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시와 음악의 이중주 - 예술가곡에 나타난 문학과 음악의 상호매체성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7-327-A00827
선정년도 2007 년
연구기간 1 년 (2007년 12월 01일 ~ 2008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이홍경
연구수행기관 한양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하이네의 시로 작곡된 예술가곡에서 나타나는 문학과 음악의 표현방식의 유사함과 상이함을 상호 비교하는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이 양 매체의 상호매체성에 대한 이론적 방법론을 제시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문학과 음악 간의 유기적 의미 및 상호매체적 속성뿐만 아니라 예술가곡 속에 투영된 당대의 문화적 현상까지 밝혀낼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하이네 시가 음악으로 얼마나 잘 전환되었는지 하는 고전적 물음을 벗어나 작곡가들이 하이네의 시에 어떻게 접근하고 음악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새로운 음악을 창출해냈는지 문학과 음악이 빚어 온 창조적 작업을 조명하게 될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학문적, 사회적 기여 내지는 교육과의 연계활동 방안과 관계해 다음과 같은 성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된다. 1. 학문적 기여도: 첫째 좁은 의미에서의 문학의 경계를 넘어서 예술가곡을 문학의 확장으로서 연구함으로써 전통적인 문학 연구에서 등한시 한 영역을 개발해 독일문학연구의 지평을 확대하고 더 나아가 인문학의 확충가능성을 넓히는 방안을 모색하게 될 것이다. 둘째, 문학과 음악을 쌍방향에서 교차적으로 바라보는 본 연구는 지금까지 음악분야에만 집중되어왔던 국내 예술가곡연구의 학문적 공백을 메우는 동시에 독일예술가곡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가 가능하게 되리라 기대된다. 셋째, 문학과 음악을 상호매체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본 연구는 문학과 음악에 관한 후속연구들을 위한 중요한 이론적 단초와 분석틀을 제공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의 성과는 문학과 타 매체, 회화, 음악, 애니메이션 등의 분야 간의 상호매체성을 밝히는 연구모델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는 분석대상을 주로 독일예술가곡에 국한시키고 있지만, 여기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시를 바탕으로 한 한국가곡의 분석과 이해에도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결과의 사회적 기여도: 첫째, 본 연구를 통해 이제껏 묻혀져 있던 가곡을 발굴함으로써 연주레퍼토리 확대에 기여하고, 이를 통해 어느 때보다도 문화에 관심이 많은 일반인들이 기존에 접하지 못했던 예술가곡을 향유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인문학 연구의 학제적 고립성을 탈피하고 학문의 사회화를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일반인을 위한 교양강좌를 문화아카데미나 평생교육원에 개설함으로써 일반인의 교양을 위한 저변 확대에 기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3. 교육과의 연계 활용방안 : 첫째, 본 연구테마는 전공수업 뿐만 아니라 비전공학생들을 위한 교양수업에도 아주 적절한 강의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예술가곡이라는 공통된 주제 하에, 문학과 음악, 학문의 영역에 따라 어떤 문제의식을 갖고 본 연구에서 분석대상으로 삼은 작품에 접근하고 있는지 비교해 볼 수 있는 옴니버스 형식의 강의로 활용될 수 있다.
  • 연구요약
  • 최근에 문학과 음악의 상호매체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주로 문학의 음악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반해 예술가곡에 대한 연구는 전통적인 연구방법에 따라 음악학적 관점에서 개별 가곡분석의 차원에서만 다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예술가곡을 단순히 음악학적 이론을 수용, 적용시켜 해석하기보다는 상호매체적 관점에서 문학과 음악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형태의 생산적 만남을 조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크게 세 영역, 즉 문학과 음악의 상호매체성에 관한 이론 및 고찰, 가곡 미학에 대한 고찰, 개별 작품분석으로 나뉜다.
    첫째, 상호매체성에 관한 부분에서는 기존의 문학과 음악의 관련성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90년대 중반 들어 광범위하게 확산된 상호매체성의 개념을 접목시켜 문학과 음악의 상호매체성 연구를 위한 방법론을 구축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문학과 음악에 대한 관련성 논의는 어떻게 변화되어 왔으며 문학과 음악 간의 상호매체성에 대해 어떤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예술가곡을 평가할 수 있는 실제 적용가능한 방법론은 무엇인지 살펴보게 될 것이다. 둘째, 가곡미학에 대한 고찰에서는 18세기 후반의 베를린 학파의 가곡미학과 이후 19세기 초반에 새로이 나타난 가곡미학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독일 가곡미학의 특성은 무엇이며 시대별로 어떻게 변화하는지, 예술가곡은 어떠한 역사적, 문화적 배경 하에서 출발했는지, 가곡미학과 상호매체성 이론을 어떻게 결합시킬 수 있는지 하는 문제들에 주목하게 될 것이다. 셋째, 개별 작품분석에서는 상호매체성 이론을 연계시켜 예술가곡을 분석하게 될 것이다. 수많은 작곡가들이 하이네의 시에 곡을 붙였지만 그 중 일부 예술가곡을 선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가곡에서 예술가곡으로의 지평을 연 슈베르트의 가곡, 시의 세세한 부분까지 음악으로 표현하며 음악을 통한 낭만적 문학을 완성한 슈만의 가곡, 독일 가곡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마이어베어와 리스트의 가곡, 멘델스존의 가곡이 연구대상이다. 이들의 가곡이 어떻게 문학과 음악 간의 상호매체적 양상을 띠며 당시 시민계층의 음악취향에 부합되었던 가곡문화의 점차적인 유행과 같은 문화사적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예술가곡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음악,문학,하이네,리스트,상호매체성,예술가곡,매체결합,멘델스존,마이어베어,슈만,슈베르트
  • 영문키워드
  • Kunstlied,Literatur,Heine,Schumann,Liszt,Intermedialitaet,Musik,Medienkombination.,Mendelssohn,Meyerbeer,Schubert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9세기에 가장 대중적인 인기를 얻은 시들 중 하나가 하인리히 하이네의 <노래의 책>이다. 그의 시는 많은 작곡가들에 의해 곡이 붙여졌다. 그중 슈베르트, 슈만, 마이어베어, 리스트, 멘델스존의 가곡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는 특히 '백조의 노래', '두 근위병', '오라!', '로렐라이', '노래의 날개위에'의 분석을 통해 음악과 문학 간의 상호매체성을 조명하고자 했다. 슈베르트의 하이네 시 선정과 배열의 문제, 슈만의 음악을 통한 낭만적 문학의 완성, 독일 가곡사에서 그동안 배제되어왔던 마이어베어와 리스트의 드라마틱 가곡, 멘델스존의 음악적 비더마이어의 경향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 영문
  • Das <Buch der Lieder> von Heinrich Heine ist eine der populaersten Lyriksammlungen des 19. Jahrhunderts. Viele Komponisten setzt seine Lyrik in Musik. Diese Arbeit untersucht Kunstlieder von Franz Schubert, Robert Schumann, Giacomo Meyerbeer, Franz Liszt und Felix Mendelssohn. Sie setzt sich mit dem intermedialen Verhaeltnis von Musik und Lyrik anhand der Heine-Vertonungen dieser Komponisten auseinander, Vor allem werden 'Dreizehn Lieder nach Gedichten von Rellstab und Heine D.957' (Schwanengesang), 'Die beiden Grenadiere op.49.1', 'Komm!', 'Die Loreley', 'Auf Fluegeln des Gesanges, op.34.2' konkret analysiert. Diese Arbeit untersucht die Frage der zyklischen Komponisten in den Vertonungen von Schubert, die Synthese von Dichtung und Musik von Schumann, dramatische Vertonungen von Meyerbeer und Liszt, die im Kanon der deutschen Liedgeschichte im Abseits stehen, Mendelssohns zart-melancholische Lieder, die im Verdacht der musikalischen Sentimentalisierung stehe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독일에서 18세기 말까지 자율적인 예술작품으로 평가를 제대로 받지 못했던 가곡이 19세기 들어 예술의 반열에 올라서고 독특한 독일적 예술을 대표하는 한 장르가 된 것은 우연이 아니다. 예술가곡은 당시 꽃피웠던 문학 없이는 상상할 수 없다. 작곡하기에 적합한 유려한 음악적 속성을 담고 있는 하이네의 시는 작곡가들에게 영감의 원천이 되어 많은 가곡으로 만들어짐으로써 독일 가곡사의 한 장을 차지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기존연구들은 시를 단순히 음악적 소재로 간주하며 부차적인 역할만 부여한 채 음악에 관한 학문적 이해만을 추구해 왔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시의 음악적 해석이라 할 수 있는 예술가곡을 연구함으로써 하이네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하이네 시가 음악으로 얼마나 잘 전환되었는지 하는 고전적 물음을 벗어나 작곡가들이 하이네의 시에 어떻게 접근하고 음악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새로운 음악을 창출해냈는지 문학과 음악이 빚어 온 창조적 작업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수많은 작곡가들이 하이네의 시에 곡을 붙였지만 그 중 예술가곡에서 빠질 수 없는 슈베르트, 슈만, 그리고 지금까지 연구가 미진했던 멘델스존, 리스트, 마이어베어의 예술가곡을 선별하여 이들의 가곡이 어떻게 문학과 음악 간의 상호매체적 양상을 띠는지 연구하였다. 슈베르트의 ‘백조의 노래’에서는 슈베르트의 하이네 시 선정과 배열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슈만의 ‘두 근위병’을 대상으로 삼아 음악과 문학의 상호매체성의 예를 제시하였으며 마이어베어와 리스트의 드라마틱 가곡에서는 독일가곡사에서 그동안 배제되어왔지만 이들의 가곡이 전통적인 해석과는 상이한 하이네 수용의 양상을 보여주며 각각의 매체가 가지는 고유한 미학적 특징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미적 체험을 가능케 한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멘델스존의 ‘노래의 날개위에서’는 감상적인 하이네의 면모만 각인된 하이네 시 수용의 문제와 음악적 비더마이어의 경향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지금껏 하이네 연구의 주변을 맴돌고 있던 예술가곡이 가지는 의미를 부상시킴으로써 기존의 문학중심의 연구 지평을 넓혀 하이네 연구의 새로운 담론 형성의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이를 통해 향후 후속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문학과 음악을 쌍방향에서 교차적으로 바라보는 본 연구는 지금까지 음악분야에만 집중되어왔던 국내 예술가곡의 학문적 공백을 메우는 동시에 독일예술가곡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가 가능하게 되리라 기대된다. 또한 독문학은 물론 음악학을 전공하는 연구자들에게 중요한 이론적 단초와 분석틀을 제공할 것이다.
    셋째, 전공수업뿐만 아니라 비전공학생들을 위한 교양수업에도 아주 적절한 강의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시 위주의 전통적인 문학교육에서 벗어나 시와 가곡을 접목하는 강의 방식을 통해 기존의 문학수업을 확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높은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넷째, 예술가곡이라는 공통된 주제 하에, 문학과 음악, 학문의 영역에 따라 어떤 문제의식을 갖고 본 연구에서 분석대상으로 삼은 작품에 접근하고 있는지 비교해 볼 수 있는 협동강의로 활용될 수 있다.
  • 색인어
  • 예술가곡, 음악, 문학, 하이네, 노래의 책. 슈베르트, 슈만, 마이어베어, 리스트, 멘델스존, 상호매체성, Kunstlied, Musik, Literatur, Heine, Buch der Lieder, Schubert, Schumann, Meyerbeer, Liszt, Mendelssohn, Intermedialitaet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