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日本 東洋協會의 식민활동과 조선 인식》에서는 일본의 대륙진출과 식민지 확보를 위해 조선에 직접 진출한 일본 세력의 면모를 밝히기 위해, 먼저 동양협회의 결성 배경과 주요 사업, 구성원의 조선 인식 등을 통해 이 단체의 성격을 검토하였다. 동양협회는 일본의 식민지 ...
(1)《日本 東洋協會의 식민활동과 조선 인식》에서는 일본의 대륙진출과 식민지 확보를 위해 조선에 직접 진출한 일본 세력의 면모를 밝히기 위해, 먼저 동양협회의 결성 배경과 주요 사업, 구성원의 조선 인식 등을 통해 이 단체의 성격을 검토하였다. 동양협회는 일본의 식민지 연구단체 가운데 동아동문회와 함께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단체이다. 집행부의 구성원은 내각의 장관, 총독부의 관리, 동아동문회 인사들이 주축이 되어 총독부의 철저한 지원과 밀접한 관계 속에 이 협회가 움직여 갔다. 그리고 동양협회는 식민지 경영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경성고등상업학교를 통해 조선 교육에 진출하였다. 경성고등상업학교의 촉탁강사진에는 滿鮮史學의 주창자 稻葉岩吉과 총독부의 촉탁으로 舊慣調査를 담당한 善生永助, 정체성론을 주장하는 河合弘民, 鈴木武雄, 四方博, 森谷克己 등의 식민사학자들이 망라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일본의 식민정책의 입안과 홍보에 활용한 동양협회의 기관지『東洋時報』에 나타난 조선 인식이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강연회와 시찰담에 보이는 조선 인식, 조선 통치문제, 조선 교육문제, 조선 이주문제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2)《잡지『朝鮮』에 나타난 일본인의 조선 인식》에서는 1908년 창간호부터 1911년까지의 기사를 분석하였다. 재조일본인이 창간한『朝鮮』은 조선인에게는 식민통치의 대변자로서 역할을 하고 일본인에게는 식민지 조선에 관한 정보를 전해주는 가교역할을 하였다. 이 잡지의 특징은 1)재조일본인의 이익을 대변하고 본국의 일본인들이 조선에 이주하는데 필요한 다양하고 신속한 정보를 제공하는 안내서 역할을 한 점이다. 주된 독자층은 재조일본인과 본국에서 조선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는 일본인들이었다. 2)통감부총독부 정책과 관련된 정치, 경제, 사회문제 등에 대한 비평을 시도하여 재조일본인들의 이익을 보호하는 정책과 반대되는 사안에 대해서는 과감하게 비판한 점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일본의 유력 종합지『太陽』,『中央公論』,『日本人』의 조선인식 경향에 대해 1910년 전후의 기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일본 정치인, 통감부 관리, 학자 등 주요 기고자를 분석하여 『朝鮮』잡지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일본인의 조선관과 조선 경영의 방법, 통감정치에 대한 논평과 ‘폭도’와 배일사상 문제인식, 명사탐방과 여행기 분석을 통한 일본인과 외국인의 조선관을 분석하였다. 조선통치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첫째 조선인을 동화시키는 것, 둘째 일본인을 이주시켜 일본의 인구증가와 식량문제를 해결하는 것, 셋째 만주와 중국에까지 그 지역을 확대시키는 문제였다.
(3)《잡지『朝鮮及滿洲』에 나타난 조선통치론과 만주 인식-1910년대 기사를 중심으로》이다. 발행인 샤쿠오(釋尾旭邦)가 잡지『朝鮮』의 명칭을 『朝鮮及滿洲』로 바꾼 이유는 일본이 조선을 이미 식민지로 만든 후 다음 침략 목표인 만주에 초점을 두고 대륙침략을 위해 철저한 준비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는 만주일대를 시찰하고 나서 만주 경영과 중국 연구가 급선무임을 느끼고 조선을 안정적으로 통치하기 위해서도 만주 경영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朝鮮及滿洲』의「시사평론」이나 「주장」에는 정치문제에 많은 관심을 나타냈고 일본 정계의 움직임에도 민감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언론의 주장들이 식민정책 입안에 어느 정도 영향력을 발휘했는지에 대해서 일본 정계의 움직임과 일본 정부의 대조선정책의 변화와 함께 검토하였다. 이 연구는 다음의 내용을 분석할 것이다. 1)무단통치에서 문화정치로 바뀌는 조선통치론의 변화양상에 대한 검토와 조선 개발, 조선 교육, 조선 헌법 문제에 대한 인식. 2)조선 역사, 유적조사, 인종학, 해부학의 비교 연구와 인종주의 문제, 동화론과 내선결혼 문제에 대한 인식. 3)3.1독립운동에 대한 인식. 4)만선철도, 만몽발전책, 만주경영에 대한 인식. 5)일본의 침략주의를 확산시키기 위해 필요한 중국진출에 대한 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