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 과목 '한문' 이수 정도에 따른 고등학교 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7-327-A00513
선정년도 2007 년
연구기간 1 년 (2007년 12월 01일 ~ 2008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왕규
연구수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중학교 재량 활동 선택 과목 '한문' 이수 정도에 따른 고등학교 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을 학계에 보고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 목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가. 중학교 학생들의 '한문' 이수 정도를 전국 16개 시도교육청별로 학교를 임의 표집하여 파악한다.
    나. 고등학교 학생들의 한문 학력차의 실태와 정도를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파악한다.
    다. 중학교 학생들의 한문 이수 정도에 따른 고등학교 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을 교과 내적, 외적으로 살펴본다.

    이 연구를 통해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 과목 '한문' 이수 실태, 이수 정도에 따른 고등학교 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유무,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 등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 기대효과
  • 이 연구는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 과목 '한문' 이수 정도에 따른 고등학교 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을 알아 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수행한 뒤,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가. 단위 학교마다 편성 양상이 다른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 과목 ‘한문’의 단위 학교별 이수 현황을 실질적으로 파악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나. 중학교 한문 교과의 선택과목화로 인해 고등학교 학생들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900자에 대한 학습이 미진한 상태이다. 이는 고등학교 한문 교육의 부실을 초래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 마련은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학습, 특히 중학교 한문과 교육을 통해 반드시 익혀야 할 중학교용 900자 학습의 내실화를 가져올 것이다.
    다. 중학교 학생들의 한문 과목 이수 정도에 따른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력차 발생과 같은 한문과의 문제점은 국민 공통 기본 교과 이외의 다른 선택 교과에서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마련하고자 하는 한문과 학력차 해소 방안은 타교과에도 일정한 시사점을 줄 것이며, 단위 학교 차원의 교육과정의 내실화를 기하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라. 중․고등학생들의 한문 학력차에 대한 실태 파악을 통해 향후 한문 교과서 편찬 지침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현행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는 중학교 한문 1․2․3을 모두 학습한 것을 전제로 집필되어 있다. 곧, 중학교 한문 선택 과목화에 따른, 개인별로 각기 상이한 한문 이수 정도가 반영되지 않은 것이다. 고등학교 학생들의 한문 학력차에 대한 논의는 향후 한문 교과서 편찬에서 학생들의 선수 학습 정도를 고려해야 한다는 인식을 확장 시킬 것이다. 이는 학생들의 학력을 실질적으로 반영하는 교과서 편찬을 이끌어 낼 것이다. 구체적으로 교과서 1단원을 예비 학습 혹은 선수 학습으로 마련하는 방법, 각 대단원의 1 소단원을 선수 학습으로 활용하는 방법 등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라. 학생마다 각기 상이한 중학교에서의 한문 이수 정도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한문 학력차를 초래하였다. 그 결과는 고등학교 한문 교육의 부실을 야기하게 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가 교육현장에 활용되면 고등학교 학생들의 한문 학력차는 줄어들게 될 것이다. 동일한 수준의 한문 학습 능력은 학생들의 학습 의욕을 증진시키게 되고, 이는 한문 교육 정상화와 공교육 정상화를 가져 올 것이다. 한문 교과에서의 결과 활용 양상은 다른 선택교과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마.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심층 면접을 통해 학교 현장에서 교육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문제 인식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교육 현장을 들여다보지 않으면 안 된다. 이 연구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문헌 연구, 설문 조사 연구, 학력 검사 도구 개발, 심층 면접 등 다양한 연구 방법들은 교육 문제를 바라보는 발상의 전환을 가져올 것이다. 교육 문제의 해결은 교육 현장의 심층적인 이해로부터 출발해야만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 연구요약
  •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 과목 '한문' 이수 정도에 따른 고등학교 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 과제의 중점 연구 내용과 방법, 그리고 그 효과를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가. 연구 내용
    이 연구는 중학교 한문 교과 이수 정도 실태를 먼저 파악할 것이다. 또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이수 정도에 따른 한문 학력차 실태를 검사 도구를 통하여 파악할 것이다. 그리고 중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심층 면접을 통하여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을 수집할 것이다. 연구자는 이를 통하여 교과 내적, 외적으로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것이다.
    나. 연구 방법
    1)중학교 재량활동 선택 과목 한문 이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16개 시도교육청 소속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은 대상으로 '설문 조사' 방법을 활용할 것이다. 고등학교를 임의 표집한 이유는 중학교 한문 학습 이수 정도를 다양하게 조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고등학교 학생들의 한문 학력차의 실태와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검사지를 개발하고 16개 시도 교육청 소속 고등학교를 임의표집하여 검사를 시행할 것이다.
    3) 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문 학력차 발생 유무, 원인, 해결 방안 등을 살펴볼 것이다.
    4) 전문가 협의회를 통하여 학력차 해소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고, 해소 방안의 학문적 타당성과 현실적 활용성 등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라. 결과 활용 방안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 과목 한문 이수 실태와 정도 파악
    2) 한문 이수 정도에 따른 고등학교 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유무, 실태, 그리고 그 정도
    3)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
    4) 타교과에의 시사점
  • 한글키워드
  • 한문교육,한자교육,한문학력차
  • 영문키워드
  • Differences of ‘Hanmun' Academic Abilities,Chinese Character Education,Classical chinese Educat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과목 ‘한문’의 시도별, 단위 학교별 선택 현황 및 편성·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한문 학력차 검사 도구를 개발한 뒤, 고등학생(10학년)을 대상으로 한문 학력차 검사를 실시하여, 검사 결과를 토대로 한문 이수 정도와 한문 학력차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한문 교육의 정상적 운영을 위한 고등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필자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연구 문제 곧 첫째,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과목 ‘한문’의 시도별․단위 학교별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파악, 둘째, 한문 학력차 검사 도구 개발, 셋째, 한문 학력차 검사 결과와 학력차 발생 변인과의 상호 관계 분석, 넷째,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 모색이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한문 학력차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검사와 설문 조사, 포커스그룹 면담, E-mail면담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중학교의 재량활동 선택 현황 특히, 한문의 선택 현황을 시도별로 조사하고,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사례를 통하여 단위 학교별 운영의 구체적 실태를 살펴본 결과, 시도별․단위학교별로 ‘한문’의 이수여부와 이수정도는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문 학력차 실태 파악을 위한 검사 문항을 개발하였다. 제7차 중학교 한문과 교육과정과 한문 교과서를 분석하여 검사 문항을 제작하였고, 예비검사와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검사 문항을 확정하였다. 확정된 한문 학력차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전국 16개 시․도 18개 고등학교의 1학년 학생 1,384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한 결과, .810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 상당히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한문 학력차와 학력차 발생 변인과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출신 중학교 지역별로는 대도시와 중소도시가 군읍면 지역에 비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평균 점수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문 이수 여부와 관련하여 중학교에서 한문을 이수한 집단이 이수하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평균 점수가 높았으며, 두 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중학교에서 ‘한문’을 이수한 연한에 따른 한문 학력차 검사결과는 1년 이수한 집단보다 2년, 3년 이수한 집단의 성적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중학교에서의 한문 이수 여부와 정도는 고등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발생의 주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한자․한문 관련 사교육 이수 여부와 관련 하여, 사교육을 받은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평균이 높았으며, 두 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한자․한문 관련 사교육 여부는 한문 학력차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을 모색하였다. 조사 연구, 포커스그룹 면담 등을 통해 발굴한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 실행 교사와 E-mail면담 등을 통해 의견을 청취하고, 시험 문항, 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 배당 기준표 등의 자료를 다각도로 수집하였다. 이 연구에서 모색하고 제시한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과 현장 사례는 크게 학교 교육과정의 탄력적 편성․운영, 교수-학습 방법의 다양화, 평가 내용의 다각화, 교재 재구성 등이다. 다섯째, 한문 교육의 당면 과제를 통합연구방법설계를 통해 접근하여 해결하였다. 직관이 아닌 실증적이며 심층적인 해결 방안 모색을 위해 조사연구, 포커스그룹 면담, E-mail 면담, 문헌 연구 등 질적․양적 연구 방법을 통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 설계와 연구 방법 적용은 이후 한문교육 관련 연구의 과학화와 체계화에 기여할 것이다.
    이 연구는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과목 ‘한문’의 전국적인 이수 실태를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파악하고, 신뢰도가 확보된 한문 학력차 검사 도구를 제작하였으며, ‘한문’ 이수 정도와 한문 학력차의 상호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의 현장 사례를 발굴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진단과 그 해소 방안 실행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된다. 이 연구의 성과를 토대로 좀 더 다양하고 구체적인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이 모색되고, 현장 적용 사례가 발굴되기를 기대한다.
  • 영문
  • In this research, we tried to perceive the selection of ‘Hanmun’ as an optional subject by schools or provinces and the organization and administration of it. And we originated the device of achievement test and conduct it. Furthermore, we analyzed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completion of ‘Hanmun’ and the differences of 'Hanmun' academic ability based on the tests’ result. And we tried to find the solution for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bility for classical Chinese among the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choosing of classical Chinese as an optional subject in middle school.
    To conduct this research successfully, we set up four categories. First one is the perception of the selection of ‘Hanmun’ as an optional subject by schools or provinces and the organization and administration of it. Second one is the design of achievement test’s device. Third one is the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completion of ‘Hanmun’ and the differences of 'Hanmun' academic abilities based on the tests’ result. To conduct this research, we perceived the actual condition of ‘Hanmun’s completion by 16 cities or provinces, designed the device of achievement test, conducted the test and survey, and analyzed the result. Forth we tried to find the solution for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bility for classical Chinese among the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choosing of classical Chinese as an optional subject in middle scho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ditions of ‘Hanmun’ completion by provinces or schools is very various.
    Second, the questionnaire were designed to perceive the actual condition of ’Hanmun’s academic ability. We analyzed the ‘Hanmun’ textbook and the 7th curriculum of ‘Hnamun’ in Middle school, and designed the questionnaire. Therefore we confirmed the questionnaire through the preliminary test and the conference of specialists. The main test was conducted for 1,384 first graders at 18 high schools on national wide by the confirmed test device. The test device is very satisfactory because the coefficient of Cronbach a was showed .810.
    Third, we analyzed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differences of ‘Hanmun’ academic ability and the main causes.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the girl students are superior to the boy students, and the students in big cities are superior to the students in small towns. The group of students who completed ‘Hanmun’ is superior to the group of students who did not. And the group of students who taken the ‘Hanmun’ course for 3 years is superior to 1 year. Therefore, we can say that the completion of ‘Hanmun’ in middle school is the main cause of the differences of ‘Hanmun’ academic ability in high school. The students who received the private education are superior to the students who did not. The group of the students who received the private education under 6 month or over 3 years is worthy of notice.
    Forth, we tried to find the solution for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bility for classical Chinese. We listened to opinions on e-mail from teachers who conducted the solutions and gathered all kinds of materials. In this research, what we suggested the solutions for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bility for classical Chinese are the flexibl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school curriculum, diversific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and reconstruction of teaching materials.
    Fifth, we solved the facing problems through the combined research methods. We did researches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as like a survey, focus group interview, interview on e-mail, and studying documents. This research’s design and method will contribute to the future researches related to classical Chinese teaching.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과목 ‘한문’의 시도별, 단위 학교별 선택 현황 및 편성·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한문 학력차 검사 도구를 개발한 뒤, 고등학생(10학년)을 대상으로 한문 학력차 검사를 실시하여, 검사 결과를 토대로 한문 이수 정도와 한문 학력차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한문 교육의 정상적 운영을 위한 고등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필자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연구 문제 곧 첫째,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과목 ‘한문’의 시도별․단위 학교별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파악, 둘째, 한문 학력차 검사 도구 개발, 셋째, 한문 학력차 검사 결과와 학력차 발생 변인과의 상호 관계 분석, 넷째,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 모색이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한문 학력차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검사와 설문 조사, 포커스그룹 면담, E-mail면담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중학교의 재량활동 선택 현황 특히, 한문의 선택 현황을 시도별로 조사하고,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사례를 통하여 단위 학교별 운영의 구체적 실태를 살펴본 결과, 시도별․단위학교별로 ‘한문’의 이수여부와 이수정도는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문 학력차 실태 파악을 위한 검사 문항을 개발하였다. 제7차 중학교 한문과 교육과정과 한문 교과서를 분석하여 검사 문항을 제작하였고, 예비검사와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검사 문항을 확정하였다. 확정된 한문 학력차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전국 16개 시․도 18개 고등학교의 1학년 학생 1,384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한 결과, .810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 상당히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한문 학력차와 학력차 발생 변인과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출신 중학교 지역별로는 대도시와 중소도시가 군읍면 지역에 비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평균 점수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문 이수 여부와 관련하여 중학교에서 한문을 이수한 집단이 이수하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평균 점수가 높았으며, 두 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중학교에서 ‘한문’을 이수한 연한에 따른 한문 학력차 검사결과는 1년 이수한 집단보다 2년, 3년 이수한 집단의 성적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중학교에서의 한문 이수 여부와 정도는 고등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발생의 주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한자․한문 관련 사교육 이수 여부와 관련 하여, 사교육을 받은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평균이 높았으며, 두 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한자․한문 관련 사교육 여부는 한문 학력차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을 모색하였다. 조사 연구, 포커스그룹 면담 등을 통해 발굴한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 실행 교사와 E-mail면담 등을 통해 의견을 청취하고, 시험 문항, 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 배당 기준표 등의 자료를 다각도로 수집하였다. 이 연구에서 모색하고 제시한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과 현장 사례는 크게 학교 교육과정의 탄력적 편성․운영, 교수-학습 방법의 다양화, 평가 내용의 다각화, 교재 재구성 등이다. 다섯째, 한문 교육의 당면 과제를 통합연구방법설계를 통해 접근하여 해결하였다. 직관이 아닌 실증적이며 심층적인 해결 방안 모색을 위해 조사연구, 포커스그룹 면담, E-mail 면담, 문헌 연구 등 질적․양적 연구 방법을 통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 설계와 연구 방법 적용은 이후 한문교육 관련 연구의 과학화와 체계화에 기여할 것이다.
    이 연구는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과목 ‘한문’의 전국적인 이수 실태를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파악하고, 신뢰도가 확보된 한문 학력차 검사 도구를 제작하였으며, ‘한문’ 이수 정도와 한문 학력차의 상호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의 현장 사례를 발굴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진단과 그 해소 방안 실행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된다. 이 연구의 성과를 토대로 좀 더 다양하고 구체적인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이 모색되고, 현장 적용 사례가 발굴되기를 기대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를 수행한 결과, 그 핵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중학교의 재량활동 선택 현황 특히, 한문의 선택 현황을 시도별로 조사하고,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사례를 통하여 단위 학교별 운영의 구체적 실태를 살펴보았다. 지역․학교․학생별로 이수 여부와 이수 시간이 다른 재량활동 선택과목의 편제상 성격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소개, 분석한 자료는 2009년 중학교 1학년부터 적용되는 개정 교육과정의 편성·운영(한문과의 경우, 2010년)과 고등학교 한문 교육의 출발점 설정과 선수 학습 진단에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한문 학력차 실태 파악을 위한 검사 문항을 개발하였다. 제7차 중학교 한문과 교육과정과 한문 교과서를 분석하여 1차 검사 문항을 제작하였다. 전국 16개시도 18개 고등학교의 1학년 학생 1,384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한 결과, .810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 상당히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한문 학력차 검사 도구는 고등학교에서 한문 교과 학습이 처음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진단 평가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한문 학력차와 학력차 발생 변인과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였다. 검사 결과 출신 중학교 지역별로는 대도시와 중소도시가 군읍면 지역에 비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평균 점수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문 이수 여부와 관련하여 중학교에서 한문을 이수한 집단이 이수하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평균 점수 14.30이 높았으며, 두 독립표본 t검정 결과 두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중학교에서 ‘한문’을 이수한 연한에 따른 한문 학력차 검사결과는 1년 이수한 집단보다 2년, 3년 이수한 집단의 성적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중학교 ‘한문’이수 시간과 관련 하여는 이수 시간과 한문 학력차 검사 점수는 비례하였다. 중학교에서의 한문 이수 여부와 정도는 고등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발생의 주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한자․한문 관련 사교육 받은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평균 12.87점 높게 나타났으며, 두 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한자․한문 관련 사교육을 받은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한문 학력차 검사 점수가 높았으며, 보다 오랜 기간 사교육을 받을수록 한문 학력차 검사 결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넷째, 현장의 한문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한문 학력차 실태를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전국의 고등학교 한문교사 102명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하고, 전문가로 구성한 포커스그룹 면담을 실시하여 한문 학력차 실태 파악에 주력하였다. 이를 통해 고등학교 한문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한문 학력차 실태와 그 심각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문 학력차 실태를 심층적이며 다층적으로 탐색한 자료는 교실 수업의 내실화를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을 모색하였다. 조사 연구, 포커스그룹 면담 등을 통해 발굴한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 실행 교사와 E-mail면담 등을 통해 의견을 청취하고, 시험 문항, 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 배당 기준표 등의 실제 자료를 수집하여 활용하였다.
    여섯째, 한문 교육의 당면 과제를 통합연구방법설계를 통해 접근하여 해결하였다. 직관이 아닌 실증적이며 심층적인 해결 방안 모색을 위해 검사지 개발, 통계적 검증, 조사연구, 포커스그룹 면담, E-mail 면담, 문헌 연구 등 질적․양적 연구 방법을 통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 설계와 연구 방법 적용은 이후 한문교육 관련 연구의 과학화와 체계화에 기여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도별, 단위 학교별 한문 교과의 편성 현황 및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중학교 학생들의 한문 이수 정도와 고등학교 학생들(10학년, 고등학교 1학년생)의 한문 학력차와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한문 교육의 정상적 운영을 위한 한문 학력차 해소방안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를 통해, 지난 6차 교육과정 이후로 학교 교육에서의 한문과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편제를 기준으로 할 때, 교과의 위상이 선택 교과로 저락되었으며, 이로 인해 시도별·단위 학교별로 왜곡된 한문과 편성, 운영의 결과, 시도별·학교별·학생별로 한문을 이수한 시간이 서로 다르고, 이는 심각한 한문 학력차를 야기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또한, 중학교 한문 이수 여부 및 이수 정도에 따른 한문 학력차가 중등학교 한문교육 부실의 주요 요인이며, 시급히 해결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진단하였다. 아울러 몇몇 현장 사례를 통해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을 제시하고 제안하였다.
  • 색인어
  • 한문교육, 한자교육,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과목 ‘한문’, 한문 학력차, 한문 학력차 검사, 한문 학력차 해소방안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