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배양을 위한 한국어교육 방안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학술연구교수& #40;인문사회& #41;
연구과제번호 2006-353-B00068
선정년도 2006 년
연구기간 3 년 (2006년 09월 01일 ~ 2009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정은
연구수행기관 숙명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서로 다른 문화 배경을 가지고 있는 다양한 학습자들의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하여 요구되는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배양을 위한 한국어교육 방안 모색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은 Hymes(1972)와 Canale & Swain(1980)의 의사소통능력을 확장한 개념으로 Byran & Fleming(1998)은 서로 다른 문화를 바탕으로 한 대화에서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을 따라가기보다 서로의 문화적 차이를 인정하고 자기 문화와의 객관적인 비교와 의사소통과정에서 의미협상을 통하여 그 갈등을 해소하고 차이를 줄여가는 데 필요한 능력으로 기술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은 의사소통 과정에서 궁극적으로 요구되는 능력이다.
    한국어교육이 이루어지는 국내외 현장에서는 최근 문화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크게 느끼고 있고 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있으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배양을 위한 언어교육으로 자리 잡기보다 문화의 정보와 지식 전달에 머물고 있는 실정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첫째, 한국어교육 시 실시되는 주된 문화 내용은 산물문화 항목에 대한 소개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사람과의 접촉 없이도 습득이 가능하여 의사소통 상황 속에서의 언어 사용과 관계가 적으므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화교육은 언어능력 신장에 대한 고려 없이 임의적, 주관적으로 문화 내용이 채택되어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배양을 위한 체계적인 내용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문화교육을 위해 활용하고 있는 방법은 대부분 문화 체험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화 체험은 목표언어 문화에 흥미와 관심을 갖는 계기는 될 수 있으나 언어와 문화가 통합된 교육이 아니므로 실제 의사소통능력 배양에 도움이 되는 언어문화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보기는 어렵다.
    셋째, 학습자 변인에 해당하는 국적, 학습 동기, 지적 배경, 연령, 직업 등에 대한 분석과 다양한 학습자의 요구 조사 결과가 반영되지 않고 일방적이고 범용적인 한국 문화 일반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한국어 학습자들은 문화교육에 대한 동기 유발이 어려웠고 자신의 문화와 목표문화를 비교하면서 생성되는 간문화적인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도움을 주지 못하였다. 또한 이주노동자와 국제결혼 이주 여성은 대단위 한국어 학습자로 그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교육의 공급에서 소외되고 방치되어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그들의 언어문화와 한국의 언어문화 사이의 소통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배양을 위해서는 언어문화 교육에 의한 한국어교육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언어문화의 보편성과 개별성 추출을 통한 체계적인 문화 내용 구성과 교육 방안이 선결 과제이다. 아직 타 문화와의 비교를 통해 언어문화의 보편성과 개별성을 정립하고 이를 언어문화 교육에 체계적으로 접근한 선례가 없으므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배양을 위한 언어문화의 내용 구성과 교육방안에 대한 본 연구는 기존의 한국어교육 방안과 다른 독창적인 접근 방식이란 면에서 연구의 의의와 필요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기대 효과로는 다음 몇 가지를 지적할 수 있다. 첫째, 여러 나라의 언어문화 속에 나타난 보편성과 개별성의 추출을 통해 우리와 다른 언어문화에 대한 이해는 물론 한국 언어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계기가 된다. 둘째, 지금까지 언어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에서 진일보한 언어문화에 의한 한국어교육 방법으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배양을 통해 한국어교육의 활성화와 국제화를 유도한다. 셋째, 학습자 변인을 고려한 언어문화 교육으로 학습자가 목표문화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탈피하고 긍정적 개방적으로 목표어의 언어문화를 수용하도록 도와 목표 언어문화의 효과적 습득을 유도한다. 넷째, 학습자 변인에 따라 구성된 언어문화 내용 구성은 학습자의 모국어 문화와 목표문화의 차이 를 제공하므로 언어문화의 체계적인 내용과 이들이 사용되는 맥락과 상황을 학습자 변인별로 제시한 국제문화 의사소통 자료집 제작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국제문화 의사소통 자료집은 문화 간 의사소통이 요구되는 교육과 연수 프로그램에 적극 활용될 것이다. 다섯째, 한국어교육의 수요가 증가하고 다양해지나 교육과정과 교재개발은 범용의 단계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현시점에서 언어문화에 의한 한국어교육은 한국어교육의 다변화, 전문화를 위한 방법론으로 한국어교육 현장의 교육과정과 교재개발에 활용되어 한국어교육의 다양화,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여섯째, 여러 국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 언어문화 교육을 담당해야 하는 국내외 한국어 교사들에게 학습자들의 언어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학습자 언어문화와 한국 언어문화의 차이를 인식하여 교육에 반영할 수 있는 교사용 지침서 제작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일곱째, 본 연구로 지금까지 이루어진 언어 영역 중심의 평가에서 언어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및 평가의 무게 중심의 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문화 능력 평가라는 새로운 평가 도구 개발에 활용하게 될 것이다. 또한 한국어능력평가의 사회문화적 요소들의 비중이 점점 커지는 현 상황에서 언어문화의 보편성과 개별성 추출을 통해 구성된 내용은 사회문화적 능력의 평가를 위한 보편적 준거를 제시하게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가 앞에 제시한 목적을 달성하고 그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크게 다음 세 가지 내용에 연구의 초점을 맞춘다.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배양을 위한 한국어교육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는 다음의 세 과정으로 진행된다. (1) 여러 언어권의 언어교재(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독일어/프랑스어 등)에 제시된 문화 내용 분석하고 국내외 학습자를 언어권별, 성별, 직업별, 연령별, 학력별, 학습 동기별로 구분하고 국외 외국인 한국어교사(언어권별/성별/연령별/학력별로 구분하여)까지 포함하여 한국 언어문화와 그들의 언어문화와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한 면접과 설문조사를 실시하며 그 내용을 분석하여 여러 언어문화의 보편성과 개별성 추출한다. 추출된 언어문화의 보편성과 개별성을 반영하여 문화내용을 구성한다. (2) (1)에서 추출한 언어문화의 보편성과 개별성의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 출현할 수 있는 문화 간 의사소통 유형을 제시한다. 문화가 다른 대화 참여자들의 의사소통 상황에서는 언어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과 거기에 포함된 여러 문화적 의사소통 유형을 정확하게 이해해야 소통이 가능하다. 따라서 문화 간 의사소통 유형은 언어교육 현장에서 문화학습을 위한 활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일상생활 유형, 비언어적 표현, 가치와 태도, 문화적 행위로 나누어 제시한다. (3) (1)에서 추출한 언어문화의 보편성과 개별성, (2)에서 제시한 문화 간 의사소통 유형을 바탕으로 주요 학습자 변인(언어권별/학습목적/직업별)에 따른 문화 간 의사소통을 위한 한국어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성별, 연령별, 학력별 변인에 대한 기술은 각각의 주요 변인 안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위해서는 각국 언어문화의 보편성과 개별성 추출 과정이 주요 기초 작업이 되며 이는 후행 작업과 긴밀한 관계를 갖게 된다.
  • 한글키워드
  •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언어문화의 보편성과 개별성. 문화 간 의사소통 유형. 일상생활 유형. 비언어적 표현. 가치와 태도. 문화적 행위. 한국어교육 방안
  • 영문키워드
  •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universalities and specialities in language cultur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ypes. patterns of everyday life. non-verbal signals. values and attitudes. cultural behaviour. Korean education method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자는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배양을 위한 한국어교육 방안>>이라는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당초 연구계획으로 1차년도에는 한국어교재 분석을 통한 언어문화 추출, 2차년도에는 1차년도의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문화 간 의사소통에서의 갈등 양상 분석, 3차년도에는 1,2차년도의 연구를 반영하여 교사의 이문화능력 조사와 분석, 문화 간 의사소통을 위한 이문화교육 방안 제시로 계획하였다. 1차년도에서는 의사소통능력 배양을 위한 문화교육의 필요성에 초점을 두고 개발된 한국어교재들을 대상으로 서로 다른 언어, 문화적 배경, 의사소통 기술을 가진 학습자가 의사소통을 하는 데 적합한지 알아보기 위해 교재의 대화부분, 읽기 부분, 문화 영역 부분을 분석하였다. 2차년도에서는 문화 간 의사소통 유형 제시를 위해 문화 간 의사소통 상황에서 갈등을 유발하는 요인과 갈등 양상을 제시하고, 이를 반영한 설문문항을 구성하여 네 언어권(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의 대화참여자를 대상으로 문화 간 의사소통에서의 갈등 양상을 분석하였다. 3차년도에서는 언어교육현장에서 다양한 국적의 학습자들과 문화 간 의사소통을 하는 한국어교사의 이문화능력을 조사(설문/면담조사 병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언어교육현장에서 문화 간 의사소통을 위해 필요한 이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 영문
  • 1. Study of first year : This study tries to present the educational way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ose facts. To do so, as the aspect of the communication in language teaching, this research intends to examine whether the cultural content in the textbooks has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real communicative situations where participants from the different culture and language will be able to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effectively. This point of analysis depending on the criteria of the cultural content, the origin of culture, and the cultural activities is to distinguish three parts briefly, the pragmatical part, the area of cultural information and the learning of culture.

    2. Study of second year : This study suggests which factors cause some conflicts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the aspects related to these results. On this basis of these facts, it's supposed to analyze some aspects of conflicts in the cultural communication with the subject of four types of language participants (Korean, English, Japanese, and Chinese). And We analyze Korean textbooks from the viewpoint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is point of analysis depending on the criteria of cultural content and the origin of culture. Lastly we offer methods of Korean education to develop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3. Study of third year : This study surveys intercultural competence of Korean teachers, interacting with diverse people between different cultures, and presents the programs for intercultural learning. To do this, the research will be as follow: First of all, after this study looks into the curriculums of Korean academic degrees, 'Education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t observes how the inter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s has been working. In addition, this study is intended for implications, by monitoring the curriculums of developing the vernacular in contents of the standard education, based mainly on the communication, in Japan. Moreover, this focuses on the main points, which several researchers have suggested, developing intercultural competence for communicating effectively between cultures. Based on these materials, by means of the survey instrument consisted of interview and questionnaire, this research examines and analyzes intercultural competence of the Korean educators as following: knowledge and experiences about intercultures, communicative skills between different cultures, and interactive correlational abiliti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showed with methods of the intercultural teaching required Korean educators, which are divided into 'culture-specific' and 'culture-genera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자는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배양을 위한 한국어교육 방안>>이라는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당초 연구계획으로 1차년도에는 한국어교재 분석을 통한 언어문화 추출, 2차년도에는 1차년도의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문화 간 의사소통에서의 갈등 양상 분석, 3차년도에는 1,2차녀도의 연구를 반영하여 교사의 이문화능력 조사와 분석, 문화 간 의사소통을 위한 이문화교육 방안 제시로 계획하였다.
    1차년도 연구로 <문화 간 의사소통 관점에서의 한국교재 분석>을 진행한 결과,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배양을 위해 고려해야 할 내용으로 다음의 세 가지를 추출하였다.
    첫째, 서로 다른 언어와 문화를 배경을 가진 사람과의 대화에서 차이점과 공통점을 발견하면서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문화 간 의사소통 상황에서 대화참여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대인 관계 능력이 요구된다. 둘째,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지닌 대화참여자와 문화적 융통성을 발휘하며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교재구성과 학습방법이 요구된다. 셋째, 서로 다른 문화 차이를 인식하고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을 배양시킬 수 있는 교사의 육성과 이들을 위한 교육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다문화를 인식하고 이를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사의 준비가 필요하다.
    2차년도 연구에서는 당초 2년차 연구계획인 문화 간 의사소통의 갈등 양상을 분석하는 데 있어 1차년도 연구를 통해 지적된 첫 번째 내용을 반영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즉 네 언어권(한국어/일본어/영어/중국어)의 학습자와 한국어교사를 대상으로 문화 간 의사소통 유형을 크게 의사소통 기술(언어와 비언어), 가치관, 개인적 성향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유형을 세부유형으로 재분류하였다. 의사소통 기술에서는 ‘인사/침묵/미소/칭찬/맞장구/거절/존대어/감사와 사과/몸짓언어’를, 가치관에서는 ‘각국의 이미지/집단주의와 개인주의/불확실성 회피/역사적 사실과 국가 간 이해관계/교사와 학생 간의 대화/우정/선물문화/자민족 중심주의/시간 개념/남녀차별/이성관’을, 개인적 의사소통 성향에서는 ‘성격/불안, 염려/이해심, 인내/타 문화 경험’으로 분류하여 이들의 세부적인 문화 간 의사소통 갈등양상을 분석하였다.
    3차년도 연구에서는 당초 3년차 연구계획인 문화 간 의사소통을 위한 한국어교육 방안 제시를 수행하는 데 있어 1차년도 연구를 통해 지적된 둘째, 셋째의 내용과 2차년도의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즉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교재구성, 학습방법과 다문화를 인식하고 이를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사의 이문화능력을 조사‧분석하고 이를 반영하여 문화 간 의사소통을 위한 이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I. 연구결과
    1. 1차년도 연구결과 : 의사소통능력 배양을 위한 문화교육의 필요성에 초점을 두고 개발된 한국어교재들을 대상으로 서로 다른 언어, 문화적 배경, 의사소통 기술을 가진 학습자가 의사소통을 하는 데 적합한지 알아보기 위해 교재의 대화부분, 읽기 부분, 문화 영역 부분을 분석
    2. 2차년도 연구결과 : 문화 간 의사소통 유형 제시를 위해 문화 간 의사소통 상황에서 갈등을 유발하는 요인과 갈등 양상을 제시하고, 이를 반영한 설문문항을 구성하여 네 언어권(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의 대화참여자를 대상으로 문화 간 의사소통에서의 갈등 양상을 분석
    3. 3차년도 연구결과 : 언어교육현장에서 다양한 국적의 학습자들과 문화 간 의사소통을 하는 한국어교사의 이문화능력을 조사(설문/면담조사 병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언어교육현장에서 문화 간 의사소통을 위해 필요한 이문화교육 방안을 제시.
    II. 활용방안
    1. 학습자 변인에 따른 국제문화 의사소통 자료집 제작에 활용
    2 .다변화, 전문화된 한국어교육 교육과정과 교재개발에 활용.
    3. 언어문화 교육을 위한 국내외 교사용 지침서 제작에 활용
    4.문화 능력 평가 도구 개발에 활용
    5.교사 이문화교육 프로그램과 다문화 전문가 양성에 활용
  • 색인어
  • 문화 간 의사소통. 언어문화교육. 갈등요인. 갈등양상분석. 이문화능력. 상호작용능력. 이문화교육방안.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