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유럽연합의 개방형 정책조정방식(Open Method of Coordination) 분석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기초연구지원인문사회& #40;해외지역연구& #41;
연구과제번호 2007-323-B00047
선정년도 2007 년
연구기간 2 년 (2007년 08월 01일 ~ 2009년 07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상묵
연구수행기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형민(인하대학교)
홍성우(경희대학교)
남궁근(서울과학기술대학교)
김승현(서울과학기술대학교)
김기환(서울과학기술대학교)
민병원(서울과학기술대학교)
김재훈(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유럽연합(EU)의 회원국 정부간에 실험되고 있는 개방형 정책조정방식(Opne method of Coordination; OMC)은 회원국간의 정책 갈등을 사전에 예방하고 개방적 논의를 통해 회원국 정부와 여러 행위주체들의 정책임장과 이해관계를 조정함으로써 정책기조에 대한 합의를 형성하고 정책에 대한 순응을 담보하는 효과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민주화와 지방분권시대를 맞이하여 우리나라는 갑작스럽게 분출하는 사회적 요구와 중앙-지방간, 지방-지방간 갈등, 정책의 선호를 둘러싼 이해관계집단간의 갈등 등 여러 유형의 정책갈등으로 인해 큰 홍역을 치르고 있다. 이러한 많은 갈등 사례는 사전 조정과 개방적 논의를 바탕으로 한 행위주체간의 합의 형성에 기초한 정책수립의 중요성을 대변하고 있다.
    이 연구는 유럽연합의 개방형 정책조정방식(OMC)에 대한 이론적, 경험적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세부 연구목표를 가지고 있다.
    첫째, 다층거버넌스 및 정책네트워크와의 비교를 통한 대안적 거버넌스 기재인 OMC의 특성을 이론적으로 분석한다.
    둘째, OMC의 작동원리를 분석한다. OMC는 고용, 교육, 사회보장, 환경 등 다양한 영역에서 작동하며, 상호학습, 벤치마킹, 최선의 대안 선택, 집단적 압력의 원칙을 통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되, 회원국 사이의 국내적 차이를 인정하면서 자발적 정책구상과 일탈 방지를 우선시한다. OMC가 작동하게 되는 기본적인 원리가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한다.
    셋째, OMC의 성공요인을 분석한다. OMC는 다양한 유럽연합 내 단위체들 사이의 복잡한 정책결정 메커니즘으로서, 포괄적 가이드라인과 다자적 감시를 통해 정책을 조율한다. 이와 함께 OMC가 제대로 기능하도록 만드는 성공요인이 무엇인지 경험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넷째, 개별 회원국의 정책과정에 대한 OMC의 영향을 분석한다. 고용정책, 빈곤정책, 과학기술정책, 환경정책, 교육정책 등 OMC가 작동하는 정책영역별 고찰을 통하여 구체적인 정책사례에서 OMC는 개별 국가의 정책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다섯째, 한국적 상황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한다. OMC는 융통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목표설정과 정책집행, 그리고 벤치마킹을 통한 상호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도구이다. 따라서 OMC의 기본정신과 작동원리는 다른 정책 상황에도 유용한 교훈을 줄 수 있을 것이다. OMC의 특징, 성공요인, 구체적인 적용 사례 등에 대한 연구는 단일국가인 우리나라의 상황에는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 검토한다.
    이러한 세부목표를 달성을 통하여 유럽연합의 OMC에 대한 연구는 우리나라의 경우 정책에 대한 사전 조정과 합의 형성을 위한 개방적 논의구조 형성을 통하여 갈등의 사전조정과 정책순응을 담보할 수 있는 기본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기대효과
  • OMC는 특히 주권국가들 사이의 협력과 정책공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메카니즘으로서, 다양한 정책영역에 있어서 사회집단간 또는 주권국가간 개방적 논의와 사전 조정을 통한 합의 형성과 정책 순응을 유도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다.
    OMC 연구를 통하여 유럽연합의 정책조정방식에 대한 이해 증진과 아울러 한국적 상황에서 인접국가와의 상호관계 및 국내 정책분야 사전조정 및 합의 형성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정책에 대한 개방적 조정을 통한 갈등의 사전관리는 기본적으로 합의, 설득, 신뢰, 개방성, 자율성, 공개성, 정책학습, 상호발전 등의 개념을 염두에 두고 있으며, 법률에 의한 강제, 중앙정부에 의한 일방적인 규제, 어쩔 수 없는 수용이 아닌 정책참여자들이 정책조정과정에의 참여를 통하여 상호 정책을 형성해가는 경험을 통하여 상호 발전을 도모하는 개방적이고 자율적인 정책조정방식을 한국사회가 모색하는데 있어서 OMC는 필수불가결한 벤치마킹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용, 사회보장, 경제정책, 과학기술, 정보사회, 환경, 교육 등 다양한 경험적 정책영역에서 OMC가 작동하게 되는 배경과 원리들을 분석함으로써 연구결과는 구체적인 정책지침으로, 그리고 다국가간 정책조정 방안을 포함하는 거시적 거버넌스의 패러다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경험적, 이론적 성과들은 대단히 이질적이면서도 공통의 역사적, 문화적 기반을 공유하고 있는 동아시아권에서의 중견국가로서 한국이 장차 현실적이면서도 의미 있는 형태의 협력 거버넌스 구상을 마련하는 토대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유럽연합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실험들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은 국내 정책갈등에 대한 사전조정 및 합의형성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과 동아시아권 인접국가들과의 상호관계 및 정책조정에 대한 중요한 성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다층거버넌스 및 정책네트워크와의 비교를 통한 대안적 거버넌스 기재인 OMC의 특성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둘째, OMC의 작동원리를 규명하게 될 것이다.
    셋째, OMC의 성공요인을 분석하게 될 것이다.
    넷째, 개별 회원국의 정책과정에 대한 OMC의 영향을 파악하게 될 것이다.
    다섯째, 고용정책, 빈곤정책, 과학기술정책, 환경정책, 교육정책 등 OMC가 작동하는 정책영역별 사례분석을 통하여 OMC의 적용에 대한 실제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한국적 상황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과거 유럽통합에서는 국가 간 관계 등 다양한 구성요소 사이에서 조화 원칙이 강조되었는데 OMC의 도입은 이와는 상당히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OMC는 “다양성을 인정하면서 어느 정도의 수렴(convergence)을 이끌어낼 수 있는 연성(soft) 메커니즘”을 구축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따라서 OMC는 복잡한 문제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을 만큼 융통성을 지니고 있으며, 지나친 규제로 인한 회원국들 사이의 비(非)협조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형태의 후속조치를 마련해놓고 있다.
    이러한 유럽연합의 사례는 상이한 목표와 상반된 이해관계를 가진 정책참여자들의 극단적인 대립과 갈등으로 인해 결정된 정책이 제대로 집행되지 못하는 사례를 여러 차례 경험해온 우리나라에 대하여 상당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따라서 유럽연합의 OMC를 객관적인 제3자적 입장에서 분석하고 교훈을 얻음으로서 우리나라의 문화적․역사적 특수성에 적합한 정책의 사전조정 및 합의형성 모델을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구조화된 집중적 비교방법을 사용한다. 이는 자료의 표준화와 문제의식의 공유를 통하여 OMC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사례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과 과정추적방법을 보완적으로 병행함으로써 여러 분야별로 심도 있는 사례연구 및 일반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신, 구 회원국가들에 대한 심층적 분석과 비교를 통하여 국가적 상황과 특수성을 반영하고자 한다. 자료수집방법으로는 문헌조사, 구조화된 조사표를 활용한 현지조사, 통계분석, EU 분부 및 회원국 관계자와의 집단토의, 포럼 개최 등의 방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이 연구과제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주제에 대한 해답을 얻고자 한다.
    첫째, 다층거버넌스 및 정책네트워크와의 비교를 통한 대안적 거버넌스 기재인 OMC의 특성을 이론적으로 분석한다.
    둘째, OMC가 작동하게 되는 기본적인 원리가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한다.
    셋째, OMC가 제대로 기능하도록 만드는 성공요인이 무엇인지 경험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넷째, OMC가 작동하는 정책영역별 고찰을 통하여 구체적인 정책사례에서 OMC는 개별 국가의 정책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다섯째, 고용정책, 빈곤정책, 과학기술정책, 환경정책, 교육정책 등 OMC가 작동하는 정책영역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OMC의 적용에 대한 실제적인 정보를 얻고자 한다.
    여섯째, 한국적 상황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한다.
    최근의 한국적 상황을 보면 이 연구가 갖는 의미는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상호 이해관계가 충돌할 경우, 상대방의 입장에 대한 이해나 상호협의보다는 자기주장에만 매몰되어 극단적인 감정싸움으로까지 가서 결국에는 "공멸"(lose-lose)하는 사례를 많이 보아왔다. 정책을 추진하는 정부는 정책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얻지 못하고 많은 자원과 예산을 낭비하게 되고 관련 집단들은 나름대로의 목표를 달성하지도 못하면서 자원과 에너지를 소모하고 또한 국민으로부터 외면당하게 되며, 결국 국민들은 더 많은 부담과 불편을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이제는 “공멸”이 아니라 “상생”(win-win)할 수 있는 길을 열어두어야 한다.
    OMC 연구는 유럽연합의 정책조정방식에 대한 이해 증진과 아울러 한국적 상황에서 인접국가와의 상호관계 및 국내 정책분야 사전조정 및 합의 형성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기 위함이다. 정책에 대한 개방적 조정을 통한 갈등의 사전관리는 기본적으로 합의, 설득, 신뢰, 개방성, 자율성, 공개성, 정책학습, 상호발전 등의 개념을 염두에 두고 있다. 정책참여자들이 정책조정과정에의 참여를 통하여 상호 정책을 형성해가는 경험을 통하여 상호 발전을 도모하는 개방적이고 자율적인 정책조정방식을 한국사회가 모색하는데 있어서 OMC는 필수불가결한 벤치마킹이 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유럽연합,개방형정책조정방식,빈곤정책,고용정책,환경정책,거버넌스,정책네크워크,과정추적방법,구조화된 집중적 비교,정책조정,교육정책,과학기술정책
  • 영문키워드
  • EUREKA,Process-tracing Procedure,Social Inclusion Process,European Employment Strategy,OMC,Open Method Of Coordination,European Union,Structured Focused Comparison,Policy Network,Policy Coordination,Governance,Education Policy,Environmental Action Programm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유럽연합(EU)과 회원국간에 적용되고 있는 개방형 정책조정방식(OPen Method of Coordination; OMC)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정책의 사전조정 및 합의형성에 대한 교훈을 얻고자, (1) OMC를 다층거버넌스 및 정책네트워크와 비교 분석하고, (2) OMC 작동원리를 이해하고, (3) 개별 국가의 정책과정에 대한 OMC의 영향을 분석하며, (4) 한국적 상황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연구를 수행한다.
    사례분석은 구조화된 집중적 비교, 사례 내 분석 및 사례 간 분석방법과 아울러 정책결정 단계별 인과관계를 살펴보는 과정추적방법을 사용하고자 하며, 자료수집은 문헌조사 및 구조화된 조사표를 활용한 현지조사, 통계분석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개방형 조정방식(OMC)은 오랜 유럽통합의 경험으로부터 만들어진 산물이며, 연합 내의 많은 문제들을 다루는 과정 속에서 끊임없는 수정과 보완을 거쳐 시도되고 있는 거버넌스 양식이다. 이 논문에서는 OMC 거버넌스의 배경과 속성에 대해 살펴보고 그 의미를 찾고 있는데, 우선 유럽연합의 다양한 정치적 시도 중에서도 복합적 행위자들 사이에 수직, 수평의 네트워크 구조에 부합하는 운영 메커니즘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사회적 포용의 영역에서 영향력을 미치는 기제는 시민사회에 대한 재정적 지원과 이들의 연결망을 구축하는 노력 및 상호평가의 노력에 의해 하위정부기관과 시민사회구성원 등과 같은 취약한 행위자들의 참여영역을 확대시켰다. 이는 정책네트워크가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고 절차적 합리성을 제고시켰다.
    고용정책분야의 경우, 이는 기본적으로 국가간 조정이라는 성격을 지니지만, 정책과정에서 다양한 정부계층과 관련 부처, 사용자단체와 노동자단체, 전문가집단 등 여러 이해관계집단의 개방적인 참여와 논의가 보장되며, 정책학습을 위한 여러 수단을 활용하여 보다 적실성 있는 정책을 개발하는 메커니즘이다. 이러한 OMC의 특성은 한국적 상황에서도 상당한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OMC가 실제 회원국 차원에서 제대로 작용되는지 여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벨기에, 덴마크, 이탈리아, 몰타, 리투아니아, 슬로베니아 등 6개국을 대상으로 정책참여와 정책학습을 중심으로 유럽고용전략과 OMC가 회원국의 고용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전반적으로 OMC는 회원국의 정책수립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공동목표 달성을 위한 능률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환경정책분야에서는 OMC의 바람직한 적용 및 성공적인 정착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구체적으로 유럽연합의 환경정책의 비효과성 문제를 분석하고 기존 OMC에 의한 의사결정 접근방식이 갖는 한계와 향후 바람직한 적용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환경분야 정책과정에서 OMC 방식의 성공적 정착은 다양한 조정의 문제에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달려 있으며, 조정은 단순한 회원국가간 수평적 조정 뿐 아니라 유럽연합과 회원국가간의 수직적 조정, 그리고 관련정책간 수평적 정책영역 조정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금정책분야에서는 개혁에 대한 관심과 연금 OMC의 도입의 과정, 연금 OMC의 도입배경, 연금 OMC의 전개, 연금 OMC의 평가, 연금 OMC와 다른 분야의 OMC와의 비교, 연금 OMC의 앞으로의 과제에 대하여 논하였다. 유럽연합 회원국들의 연금개혁에 대한 적극적인 노력과 이러한 과정에서 각 회원국 내부의 다양한 집단 간의 조율과 회원국 간 정책조율의 노력이 한국의 연금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고 하겠다. 일반적으로 OMC는 회원국 간의 정책조정과 아울러 회원국 안의 지방정부, 노동계, 시민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 집단들을 포함하는 숙의 민주주의(deliberative democracy)를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다양한 참여자들의 정책결정에의 참여와 개방적이고 공개적인 정책형성과 공동목표의 달성을 위한 협력은 우리의 연금개혁에 대한 유럽연합 OMC가 주는 하나의 시사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및 기술개발(R&TD: Research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분야에서는 유럽연합의 R&TD 분야의 정책조정 메커니즘으로서 CREST-OMC의 구조와 운용적인 측면을 네트워크 거버넌스 차원에서 분석한다. 이를 통해 소위 연성적(soft) 접근방식이고, 회원국에 대한 ‘맞춤형(à la carte)’ 개입정책인 개방형조정방식(OMC)의 활용성과 한계점을 탐색하고 있다. 분석결과 유럽연합의 연구 및 기술개발 분야에서 회원국별 자발적인 정책조정을 위한 OMC의 활용성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평가이지만 비구속적이고 자율적인 정책조정수단으로서의 OMC의 실효성에는 한계가 있다.
  • 영문
  • The open method of coordination(OMC) is a product of long European efforts for integration toward a kind of problem-solving mechanism under revisions and refreshments. This paper looks into its backgrounds and features for theoretical implications. The most significant feature of the OMC is that it manages the complex networks among horizontal and vertical actors reflecting the changing structure of the Union. The concept of network state is presented here in order to explain the overall structures of the Union in which OMC works. The OMC is also regarded as a mechanism of decision-making processes toward a cooperative system with soft approaches. The tradition of Social Europe as a background of the OMC is also analyzed as an alternative model replacing the economy-oriented notion of European integration. Finally, upon unsatisfactory evaluations of the OMC for the last several years, the paper expects it to be a better governance form with more revisions and improvements. The EU has been the most exemplary case of experimenting a new state model in the era of globalization beyond the traditional heritages of modern nation-state. The OMC may be regarded as a useful tool in setting up the model of network state with its trial-and-errors in policy coordinations.
    In social inclusion, at least, two policy instruments have worked to ensure procedural rationality by expanding the policy network. These are financial support for the civil society and its networking; empowerment of lower governmental units and the civil society through peer review. However, we must still determine what kind of substantial policy impact these procedural changes will bring about.
    In employment policy, this study evaluates whether the OMC has been successfully implemented in the national policy making process in the Member States. With the responses from Belgium, Denmark, Italy, Malta, Lithuania, and Slovenia, it has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OMC and the EES on the national employment policy, with focusing on policy participation and policy learning. The results show that the OMC has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national policy making process of the member states, and it is the efficient and effective method in achieving the common objectives in employment policy.
    In environmental policy, it examines the way o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OMC in an environmental policy area in Europe.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how and what vertical as well as horizontal coordination successfully make contributions for international cooperative resolution in environmental policy area.
    In pensions policy, it studies how pensions OMC has been adopted, proceeded, and evaluated. This paper argues that OMC coordinating European national pensions policies provides some important insights regarding the goal of addressing long-delayed pension reforms in Korea. If one gleans any important lesson from the cases involving Europe, it is that the pensions reforms in Korea should be advanced through the bottom-up method of coordinating diverse opinions and interests of the relevant actors and of suggesting the coordination of government ministries and offices, the National Assembly, and civil society, based on deliberative democracy practiced in the EU pensions OMC.
    In the field of Research & Technological Development(R&TD) as a target of this analysis, the Competitiveness Council of European Commission has organized the Committee for Scientific and Technical Research(CREST) to oversee process and implementation of the OMC in the area of R&TD. This paper examines the CREST-OMC which was launched in relation to the Barcelona 3% target set in 2003 as a policy instrument in the context of network governanc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유럽연합(EU)과 회원국간에 적용되고 있는 개방형 정책조정방식(OPen Method of Coordination; OMC)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정책의 사전조정 및 합의형성에 대한 교훈을 얻고자, (1) OMC를 다층거버넌스 및 정책네트워크와 비교 분석하고, (2) OMC 작동원리를 이해하고, (3) 개별 국가의 정책과정에 대한 OMC의 영향을 분석하며, (4) 한국적 상황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연구를 수행한다.
    사례분석은 구조화된 집중적 비교, 사례 내 분석 및 사례 간 분석방법과 아울러 정책결정 단계별 인과관계를 살펴보는 과정추적방법을 사용하고자 하며, 자료수집은 문헌조사 및 구조화된 조사표를 활용한 현지조사, 통계분석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개방형 조정방식(OMC)은 오랜 유럽통합의 경험으로부터 만들어진 산물이며, 연합 내의 많은 문제들을 다루는 과정 속에서 끊임없는 수정과 보완을 거쳐 시도되고 있는 거버넌스 양식이다. 이 논문에서는 OMC 거버넌스의 배경과 속성에 대해 살펴보고 그 의미를 찾고 있는데, 우선 유럽연합의 다양한 정치적 시도 중에서도 복합적 행위자들 사이에 수직, 수평의 네트워크 구조에 부합하는 운영 메커니즘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고용정책분야의 경우, 이는 기본적으로 국가간 조정이라는 성격을 지니지만, 정책과정에서 다양한 정부계층과 관련 부처, 사용자단체와 노동자단체, 전문가집단 등 여러 이해관계집단의 개방적인 참여와 논의가 보장되며, 정책학습을 위한 여러 수단을 활용하여 보다 적실성 있는 정책을 개발하는 메커니즘이다. 이러한 OMC의 특성은 한국적 상황에서도 상당한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OMC가 실제 회원국 차원에서 제대로 작용되는지 여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벨기에, 덴마크, 이탈리아, 몰타, 리투아니아, 슬로베니아 등 6개국을 대상으로 정책참여와 정책학습을 중심으로 유럽고용전략과 OMC가 회원국의 고용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전반적으로 OMC는 회원국의 정책수립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공동목표 달성을 위한 능률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환경정책분야에서는 OMC의 바람직한 적용 및 성공적인 정착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구체적으로 유럽연합의 환경정책의 비효과성 문제를 분석하고 기존 OMC에 의한 의사결정 접근방식이 갖는 한계와 향후 바람직한 적용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환경분야 정책과정에서 OMC 방식의 성공적 정착은 다양한 조정의 문제에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달려 있으며, 조정은 단순한 회원국가간 수평적 조정 뿐 아니라 유럽연합과 회원국가간의 수직적 조정, 그리고 관련정책간 수평적 정책영역 조정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금정책분야에서는 개혁에 대한 관심과 연금 OMC의 도입의 과정, 연금 OMC의 도입배경, 연금 OMC의 전개, 연금 OMC의 평가, 연금 OMC와 다른 분야의 OMC와의 비교, 연금 OMC의 앞으로의 과제에 대하여 논하였다. 유럽연합 회원국들의 연금개혁에 대한 적극적인 노력과 이러한 과정에서 각 회원국 내부의 다양한 집단 간의 조율과 회원국 간 정책조율의 노력이 한국의 연금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고 하겠다. 일반적으로 OMC는 회원국 간의 정책조정과 아울러 회원국 안의 지방정부, 노동계, 시민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 집단들을 포함하는 숙의 민주주의(deliberative democracy)를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다양한 참여자들의 정책결정에의 참여와 개방적이고 공개적인 정책형성과 공동목표의 달성을 위한 협력은 우리의 연금개혁에 대한 유럽연합 OMC가 주는 하나의 시사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및 기술개발(R&TD: Research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분야에서는 유럽연합의 R&TD 분야의 정책조정 메커니즘으로서 CREST-OMC의 구조와 운용적인 측면을 네트워크 거버넌스 차원에서 분석한다. 이를 통해 소위 연성적(soft) 접근방식이고, 회원국에 대한 ‘맞춤형(à la carte)’ 개입정책인 개방형조정방식(OMC)의 활용성과 한계점을 탐색하고 있다. 분석결과 유럽연합의 연구 및 기술개발 분야에서 회원국별 자발적인 정책조정을 위한 OMC의 활용성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평가이지만 비구속적이고 자율적인 정책조정수단으로서의 OMC의 실효성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실효성 향상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유럽연합의 정책조정방식에 대한 이해 증진
    - 우리나라 정책조정방식의 개선을 위한 방안 도출
    - 고용정책, 빈곤정책, 교육정책, 연금정책, 과학기술정책 등 개별 정책분야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 도출
    - 정책사례연구 교육을 위한 자료 축적 및 활용
    - 동북아 인접국간의 정책조정 및 협의를 위한 기본틀 형성
    - 국내 유럽지역 정책연구를 위한 토대 구축
  • 색인어
  • 유럽연합, European Union, 개방형 조정방식, Open Method of Coordination, 고용정책, 환경정책, 교육정책, 연구 및 기술개발, 연금정책, 재정정책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