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사회과 예비교사를 위한 교수내용지식(PCK) 개발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8-332-B00429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1 년 (2008년 07월 01일 ~ 2009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박선미
연구수행기관 인하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사회과 예비교사를 위한 교수내용지식의 개발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이를 실제로 운영하여 그 효과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회과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이유는 다양한 학문을 배경으로 하는 사회과의 경우 수학과와 같이 단일 학문을 배경으로 하는 교과보다 교과내용지식을 깊이 있게 다루지 못하여 교수내용지식 개발이 더욱 어렵기 때문이다. Fenstermacher(1978)에 의하면 교사 교육의 목적은 처방된 방법으로 교사를 훈련시키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교수 과정에 대하여 깊이 있게 사고하고, 숙련되게 수행하는 힘을 갖도록 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설계하고자 하는 교수내용지식 개발 프로그램도 교수 방법에 대해서 배운다기보다는 교수 과정으로부터 배울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교수 방법에 대해서 배운다는 것은 예비교사가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수동적 방법으로 배우는 것이라면, 교수 과정으로부터 배운다는 것은 실제와 같은 상황에서 스스로 그들의 배움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능동적인 방법으로 학습하는 것을 의미한다(Lampert & Loewnberg, 1998).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교수내용지식 개발과 관련하여 이와 같은 관점을 채택한다는 것은 교수가 사회과의 교수-학습 전략이나 학습자의 발달 수준에 대해서 서적이나 연구물로부터 정보를 추출하여 가르쳐주는 것이 아니고, 예비교사 스스로 학생의 선개념, 경험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한 후 자신이 가지고 있는 교과 지식을 가지고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며 그 과정을 반성함으로써 스스로 교수내용지식을 개발한다는 것을 뜻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으로 교수내용지식의 개발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한 학기 동안 적용한 후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교수내용지식이 교사의 고유한 전문적 지식이라고 한다면, 예비교사 양성교육과정에서 가르쳐야 한다. 그러나 예비교사는 교수내용지식의 실천적 성격으로 인하여 사범대학의 예비교사 양성프로그램 중 교육실습 과목을 제외하면 대학 내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에서는 교수내용지식을 습득하도록 가르치기 어렵다. 본 연구는 대학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과교육 강좌에서 교수자가 예비교사에게 교수내용지식의 의미와 내용을 알려주는 방식이 아니라 교수자의 안내에 따라 예비교사가 교수내용지식의 습득 과정에 참여하고 반성함으로써 스스로 교수내용지식을 습득하도록 하는 방식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프로그램의 경험적 적용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사범대학의 교사양성 프로그램에서 교수내용지식을 개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이 지속된다면 사범대학의 교사양성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과 중․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활동 간의 정합성은 증가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사회과 예비교사를 위한 교수내용지식의 개발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이를 실제로 운영하여 그 효과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수내용지식의 개발 요인으로 선행 연구 자료를 수집하여 사회과 예비교사를 위한 교수내용지식의 개발 프로그램의 설계에 포함되어야 할 요소를 추출하고, 개인적 수준이 아닌 집단적 교육 프로그램 수준에서 교수내용지식의 실천적 성격과 협력적 반성에 주목하여 사회과 예비교사를 위한 교수내용지식의 개발 프로그램을 설계하고자 한다. 설계된 교수내용지식 개발 프로그램은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수정․보완된 후 ○○대학교 사회교육과 3학년 예비교사 40명을 대상으로 16주 동안(1주당 3시간) 프로그램을 적용될 것이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예비교사들의 학습과정이 담겨진 개인별 포트폴리오 평가를 통하여 개인별로 어떤 변화가 이루어졌는지, 그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이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분석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사회과 예비교사,교사교육,반성,선개념,포트폴리오평가,교수내용지식
  • 영문키워드
  • Prior Knowledge,Portfolio Assessment.,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Reflection in Action,Teacher Education,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적 지식이라고 할 수 있는 교수내용지식을 사회과 예비교사 양성 과정에서 가르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수내용지식의 특성과 개발 방법에 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교사양성프로그램에서 예비교사가 교수내용지식을 습득할 때 부딪치는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교수 전략으로 협력적 반성의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과 예비교사의 교수내용지식 개발 모형을 개발하고 그 적합성을 논리적으로 검토한 후 이론적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 모형을 활용한 교수내용지식의 개발 단계는 특정 주제에 대한 예비교사의 선개념과 교수내용지식 확인 단계, 오개념 확인과 교수내용 확장 단계, 학습자의 선개념 확인과 교수내용지식 정련 단계, 수업 실행, 동료예비교사 수업에 대한 관찰, 포트폴리오 작성과정에서의 반성적 검토를 통한 새롭게 알게 된 교수내용지식 인식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 모형을 적용한 결과 예비교사의 수업 능력 향상과 수업에 대한 자신감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영문
  • This paper attempts to find a way to utiliz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in the training process of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As a baseline, this paper reviewed previous literature on the key characteristics of PCK and various methhods to develop it, and investigated what difficulties pre-service teachers actually have when they attain PCK. In the next step, this paper suggested cognitive conflict strategy as a strategy to tackle these difficulties, and then developed a theoretical model focusing on the term, 'reflection in action.' Finally, this paper showed four steps toward the development of PCK, which are identifying prior knowledge of the pre-service teachers and their knowledge on PCK, identifying false conceptions and extension of PCK, identifying pre-conceptions of students and refining PCK, and finally, recognizing new PCK by reflec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적 지식이라고 할 수 있는 교수내용지식을 사회과 예비교사 양성 과정에서 가르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수내용지식의 특성과 개발 방법에 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교사양성프로그램에서 예비교사가 교수내용지식을 습득할 때 부딪치는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교수 전략으로 교수내용지식의 실천성과 실행 중 반성의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예비교사의 교수내용지식 개발의 이론적 모형을 설계하였다. 교수내용지식의 개발 단계는 특정 주제에 대한 예비교사의 선개념과 교수내용지식 확인 단계, 오개념 확인과 교수내용 확장 단계, 학습자의 선개념 확인과 교수내용지식 정련 단계, 교수 실행 단계, 동료 예비교사의 수업 관찰 및 분석 단계, 반성적 검토를 통한 새롭게 알게 된 교수내용지식 인식 단계로 이루어진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대학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과교육 강좌에서 교수자가 예비교사에게 교수내용지식의 의미와 내용을 알려주는 방식이 아니라 교수자의 안내에 따라 예비교사가 교수내용지식의 습득 과정에 참여하고 반성함으로써 스스로 교수내용지식을 습득하도록 하는 방식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프로그램의 경험적 적용 결과 사범대학의 교사양성 프로그램에서 교수내용지식을 개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수업지도안을 교수, 동료, 자기검토라는 3단계과정에서 계속 수정한 경험, 실제 수업을 실행 경험과 교수, 동료로부터 받은 코멘트, 동료예비교사 수업에 대한 관찰 및 포트폴리오 작성 과정에서 이루어진 자기반성 과정은 예비교사의 수업 실행 능력 및 자신감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프로그램에 따라 예비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기르도록 하는 노력이 지속된다면 사범대학의 교사양성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과 중․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활동 간의 정합성은 증가할 것이다.
  • 색인어
  • 교수내용지식, 사회과 예비교사, 인지적 갈등 전략, 행위 중 반성, 선개념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