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윤리 교육을 위한 윤리학적 토대 분석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기초연구지원인문사회& #40;창의주제연구& #41;
연구과제번호 2006-321-A00017
선정년도 2006 년
연구기간 1 년 (2006년 07월 01일 ~ 2007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정원규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손경원(서울대학교)
강준호(경희대학교)
이양수(한양대학교)
손화철(성균관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공동연구는 최근 세간의 관심을 끈 연구부정 사건들로 연구윤리의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연구윤리 확립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건설적인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바람직한 연구윤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되, 단순히 외국의 사례를 모방하거나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의 사후적 커리큘럼 개발의 차원에 머물지 않고, 연구윤리의 철학적, 윤리학적 토대 분석과 연구윤리 교육 현황에 대한 실태 조사에 근거하여 체계적이면서도 국내 사정에 걸맞은 연구윤리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공동연구의 목적을 단계별로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윤리에 대한 철학적, 윤리학적 반성
    본 연구는 우선 장기적인 안목에서 연구윤리가 확립되기 위해서는 연구과정에서 드러나는 연구부정이나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윤리 지침이나 제도가 하나씩 추가되는 방식은 지양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연구윤리가 갑자기 주목을 받게 되면서, 관련 논의와 연구들은 대부분 연구부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에 초점을 두고 있다. 기관연구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활성화나 연구진실성 사무국(Office of Research Integrity)의 마련에 대한 여러 가지 의견들을 그 예로 들 수 있겠다. 그러나 정작 연구윤리의 당위성을 어떤 윤리학적 근거에 입각하여 정당화할 것인지의 문제와 연구윤리를 어떻게 교육시킬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은 아직까지 제시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연구윤리를 정당화하는 근본적인 토대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제기하는 윤리학적, 철학적 접근이 절실하게 요청된다.

    2. 한국대학의 연구윤리 실태조사
    한국 대학들의 연구윤리 실태를 조사하는 것은 바람직한 연구윤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비록 실행되고 있는 연구윤리 교육이 초보적인 단계에 있기는 하지만, 앞으로 이 교육이 모든 학문분야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임을 고려한다면, 현재 상황을 되도록 빨리 파악하고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실태조사는 지금까지 수행된 바가 없는 연구윤리 교육의 현장 연구를 통해 연구윤리 교육에 필요한 내용적, 행정적 필요들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고도 현실적인 연구윤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라는 목적에 부합한다.

    3. 구체적인 연구윤리 교육 프로그램의 제시
    바람직한 연구윤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다. 연구윤리의 확립은 연구자의 자성이나 제도적 장치로만 가능한 것이 아니다. 연구윤리를 담보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자들 스스로가 연구윤리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그 원칙들을 준수하는 것일 터이다. 이러한 이상적인 상태에 이르기 위한 가장 효과적이고도 확실한 방법은 기성연구자의 계도보다는 예비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에서 찾을 수 있다. 이미 기존의 체제에 적응해 있는 기성 연구자들에게 연구윤리의 중요성을 교육하는 것보다 배우며 자라나는 학생들에게 연구행위가 많은 사람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이해시키는 것이 더 쉬울 것임은 자명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할 연구윤리 교육 프로그램은, 연구윤리에 대한 철학적, 윤리학적 고찰을 통해 이론적으로 가장 일관적인 체계를 갖출 뿐 아니라, 한국 대학의 연구윤리 교육 여건이 현실적으로 반영된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연구윤리에 대한 교육이 아직 여러 가지 시행착오를 통해 정착시키는 단계에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시도는 더욱 중요하다. 이미 연구윤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제도를 마련한 외국에서도 연구윤리 교육이 연구수행을 위해 거쳐야 하는 귀찮은 과정으로 인식되거나, 단순히 관련 제도를 숙지하거나 개별 사례의 나열로 그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부작용을 막기 위해서라도 좀 더 탄탄한 철학적 바탕에 기반하면서도 현실적인 상황과 유리되지 않은 교육 프로그램을 고민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공동연구에서는 연구윤리에 대한 심층적 철학적 분석을 통해 윤리학적 토대를 마련하고 교육현장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나은 연구윤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연구윤리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은 물론, 연구자들 자신과 연구윤리 교육 정책 수립자 및 대학의 교육과정 담당자들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1. 대학에서 연구윤리를 가르치는 교수자들은 연구윤리가 규칙과 정책의 숙달에 그치는 것이 아님을 주지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윤리가 연구자들이 지켜야 할 단순 규범이 아닌 연구활동의 중요한 일부분임을 증명해 보일 것이다. 이에 따라 연구윤리 교육 담당자들은 자신들의 역할이 윤리적 판단능력을 키우는 것에 집중되어야 함을 알게 될 것이다. 나아가, 덕이론에 기초한 연구윤리 교육 내용과 사례중심적 교육 방법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은 보다 효과적인 연구윤리 교육의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2. 본 연구는 또한 연구윤리를 실천해야 할 연구자들에게도 많은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된다. 연구윤리에 대한 철학적 분석은 학문의 연구가 근본적으로 윤리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연구윤리의 확립은 학문의 발전을 저해하는 것이 아니라 도리어 증진시킨다는 점을 명백히 밝힐 것이다. 이를 통하여 최근 연구윤리가 강조되면서 연구윤리가 학문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연구자들의 오해를 불식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 본 연구의 결과물은 연구윤리 교육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좋은 기본자료가 될 것이다. 연구윤리는 수요가 많아질 중요한 잠재 교과목지만 현재 이를 실행할 만한 인적, 물적 토대 뿐 아니라 교육의 방향성도 확실하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의 한국 대학 연구윤리 교육 실태조사는 아직까지 유사한 선행연구자료가 없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정보가 될 것이다. 특별히 연구윤리와 관련된 여러 가지 정책들이 입안되는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 시도하는 연구윤리의 철학적 기초와 교육 방법론 등을 통해 보다 근본적인 단계에서의 연구윤리 개선 노력을 기울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 대학들이 연구윤리 교육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어느 학과가 연구윤리를 담당해야 할 것인지, 누가 가르칠 것인지, 얼마만큼의 시간을 배정해야 할 것인지, 한 학급의 수가 얼마나 되어야 할 것인지 등 여러 가지 실제적인 문제들이 발생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런 문제들과 관련하여 대학의 교육정책 실무자들에게 간접적으로나마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별히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의 실태 조사와 드러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참고하고, 다른 연구들이 밝히는 바 연구윤리 교육의 목적과 의의, 그리고 방법론과 내용들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연구윤리 관련 학과목 개설 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5. 연구윤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앞으로는 교육 뿐 아니라 연구윤리 자체에 대한 연구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는 바, 본 연구는 앞으로 이루어질 연구윤리에 대한 연구들을 위해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무엇보다 지금까지 이 정도로 심도있는 연구윤리 관련 연구가 없었기 때문에 실태조사 연구에서 참고문헌에 이르기까지 본 연구의 모든 부분이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가 연구윤리와 관련한 모든 분야를 포괄한 것도 아니고 가능한 모든 연구를 수행한 것도 아니다. 그러나 본 공동연구의 연구주제들은 다른 연구를 촉발시킬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시도한 철학적 탐구와 연구윤리의 연관성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예를 들어 덕이론에 기초한 연구윤리 교육에 대한 연구는 다른 윤리 이론과 연구윤리를 연결시키는 다른 연구로 발전될 수 있다. 또한 연구윤리 지침들에 대한 윤리학적 분석은 기존의 지침들이 가지는 약점들을 지적하게 될 것이므로, 이를 토대로 보다 정합적이고 일관적인 연구윤리 지침의 구성을 시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윤리 교육 프로그램은 앞으로 계속될 프로그램 개발의 준거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공동연구는 모두 다섯 개의 연구주제로 나누어지는데, 이들은 모두 연구윤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라는 최종 목표를 공유하고 있다. 그 각각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윤리와 가치”는 연구윤리의 필요성을 철학적으로 정당화하는 작업으로, 연구윤리 교육에 있어 문제사례의 나열이나 제도의 숙지보다는 연구윤리가 왜 중요하고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연구윤리를 단순한 전문인의 직업윤리로만 볼 것이 아니라 진리를 추구하는 연구 행위의 본질적인 구성요소로 보아야 하며, 그에 따라 ‘과학민주주의’의 개념을 연구윤리와 연관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연구윤리 지침에 대한 윤리학적 고찰”은 이미 연구윤리 분야에서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지침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 연구는 두 갈래의 방향으로 연구윤리 지침에 대한 접근을 시도한다. 첫째, 대표적인 연구윤리 사례들에 대한 검토로부터 출발하여, 기존 연구윤리 지침들의 유효성과 윤리적 원칙들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에 이르는 “상향식” 접근이다. 둘째, 국제적 단체들이나 세계 과학계를 선도하는 국가들의 정부기관 등에서 제시하는 연구윤리 기본 원칙들에 대한 검토로부터 출발하여, 이 원칙들과 규정적 지침들의 관계와 대표적인 사례에의 적용에 관한 논의로까지 이어지는 “하향식” 접근이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연구윤리의 윤리학적 토대를 수립하고 연구윤리 기본 원칙들과 처방적인 지침들의 밀접한 연관성을 확보하게 될 것이다.
    위의 두 연구가 이론적 검토라면 “한국 대학의 연구윤리 교육 실태분석”은 사회학적인 통계조사를 통한 실제 상황의 파악이다. 연구윤리가 현재 한국 대학들의 교육 현장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받아들여지며,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이 사안들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 4년제 종합대학들이 개설한 연구윤리 및 관련과목들을 조사하여 학생과 교수자 현황, 개설과목명과 개설강좌의 수로부터 각 과목의 교육방법과 교육내용, 해당학교의 행정적인 협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조사를 실시하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하여 보다 나은 연구윤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 염두에 두어야 할 구체적인 맥락을 제공하고 대안을 제시해야 할 구체적인 부분들을 적시하게 될 것이다.
    위의 이론적 연구와 경험적 연구의 결과들을 어떻게 연구윤리 교육에 적용할 것인가가 다음 두 연구의 주제다. 먼저 “연구윤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덕이론적 고찰”은 윤리학의 덕이론에 바탕한 연구윤리 교육을 주장함으로써 연구윤리의 철학적-윤리학적 정당화 노력이 교육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보여준다. 윤리적 다원주의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윤리를 가르친다는 것이 과연 가능한지에 대한 질문은 연구윤리의 당위성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만은 없는 현 상황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대안으로 덕이론이 제시되는데, 덕이론은 특정한 가치를 강조하기보다는 맥락의존적인 덕목들을 강조하고 윤리의 내면화에 치중하기 때문에, 연구자가 능동적으로 개별 상황에 대처하고 결정을 내리는 데에 현실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위의 네 연구들을 모두 종합하고 여기에 사례중심적 윤리교육의 방법론을 더한 것이 “사례 중심적 연구윤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덕이론의 맥락의존적 접근방식을 구체화한 사례중심적 연구윤리 교육 방법론을 소개하고, 사례중심 접근의 여러 프로그램을 검토하여 사례중심의 이점과 효과, 실제적 교수방법에 대해 밝힐 것이다. 그에 이어서 본 공동연구의 최종 목표라고 할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윤리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이 프로그램은 위에서 살펴본 바 연구윤리의 철학적, 윤리학적 토대에 바탕을 두고 한국 대학의 현실적인 상황들을 고려하여 실제의 대학수업을 염두에 두고 제시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연구윤리,연구윤리 교육 프로그램,과학 민주주의,연구윤리교육,덕이론,연구윤리 교육과정,사례 중심적 교육방안,한국 대학의 연구윤리 교육
  • 영문키워드
  • Science Democracy,Research Ethics,Case Study,Research Ethics Education,Education Program for Research Ethics,Curriculum for Research Ethics,Research Ethics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공동연구는 연구윤리의 토대가 되는 철학적-윤리학적 고찰과 그 교육에의 응용이라 할 수 있는 연구윤리 교육에 관련된 연구로 나눌 수 있다. 철학적-윤리학적 연구 중 「연구윤리와 가치」는 연구윤리의 필요성을 철학적으로 정당화하는 작업으로, 연구윤리와 사회적 가치와의 상관관계를 논구한다. 특히 연구윤리의 사회적 함의를 드러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책임 있는 연구 수행’이라는 연구윤리목표를 분석하고 그 철학적 함의를 찾아본다. 「연구윤리 지침에 대한 윤리학적 고찰」은 이미 연구윤리 분야에서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지침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연구윤리가 실천윤리의 한 독립적 분야로서 성장하기 위해선 연구윤리 정책 및 규정의 바탕에 놓여있는 윤리원칙들에 대한 철학적 분석과 다양한 철학적 관점들의 시도를 축적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생명의료윤리 분야에서 뷰참과 칠드레스가 주창한 ‘원칙주의’가 연구윤리 일반에 대한 철학적 접근방식으로서도 적합한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과학연구 일반에 대한 보편적 윤리원칙으로서 ‘객관성’과 ‘공공선’의 원칙을 한 대안으로 제안한다.
    이들 두 연구가 이론적 검토라면 「한국 대학의 연구윤리 교육 실태분석」은 사회학적인 통계조사를 통한 실제 상황의 파악이다. 이 논문에서는 전국 4년제 대학 학부과정의 연구윤리교육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 132개 대학의 2006학년도 1, 2학기 수강편람 혹은 종합시간표를 수집, 분석하여 연구윤리와 관련된 교과목의 실태를 분석하고, 담당 교강사들에 대한 설문을 통해 연구윤리교육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연구윤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덕이론적 고찰」은 윤리학의 위의 두 연구가 보여준 연구윤리의 철학적-윤리학적 정당화 노력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드러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 논문에서는 덕이론에 근거하여 투명성, 학문적 충실성, 공정성, 공익성, 학문적 수월성 등으로 집약되는 연구윤리 5원칙을 제시하고, 이러한 원칙을 중심으로 연구윤리 교육과정은 기초 윤리 이론, 기본 연구 윤리 적용 사례, 영역별 연구윤리 쟁점 사례, 연구 윤리 쟁점 교육의 4주제로 구성하였다. 「사례 중심적 연구윤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는 실재 교육의 현장에서 연구윤리를 어떻게 가르쳐야 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로,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바람직한 연구윤리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내용, 방법 등을 모색해 보았다. 과학 연구윤리의 자율성과 실천적 성격을 반영하는 독립강좌기반 사례중심접근 프로그램을 연구윤리교육의 바람직한 모델로 주장하며, 효과적인 사례중심접근의 연구윤리교육이 될 수 있도록 사례의 유형과 활용방안을 논하였다. 이러한 모델은 덕이론의 맥락 의존적 접근방식을 구체화한 교육방법론으로 볼 수 있다.
  • 영문
  • This research project consists of two parts: (i) elucidation o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research ethics and (ii) studies concerning the research ethics education.
    "Research Ethics and Social Values: A Defense of Democratic Research Ethics" aims to shed light o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research ethics by investigating its connection to social values. This essay analyze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e aim of research ethics, namely the responsible conduct of research. "An Ethical Examination of Research Ethics Guidelines" critically examines the research ethics guidelines that are being currently used. In order for research ethics to grow into an independent area of practical ethics,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philosophical analyses of the ethical principles that underlie the current research ethics policies and regulations, and at the same time to experiment diverse philosophical perspectives on research-related ethical issues. As part of that effort,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so-called "principlism," which Tom Beauchamp and James Childress have proposed as a philosophical approach to biomedical ethics. As principlism is found to be inadequate to be applied to research ethics in general, principles of "objectivity" and "common good" are suggested as universal ethical principles for scientific research.
    While these two works take theoretical approaches, "Analysis of Current Research Ethics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takes sociological methodology in order to find out the real situation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In this research, 2006 course catalogues from 132 Korean universities are analyzed in an attempt to discern the current situation of undergraduate research ethics curriculum. It also analyze a survey of the lecturers teaching research ethics related courses, which leads to several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research ethics education in Korea.
    "Considerations of Research Ethics Curriculum: Using Virtue Theory of Morality" shows how the two theoretical works mentioned above could be materialized in research ethics education. In order to establish a systematic curriculum for research ethics, five principles of research ethics(transparency, scientific integrity, fairness, public interest, and scientific excellence) and four topics for research ethics curriculum(basic ethical theories, an examination of general research ethical violations, an examination of research ethical violations in particular disciplines, and controversial issues in research ethics) are suggested. "The Study on the Case-Based Approach in the Research Ethics Education Program" deals with the methodology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concerning the purpose, content and method of education. It argues that the case based approach with the format of a stand alone course is the most desirable model for research ethics education progra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공동연구는 연구윤리의 윤리학적․철학적 토대의 분석이라는 이론적인 측면과 한국 대학들의 연구윤리교육 실태조사와 같은 실제적인 측면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고도 현실적인 연구윤리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연구는 연구윤리의 문제를 가능한 연구부정 사건에 대한 예방책보다는 윤리학적 토대의 구축이라는 측면에서, 그리고 제도적인 장치의 마련보다는 교육의 측면에서 접근한다.
    본 공동연구는 두 축은 연구윤리의 토대가 되는 철학적-윤리학적 고찰과 그 교육에의 응용이라 할 수 있는 연구윤리 교육에 관련된 연구다. 철학적-윤리학적 연구 중 「연구윤리와 가치」는 연구윤리의 필요성을 철학적으로 정당화하는 작업이고, 「연구윤리 지침에 대한 윤리학적 고찰」은 이미 연구윤리 분야에서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지침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연구윤리의 윤리학적 토대가 구축되어야 함을 보인다. 위의 두 연구가 이론적 검토라면 「한국 대학의 연구윤리 교육 실태분석」은 사회학적인 통계조사를 통한 실제 상황의 파악이다. 연구윤리가 현재 한국 대학들의 교육 현장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받아들여지며,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대학 수강편람의 조사를 통한 연구윤리 관련과목의 개설현황과 해당 교강사의 설문을 통해 연구윤리교육의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연구윤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덕이론적 고찰」은 윤리학의 덕이론에 바탕한 연구윤리 교육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위의 두 연구가 보여준 연구윤리의 철학적-윤리학적 정당화 노력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드러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사례 중심적 연구윤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는 실재 교육의 현장에서 연구윤리를 어떻게 가르쳐야 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로, 사례 중심적 연구윤리 교육은 덕이론의 맥락의존적 접근방식을 구체화한 교육방법론으로 볼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공동연구의 연구결과는『윤리연구』(학진등재지) 제64호(손경원의 논문)와 『철학사상』(학진등재지) 제24호(나머지 4개의 논문)에 개재되었다. 특히 손경원의 논문을 제외한 네 논문은 『철학사상』제 24호의 연구윤리 특집으로 개재되었다.

    ●『철학사상』 제24호(2007) 특집 2. 연구윤리 교육
    - 강준호, 「연구윤리 지침에 대한 윤리학적 고찰」,『철학사상』 제24호(2007), pp. 111-142.
    - 손화철「한국 대학의 연구윤리교육 실태 분석」,『철학사상』 제24호(2007), pp. 143-183.
    - 이양수, 「연구윤리와 가치: 민주주의 연구윤리를 위한 제언」,『철학사상』 제24호(2007), pp. 185-223.
    - 정원규, 「연구윤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덕이론적 고찰」,『철학사상』 제24호(2007), 225-249.
    - 손경원, 「사례중심적 연구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윤리연구』 제64호(2007), pp. 53-80.

    본 논문들은 연구윤리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했다는 점 그 자체만으로도 상당한 의의가 있다. 이미 학계에 일정한 반향을 불러 일으켜 연구윤리와 관련된 각종 모임들에서 공동연구에 참여한 연구원들에게 발표나 논평을 부탁하고 있으며, 여러 관련 논의들에서 언급해야 할 주요한 연구업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2007년 9월 3일자 『교수신문』에서도 "화제-서울대철학사상硏 발간 <철학사상>연구윤리교육 특집"이라는 기사에서 본 공동연구의 연구성과들을 다루었다. (이 기사에서는 각 논문의 내용을 자세하게 다루면서도 말미에는 "각 논문을 연구윤리를 각각이 지닌 윤리론 시각에서 소화하는데 그쳐, 연구과정상 현실적으로 제기되는 연구자들의 상황이나 구체적인 사례에 대한 분석 등이 결여되어 있다"고 평가했는데, 이는 본 공동연구가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파악하지 못한 데서 나온 비판으로 생각된다.)
    본 공동연구 결과의 활용 방안은 연구윤리 교육의 활성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공동연구에서는 연구윤리의 윤리적 토대, 주요 덕목들에 대한 철학적 점검, 교육 방안, 교육 방법론, 현재 연구윤리 교육 현황 등 연구윤리 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이 요소들을 망라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대학에서의 연구윤리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할 때 본 연구의 성과들을 참고하는 것을 통해 여러 가지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연구윤리 교과서를 만드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기존의 연구윤리 교육이 주먹구구식으로 이루어져 왔음을 생각할 때,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윤리학적 토대로부터 구체적인 사례에 이르기까지 연구윤리 교육에서 제공해야 할 모든 내용들을 포괄하는 교과서 형태의 책자를 발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색인어
  • 연구윤리, 연구 충실성, 연구윤리교육, 연구윤리 교육과정, 연구윤리 원칙, 연구윤리 관련과목, 원칙주의, 공공선, 객관성, 뷰참, 공리주의, 결의론, 귀속 책임, 응답책임, 온전성, 정의, 덕이론(덕윤리), 교육실태분석, 사례중심접근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