요약
  • 사회정체성이론에 따르면, 개개인은 범주화와 비교라는 사회정체성의 과정에 참여하게 된다 (Tajfel and Turner 1979, Ashforth and Mael 1989). 즉, 개인은 다른 사람들을 서로 비교하여 여타의 다양한 범주들에 자리매김하는 범주화를 통해 사회과정에 참여하게 된다. 그러한 범주화는 사회세계를 여러 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 사물과 여타 사람들을 정의하는 체계적인 수단으로서의 효용성을 지니고 있다 (Rao, Davis, and Ward 2001). 이러한 비교를 통한 범주화 작업을 통해 개인 혹은 기업은 한가지 내지는 다양한 범주에 속하게 된다. 개인 혹은 기업이 한 가지 범주에 속하는 경우를 주로 특화되고 단순한 정체성(simple identity)을 지녔다고 평가하는 반면에, 다양한 범주에 속하는 경우를 복잡한 정체성(complex identity)을 지녔다고 한다. 하지만, 개인 혹은 기업이 어떤 특정한 활동을 하면 그에 상응되는 정체성을 확보할 가능성은 높지만 반드시 그렇게 되지는 않는다. 그 이유는 사회적 성원들이 그 개인 혹은 기업을 어떻게 생각하고 평가하는지 또한 정체성형성에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이러한 정체성이 개인 혹은 기업이 어떠한 특정분야의 경력을 하게 됨으로써 얻게 되는, 외부관객과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일종의 매개체를 의미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개인 혹은 기업이 맺는 사회적 성원과의 의사소통은, 고유한 자신만의 정체성획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Zuckerman and Kim 2003). 여기서 사회적 성원이란 소비자, 투자자 그리고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면서 정보를 제공하는 재무분석가 혹은 소비자보호단체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개인 혹은 기업의 정체성(identity)에 관한 문제는 정체성이 개인 혹은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실질적인 영향을 평가하는 데에 그 초점이 모아져 왔다. 즉, 단순 명료한 정체성(simple identity) 혹은 다소 복잡하지만 다양한 정체성 (complex identity)중 어느 것이 개인이나 기업의 성과에 좋은 영향을 주느냐는 것이다. 개인 혹은 기업의 정체성과 성과에 관련된 논의들은 다양한 각도에서 많은 진전을 이루고 있지만, 개인 혹은 기업이 왜 특정한 시기에 그러한 정체성을 갖게 되었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별다른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다만, 개인 혹은 기업이 여러 가지 활동을 통해 특정한 정체성을 가지게 되었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논의를 진행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제기를 바탕으로 개인의 정체성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기업이 아닌 개인의 정체성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물론, 기업의 정체성과는 많은 점에서 차이가 있지만, 개인의 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가 기업의 정체성 형성과정에도 많은 시사점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개인의 정체성 중에서도 본 연구는 개인의 경력관련 정체성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특히, 개인의 경력관련 정체성을 다룰 때 다른 개인들과의 비교를 통해 범주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의 경력관련 정체성 역시 고려의 대상이 된다. 다시 말해, 개인의 경력정체성을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이해한다는 말은 개개인이 속해져 있는 노동시장에 대한 구조적 특성 또한 파악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노동시장과 관련된 기존의 논의 역시 고려의 대상이 된다는 것을 뜻한다. 노동시장과 개인의 경력을 둘러싼 기존의 논의를 간단히 정리하면, 기존의 논의는 주로 계층, 직업, 수입, 승진, 그리고 이직 등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Blau and Duncan 1967, Doeringer and Piore 1971, Baron and Bielby 1980, Baron et al. 1986, Hannan 1988, Granovetter 1994, Haveman and Cohen 1994). 이러한 논의들은 인적자본론 그리고 네트워크와 같은 미시적 접근방법에서 기업의 다양한 내적 특성들을 강조하는 구조주의적 관점 그리고 조직을 둘러싼 다양한 시장적 혹은 환경적 역할을 강조하는 노동시장분절론 혹은 조직생태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접근방법을 취해온 것이 사실이다 (cf. Grusky 1994). 하지만, 이러한 개인의 경력과 노동시장에 대한 다양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경력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되는지에 대한 논의 역시 노동시장에 관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부재한 것이 사실이다. 즉, 기존의 노동시장에 관련된 연구는 개인의 경력정체성은 주된 관심주제가 아니었다. 지금까지 간단하게 살펴본 정체성과 노동시장에 대한 기존 논의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개인의 정체성이 형성되는 구체적인 과정을 연구함으로써 정체성과 노동시장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 이론적으로 그리고 경험적으로 기여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연결망,지위,경력정체성,역할고착화
  • 영문키워드
  • career identity,status,typecasting,network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논문은 개인의 경력정체성이 한 노동시장에서 개인의 지위와 연결망의 관점에서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관심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이 논문은 노동시장은 개인의 경력정체성에 기회와 제한을 하는 하나의 장으로 파악되며 개인의 경력은 이러한 노동시장하에서 구현되는 일련의 경력정체성을 만들어가는 과정으로 파악한다. 개인의 경력형성과정과 관련한 일련의 가설을 미국의 할리우드 영화산업에 적용하여 검증하였으며 개인의 경력관리와 관련된 일반적인 함의 역시 도출하고자 한다.
  • 영문
  • This paper examines how (individual) career identity is constructed in a labor market in terms of status and social networks. We view individual careers as a series of processes of career identities that lead to social categories and a labor market as having multiple categories that constrain and channel individual careers. In particular, we examine how individual career identity is shaped with status and networks by looking at the typecasting of film actors in the American film industry. We report results based on statistical analyses and discuss general implications regarding career manage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논문은 개인의 경력정체성이 한 노동시장에서 개인의 지위와 연결망의 관점에서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관심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이 논문은 노동시장은 개인의 경력정체성에 기회와 제한을 하는 하나의 장으로 파악되며 개인의 경력은 이러한 노동시장하에서 구현되는 일련의 경력정체성을 만들어가는 과정으로 파악한다. 개인의 경력형성과정과 관련한 일련의 가설을 미국의 할리우드 영화산업에 적용하여 검증하였으며 개인의 경력관리와 관련된 일반적인 함의 역시 도출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개인의 경력이 형성되어가는 과정을 경력정체성의 과정으로 파악하고 이를 개인의 지위와 연결망을 통해서 살펴봄으로써 영화산업을 넘어선 다른 산업에도 적용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개인의 경력정체성의 반복현상은 개인의 지위가 높을수록 그리고 그 효과는 개인이 속한 프로젝트의 외부적 효과가 커짐에 따라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결망의 숫자와 개인의 경력정체성의 반복현상은 종모양의 관계를 보이는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 산업에 오래 종사할수록 개인의 경력정체성은 반복되는 현상을 보이며 이는 프로듀서의 연결망과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 색인어
  • 지위, 연결망, 경력정체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