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이혼 및 재혼 위기 가족을 돌보기 위한 교회 프로그램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기초연구지원인문사회& #40;창의주제연구& #41;
연구과제번호 2006-321-A00547
선정년도 2006 년
연구기간 1 년 (2006년 11월 01일 ~ 2007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홍영택
연구수행기관 감리교신학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산업화와 정보화의 사회 변화 속에서 결혼이 임의적 선택의 의미를 갖게 됨에 따라 많은 경우 무분별한 이혼 결정들이 이루어지곤 한다. 어쩔 수 없는 결정으로 이혼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미성년 자녀들에 대한 충분한 배려가 없이 부부가 헤어질 경우 이는 그들의 성장에 심각한 상처를 남기게 된다. 한 편 이혼이 늘어남에 따라 재혼율도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데, 재혼 가족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는 형편이다. 재혼 당사자들 스스로도 효과적인 대처를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의 지원 시스템들도 매우 비효과적인 태도들을 갖고 있다. 그리하여 많은 재혼 가족들이 위기를 극복하지 못하고, 가족 구성원들 모두 아픔들을 경험하고 있다.
    우리 사회는 가지고 있는 모든 자원들을 동원하여 위기 가족들을 도와야 하는데, 교회는 매우 잠재력이 큰 자원들 가운데 하나이다. 전통적인 대가족 제도와 지역공동체가 해체되어 개별 가족을 돕고 중재할 수 있는 공동체가 거의 부재한 현 시점에서, 교회는 갈등과 어려움 가운데 있는 가족을 가까이에서 지원하고 교육하고 중재할 수 있는 공동체로서 영향력을 갖고 있다. 따라서 교회가 위기 가운데 있는 가족들을 적시에 파악하고 그 필요에 따라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자원, 방법, 프로그램 등을 가지고 있다면, 이혼 및 재혼 위기에 있는 가족들에게 효과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가 가족들에게 그러한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제안하는 동시에 구체적 방안들을 교회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한 편, 교회들은 갑작스럽게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이혼 및 재혼 가족의 문제를 눈 앞에 두고 갈팡질팡하고 있는 형편이다. 돕고자 하지만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 신학적으로나 방법적으로 혼란을 경험하고 있다. 그러는 동안 위기 가족 당사자들 뿐만 아니라 교회 공동체도 여러 가지 상처를 안게 된다. 본 연구는 교회로 하여금 이러한 혼란을 극복하고 구체적으로 위기 가족들을 도울 수 있도록 구체적 지침과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사회적 기여도:
    산업화 이후 보편화된 핵가족의 특징 중의 하나는 가족의 사유화(私有化)(privatization)이다. 사유화란 핵가족이 지역 공동체 및 사회로부터 고립되어 자신 안의 친밀한 정서적 관계 속에 갇혀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가족의 사유화의 문제는 가족 내에 갈등이 불거져 나올 때, 이를 중재할 수 있는 지원 공동체가 결여되어 있는 것이다. 핵가족은 자신을 유지하고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주체로서 부부관계를 갖고 있지만, 실제로는 많은 부부들이 이러한 갈등을 슬기롭게 처리해 나가기 위해, 그리고 부부의 양 어깨 위에 지워진 가족의 운명을 걸머지기 위해, 충분히 준비되어 있지 못하다는 사실이다.
    각 부부는 지원공동체로부터 두 가지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데, 첫째는 부부로 하여금 가족을 효과적으로 이끌고 갈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요, 둘째는 부부 사이에, 또는 가족 사이에 갈등이 발생할 때 중재해 주는 것이다. 교회는 이 두 가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공동체로서, 각 가족에게 효과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한 편 불가피하게 부부가 이혼하게 될 때, 이혼 과정에 있어서도 가족은 지원공동체의 중재와 돌봄을 필요로 하는데, 교회는 그러한 지원공동체로서 매우 효과적인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회로 하여금 위기 가족에 대한 지원공동체로서 효과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방향과 방법을 제안한다.

    (2) 교회 공동체에 대한 기여:
    교회는 전통적으로 사회에서 버림받고 소외된 사람들을 구원하는 것을 본래의 과제로 갖고 있어 왔다. 교회는 이혼과 재혼의 위기 가운데 있는 사람들을 돕고 보살피기 위해 다음의 과제들을 갖고 있다. 첫째, 이혼 및 재혼에 대한 교회의 관점에 대하여 재해석이 필요하다. 둘째, 목회자 및 교회 회중들이 갖고 있는 이혼 및 재혼 가족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이혼 및 재혼 가족을 교회 공동체가 구체적으로 도울 수 있는 방안들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앞의 두 과제를 다루면서도, 특히 세 번째 과제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교회 내에서 이혼 및 재혼 위기 가족이 소외되는 대신에 회복과 치유를 경험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공동체 속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한다.

    (3) 학문적 기여도:
    본 연구는 가정사역 분야에 이혼 및 재혼 가족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들, 가족상담적인 자료들, 가족생활교육의 자료들을 도입함으로써, 이혼 및 재혼 가족에 대한 가정사역을 보다 활성화시키고 보다 시의적절한 방향을 제안할 수 있다.
    한 편, 일반 가족생활교육은 심리학적, 의사소통적 방법들을 주로 사용하여 프로그램들을 진행하고 있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방법 외에 공동체적, 윤리적, 의례적 자원들을 동시에 사용하도록 제안함으로써, 가족생활교육의 방법론을 넓히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이혼 및 재혼 가족을 교회가 돕는 방안들로서 다음 세 가지에 초점을 맞춘다:

    (1) 이혼 및 재혼 가족과 관련된 의식화 프로그램:
    교회 공동체가 협력하여 이혼 및 재혼 위기 가족을 도우려면 교회 구성원들이 그들 가족들을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위기 가족을 위한 구체적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전에 교회 공동체 전체의 지원적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한 준비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의식화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현대 사회에서의 이혼 및 재혼의 의미; 이혼 및 재혼에 대한 신학적 재해석; 이혼 및 재혼 위기 가족의 갈등과 어려움; 이혼 및 재혼 위기 가족이 필요로 하는 도움

    (2) 이혼 위기 가족을 위한 사역팀:
    이 사역은 목회자나 전문가가 중심이 되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이혼 및 재혼 위기 가족을 이웃으로서 도울 수 있는 평신도 사역자들이 중심이 되어서 행한다. 이혼 위기는 우리 사회 및 교회에서 드러내놓기 어렵기 때문에 목회자나 전문가가 나설 경우 오히려 위기 가족이 움츠러들 위험이 있는데 반해, 평신도 교우(敎友)는 일상 생활 속에서 관계를 맺고 삶을 나누면서 도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관심이 있는 평신도 사역자들을 선발하여 교육과 훈련을 통하여 준비시킨 뒤, 도움이 필요한 가족들을 돕도록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역팀 운영을 위한 구체적 방안들을 연구하고자 한다. 사역팀이 가족들을 돕는 내용은 대체로 다음과 같이 될 것이다: 위기 가족을 방문하여 예배, 성경 및 기도를 통해 지지하고 격려; 가족 구성원들과의 지속적인 신뢰 관계를 맺음; 가족 관계 갈등에 대한 중재; 필요할 경우 이혼 과정에 대한 실제적 조언; 필요할 경우 전문가에게 위탁

    (3) 재혼 가족 교육 프로그램:
    재혼 가족은 초혼 가족과는 가족 관계 방식들이 매우 다름에도 불구하고, 재혼 가족 구성원들은 자신들을 초혼 가족과 같이 만드려고 애씀으로써 오히려 관계들을 더 어렵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재혼 가족들이 자신들의 관계 상황을 현실적으로 이해하고 적절한 대처 방식을 교육받는 것은 그들의 재혼 후 적응에 매우 효과적인 도움을 준다. 교회는 이러한 교육을 상황에 따라서 집단적으로 할 수도 있고 개별 가족을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다음은 주요 교육 내용들이 될 것이다: 가족, 결혼, 이혼 및 재혼에 대한 신학적 해석; 재혼 가족 관계의 특수한 상황; 재혼 부부 관계; 양부모-양자녀 관계와 자녀 양육; (이혼한)친부모와의 관계; 재혼 가족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신앙적 권면과 종교 의례; 교회 공동체의 관계망과의 연결
  • 한글키워드
  • 목회상담. 가정사역. 이혼. 재혼. 가족생활교육. 재혼가족교육. 평신도 사역. 공동체적 돌봄
  • 영문키워드
  • pastoral care. pastoral counseling. family ministry. divorce. remarriage. family life education. education for remarried family. lay ministry. communal car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I.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I.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이혼 및 재혼의 통계를 확인하고, 전통적인 공동체들이 해체된 현 시점에서, 교회는 이혼과 재혼 위기의 가족을 도울 수 있는 공동체이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구체적 방안들을 교회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II. 이혼 및 재혼에 대한 신학적 해석: 이혼의 조건이 될 수 있는 성서적 전거들을 찾고, 재혼과 관련된 세 가지 신학적 질문에 대한 답을 모색한다.
    III. 선행 연구: 이혼 위기 상담, 이혼 위기 가족의 교육 및 재혼 가족의 교육 등 세 가지 주제와 관련하여 이루어진 영문 및 국문 연구들을 소개한다.
    IV. 이혼 및 재혼 위기 가족을 위한 교회 프로그램: 첫째, 이혼 위기 가족을 교회 공동체가 함께 도울 수 있는 평신도 상담 사역팀을 제안하고, 이를 위한 상담 매뉴얼을 부록으로 제시한다. 둘째, 재혼 가족의 건강한 재구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 영문
  • I.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statistics about divorce and remarriage are offered. Because the traditional communities have collapsed, the church has become an essential community to help the families in cris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theoretical basis and some practical ways for the church community to aid the families in the crises of divorce and remarriage.
    II. Theological Interpretations regarding Divorce and Remarriage: This study finds some biblical witnesses that would support dissociation of marriage, and tries to answer three theological questions about remarriage.
    III. Previous Studies: Some previous studies concerning three themes, which were written in Korean and in English, are intruduces. The three themes are: divorce counseling, education of the families in divorce crisis, and education of remarried families.
    IV. Church Programs for the Families in the Crises of Divorce and Remarriage: First, this study suggests a lay team of counseling ministry for the families of divorce crisis, by which the whole congregation sustains and supports those families. A manual for divorce counseling is offered in the appendix 1. Second, it also suggests an education program for remarried families to form healthy family system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itle:
    A Study On The Programs In The Christian Churches To Care For The Families Of Divorce And Remarriage Crisis

    Abstract:
    In the last twenty years the number of divorce cases has increased almost 3 times and that of remarriage cases about 2 times. While our society has not been prepared yet for these familial crises, many families confront confusion and dissociation with least support. Though the Christian churches have the resources of community and religious tradition to sustain and support those families in crisis, they have been unconcerned for the divorcing or remarrying families in general and even critical against them in many cases.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Christian churches in this day have the responsibility to care for those families and suggests some methods to help them.
    Some theological guidelines to understand divorce and remarriage in the biblical context are delineated. The existing studies on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regarding divorce and remarriage are summarized. This study proposes a lay counseling team in the church for the families in divorce crisis. It suggests how to organize and educate a lay counseling team. A detailed guideline for divorce counseling is attached as an appendix. Another proposition of this study is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remarried families. The 4-session and 1-session education programs are presented.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가. 사회적 기여
    (1) 이혼 및 재혼 위기 가족에 대한 도움: 산업화와 정보화의 급격한 사회 변화 속에서 이혼과 재혼이 급증하고 있는데, 이혼 및 재혼 당사자들 스스로 효과적인 대처를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의 지원 시스템들도 효과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서, 교회 공동체의 자원들을 활용하여 이혼 및 재혼 위기 가족들을 돕는 방안을 본고는 제안한다.
    (2) 교회 공동체에 대한 도움: 갑작스럽게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이혼 및 재혼 가족의 문제를 맞이하여 어떻게 할지 모르고 있는 교회 공동체에게 신학적 안내를 제공하고 구체적 돌봄의 방법을 본고는 제안한다.

    나. 학문 및 교육적 기여
    (1) 가정사역에 대한 기여: 본고는 이혼 및 재혼 가족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들, 가족상담적인 자료들, 가족생활교육의 자료들을 도입함으로써, 이혼 및 재혼 가족에 대한 가정사역을 보다 활성화시키고 보다 시의적절한 방향을 제안한다.
    (2) 이혼 및 재혼 가족생활교육 및 목회상담 교육에 대한 기여: 본고는 공동체적, 윤리적, 의례적 자원들의 활용을 제안함으로써, 목회적 돌봄 및 상담에서 사용되는 자원의 범위를 확대한다.
  • 색인어
  • REMARRIAGE, DIVORCE, PASTORAL CARE; 재혼, 이혼, 목회상담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