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현대 중국의 문화 및 사회변동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경영현지화 : 학제적 접근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기초연구지원인문사회(창의주제연구)
연구과제번호 2007-321-B00067
선정년도 2007 년
연구기간 2 년 (2007년 08월 01일 ~ 2009년 07월 31일)
연구책임자 안종석
연구수행기관 전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이경아(한국외국어대학교)
백권호(영남대학교)
장수현(광운대학교)
김윤태(동덕여자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중국에 진출해 있는 한국기업들의 경영현지화 문제를 경영학-문화인류학-사회학의 학제적 접근(interdisciplinary approach)을 통해 총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중국이 이미 한국기업들의 최대 투자대상국이고, 글로벌 경쟁이 보다 심화될 향후에도 한국기업들의 생존과 발전을 위한 전략지역일 수 밖에 없다는 현실적 토대 위에서, 중국에 진출해 있는 한국기업들이 중국 현지에서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당면 경영현안이 경영현지화의 문제이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경영현지화 문제를 (국제)경영학을 중심으로 한 인근 학문들 사이의 연계를 통해 보다 총체적이며 심도 깊게 살펴봄으로써 그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현실 인식에 기인한다.
    중국의 투자환경을 이해하는 핵심어는 ‘글로벌 스탠더드(global standard)의 적용범위 확대, 즉 글로벌화’(globalization)와 ‘중국 현지 사회문화에의 적응, 즉 현지화’(localization) 두 가지이다. 중국의 WTO 가입 이후 중국에서 시장경제체제가 급속히 확산되고 개방화가 진전되면서 글로벌 스탠더드의 적용범위가 확대되고 있음은 이론의 여지가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현지화가 중국시장에서의 성공의 관건이며 현지 사회문화적 적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주장도 갈수록 힘을 얻고 있다. 최근 중국 국내에서 외자기업 현지화(소위 '本土化')에 관한 연구가 활발한데, 중국도 외국인투자기업의 중국 사회문화 및 정책 환경에 적응이라는 관점에서 이들 외자기업의 현지화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중국이 진출한 다국적기업의 현지 책임자들도 향후 중국에서 외국인투자기업의 성공 요인으로 강력한 현지인 경영 팀을 구성하는 것임을 역설하고 있다. 이제 중국에 진출한 많은 외국인투자 기업들에게는 경영현지화가 가장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중국에 진출한 외자기업의 입장에서 중국 경제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두 가지 화두, 즉 ‘글로벌화’와 ‘현지화’는 상호 대립적인 개념이 아니다. 오히려 이 두 가지 핵심개념은 상호작용하고 있다. 중국경제의 개혁·개방의 확대와 이에 따른 시장경제체제로의 진행, 그리고 WTO 가입 이후 촉진되고 글로벌 경제로의 편입은 중국이 과거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문화적, 환경적 특성을 가지게 하였고, 이러한 새로운 문화적, 환경적 특성에 적응하고자 하는 중국 내 다국적기업들의 현지화 노력은 중국 경제의 글로벌 경제로의 편입을 촉진하고 글로벌 경쟁에서의 중국 시장의 전략적 중요성을 더욱 제고하게 될 것이다.
    중국의 시장경제체제로의 경제체제 전환과 WTO 가입 등으로 인한 글로벌화의 압력이 현대 중국의 문화적, 환경적 특성을 변화시켜, 궁극적으로는 중국에 진출한 기업들에게 강하면서도 전혀 새로운 현지화의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은 중국의 문화적, 사회적 변동에 관한 문화인류학과 사회학에서의 연구들에서 그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이들 연구들은 개혁·개방의 확대에 따른 중국경제의 성격변화로 중국경제에서 글로벌 스탠더드의 적용범위가 급속히 확대됨으로써, 과거 중국의 사회문화적 환경의 특징과 구조가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시장의 재등장과 전통의 부활로 특징 지워지는 개혁․개방 기 중국사회에 다양하고 이질적인 문화적 전통이 복합적으로 공존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Blecher, 1997; Shue, 1988; Siu, 1989; Walder, 1986).
    체제전환기에 있는 중국의 사회문화적 특성의 변화와 이에 따른 중국 내 경영현지화의 전략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정작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의 경영현지화 문제에 대한 학문적 차원에서의 연구는 극히 제한적으로만 이루어지고 있다. 한·중 수교 이후 무려 15년의 시간이 경과하면서 한국기업들의 중국진출이 이미 성숙단계에 도달하였고, 이들 기업들에 관한 연구 관심 역시 진입방식 등 초기 투자진입단계 연구(entry mode selection)에서 경영현지화 등 투자 후 단계의 연구(post-entry management)로 이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내 경영현지화 문제를 다룬 연구는 국제경영학 차원에서의 안종석·백권호(2006)와 문화인류학 차원에서의 정종호(2003)의 연구 등 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현대 중국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객관적인 자료에 입각하여 규명해 보고, 이와 같이 중층적이며 복합적인 사회문화적 특성을 지니는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이 현지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화 적응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봄과 함께, 장․단기적으로 이에 대처할 수 있는 적절한 경영현지화 전략의 수립과 실행에 관한 전략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기대효과
  • 글로벌화의 진행에 따라 중국이 우리 기업에게 가지는 전략적 의미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앞서 연구의 필요성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1990년대 중반 이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대기업들이 모두 중국을 제2의 내수시장화 하는 것을 새천년의 중대한 전략적 과제로 선정하고 있다는 사실은 중국의 전략적 중요성을 배제한 채 글로벌화 시대에 우리 기업들의 생존문제를 논하는 것은 커다란 우를 범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반증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우리나라의 중소 제조업체들에 있어 중국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은 아니다. 중국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 통계에서도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직도 중국에 대한 해외직접투자는 이들 기업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고, 이들 기업들의 현지 적응은 이들 기업들 자체의 경영성과에 뿐만 아니라 중국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본격적인 진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대규모 기업의 내수시장지향형 직접투자이든, 중소기업들의 생산효율추구형 직접투자이든 이들 기업들의 경영성과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그 동안 우리 기업들이 가장 등한시했던 사항은 경영의 현지화이다. 본 연구는 그동안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중국에서 우리 기업들의 현지화 문제를 종합적이고도 체계적으로, 그리고 학제적으로 접근해 본다는 측면에서 매우 큰 의의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의 수행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효과로는 무엇보다도 우리 기업들로 하여금 중국의 문화적 특성을 올바로 이해하고, 이에 바탕을 둔 현지 문화적합적 경영 현지화 방안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이는 기존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의 경영성과 제고는 물론이고, 향후 우리 경제의 가장 큰 현안으로 대두될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과의 바람직한 경제관계 설정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중국뿐 아니라 해외 각지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문화적 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핵심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중국과 유사한 전략적 중요성을 가지는 다른 시장에서의 우리 기업들의 경영 현지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한국기업의 해외진출 과정을 연구함으로써 한국과 전세계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전지구화(globalization) 과정에 대한 분석적 자료를 수집,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바야흐로 자본과 노동력의 국제이동이 활발한 현재와 미래 한국사회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셋째, 중국은 국내 외국인 노동자의 출신지이기도 하므로, 현지사회의 문화 적응에 대한 연구는 국내 외국인 노동자의 합리적 관리 방안 모색에도 참고가 될 것이다.
    한편 본 연구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기업의 현지사회에 대한 문화적응 방안을 수립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기존 현지 기업의 경우에는 문제 해결책으로, 앞으로 진출할 기업에게는 예상되는 문제점을 피할 수 있는 방책으로 이용될 것이다. 둘째, 한국 문화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확인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이용됨으로써, 한국의 민족주의가 편협한 국수주의적 색채를 탈피하여 지구상의 여러 민족이 평등하게 어우러져 사는 세계시민사회 건설의 이념적 기반으로 변모할 수 있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통일 후의 사회통합 문제를 사전에 연습한다는 적극적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연구는 그 수행과정에서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교육과 연계함으로써 한국기업의 중국 진출과 관련된 전문인력 양성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우선, 본 연구에 참여하는 연구원 별로 각각 1명의 대학원 석사과정 혹은 박사과정 학생을 보조연구원으로 선임하여, 이들이 실질적으로 연구과정에 참여하도록 할 계획이다. 본 연구가 학제적 연구로 이루어짐에 따라, 각 대학에서 해당 전공교육만 이수하고 있는 이들 연구보조원들에게 상이한 이론적 배경을 가진 학제적 연구원들의 토론과정을 경험하고 이에 직접 참여하는 것은 이들 연구보조원들의 이론적 영역을 확장시킨다는 측면과 함께, 이들이 학제적 연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사회적 현상을 보다 폭넓은 관점에서 이해하고, 문제인식을 가질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연구에 참여하는 전임교수들의 소속 대학에 중국 관련 학과와 경영학부(혹은 과)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연계전공 교육과정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학제적 연구로 이루어지는 본 연구의 결과는 이와 같은 학제적 연계전공의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중요한 교육자료를 준비하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내실화된 연계전공의 운영이 가능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 연구요약
  • 경영학에 있어 경영 현지화란 용어만큼 흔히 사용되고 있는 것도 없겠지만, 정작 경영 현지화의 개념적 정의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설명해 놓은 논문이나 책은 매우 드물다. 다만 현재까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경영 현지화란 국제사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이 자신의 경쟁적 위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지역별로 상이한 문화 및 경영환경 등의 진출 국가(혹은 지역) 특성에 적응해 가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경영현지화를 이와 같이 정의할 때 경영현지화의 문제는 결국 두 가지 질문으로 표현될 수 있다. 현지화의 대상이 되는 국가 혹은 지역의 상이한 문화와 환경의 실체는 무엇인가와 무엇을 진출 국가 혹은 지역의 특성에 맞게 적응시킬 것인가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두 가지 질문에 기초하여 우선 우리 기업들이 가장 많이 진출하고 있고, 앞으로도 가장 중요시되는 전략시장으로서 현대 중국의 중층적이며 복합적인 사회문화적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현대 중국사회와 경제를 이해하는 데 있어 던져지고 있는 가장 중요한 두 가지 화두는 ‘글로벌화’와 ‘현지화’이다.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경제체제변화와 WTO 가입 이후 중국의 글로벌 시장으로의 편입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고, 이와 함께 중국과 중국인의 문화는 ‘전통’과 ‘현대’, 그리고 ‘계획’과 ‘시장’이 공존하는 복합적이며 중층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이 두 가지는 상호작용하고 있다. 개혁․개방 기 중국사회에 있어서의 이와 같은 다양하고 이질적인 문화적 전통의 공존이 ‘사회주의 경제’ 또는 전통적인 ‘??시(關係)의 경제’라는 단일한 개념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며,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현대중국의 사회문화적 실체에 대한 이해를 통하지 않고서는 중국 시장 내에서 바람직한 경영현지화의 방향에 대한 논의가 무의미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개혁·개방 이후 중국경제의 체제변화와 글로벌화라는 환경변화 혹은 사회변동 속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대 중국의 사회문화적인 특징을 신뢰할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를 통해 제시해보고자 한다.
    경영현지화와 관련된 또 하나의 문제는 무엇을 진출 국가 혹은 지역의 특성에 맞게 적응시킬 것인가 하는 것이다. 이는 경영 현지화의 조작적 개념화 문제와 관련된 것으로, 경영 현지화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에서 사용된 경영 현지화의 구체적 측정항목을 의미하는 것이다. 경영 현지화의 대상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은 현지화의 대상으로 기업의 대외적 경영기능보다는 기업의 내부 경영기능적인 측면, 특히 경영현지화의 다양한 분석수준 중에서도 기업수준에서의 경영현지화를 강조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업수준의 측면에서 경영현지화 대상으로는 기업이 수행해야 하는 부가가치 기능의 현지화, 경영관리방식 혹은 제도의 현지화, 그리고 인력 측면에서의 현지화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경영현지화를 기업 내부와 외부, 그리고 경영현지화의 다양한 분석수준을 모두 포괄하는 총체적인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현대 중국의 역동적이며 중층적인 사회문화적 특성에 기초하여 개인 수준, 기업 수준, 그리고 사회적 수준에서의 경영현지화를 포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경영 현지화를 기존의 기업수준에서의 내부 경영기능의 현지화뿐만 아니라 진출 기업 자체의 현지 사회와의 통합을 의미하는 사회적 수준의 현지화 및 개인적 수준에서의 경영현지화까지도 포함하여, 중국의 문화·사회적 특성과 우리 기업의 경영 현지화가 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중국의 문화·사회적 특성과 경영 현지화의 상호작용 관계 속에서 현지 진출기업의 경영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적절한 경영 현지화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국의 사회문화적 특성과 이에 따른 경영현지화의 전 분석수준을 포괄하는 6개의 세부 연구과제를 수행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 중국의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현지 설문조사와 이에 기초한 통계적 조사방법과 함께 참여자 관찰 및 심층인터뷰와 같은 질적 연구방법론을 동시에 채택한 복수방법론을 채택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경영현지화,중국,중국문화,문화구성,자회사 유형,사회통합,현지주재원,문화적응,정-리-법,Best Practices,조직몰입,중국의 사회변동
  • 영문키워드
  • social change,best practices,cultural formation,Chinese culture,localization strategy,roles of subsidiaries,expatriate,qing-li-fa paradigm,organizational commitment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현대 중국의 문화적 변동을 고려한 중국 진출 한국기업의 경영현지화 방향을 모색해 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7개의 세부 연구과제를 수행하였다. 이들 7개 세부 연구과제의 개요와 결과는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중국 기업문화의 특성과 경영현지화(중국학연구, 47집 게재)
    본 연구는 정리법 영역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면서도 사회적 교환관계의 하부구조인 신뢰구축을 위한 ??시 메커니즘을 통해 상호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를 중심으로 한 정과 법의 상호작용이 강하게 나타났다. 중국인들은 사회적으로 정을 주로 내세우지만 실제로 중시하는 것은 리이고, 그리고 법은 최후의 복안인 것을 알 수 있었다.
    2. 情·理·法 패러다임을 활용한 중국 진출 한국기업의 경영현지화 실증분석(국제경영연구, 19권 3호 게재)
    본 연구는 情·理·法 패러다임을 중국 진출 한국계 기업의 현지 채용 중국인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보고, 情·理·法 패러다임에 적합한 경영관리방식의 현지화가 중국인 근로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세 가지 문화영역 중, 기업 내 개인 수준에서는 情의 가치성향이, 기업 내부의 업무활동 영역에서는 理가, 그리고 대외관계 영역에서는 情과 法이 지배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합정, 합리, 그리고 합법적 경영관리방식은 중국인 근로자의 조직에 대한 감정적 몰입 및 직무만족을 제고하는 데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중국 노동자의 한국기업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중국학연구, 43집 게재)
    본 연구는 중국노동자의 한국기업에 대한 인식과 그에 따른 기업만족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중국노동자는 대체로 한국기업의 위계질서가 강하다고 여기고 있으며, 한국기업의 관리체계에 대해 중국노동자들은 인성화된 관리와 제도화된 관리가 공존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또한 한국기업이 언어소통에 상당한 문제를 노출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으나, 한국기업이 초기의 다소 ‘??시’에 의존하는 경영을 벗어나 합법적이고 투명한 경영을 하는 기업으로 정착하고 있다는 데 대체로 긍정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4. 중국진출 한국기업 노동자의 가치관과 문화적 적응(중국학연구, 45집 게재)
    본 연구는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 내의 중국노동자 의식 속에는 어떠한 문화적 가치관들이 중층적으로 작용하고 있는가를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전통적 가치관, 사회주의적 가치관, 시장경제적 가치관이라는 3분법에 의해 관찰한 한국기업의 중국노동자의 가치관은 3가지 가치관이 혼재되어 복합적으로 나타나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시장경제적 가치관이 실제적 행동을 결정하는데 가장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재중 한국계 기업 경영관리 현지화를 위한 접근방법 탐구 : 정리법 패러다임적 접근을 중심으로(중국연구, 제43집 게재)
    본 연구는 경영관리의 현지화 차원에서 정리법의 영역별 관리와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와 대응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즉, 조직 내 개인, 직무, 그리고 대외관계 영역에서 각각 합정, 합리, 합법적 경영관리방식이 중요함과 함께, 정리법이 상호작용함에 따라서 발생하는 정과 리와 법이 교차하는 영역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며, 합정에 기초한 합리, 그리고 합리가 전제된 합법적 행위가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6. 중국내 한국기업 자회사의 전략적 역할유형에 관한 연구(국제경영연구, 20권 3호 게재)
    본 연구는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 현지 자회사들을 대상으로 이들 자회사들의 전략적 역할을 유형화 하여보고, 이들 전략적 역할 유형에 따라 조직상의 특징과 경영성과에 차이가 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현지 자회사들의 전략적 역할유형은Taggart무활동적, 자율적, 수용적, 그리고 활동적 자회사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 현지 자회사들의 전략적 역할 유형에 따라 부가가치활동의 수행범위와 내수지향성, 그리고 현지 네트워크 연계에 있어 일정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자회사의 전략적 역할 유형별로 경영성과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7. 중국내 한국투자기업 주재원의 문화적응(중국학연구, 49집 게재)
    본 연구는 중국 현지 주재원의 현지 문화적응 요인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주재원의 현지 문화적응 정도는 가족의 지원, 경력발전기회, 문화적 거리감, 직무특성, 가족동반 여부, 거주지역 특성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영문
  • This study is composef of 7 articles to provide the future direction of localization of Korean firms in China considering the changes of modern Chinese culture. More specific results of the 7 articles are summarized as follow :

    1. Characteristics of Chinese corporate culture and some implications of localization of business management
    This paper is to be designed to find out the interaction process among the social spaces of qing-li-fa principles. In order to evaluate the impact of culture on the localization process of FIEs in China, greater emphasis must given to understand the coexistence and interaction of 3 independent cultural value systems.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orporate culture is very similar to group culture and suggests FIEs to transfer to developmental culture for successful localization of business management.
    2. An Empirical Study on Qing-Li-Fa Cultural Formation and Korean Firms' Localization in China
    This study investigated "Qing-Li-Fa Cultural Formation" empirically which had been suggested by Jeong(2003) and how management practice based on "Qing-Li-Fa Cultural Formation" affects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job satisfaction.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ly, "Qing-Li-Fa Cultural Formation" is supported empirically for the most part.
    Secondly, management practice based on "Qing-Li-Fa Cultural Formation" affects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job satisfaction.
    3. The Chinese Workers'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about Korean-owned Enterprises
    This paper tries to analyze Chinese Workers'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about Korean-owned Enterprises.
    Firstly, Chinese Workers mostly recognize that the order of rank is distinct and the humanistic and institutional management systems are simultaneously used in Korean-owned Enterprises. Secondly, Chinese Workers believe that the linguistic communication problem exert an influence on business activity and localization of Korean-owned Enterprises. Finally, they regard Korean-owned enterprise as a stepping stone for the prospect in term of the change of occupation.
    4. The worker's value and cultural adatation of Korean-owned enterprises in China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change of worker's value due to the transformation of socio-economic paradigm in China. Chinese workers' consciousness in Korean firms are mixed by 3 different values, traditional, socialistic, and capitalistic value. The effect of capitalistic value is much more strong among 3 values.
    5. Localization of the business management practice of Korean foreign investment enterprises in China
    This paper argues that the post-reform Chinese society is constituted by the cultural formation by qing-li-fa.This paper concludes that successful localization of Korean firms in China can only be achieved when the respective governing principles of qing, li, and fa is properly selected and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spaces within the post-reform cultural formation.
    6. A Study on the strategic role of foreign subsidiaries : The case of Korean firms in China
    This study primarily focuses on classifying the strategic role of foreign subsidiaries of Korean firms in China and investigates whether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shows differences among different types of strategic roles.
    Firstly, the types of the strategic role of Korean subsidiaries in China were classified as quiescent, autonomous, receptive, and active subsidiaries.
    Secondly, four strategic roles of Korean subsidiaries in China showed som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7. The cross-cultural adjustment of Korean expatriates in Chin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re factors of cultural adjustment of Korean expatriates. The important factors are as follows : family support, career development support, cultural distance, work characteristics, family accompany, and residential district etc.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현대 중국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객관적인 자료에 입각하여 규명해 보고, 이와 같이 중층적이며 복합적인 사회문화적 특성을 지니는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이 현지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화 적응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봄과 함께, 장․단기적으로 이에 대처할 수 있는 적절한 경영현지화 전략의 수립과 실행에 관한 전략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본 연구는 경영현지화가 중국에 진출해 있는 우리 기업들의 경영성과 제고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라는 인식과 함께, 글로벌화 되어가는 세계시장환경 하에서 우리 기업들이 생존해 나가는데 중국 진출 및 현지에서의 경영 현지화가 매우 중요한 변수라는 인식에 기초하여 중국의 중층적이며 복합적인 사회문화적 특성과 우리 기업들의 현지 문화적응 및 경영현지화 문제를 종합적으로, 그리고 심도 깊게 검토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부적인 연구목적을 제시하였다.

    ① 개혁·개방 이후 현대 중국의 사회적 변동을 고려한 문화적 특성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
    ∙현대 중국인들의 문화적 특성은 과연 情-理-法 패러다임을 기초로 살펴보았을 때 복합적이며 중층적인 모습을 보이는가 ?
    ∙현대 중국인들의 문화적 특성은 과연 어떤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는가 ?(지역에 의한 차이인가 아니면 사회적 변동에 따른 차이인가 ?) 즉, 현대 중국인의 문화적 특성은 지역별로 혹은 사회적 요인별로 차이를 보이는가 ?
    ② 현대 중국의 문화적 특성(혹은 지역별 문화적 차이)이 현지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경영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현지 파견 근로자의 문화적응에 중국의 문화적 특성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현대 중국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할 때 중국 진출 한국 기업 내에서 적용될 수 있는 최선의 경영관행(best practices)은 과연 무엇인가 ?
    ③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경영 현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은 무엇이며, 바람직한 경영 현지화의 방향은 무엇인가?
    ∙경영현지화를 다차원적으로 개념화 할 때 중국 진출 한국기업들의 경영현지화는 어떻게 유형화할 수 있는가 ? 그리고 경영현지화 유형-경영성과 관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

    이상과 같은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6개의 세부 연구과제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과제 1 : 중국 기업문화의 특징과 경영현지화 - 정, 리, 법 패러다임과 ??시의 비판적 재고찰
    연구과제 2 : 정, 리, 법 패러다임을 활용한 중국 진출 한국기업의 경영현지화 실증분석
    연구과제 3 : 재중 한국계 외자기업의 경영관리 현지화를 위한 접근방법 탐구 - 정, 리, 법 패러다임적 접근을 중심으로
    연구과제 4 : 중국 노동자의 한국기업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연구과제 5 : 중국 진출 한국기업의 노동자 가치관과 문화적 적응
    연구과제 6 : 중국내 한국기업 자회사의 전략적 역할 유형에 관한 연구
    연구과제 7 : 중국내 한국투자기업 주재원의 문화적응

    이상의 세부 연구과제는 현대 중국의 중층적 문화구성을 설명하는 정, 리, 법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경영현지화를 중국 노동자의 관점에서, 주재원의 관점에서, 그리고 기업의 관점에서 각각 살펴본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과제에서는 현대 중국의 중층적 문화구성을 설명하는 정, 리, 법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경영현지화를 중국 노동자의 관점에서, 주재원의 관점에서, 그리고 기업의 관점에서 각각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중국의 사회문화적 환경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중국 내 한국기업들의 경영현지화를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는 핵심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는 인식 하에 개혁․개방 이후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중국의 사회문화적 환경을 정리법 패러다임을 통해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리법 패러다임을 제시한 정종호(2003)의 연구를 확장하여 현대 중국인들의 문화적 특징에 정리법의 영역들이 존재하며, 이들 영역이 독립적인 사회적 교환영역으로서도 작동하지만, 각 영역들이 상호 겹쳐지면서 상호작용을 통하여 하나의 메커니즘으로 작동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각각의 사적, 조직적, 대외적 영역들이 독립적으로도 존재하지만 실제의 경영관리에서는 모호한 영역들이 발견되고 이러한 모호한 영역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함으로써 실패하는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음을 사례분석에서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정리법 패러다임의 이론적 확장에서 나아가, 정리법 패러다임이 실증적으로 검증가능함을 심층인터뷰와 계량적 통계분석이라는 질적, 양적 방법론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물 중의 하나인 안종석, 김윤태(2008)의 연구에서는 기업 내에서 현대 중국의 중층적 문화구성으로서 정리법 패러다임이 지배하고 있는 영역을 개인 영역, 업무 영역, 그리고 기업의 대외관계 영역으로 나누고, 이들 각 영역에서 지배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문화구성 요소를 확인하여 보고, 이러한 현대 중국의 문화구성 특성이 지역과 중국의 사회적 변동을 고려한 계층 간에 차이가 나는지를 살펴봄과 동시에 기업 내 개인, 업무, 그리고 대외관계 영역에서의 합정적, 합리적, 그리고 합법적 경영관리 방식이 중국인 근로자의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중국인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또한 이경아(2008)의 연구에서는 중국 노동자들의 가치관이 전통적 가치관, 사회주의적 가치관, 시장경제적 가치관이라는 3분법에 의해 3가지 가치관이 혼재되어 복합적으로 나타나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시장경제적 가치관이 실제적 행동을 결정하는데 가장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리법 패러다임에 입각한 현대 중국인의 문화적 특성을 파악한 후, 본 연구에서는 기업 수준과 중국에 파견된 한국기업 주재원의 수준에서 바람직한 경영현지화의 방향을 확인해 보았다.
    우선 현대 중국 근로자들의 문화적 특성이 조직 내에서의 개인 영역, 업무영역, 그리고 기업의 대외 관계 영역에서 각각 정, 리, 법의 가치관에 의해 지배되고 있음을 고려해 보았을 때, 개인영역에서의 합정적 경영관리방식, 업무영역에서의 합리적 경영관리방식, 그리고 대외관계 영역에서의 합법적 경영관리방식이 중국 내에서 경영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현지 경영관리방식일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그리고 실증적으로 고찰하여 보았다. 또한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 자회사들의 현지화 유형을 분류하고, 이들 자회사들의 현지화 유형과 경영성과 간에 일정한 관계가 존재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주재원의 관점에서 현지에 진출한 대부분의 한국 주재원들이 현지 문화의 접촉을 통해 현지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위계적이고 강압적인 한국식 경영관리방식을 수정하여 현지 근로자와의 문화적 거래를 좁혀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색인어
  • 중국진출, 경영현지화, 중국문화, 중국기업문화, 정리법 패러다임, ??씨, 중국노동자, 주재원, 현지화 유형, 경영관리현지화, 조직몰입, 직무만족, 직무성과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