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사회과 교사의 수업 포트폴리오 활용에 관한 실행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6-332-B00427
선정년도 2006 년
연구기간 2 년 (2006년 07월 01일 ~ 2008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박인옥
연구수행기관 강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사회과 교사의 교수 능력 개발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교사의 수업 포트폴리오를 제시하고, 사회과 수업을 위해 이를 수집 ․ 활용하는 과정을 통해 사회과 교사의 교수 능력이 어떻게 개선 ․ 발달되어가는지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앞으로 교육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교사의 수업의 전문성을 신장하고자 하는 ‘교사 능력 개발’이라는 교원평가정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기본 방향 및 바람직한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 연구 목표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이론적 논의뿐만 아니라 교육 현장 연구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물이다. 연구의의를 살펴보면, 첫째, 본 연구는 교원평가 정책과 같이 교육 현장에 직결되는 각종의 교육 정책의 결정에 있어 교육적 논리에 근거하여 성공의 조건을 탐색하는데 있어 실용적이고 기초적인 현장 연구가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교실 수업을 통해 사회과 수업의 실질적인 질을 평가하는 계기를 제공해 줌으로써 다음 사회과 수업의 질 개선과 관련하여 많은 유의점을 제공해줄 수 있는 경험적 자료가 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사회과 수업에서 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관련된 여러 변인을 밝혀냄으로써 사회과 교사 연구뿐만 아니라 수업의 전문성 신장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는데 기초적 자료가 될 것이다. 넷째, 사회과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연구는 교수 행위의 개선이라는 관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실천적 지식 중에는 교육에 적합하지 않은 것이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spodek &Yinghui, 1995), 교사는 실천적 지식에 근거하여 교수 행위를 하는 교육과정 개발자이 때문에 현장의 개선은 그들의 실천적 지식의 변화를 도모함으로써 접근되어야 하므로 교수 행위의 개선을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교수 능력 개발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교사의 수업 포트폴리오 활용 방안을 이론적으로 모색하고, 이를 사회과 현장 교사와 함께 실천해 나가며 사회과 교수 능력과 바람직한 수업을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따라서 사회과 교사가 수업 포트폴리오를 수집 ․ 활용하는 과정을 통해 실제 수업과 관련하여 교수 능력이 어떻게 개선 ․ 발달되어가는지 그 변화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주제는 양적 방법으로는 접근이 불가능하며, 적절히 규명되기 어렵다. 즉, 본 연구 주제는 사회과 학습 과정의 질적인 요소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며, 총체적인 서술과 심층적인 분석이 요구되므로 질적 연구 방법이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연구 주제는 교사의 실천과 관련된 연구로 교사가 연구 대상이 되면서도 또한 연구자이어야 한다. 이와 같이 연구 자체가 실천과 관련될 때, 즉 일상사에 유용한 실천적 지식을 생산하고 이를 통하여 새로운 형태의 ‘이해’를 도모하며, 이 과정은 체험적 지식의 성격을 갖기 때문에 탐구의 과정이 중시되는 특성을 갖게 되므로 질적 연구의 일환으로서의 실행연구(action research) 방법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Lincoln(2001: 124-125)은 이론과 실천을 분리하는 실증주의적 연구의 전통이 현실의 개선에 별로 기여하지 못했음을 비난하며, 인간 현상을 실증적이고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연구하는 풍토에 대해 반기를 들고 이에 대응하는 연구 방법으로 실행 연구를 강조하였다. 전술하였듯이, 실행 연구의 장점은 교사가 교육 현장 연구의 입장에서 스스로 자신의 수업을 바라봄으로서 반성의 계기를 제공할 수 있고 동시에 수업 개선을 위한 실천적 노력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실행 연구는 본 연구의 전략으로 매우 적합한 연구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회과 교사의 수업 포트폴리오 활용에 관한 실행 연구 내용은 크게 네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첫째, 사회과 수업을 위한 ‘수업 포트폴리오’ 활용 방안에 대해 이론적 연구하고자 한다. 즉, 먼저, 사회과교육 이론과 선행 연구와 관련하여, 사회과 수업의 목표 및 내용에 기초하여 ‘좋은’, ‘바람직한’ 사회과 수업과 타 교과와는 달리 요구되는 사회과 수업의 특징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통해 앞으로 진행될 사회과 수업의 기초 자료 및 기준을 마련할 것이다. 둘째, 수업 포트폴리오 활용 연구에 앞서, 실천과 관련하여 실제 교육 현장의 연구 교사의 사회과 수업을 분석함으로써 그 수업의 흐름과 특징 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기초로 사회과 교사가 작성해야 할 사회과 수업 포트폴리오에 포함되어야 할 요소들과 이를 위한 구체 적인 실천 전략 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는 교원평가제에서 실시하고자하는 교사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절차 및 방안 마련에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사회과 수업의 질 개선 방안 마련에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셋째, 첫 번째 연구 진행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과 수업 포트폴리오 활용이 수업 현장에 처음 투입되는 과정이 되며, 이에 따른 사회과 수업의 진행 상황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실천적 과정을 통해 첫 번째와 두 번째 연구 결과는 교사에 의해 수정 ․ 보완되며, 이는 교사와의 면담과 수업 관찰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교사는 이러한 실천 과정을 통해 수업에 대한 전문성 습득뿐만 아니라 사회과 수업에 대한 자기 평가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넷째, 그 동안의 실천적 경험을 기초로 진행되는 사회과 교사의 수업 포트폴리오 활용을 통한 수업의 특징 및 변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1여년 정도의 ‘수업 포트폴리오 활용’에 관한 실천적 연구를 통해 습득된 실천적 지식을 바탕으로 사회과 교사는 어떻게 수업을 계획하고 진행하게 되는지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실천적 지식,교원평가제,사회과 수업,사회과 교사,수업 포트폴리오,실행 연구
  • 영문키워드
  • practical knowledge,social studies teacher,social studies instruction,teaching portfolio,action research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social studies) 교수능력 개발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교사의 수업 포트폴리오 활용방안을 이론적으로 모색하고, 이를 사회과 현장교사와 함께 실천해 나가며 사회과 교수능력과 수업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사회과 교사가 수업 포트폴리오를 수집·활용하는 과정을 통해, 실제 수업과 관련하여 교수 능력이 어떻게 개선되는지 그 변화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각 1개 학교를 선정하여 사회과 교사와 함께 실행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자료 수집과 분석은 크게 문헌 분석, 참여 관찰, 심층 면접인 세 가지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평가 및 수업 분석을 위한 요소 및 기준은 교사의 수업실행능력에 초점을 두어 수업조직, 수업수행 및 전략 그리고 학습 분위기 및 환경 조성의 세 가지 영역과 관련하여 총 38개 항목으로 개발하였으며, 사후 사회 수업 분석의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둘째, 실행연구 교사들의 2006년 수업을 분석한 결과, B초등 L교사의 수업은 1차시 내의 모둠활동, 다양한 활동 그리고 학습 자료 수의 과다로 인해 수업시간 부족과 개별학생의 이해 부족 등의 문제가 발견되었으며, S중학교 C교사의 수업은 정형화된 교사 중심의 수업활동과 불규칙한 수업 조직으로 인해 학습자에 대한 이해 부족과 효율적인 수업 기술의 부족 그리고 지나친 시험 강조 등의 문제가 발견되었다. 셋째, 이러한 수업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한 사회과 수업 포트폴리오의 구성 요소는 교육목표, 교수활동, 평가, 성찰, 의사소통의 5가지 요소이며, 이는 교수-학습에 대한 자신의 철학과 관점, 수업계획서, 계획점검표, 수업자료와 목록, 학생들의 수업행동과 수업전략을 수시로 기입한 수업노트, 자신의 수업분석 자료, 학생과의 면담 자료 그리고 교수 경험에 대한 반성 등으로 구성되어 수업에서 활용되었다. 넷째, 사회과 교사의 수업 포트폴리오 활용 후, 2명의 교사 모두 수업실행과정에서 수업조직과 수업전략 측면의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L교사는 체계적으로 구조화된 수업단계로 조직하였으며, 진행단계에서는 모둠학습과 발표활동을 하되, 단어말하기, 빙고게임, 퀴즈 등 비학문적인 수업활동이나 상호작용을 최소화하며, 학습과제에 직접적으로 관계있는 과제지향적 수업활동 위주로 활동의 수를 줄이고 학생들의 활동상황과 반응을 수시로 점검하여 기록하였다. 또한 C교사는 교사 중심의 정형적인 수업활동을 줄이고, 학습자들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 토론학습과 발표활동으로 대체하였으며, 수업계회서와 점검표를 수시로 점검하며 교수-학습 활동의 구조화 노력을 기울였다. 두 명의 교사 모두 수업 시간동안 켜 놓았던 TV 모니터는 필요할 때만 작동시키고, 교수-학습의 종결 시에 학습내용에 대한 정리를 거의 필수적으로 하였다. 이외에도 발문 형태와 수업분위기 등의 작은 변화들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조금씩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사와의 면담과 수업 관찰을 통해 사회과 수업 포트폴리오 활용이 수업 현장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사회과 교사는 이러한 실천 과정을 통해 수업에 대한 전문성 습득뿐만 아니라 사회과 수업에 대한 자기 평가 기회를 가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수업 포트폴리오는 사회과 교사에게 교수 능력과 관련된 반성적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또한 비판적 합리성을 증진시키는 매개 도구로서의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박인옥(2006)의 연구에 의하면, 교사의 최적화 수업 행동은 교사의 실제적인 내적 협상이 물리적인 수업 환경 속에서만 조정되어 나타날 뿐만 아니라 교사 자신의 인식 및 시각과도 함께 조정되어 나타나기 때문이다. 즉, 수업 행동의 내면에서 작용하는, 즉 그러한 행동이 나타나는데 교사의 인식 및 시각이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업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반성적 사고의 증진은 비판적 합리성을 증진시키게 된다.
    그러나 여기서, 한 가지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은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 및 수업의 효율성이 비단 수업 포트폴리오만의 효과만이라고 주장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것이다. 교육 현장에는 교사 변인뿐만 아니라 학생, 교육 환경, 교직 문화 등의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고,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앞으로 교사의 교사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방법일 뿐만 아니라 수업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수업 포트폴리오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영문
  • This research has the objective to find theoretically a practical use plan of teacher's teaching portfolio as a plan to develop the teaching ability of social studies, and search an improvement plan for the teaching ability and the lessons of social studies with making the field teachers of social studies to practice it. So the researcher goes to 'see' deeply the changing process how the teaching ability will be improved in actual lessons through the process that social studies teachers collect·utilize their teaching portfolio. For this research problem, an action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social studies teachers of each one school selected from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s and the relevant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divided largely into document analysi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in this researc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following. First, focusing on the lesson accomplishment ability of teacher, the factors and standards for lesson assessment and lesson analysis were itemized in total 38 with respect to the three parts of lesson formation, performance and strategy of lesson, promoting of studying atmosphere and environment, and they were utilized as the standards for analysis of social studies lesson after that.
    Second, as the analysis for the lessons during 2006 of the practical research teachers, the problems such as a lack of lesson time and an inefficient understanding of individual student were caused by the group activities, the various activities and the oversupply of studying materials in the lessons carried out by L teacher of B elementary school, also the problems such as an inefficient understanding for students, a lack of lesson efficiency and an excessive stress of examination were caused by the standardized and teacher-oriented lesson performance and the irregular lesson formation in the lessons carried out by C teacher of S middle school.
    Third, the five elements of social studies teaching portfolio developed to complement thess problems from the lessons were education objective, teaching, assessment, reflection and communication, and they were consisted of personal philosophy and view on teaching-studying, teaching plan, checking list, lesson materials and their list, lesson note noting down often student's action in lesson and lesson strategy, personal lesson analysis data, data of the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reflection on teaching experience etc. and utilized in lessons hereafter.
    Forth, both of the two teachers showed some changes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their lessons with respect to the lesson formation and lesson strategy after the social studies teachers had utilized the teaching portfolio. In particular, L teacher formed the lesson in systematically organized level, minimized unacademic activities or interactions such as word-speaking, bingo game and quiz in group study and presentation activity, usually took the study-oriented activities closely connected with coursework reducing the activities, and often checked and noted down students' actions and reactions in the progressing of lesson. Also C teacher reduced the standardized and teacher-oriented lesson performance, and increased discussion and presentation in the lessons to promote student's participation, and made an endeavor to structuralize the teaching-studying activity with checking the teaching plan and the checking list often. Both of the two teachers turned on the TV monitor only if needed and they always reviewed the lesson contents on closure of teaching-studying. Besides, some positive changes were gradually showed in the question raising and the studying atmosphere.
    In conclusion,This research result shows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teaching portfolio as a plan to develop professional lessons as well as a method to evaluate teacher's efficienc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social studies) 교수능력 개발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교사의 수업 포트폴리오 활용방안을 이론적으로 모색하고, 이를 사회과 현장교사와 함께 실천해 나가며 사회과 교수능력과 수업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사회과 교사가 수업 포트폴리오를 수집·활용하는 과정을 통해, 실제 수업과 관련하여 교수 능력이 어떻게 개선되는지 그 변화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각 1개 학교를 선정하여 사회과 교사와 함께 실행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자료 수집과 분석은 크게 문헌 분석, 참여 관찰, 심층 면접인 세 가지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내용 및 절차는 크게 네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사회과 수업을 위한 ‘수업 포트폴리오’ 활용 방안에 대해 이론 연구를 실시하였다. 즉, 교사 평가, 사회과 수업 그리고 사회과 교사 등의 선행연구를 참고로 사회과 수업평가 또는 수업분석을 위한 요소 및 기준을 정리하였다. 둘째, 실천과 관련하여 연구교사의 일상적인 사회과 수업을 분석함으로써 그 수업의 조직과 특징 그리고 문제점 등을 파악하였다. 수업 분석결과를 기초로 사회과 교사가 작성해야 할 수업 포트폴리오에 포함되어야 할 요소들과 이를 위한 실천 전략 등을 모색하였다. 셋째, 첫 번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과 수업 포트폴리오 활용이 수업 현장에 처음 투입되는 과정이 되며, 이에 따른 사회과 수업의 진행 과정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실천적 과정을 통해 첫 번째와 두 번째 연구 결과는 교사에 의해 수정 보완되며, 이는 교사와의 면담과 수업 관찰을 통해 이루어졌다. 넷째, 그 동안 진행된 사회과 교사의 수업 포트폴리오 활용을 통한 수업의 특징 및 변화를 연구하였다. 1여년 정도의 ‘수업 포트폴리오 활용’에 관한 실천적 연구를 통해 습득된 실천적 지식을 바탕으로, 사회과 교사는 어떻게 수업을 계획하고 진행하게 되는지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내용에 따라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2006년도 2학기부터 2008년도 1학기까지 강원도 춘천시의 B초등학교 L교사의 6학년 ‘사회’ 수업과 경기도 구리시의 S중학교 C교사의 2학년 ‘사회’ 수업을 1학기당 대단원 10-15차시 분량으로 본 연구자가 직접 참여 관찰하며 비디오로 녹화하였으며, 사회과 교사와의 면담은 필요에 따라 수시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평가 및 수업 분석을 위한 요소 및 기준은 교사의 수업실행능력에 초점을 두어 수업조직, 수업수행 및 전략 그리고 학습 분위기 및 환경 조성의 세 가지 영역과 관련하여 총 38개 항목으로 개발하였으며, 사후 사회 수업 분석의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둘째, 실행연구 교사들의 2006년 수업을 분석한 결과, B초등 L교사의 수업은 1차시 내의 모둠활동, 다양한 활동 그리고 학습 자료 수의 과다로 인해 수업시간 부족과 개별학생의 이해 부족 등의 문제가 발견되었으며, S중학교 C교사의 수업은 정형화된 교사 중심의 수업활동과 불규칙한 수업 조직으로 인해 학습자에 대한 이해 부족과 효율적인 수업 기술의 부족 그리고 지나친 시험 강조 등의 문제가 발견되었다.
    셋째, 이러한 수업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한 사회과 수업 포트폴리오의 구성 요소는 교육목표, 교수활동, 평가, 성찰, 의사소통의 5가지 요소이며, 이는 교수-학습에 대한 자신의 철학과 관점, 수업계획서, 계획점검표, 수업자료와 목록, 학생들의 수업행동과 수업전략을 수시로 기입한 수업노트, 자신의 수업분석 자료, 학생과의 면담 자료 그리고 교수 경험에 대한 반성 등으로 구성되어 수업에서 활용되었다.
    넷째, 사회과 교사의 수업 포트폴리오 활용 후, 2명의 교사 모두 수업실행과정에서 수업조직과 수업전략 측면의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L교사는 체계적으로 구조화된 수업단계로 조직하였으며, 진행단계에서는 모둠학습과 발표활동을 하되, 단어말하기, 빙고게임, 퀴즈 등 비학문적인 수업활동이나 상호작용을 최소화하며, 학습과제에 직접적으로 관계있는 과제지향적 수업활동 위주로 활동의 수를 줄이고 학생들의 활동상황과 반응을 수시로 점검하여 기록하였다. 또한 C교사는 교사 중심의 정형적인 수업활동을 줄이고, 학습자들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 토론학습과 발표활동으로 대체하였으며, 수업계회서와 점검표를 수시로 점검하며 교수-학습 활동의 구조화 노력을 기울였다. 두 명의 교사 모두 수업 시간동안 켜 놓았던 TV 모니터는 필요할 때만 작동시키고, 교수-학습의 종결 시에 학습내용에 대한 정리를 거의 필수적으로 하였다. 이외에도 발문 형태와 수업분위기 등의 작은 변화들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조금씩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수업 포트폴리오는 사회과 교사에게 교수 능력과 관련된 반성적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또한 비판적 합리성을 증진시키는 매개 도구로서의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박인옥(2006)의 연구에 의하면, 교사의 최적화 수업 행동은 교사의 실제적인 내적 협상이 물리적인 수업 환경 속에서만 조정되어 나타날 뿐만 아니라 교사 자신의 인식 및 시각과도 함께 조정되어 나타나기 때문이다. 즉, 수업 행동의 내면에서 작용하는, 즉 그러한 행동이 나타나는데 교사의 인식 및 시각이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업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반성적 사고의 증진은 비판적 합리성을 증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앞으로 교사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방법일 뿐만 아니라 수업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수업 포트폴리오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활용의 가능성을 지닌다. 첫째, 본 연구는 교원평가 정책과 같이 교육 현장에 직결되는 각종의 교육 정책의 결정에 있어 교육적 논리에 근거하여 성공의 조건을 탐색하는데 있어 실용적이고 기초적인 교사평가 및 수업평가 연구가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교실 수업을 통해 사회과 수업의 실질적인 질을 평가하는 기준과 계기를 제공해 줌으로써 다음 사회과 수업의 질 개선과 관련하여 많은 유의점을 제공해줄 수 있는 경험적 자료가 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사회과 수업에서 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관련된 여러 변인을 밝혀냄으로써 사회과 교사 연구뿐만 아니라 수업의 전문성 신장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는데 기초적 자료가 될 것이다.
    넷째, 사회과 교사의 평가 목적이 교수 행위의 개선이라는 관점에서 수업 포트폴리오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수업 포트폴리오는 현장에 투입되어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실천적 지식을 더 풍부하게 만들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며, 이와 같은 실행 연구를 통한 현장의 개선은 그들의 실천적 지식의 변화를 도모함으로써 접근되어야 하므로 교수 행위의 개선을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 색인어
  • 사회과 교사, 수업 포트폴리오 활용, 실행 연구, 교사 평가, 교수 능력, 수업 분석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