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일 양언어에 있어서 한어(漢語) 오노마토피어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기초연구지원인문사회& #40;창의주제연구& #41;
연구과제번호 2006-321-A00890
선정년도 2006 년
연구기간 1 년 (2006년 11월 01일 ~ 2007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장진영
연구수행기관 계명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및 일본어에 있어서 한어 오노마토피어의 어휘를 수집하여 그 형태와 음형(音型)을 분석한 후, 이들 용례가 가지고 있는 의미・용법을 고찰해 본다. 이러한 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인과 일본인을 대상으로 앙케이트 조사를 실시하여 한어 오노마토피어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본다. 한국어와 일본어의 한어 오노마토피어의 경우 그 형태에 있어서 아주 유사하면서도 음형(音型)이나 의미・용법에 있어서는 상이점이 나타나고 있다. 즉 같은 형태가 중국어에서 유입이 되었으나 각각의 언어에 있어서 서로 다른 모습으로 정착해 가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지금까지의 어떤 오노마토피어 대조 연구에서도 다루지 않았던 주제로서 이에 관해서는 한・일 양언어에 나타나는 동일한 용례를 가지고 비교・고찰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을 통하여 한국어와 일본어에 있어서 한어 오노마토피어의 위상을 재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기대효과
  •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오노마토피어 연구에서는 순수한 고유어로 이루어진 오노마토피어만을 그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한어 기원의 오노마토피어는 그 연구 대상에서 배제되어 왔으며 기초적인 어휘 목록마저도 작성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완성되면 한・일 양언어에 있어 체계적인 한어 오노마토피어 어휘 목록이 작성될 것이다.
    또한 한국어와 일본어에 있어서 동일한 형태를 가진 한어 오노마토피어가 그 음형(音型)과 의미・용법에 있어서 상이점이 나타나는 점에 착목하여 한국어와 일본어에 동일하게 나타나는 한어 오노마토피어 용례를 비교・분석함으로서 양언어에 있어 한어 오노마토피어의 특징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현대어에 있어서 일본어의 경우 한자어로서의 개념이 사라지고 고유 오노마토피어로서 인식되는 용례들이 나타나고 있으나 한국어의 경우 한어 오노마토피어가 고유 오노마토피어로 인식되는 용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어와 일본어에 있어 한어 오노마토피어의 형태와 의미・용법을 비교・분석하고 양국에 있어 한어 오노마토피어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일본어의 경우 한어에서 발생한 오노마토피어가 일정한 형태 즉 4음절 반복형을 이루고 있으며, 원래는 한어에서 발생한 오노마토피어라 할지라도 그 음감이 일본적 감각에도 일치되어 고유 오노마토피어로 응용되어 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나, 한국어의 경우 그 형태가 2음절 반복형으로서 한국어 고유 오노마토피어의 음형(音型)과는 아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한어 오노마토피어의 경우 중국어에서 의태어로 사용되었다 할지라도 일본어에 정착되어 쓰이면, 다른 어감을 나타내게 되거나, 원래 가지고 있던 여러 의미 중에서 어느 한쪽에 편중되어 쓰이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어에서도 나타나며, 중국어에서의 의미・용법뿐만 아니라, 일본어에서의 의미・용법과도 다른 한국어에서만의 또 다른 특징이 나타난다. 또한 고유 오노마토피어에서와 마찬가지로 한어 오노마토피어에 있어서도 의미의 확장이 나타나고 있는데, 일본어의 경우 구체적인 사물이나 동작의 묘사 이외에 추상적인 의미까지 확장되어 쓰이는 용법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의 경우 지금까지 검토한 자료에 한정되어 고찰한 결과 추상적인 의미까지 의미・용법이 확장되고 있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본어의 경우 한어 오노마토피어 중에 발음이 고유 오노마토피어와 유사하거나, 음형(音型)이 고유 오노마토피어와 유사한 경우, 한어로서의 의식이 사라지고 고유 오노마토피어로 의식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한국어의 경우, 한어 오노마토피어의 형태와 음형(音型)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그 형태와 음형(音型)이 고유 오노마토피어와는 아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현대어에 있어서 고유 오노마토피어로 인식되는 현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 한글키워드
  • 인식 변화,오노마토피어,한어 오노마토피어,용법,의미확장,음형(音型)
  • 영문키워드
  • onomatopoeia,the usage of onomatopoeia,the change of the perception of onomatopoeia,the diversification of meaning,onomatopoeia in Chinese character,sound patter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우선 한국어와 일본어에 공통되어 나타나는 【AA型】의 한어 오노마토피어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그 음형(音形)을 분석했다. 이 경우 한국어와 일본어의 한어 오노마토피어는 【AA型】이라는 같은 형태를 이루면서 양 언어에 있어서는 다른 음형(音形)으로서 나타났다. 일본어의 경우는 고유 오노마토피어의 음형(音形)과 일치하지만, 한국어의 경우는 고유 오노마토피어의 음형(音形)과 상당히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우선 일본어의 경우는 고유 오노마토피어에 있어서도 빈번하게 나타나는 음형(音形)인 「○○型」「○イ○イ型」「○ウ○ウ型」「○キ○キ型」「○ク○ク型」「○ツ○ツ型」「○ッ○ツ型」「○ン○ン型」의 패턴을 이루고 있었다. 이에 비해서 한국어의 경우는 일정한 패턴을 이루지 않고 고유 오노마토피어의 음형(音形)과도 다른 패턴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일본어 한어 오노마토피어는 한자어로서의 개념이 약해지고 고유 오노마토피어로서 의식되는 용례가 나타날 수 있지만, 한국어 한어 오노마토피어의 경우 고유 오노마토피어로서 의식되는 용례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즉 일본어의 경우 그 음형이 고유 오노마토피어와 일치하는 용례는 고유 오노마토피어로 의식되어 한어인지 고유어인지의 경계가 애매하게 된다. 이에 비해서 한국어의 경우는 한어 오노마토피어와 고유 오노마토피어의 음형(音形)에 있어 경계가 명확하기 때문에 한어 오노마토피어는 고유 오노마토피어로 의식되지 않고 일반 부사로 의식된다.
  • 영문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rms of onomatopoeia in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 【AA pattern】of onomatopoeia which is expressed in both Korean and Japanese. It turns out that onomatopoeia in Chinese characters used in Korean and Japanese shares the same pattern of 【AA pattern】 but the forms of onomatopoeia in both languages are different. In case of Japanese, the form of onomatopoeia in Chinese characters is the same as that of onomatopoeia in Japanese characters. In case of Korean, however, the form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in Korean characters. Japanese onomatopoeia in Chinese characters consists of 「○○ pattern」, 「○イ○イ pattern」, 「○ウ○ウ pattern」, 「○キ○キ pattern」, 「○ク○ク pattern」, 「○ツ○ツ pattern」, 「○ッ○ツ pattern」, and 「○ン○ン pattern」, which are frequently used patterns in onomatopoeia in Japanese characters as well. On the other hand, Korean onomatopoeia in Chinese characters isn't composed of any specific patterns and has quite different forms from those of onomatopoeia in Korean characters. Thus, in Japanese onomatopoeia expressed in Chinese characters, you can not easily find the trace of Chinese characters, but perceive it as onomatopoeia in Japanese characters. On the contrary, Korean onomatopoeia borrowed from Chinese characters is seldom accepted as onomatopoeia in Korean characters.
    That is to say, in case of Japanes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onomatopoeia in Chinese characters from that in Japanese ones, since the form of onomatopoeia in Chinese characters is the same as that in Japanese characters. In case of Korean, in which there is a clearly drawn line between onomatopoeia in Chinese characters and that in Korean characters, onomatopoeia in Chinese characters is not regarded as onomatopoeia in Korean characters but regarded as a general adverb.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연구에서는, 한·일 양언어에 있어 한어 오노마토피어의 【AA型】형을 대상으로 하여 그 음형(音形)을 분석했다. 분석한 결과 한·일 양언어의 한어 오노마토피어는 【AA型】이라는 같은 형태를 이루고 있으면서도 각각의 언어에서는 다른 음형(音形)으로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우선 일본어의 경우는 고유 오노마토피어에 있어서도 빈번하게 나타나는 음형(音形)인 「○○型」「○イ○イ型」「○ウ○ウ型」「○キ○キ型」「○ク○ク型」「○ツ○ツ型」「○ッ○ツ型」「○ン○ン型」의 패턴을 이루고 있었다. 이에 비해서 한국어의 경우는 일정한 패턴을 이루지 않고 고유 오노마토피어의 음형(音形)과도 다른 패턴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일본어 한어 오노마토피어는 한자어로서의 개념이 약해지고 고유 오노마토피어로서 의식되는 용례가 나타날 수 있지만, 한국어 한어 오노마토피어의 경우 고유 오노마토피어로서 의식되는 용례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즉 일본어의 경우 그 음형이 고유 오노마토피어와 일치하는 용례는 고유 오노마토피어로 의식되어 한어인지 고유어인지의 경계가 애매하게 된다. 이에 비해서 한국어의 경우는 한어 오노마토피어와 고유 오노마토피어의 음형(音形)에 있어 경계가 명확하기 때문에 한어 오노마토피어는 고유 오노마토피어로 의식되지 않고 일반 부사로 의식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는 우선 한국어와 일본어에 공통되어 나타나는 【AA型】의 한어 오노마토피어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그 음형(音形)을 분석했다. 이 경우 한국어와 일본어의 한어 오노마토피어는 【AA型】이라는 같은 형태를 이루면서 양 언어에 있어서는 다른 음형(音形)으로서 나타났다. 일본어의 경우는 고유 오노마토피어의 음형(音形)과 일치하지만, 한국어의 경우는 고유 오노마토피어의 음형(音形)과 상당히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우선 일본어의 경우는 고유 오노마토피어에 있어서도 빈번하게 나타나는 음형(音形)인 「○○型」「○イ○イ型」「○ウ○ウ型」「○キ○キ型」「○ク○ク型」「○ツ○ツ型」「○ッ○ツ型」「○ン○ン型」의 패턴을 이루고 있었다. 이에 비해서 한국어의 경우는 일정한 패턴을 이루지 않고 고유 오노마토피어의 음형(音形)과도 다른 패턴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일본어 한어 오노마토피어는 한자어로서의 개념이 약해지고 고유 오노마토피어로서 의식되는 용례가 나타날 수 있지만, 한국어 한어 오노마토피어의 경우 고유 오노마토피어로서 의식되는 용례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즉 일본어의 경우 그 음형이 고유 오노마토피어와 일치하는 용례는 고유 오노마토피어로 의식되어 한어인지 고유어인지의 경계가 애매하게 된다. 이에 비해서 한국어의 경우는 한어 오노마토피어와 고유 오노마토피어의 음형(音形)에 있어 경계가 명확하기 때문에 한어 오노마토피어는 고유 오노마토피어로 의식되지 않고 일반 부사로 의식된다.
    〈활용 방안〉
    지금까지의 한·일 양언어의 오노마토피어 연구에 있어서는 고유 오노마토피어만을 그 대상으로 삼았다. 따라서 한어 오노마토피어는 그 연구 대상에서 배제되어 왔고 기본적인 어휘 리스트조차 작성되지 않았다. 그러나 19세기 이전의 자료에 있어서는 고유 오노마토피어뿐만 아니라 한어 오노마토피어도 다수 나타나고 있으며 오노마토피어로서의 역할도 충분히 하고 있는 점 등을 생각하면, 한어 오노마토피어에 관한 용례 수집 및 형태・음형(音形)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한국어와 일본어의 경우 그 형태가 일치하는 용례가 많이 발견되므로 이에 대한 어휘 목록 작성 및 음형(音形)분석과 의미 분석까지 앞으로 해야 할 연구가 많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그러한 작업을 위한 시작 단계로 우선 한·일 양언어의 한어 오노마토피어의 어휘 목록을 작성하였으며 가장 기본이 되는 【AA型】의 음형(音形)을 분석했다. 이러한 시도는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색인어
  • 漢語オノマトペ(Onomatopoeia in Chinese Character)、固有オノマトペ(Onomatopoeia in Japanese Character)、音形(the Form of Onomatopoeia in Chinese Character)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