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항만 거버넌스 구축과 운용방안에 관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6-332-B00213
선정년도 2006 년
연구기간 1 년 (2006년 07월 01일 ~ 2007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승철
연구수행기관 영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세계경제의 무국적화, 다각화는 국민국가로 하여금 전통적인 중앙집권적 형태보다는 시장의 힘과 민간부분의 협력을 요구하고 있어, 의사결정 및 행위에 있어서 다양한 반응뿐만 아니라 참여적 행위자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적 변화는 항만산업에 있어서도 항만관리 및 조직운영을 국가관리 주도 형태에서 민간기업, 지역주민, 지방자치단체 등이 참여하는 형태로 변화되고 있다.

    해외 주요항만에서의 항만공사제(Port Authority) 및 지방자치단체의 항만 운영․관리 형태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항만공사(Port Authority)설립과 항만관리기능의 자치단체 이관 등 중앙정부가 획일적으로 담당해왔던 항만관리체제에 민간경영기법을 도입하여 항만관리체제의 전면개편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항만운영주체의 다양화, 다변화 현상은 권한 및 기능배분이 중복되거나 명확하지 않아 운영의 비효율화를 초래함으로써 이해관계자 사이의 협상비용, 계약의 체결과 집행비용 등 거래 및 조정비용이 발생하고 행정처리의 단일화(single window)가 이루어지지 않아 오히려 이용자의 불편을 가중시키고 있을뿐만 아니라 항만관리의 다양화 및 지방분권화로 인한 지자체간 마찰을 해결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로 구성되는 PA 및 항만 Cluster의 효율적 운영관리를 위하여 상호보완적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전략적 접근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항만 및 지방정부간, 그리고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항만과 관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상호 협력적이며 상생적 전략의 하나로 행정학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거버넌스(governance)이론을 항만분야에 접목하고, 성공적인 항만 거버넌스의 구축 및 실현을 위하여 항만 거버넌스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근거로 효율적인 운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이론적 기대효과>
    이론적으로 사회과학 및 행정학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거버넌스라는 개념을 변화하는 항만관리체계에 적용시킴으로서 항만 거버넌스라는 이론적 체계를 확립하고 학제간 연구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항만 거버넌스라는 이론적 체계를 확립하고 이론적 현상을 실제적 현상으로의 접목을 유도함으로써 이론적 현상을 증명하고 실제적 전략을 제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향후 항만산업 뿐만 아니라 행정학적 접근을 시도하는 관련 연구에 많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실무적 기대효과>
    실무적으로는 해운․항만산업의 민간기업에게는 변화라는 항만관리 체계에 대한 시사점을 정부기관에게는 항만관리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정책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항만관리체계의 변화에 대응하여 우리나라 항만 관련 산업의 향후 추진 방향과 개발계획수립에 구체적인 정책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변화하는 항만관리체계에 대응하고 항만네트워크 참여 주체간의 성공적 거버넌스 작동을 위하여 항만거버넌스의 형성요인이 무엇이며 이를 통한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항만 거버넌스 이론 고찰, 항만관리의 특성과 문제점, 항만 거버넌스의 형성요인 및 실증분석, 정책적 우선순위와 시사점 등 네 가지의 내용 범주를 가지고 접근할 것이다.

    항만간 거버넌스 형성요인의 도출은 네트워크 이론과 이와 관련된 문헌 연구를 통해 네트워크 환경요인, 네트워크 구성요인, 네트워크 운영관리요인 등을 중심으로 1차적인 요인을 추출할 것이다. 그러나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된 요인들은 행정학 및 조직이론 등을 기반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상위 범주를 구성하는 세부지표는 항만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세부항목 및 지표를 별도로 개발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조작적 정의 과정을 거칠 것이다.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된 항만 거버넌스 형성요인을 검증하고 이러한 평가지표들의 상대적 중요도 즉, 우선순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의 의사결정방법으로 가장 유용한 방법중의 하나인 Saaty(1977)가 제안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다계층분석)방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클러스터,항만,거버넌스,항만공사,항만 거버넌스
  • 영문키워드
  • Port Authority,Cluster,Port Governanc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항만 및 지방 정부간 그리고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항만과 관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상호 협력적이며 상생적 전략의 하나로 거버넌스 이론을 항만분야에 접목하고, 성공적인 항만 거버넌스의 구축 및 실현을 위하여 항만 거버넌스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우선순위를 살펴봄으로써 항만 거버넌스의 효율적인 운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항만 거버넌스 형성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거버넌스의 핵심이론인 네트워크 이론을 중심으로 Putnam(1995), Lasker, Weiss & Miller(2001), OECD(2001), Goss(2001), Leach & Percy-Smith(2001), De Langen(2002, 2003), 강황선(2003), 최영출(2004), 김새로나(2005)등이 제시한 연구내용을 중심으로 환경요인, 구성요인, 운영관리요인 등 3가지의 요인으로 항만 거버넌스의 형성요인을 제시하였다. 성공적인 항만 거버넌스 형성요인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하여 항만물류관련 연구기관, 학계 등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 방법을 이용하여 2007년 10월 16일부터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전체적인 우선순위 및 비중을 살펴보면 재정자립도(0.279), 자치역량(0.175),공공문제해결(0.090), 참여주체자간 신뢰(0.075), 인센티브 효율성(0.054), 인센티브 제도(0.051), 조정 및 중개제도(0.050), 정보공유(0.049), 파트너 관계형성(0.031), 참여주체자간 존경(0.030), 네트워크 리더쉽(0.029), 참여주체자간 갈등(0.026), 파트너 관계촉진(0.023), 책임소재(0.014), 조정 및 중개주체(0.012), 네트워크 주체자 선정(0.007), 권한차별(0.004), 참여주체자간 이질성(0.002) 순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항만 거버넌스라는 이론적 체계를 확립하고 이론적 현상을 실제적 현상으로의 접목을 유도함으로써 이론적 현상을 증명하고 실제적 전략을 제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향후 항만산업에 시사점을 제시하고, 실무적으로는 해운․항만산업의 민간 기업에게는 변화라는 항만관리 체계에 대한 시사점을 정부기관에게는 항만관리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정책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영문
  • Globalization demands new interfaces allowing smooth interaction among economic and geographical units. The recent worldwide trend towards devolution in the port industry has spawned considerable variety in the types of governance structures now in place around the world. therefore, Governance of port industr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policy agenda. Despite the substantial contribution to understanding the Port Governance in Korea,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veals some weakness in the study of emerging forms of governance in port industry.
    This paper discusses the range of devolution alternatives adopted in the Korean ports sector, and then, this paper adopts a governance approach to address recent institutional changes in the Korean Port industry.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port governance in relation to an ongoing deconcentration of port manage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항만 및 지방 정부간 그리고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항만과 관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상호 협력적이며 상생적 전략의 하나로 거버넌스 이론을 항만분야에 접목하고, 성공적인 항만 거버넌스의 구축 및 실현을 위하여 항만 거버넌스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우선순위를 살펴봄으로써 항만 거버넌스의 효율적인 운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항만거버넌스의 성공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구성요인, 운영관리요인을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하고 항만물류전문가를 대상으로 AHP방법을 이용하여 성공적인 항만거버넌스 성공요인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는 중앙정부가 획일적으로 담당해왔던 항만관리체제에 민간경영기법을 도입하여 항만관리체제의 전면개편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항만관리 체제 변화에 따라 항만당국의 항만운영에 관련된 구성원간의 협상(negotiation), 설득(persuasion), 협동(collaboration), 조장(enablement)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항만의 거버넌스를 통한 항만관리 효율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새로운 관점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만 거버넌스에 대한 기초적인 거버넌스 관련이론 검토, 항만관리 및 운영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통하여 항만 거버넌스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성공적인 항만 거버넌스 형성요인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재정자립도, 자치역량, 공공문제해결, 참여주체자간 신뢰 등의 순으로 우선순위가 도출되었는데 이는 우리나라 항만 거버넌스 형성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요소가 중앙정부로 부터의 재정적 독립 및 자치역량의 강화, 항만체제의 거버넌스 체계구축에 있어 상호간의 협력적 체계를 구축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민영화 정책을 통해 재정적 안정성을 도모, 항만관리의 다양화 및 지방분권화로 인한 지자체간 마찰을 해결 등이 선결되어야 할 과제로 제시하였다. 특히, 항만관리의 지방분권화로 인한 지자체간 마찰을 해결하고 당해 항만 또는 국가경제발전이라는 거시적 차원에서의 선의의 경쟁형태로 발전하기 위하여 상호보완적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전략적 접근이 요구되는데 각 지자체간, 항만운영의 이해관계자들 간의 교류와 이를 권역별로 운영할 수 있는 광의의 협력체계로 항만 거버넌스 구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항만 거버넌스라는 이론적 체계를 확립하고 이론적 현상을 실제적 현상으로의 접목을 유도함으로써 이론적 현상을 증명하고 실제적 전략을 제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향후 항만산업에 시사점을 제시하고, 실무적으로는 해운․항만산업의 민간 기업에게는 변화라는 항만관리 체계에 대한 시사점을 정부기관에게는 항만관리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정책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거버넌스, 항만경쟁력, 코피티션, AHP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