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인의 중국어 억양 오류 유형의 운율유형론적 분석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 #40;박사후국내연수&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7-354-A00108
선정년도 2007 년
연구기간 1 년 (2007년 09월 01일 ~ 2008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손남호
연구수행기관 한양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1992년 한국과 중국이 외교관계를 수립한 이후, 중국어는 영어, 일본어 등과 함께 한국인에게 중요한 외국어로 부상하였다. 고등학교에서 제2외국어로 중국어를 채택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고, 사설 학원의 중국어 전문 강좌 및 대학의 중어중문학과 등 중국 관련 학과의 수도 증가 추세에 있다. 대학에서 교양 외국어 과목 중 중국어가 차지하는 비중과 학부제를 채택한 대학의 중국어 및 중국 관련 전공으로 진입하는 학생 수가 다른 외국어와 대비 높게 나타나는 것을 보더라도 중국어가 중요한 외국어로 부상한 갈은 사실에 통계적 객관성을 부여해준다. 중국어 학습열은 중국이 점점 정치, 경제, 외교, 군사, 문화적으로 중요한 나라로 부상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근거한 것으로 판단된다.
    위의 상황을 고려할 때, 많은 학습자들은 중국어를 매우 실용적인 목적으로 학습하는 것으로 보인다. 제1외국어인 영어는 실용적인 목적도 물론 있지만, 입시, 취업 등 개량적 점수를 위한 학습의 비중 역시 상당히 높은 반면, 중국어는 개량적 점수를 위한 학습도 물론 존재하지만, 학습자가 실제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교육이 중심을 이루어가고 있다. 더불어 지리적인 가까움, 문화적 동질감, 비교적 많은 수의 동일한 한자 어휘 등이 중국어를 쉽게 공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높여주고 있다.
    하지만 중국어 학습자 수의 증가, 학습 열기의 고조 현상과 비교해 봤을 때, 중국어 학습에 가장 기본적인 분절음의 발음, 성조, 억양 등 음성 부분에 대한 한국인 학습자의 성과물은 중국어 원어민과 현저한 차이를 보여 준다. 그것은 다음과 같은 현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첫 번째, 한국의 외국어 교육은 분절음의 발음, 억양 등의 음성 요소들보다 어휘, 문법 등 음성외적인 요소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오랜 동안 지속되어온 어휘, 문법 위주 학습의 영향으로 추정되지만, 중국 정부 주관 외국인 대상 평가 시험인 '한어수평고시'의 영향도 없지 않다. 한국의 중국어 학습자들이 많이 응시하는 '초․중급한어수평고시'에는 음성적인 요소로 '듣기'만 있을 뿐 '말하기'는 제외되어 있다. '말하기'는 '고급한어수평고시'에 있는데, 응시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을 본다면, 대다수의 중국어 학습자들이 '말하기'에 필수적인 음성 학습을 소홀히 할 것으로 판단된다.
    두 번째, 한국의 중국어학 연구자 중에서 중국어 음성학을 전공한 연구 인력의 수가 절대적으로 적은 이유를 들 수 있다. 음성, 음운 관련 중국어 연구자 중에서 역사 음운론으로 분류할 수 있는 성운학 전공자와 물리적인 소리의 연구에서 거리가 있는 현대 음운론 전공자를 제외한다면, 실질적으로 박사 학위를 소지한 중국어 음성학 전공자는 아주 적다. 본 연수계획서에서 언급한 한국인 연구자들이 한국의 중국어 음성학자의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이다. 음성학 전공자가 대학 교육 현장에 드물게 있다는 사실은 고등학교의 중국어 발음 교육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어서, 자연스러운 외국어 발음 학습에 장애 요소로 작용한다.
    세 번째, 중국어 학습 현장의 발음 교육은 주로 서울말을 중심으로 한 표준 한국어(이하 한국어)와 차이가 있는 분절음과, 한국어에 없는 중국어 특유의 성조를 주로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성조는 한국어에 없는 언어 현상으로 상대적으로 지나치게 강조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성조에 얹혀서 발화의 초점, 문형, 발화 의도, 감정 많은 의미를 표현하는 억양에 대한 교육이 강조되지 못하게 한다. 한국인이 수행한 중국어 억양에 관한 연구 실적이 대단히 적다는 것도 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외국어 학습자는 학습 기간에 비례하여 좀 더 자연스러운 발음을 추구하게 되는데, 자연스러운 발음과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은 억양 요소이다. 억양은 원어민 화자가 아닌 외국인이 가장 습득하기 어려운 부분이기도 하고, 특히 성조 언어인 중국어에서는 억양이 성조에 얹혀서 실현되는 관계로 연구 분석과 실질적인 교육이 힘든 부분이기도 하다. 국내의 중국어 억양 관련 연구 성과가 많아지고 특히 본 연수가 담당하고자 하는 억양 오류 유형의 운율유형론적 분석 과제가 이루어진다면 학문적인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실용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수 과정과 연수 과제의 성과물이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 기대효과
  • 첫 번째, 학문적 측면의 기대 효과이다. 연수는 기본적으로 한국인의 중국어 억양의 특징을 기술하고 중국어 억양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이론적, 교육적으로 활용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가 완성이 되면 한국인의 중국어 발음에 대한 음성 코퍼스를 구축하게 되며, 이것은 중국사회과학원 언어연구소 음성연구실과의 협조 관계에서 연수자에 의해 영어, 프랑스어, 일본어 등 다른 언어의 중국어 오류 자료 코퍼스(외국어-중국어 중간 언어 현상 음성 코퍼스)와 대조 분석될 것이다. 중국어에 대한 한국인의 오류 억양 코퍼스는 오류의 유형별로 나뉘어 체계적으로 연구될 것이며, 자료의 수집이 계속될수록 점점 더 방대한 한국어-중국어의 중간 언어 현상 음성 코퍼스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연수의 결과는 중국어 억양의 언어학적 연구와 더불어 중국어 학습자가 자연스러운 중국어 억양을 구사하게 하는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두 번째, 교육적인 측면의 기대 효과이다. 외국어 학습자는 학습 기간에 비례하여 좀 더 자연스러운 발음을 추구하게 되는데, 자연스러운 발음과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은 억양 요소이다. 억양은 원어민 화자가 아닌 외국인이 가장 습득하기 어려운 부분이기도 하고, 특히 성조 언어인 중국어에서는 억양이 성조에 얹혀서 실현되는 관계로 연구 분석과 실질적인 교육이 힘든 부분이기도 하다. 국내의 중국어 억양 관련 연구 성과가 많아지고 특히 본 연수가 담당하고자 하는 억양 오류 유형의 운율유형론적 분석 과제가 이루어진다면 학문적인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실용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수 과정과 연수 과제의 성과물이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 연구요약
  • 구체적으로 연수 대상 연구는 다음의 여러 단계로 나뉘어 진행된다.
    첫 번째, 한국어와 중국어의 억양 기술에 선행 연구 수집, 분석 및 제 연구 결과에 근거한 한국어, 중국어 실험 문장의 설계.
    두 번째, 한국인의 학습 시간별, 지역별, 성별 차이를 측정하기 위한 피실험자의 구성과 통제집단으로서 표준 중국어 사용자의 구성.
    세 번째, 음성 분석에 필요한 정밀도를 가진 녹음실, 녹음 관련 장비, 음성 분석 전문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녹음 및 녹음된 음성 데이터의 분절, 수치 분석, 통계 처리 및 데이터 분석.
    네 번째, 한국어 화자가 발음하는 중국어의 억양 오류 분석 결과 도출.
    다섯 번째, 한국인의 중국어 억양 학습에 활용 방안 모색.

    첫 번째 선행 연구 수집과 실험 문장의 설계 단계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억양의 특징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실험 문장의 구성을 위해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억양 특징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억양 특징의 운율유형학적인 분석과 함께 실험 문장을 구성하여야 하는데, 간단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한국어의 운율 유형을 잘 나타내는 실험 문장을 구성하기 위하여 먼저, 한국어의 억양 단위를 층위를 분석하고, 각 층위에 해당하는 한정된 수의 억양 유형을 나타낸 다음, 유형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분절음의 조합으로 실험 문장을 구성한다. 중국어의 억양 층위는 한국어와 일치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운율 단어, 운율구, 억양구, 문장 등 네 단계로 구분이 된다. 각 억양 단위는 장음화, 음높이 재조정, 묵음 구간의 유무, 경계억양의 위치 등 여러 가지 운율 정보에 의해 판단되는데, 상세한 운율 정보의 목록은 학자마다 이견을 보이고 있다. 운율 단어, 운율구, 억양구, 문장의 네 분류를 기준으로 중국어 억양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운율 단어는 성조가 실린 두 음절이나 약화된 성조 경성을 포함한 두 음절 이상의 음절로 보통 구성되는데, 중국어 음운론에서 변조가 일어나는 단위로도 작용한다. 운율구는 음높이 재조정과 묵음 구간이 중요한 억양 정보가 되고, 하나 이상의 운율 단어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억양구는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긴 묵음 구간과 억양구 경계에 특수한 발화의미를 나타내는 경계억양이 실리는 단위로서 중요하다.

    두 번째 단계는 한국인의 학습 시간별, 지역별, 성별 차이를 측정하기 위한 피실험자의 구성과 통제 집단으로서 중국어 원어민 화자의 구성 단계이다. 한국어 억양의 특징을 가진 중국어 억양을 채집하기 위한 피실험자 수집 단계이기도 하다. 이 단계에서는 지역별, 학습 수준별, 성별, 연수 경험에 의 차이를 둔 중국어 학습자의 중국어 억양을 녹음한다. 본 연수에서 시간적으로 많은 부분이 한국인이 발화하는 중국어의 음성 자료 수집에 치중될 것이다. 중국어 억양의 오류 분석은 필연적으로 중국어를 배운 학습 기간과 중국어를 배운 학습자의 모어 언어 배경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연수 기관의 음성 분석 관련 장비와 연수자가 개인적으로 보유한 장비를 동시에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한다. 녹음된 자료는 분석의 편의를 위해서 여러 가지 분석 기법을 사용할 것이다. 음높이 비교를 위해서는 시간-표준화(time normalization)의 과정이 필요한데, 관련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적절한 정밀도로 처리한다. 음높이 분석을 위해서는 음높이 곡선의 중요한 지점, 즉 목표점 분석이 중요하다. 목표점 분석에 관한 기법은 Xu(2001), 손남호(2003), 孫湳昊(2006) 등에 언급되어 있다. 발화의 길이 분석을 위해서 모든 녹음 자료는 훈련된 인원의 분절을 필요로 한다. 이는 연수에서 많은 시간을 차지할 것이지만, 분절된 데이터는 그 자체가 연구 기초 자료로 큰 의미가 있다. 자세한 분석 방법은 손남호(2003), 孫湳昊(2006)에 기술된 내용과 같다.
    학습자별 중국어 녹음은 주로 지역별 대학에서 이루어질 예정인데, 예를 들면, 서울 지역은 서울에서 태어나서 서울 지역 대학에서 중국어를 배우기 시작한 인원으로, 부산 지역은 부산에서 태어나 부산 지역 대학을 다니는 대학생으로 제한한다.

    네 번째 한국인의 중국어 억양 오류 분석 결과 도출 단계에서는 중국어 억양을 한국인의 학습 기간, 성별, 지역에 따라 각각 분석될 예정이다. 세 번째 단계의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한국인의 억양 곡선이 중국어 원어민 화자의 억양 곡선에 비해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를 비교한다. 비교 방법은 손남호(2003), 孫湳昊(2006)에 기술된 내용에 따른다.

    다섯 번째, 한국인의 중국어 억양 학습에 활용 방안 모색 단계에서는 네 번째 단계에서 도출된 오류 유형을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요약한다. 자세한 내용은 연수 과정 진행 중에 구체적으로 기술될 수 있다.
  • 한글키워드
  • 분절음,억양 유형,성조,억양,중첩,경계억양,초점,목표점,억양 단위
  • 영문키워드
  • intonational type,focus,international unit,intonation,interpolation,target,boundary tone,tone,segment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강세 언어의 특징을 가진 한국어와 전형적인 성조 언어인 중국어의 음높이 유형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강세 언어는 일반적으로 강세의 위치가 음운론적 기저형으로 결정되고 음성학적 표면형으로 그 높이가 비교적 자유롭게 실현되는 언어이지만, 성조 언어는 음높이가 기저형으로 결정되어 표면형에 이르러서도 그 변화가 극히 제한된 특징을 가진다. 한편 한국어에서 강세의 위치가 쉽게 파악되지 않기 때문에 표면형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음높이가 결정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화자가 중국어의 성조를 발화할 경우에는 음높이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편이어서 표준 중국어 화자의 음높이를 기준으로 할 경우 그 변화형이 오류로 나타난다.
    본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높은 수평조로 끝나는 의문문을 오름조로 발화하는 경우, 낮은 수평조의 의문문을 오름조의 의문문과 구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표적인 경우라 하겠다. 억양 오류는 의문문 억양에서 주로 나타나지만, 평서문 억양에서도 익숙하지 않는 음높이 유형이 변화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주로 비경성 성조와 경성 성조가 연결되는 경우에 나타났다.
    한국어에도 성조 언어의 유형과 비슷하게 실현되는 방언권이 존재한다. 그것은 경상지역 한국어 화자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유형인데, 경상지역 한국어 화자는 서울지역 화자에 비하여 좀 더 정확한 음높이 형태로 발화하게 되는 것을 기대한다. 연수계획에서 제시한 데이터의 양이 방대한 관계로 통계적인 차이점이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좀 더 정밀한 분석을 거쳐서 그 유형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영문
  • This report aims to analyze pitch contours of four tones, the neutral tone and boundary tones in Standard Chinese which is pronounced by Korean speakers. It also studies the pitch variation of among tones and between tones and boundary tones through experimental methods. Total 1,240 sentences were recorded to analyze pitch contours, and then their 4 tonal types, the neutral tone and boundary tones were examined respectively.
    The speakers of Korean which has stress language characteristics have some difficulties in pronouncing tones and intonations of Chinese which has tone language characteristics, that is because Korean has stress as a phonological underlying form which can phonetically change some various pitch patterns at the real speech environment. Tone languages as in Chinese, which have underlying tones phonologically can be restricted within narrow limits in realizing their pitch patterns, so Korean speakers make some errors in pronouncing tonal pitch because of prosodic typological differences. For example, high level tone and high fall tone at interrogative sentence final can be easily changed into rising pitch pattern (as in figure 11, 12). In addition on interrogative intonation of Korean-style Chinese intonation, declarative sentences can also altered the original tone into various pitch pattern like high level, high rise (figure 3, 5, 7), etc., that is because Korean speakers have some tendency to pronounce Chinese sentences of using strict tonal pitch patterns as they learned and/or Korean-style pitch variations as they use in their languag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수는 강세 언어의 특징을 가진 한국어와 전형적인 성조 언어인 중국어의 음높이 유형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강세 언어는 일반적으로 강세의 위치가 음운론적 기저형으로 결정되고 음성학적 표면형으로 그 높이가 비교적 자유롭게 실현되는 언어이지만, 성조 언어는 음높이가 기저형으로 결정되어 표면형에 이르러서도 그 변화가 극히 제한된 특징을 가진다. 한편 한국어에서 강세의 위치가 쉽게 파악되지 않기 때문에 표면형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음높이가 결정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화자가 중국어의 성조를 발화할 경우에는 음높이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편이어서 표준 중국어 화자의 음높이를 기준으로 할 경우 그 변화형이 오류로 나타난다.
    본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높은 수평조로 끝나는 의문문을 오름조로 발화하는 경우, 낮은 수평조의 의문문을 오름조의 의문문과 구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표적인 경우라 하겠다. 억양 오류는 의문문 억양에서 주로 나타나지만, 평서문 억양에서도 익숙하지 않는 음높이 유형이 변화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주로 비경성 성조와 경성 성조가 연결되는 경우에 나타났다.
    한국어에도 성조 언어의 유형과 비슷하게 실현되는 방언권이 존재한다. 그것은 경상지역 한국어 화자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유형인데, 경상지역 한국어 화자는 서울지역 화자에 비하여 좀 더 정확한 음높이 형태로 발화하게 되는 것을 기대한다. 연수 계획에서 제시한 데이터의 양이 방대한 관계로 통계적인 차이점이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좀 더 정밀한 분석을 거쳐서 그 유형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수는 기본적으로 한국인의 중국어 억양의 특징을 기술하고 중국어 억양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이론적, 교육적으로 활용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가 완성이 되면 한국인의 중국어 발음에 대한 음성 코퍼스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도 중국어에 대한 한국인의 오류 억양 코퍼스는 오류의 유형별로 나뉘어 체계적으로 연구될 것이며, 자료의 수집이 계속될수록 점점 더 방대한 한국어-중국어의 중간 언어 현상 음성 코퍼스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연수의 결과는 중국어 억양의 언어학적 연구와 더불어 중국어 학습자가 자연스러운 중국어 억양을 구사하게 하는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현재도 진행되고 있는 녹음 데이터는 한국인이 중국어를 발화할 때 발생하는 억양의 오류가 유형별로 나뉘어 분석될 것이기 때문에 한국어와 중국어의 억양 차이를 체계적으로 기술하게 되는 이론 언어학적 요구이외에, 교육 현장에서 요구되는 한국인의 중국어 억양 오류 교정에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음성학적 분석과 데이터의 구축을 위해서 연수의 내용에서 나타낸 여러 요건들이 고려될 것이며, 이것은 연수 결과물 활용에 학문적 정당성을 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인의 중국어 억양 오류의 유형과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베이스는 모두 전문 설비와 전산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녹음되고 분절되고 레이블링되고 있다. 이 자료의 분석 결과는 한국인이 발화하는 중국어의 오류 유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활용하는데 일정 정도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운율 유형론, 강세 언어, 성조 언어, 강세, 성조, 억양, 억양 오류, 음성 분석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