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피터 그리너웨이의 작품에 나타난 바로크 미학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8-332-A00054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1 년 (2008년 07월 01일 ~ 2009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박기현
연구수행기관 전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의 영화감독이자 영상 예술가인 피터 그리너웨이(Peter Greenaway)의 바로크적 미학의 특성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미디어 문화를 이해하는데 있다. 우리에게는 몇 편의 영화들이 검열에 의해 삭제되어 개봉되고, 일반적인 미국식 영화 엔터테인먼트를 거부하는 어려운 실험 영화감독으로 많이 알려져 있으나, 사실 그리너웨이는 유럽사회에서 60여 편의 단편과 장편 영화를 감독한 영화감독이면서, 관람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자신의 대부분의 영상작품을 우선 먼저 책으로 출간하는 작가이기도 하면서, 그 작품 세계와 연관된 예술 작품들을 미술관에서 전시하는 전위 미술가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의 명성에 비하여 그리너웨이는 국내에 거의 소개되어 있지 않았다. 그리너웨이의 미학 세계를 일반적인 관람객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는 그의 영화나 미술 작품들이 위치한 범주가 르네상스 예술에서 현대 예술에 이르기까지 폭 넓기도 하지만 또한 그가 두 영역의 극단으로 밀고 나가기 때문이다. 또한 그의 작품들 속에 자주 등장하는 주제인 죽음, 폭력, 섹스는 게임이나 숫자 매기기, 미로, 또는 다른 종류의 전략적인 장치들 때문에 많은 비평가들에게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게다가 그리너웨이가 자신의 주제를 다루는 방식들은 일반적인 영화나 미술의 관람객들에게는 낯설어서 그의 작품들을 즐기기 위해서는 관람객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우리는 본 연구에서 외견상 혼돈스럽고 일관성이 없는 그의 미학 세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바로크 미학을 가져오려고 한다. 일반적으로 17세기의 미학을 가리키는 바로크 미학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현대 포스모던의 상황 속에서 극단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그리너웨이의 다양한 작품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려는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의 목표는 그리너웨이의 작품 세계를 가로지르는 기본적인 전략들을 살펴봄으로써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바로크 미학과의 관계가 형식과 주제 면에서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지 살펴볼 것이다. 우리는 피터 그리너웨이의 미학 세계를 바로크 미학이라는 큰 범주 안에서 형식적인 측면인 상호 예술성, 그리고 표현 양식의 측면인 상호 매체성을 분석하여 현대 디지털 문화의 한 양상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1) 피터 그리너웨이의 미학 세계를 분석함으로써 텍스트와 이미지, 그리고 영화 매체 간의 학제간 연구의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할 수 있으며, 2) 바로크 미학의 다양한 철학적, 역사적 연구를 통하여 미학의 유럽 지역적 특성을 넘어 종합적으로 통합할 수 있으며, 3) 현대 사회의 아날로그와 디지털 문화 현상, 멀티미디어와 인터액티브 현상에 대한 인문학적 토대를 마련 할 수 있다. 또한 4) 21세기 멀티미디어 세계에 들어가는 한국의 미디어 문화에 대한 이론적인 근거를 제공할 것이며 동시에 어린 학생들의 멀티미디어를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적인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서론>, 본 연구의 <제 1장>은 이론적인 전개로 바로크 미학의 이론적인 검토로서 간략하게 역사적인 개관 그리고 프랑스 철학자 질 들뢰즈(Deleuze)의 영화 이론과 바로크 미학, 즉 주름이론과 리좀 등에 대하여 검토하고, 독일 철학자 발터 벤야민(Benjamin)의 바로크 비극에 대한 알레고리와 멜랑콜리의 상관관계, 그리고 이탈리아의 오마르 칼레브레세(Omar Calebrese)와 쿠바의 라틴 문학의 이론가 세베로 사르두이(Sarduy)의 네오 바로크의 특성을 검토할 것이다. <제 2장>은 그리너웨이의 문학과 영화와 미술의 상호 예술성을 검토할 것이다. 우선 1) 그의 영화 속에 반복되어 나타나는 미술 작품의 인용, 그리고 최근 자신의 바로크 미학을 집대성한 <야경 Nightwatching>(2007)을 분석하고, 둘째로 2) 그의 저술과 미술 작품, 그리고 영화와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분석할 것이다. 특히 그의 예술 작품과 영화와의 상관관계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연구된 결과가 없어서 본 연구의 독창성을 드러내 줄 것이다. <제 3장>에서는 영화라는 매체에 대한 사유, 특히 종합예술로서 영화에서 사용되는 매체들의 상호매체성을 살펴볼 것이다. 1) 우리는 <프로스페로의 서재>와 <필로우 북>에서 나타난 상호매체성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러한 인터액티브와 멀티미디어의 모든 장르적 결합의 극치는 <털스 루퍼의 여행가방> 프로젝트이다. 그리너웨이는 1999년 베니스 영화제에서 <털스 루퍼 3부작>이라는 멀티미디어 프로젝트 기획을 발표한 후, <털스 루퍼의 여행가방>이라는 제목으로 그 프로젝트를 실현시켰다. <털스 루퍼의 여행가방> 계획은 16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된 TV 시리즈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시 CD-ROM과 DVD로 92개의 시리즈로 확대되고, 인터넷 사이트를 통하여 1001개의 이야기로 연재될 계획을 갖고 있는 현재진행형 프로젝트이다. 우리는 2) <털스 루퍼의 여행가방> 프로젝트를 상호매체성과 수용자의 관점에서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 4장>에서는 바로크적 주제의 분석으로서 우선 1) 알레고리와 멜랑콜리의 예로 그의 저서 <세상을 표현하는 백 개의 알레고리>(1998)와 영화 <하나의 Z와 두 개의 O>(1985)를 살펴볼 것이고 마지막으로 2) 그의 영화 <차례로 익사시키기와> 속에 등장하는 게임, 숫자 매기기, 미로, 분류하기 등의 바로크의 미적 장치들을 살펴볼 것이다. <결론>
  • 한글키워드
  • <털스 루퍼 여행가방>,오마르 칼레브레세,미로,피터 그리너웨이,네오 바로크,벤야민,<프로스페로의 서재>,텍스트,상호매체성,상호예술성,들뢰즈,바로크,인터액티브 ,게임
  • 영문키워드
  • Peter Greenaway,interactive. ,labyrinth,game,Omar Calebrese,<Tulseluper Suitcases>,<Prospero's Books>,Neo-Baroque,Deleuze,Benjamin,intermediality,interartiality,Baroqu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의 영화감독이자 영상 예술가인 피터 그리너웨이(Peter Greenaway)의 바로크적 미학의 특성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미디어 문화를 이해하는데 있다. 우리에게는 몇 편의 영화들이 검열에 의해 삭제되어 개봉되고, 일반적인 미국식 영화 엔터테인먼트를 거부하는 어려운 실험 영화감독으로 많이 알려져 있으나, 사실 그리너웨이는 유럽사회에서 60여 편의 단편과 장편 영화를 감독한 영화감독이면서, 관람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자신의 대부분의 영상작품을 우선 먼저 책으로 출간하는 작가이기도 하면서, 그 작품 세계와 연관된 예술 작품들을 미술관에서 전시하는 전위 미술가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의 명성에 비하여 그리너웨이는 국내에 거의 소개되어 있지 않았다. 그리너웨이의 미학 세계를 일반적인 관람객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는 그의 영화나 미술 작품들이 위치한 범주가 르네상스 예술에서 현대 예술에 이르기까지 폭 넓기도 하지만 또한 그가 두 영역의 극단으로 밀고 나가기 때문이다. 또한 그의 작품들 속에 자주 등장하는 주제인 죽음, 폭력, 섹스는 게임이나 숫자 매기기, 미로, 또는 다른 종류의 전략적인 장치들 때문에 많은 비평가들에게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게다가 그리너웨이가 자신의 주제를 다루는 방식들은 일반적인 영화나 미술의 관람객들에게는 낯설어서 그의 작품들을 즐기기 위해서는 관람객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우리는 본 연구에서 외견상 혼돈스럽고 일관성이 없는 그의 미학 세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바로크 미학을 가져오려고 한다. 일반적으로 17세기의 미학을 가리키는 바로크 미학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현대 포스모던의 상황 속에서 극단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그리너웨이의 다양한 작품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려는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의 목표는 그리너웨이의 작품 세계를 가로지르는 기본적인 전략들을 살펴봄으로써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바로크 미학과의 관계가 형식과 주제 면에서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지 살펴볼 것이다. 우리는 피터 그리너웨이의 미학 세계를 바로크 미학이라는 큰 범주 안에서 형식적인 측면인 상호 예술성, 그리고 표현 양식의 측면인 상호 매체성을 분석하여 현대 디지털 문화의 한 양상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 영문
  • Under circumstances of historical crisis, the baroque culture developped a remarkable aesthetic force, often utilized for political retotalisation. Given the hypothesis that our new media now allow contemporary artist to realize more of the aesthetic power of the baroque than was available to artists of the baroque period itself, we must consider its importance to current processes of retotalisation. In the film prosperos Books, peter greenaway intergratres these two moments into the same work.
    This anaysis proposes to articulate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the film's interartial demention ans its intermedial demention. Specially this article aims at showing how Peter Greenaway uses pictorial references in order to illustrate the context of the Renaissance as well as pictorial techniques and language in order to question the nature of artistic representation. Greenaway’'s modern mannerism consists in imposing his own aesthetic vision and his questioning of art beyond the play’'s metatheatricality: in other words, Shakespeare’'s text has been adapted without being betray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의 영화감독이자 영상 예술가인 피터 그리너웨이(Peter Greenaway)의 바로크적 미학의 특성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미디어 문화를 이해하는데 있다. 우리에게는 몇 편의 영화들이 검열에 의해 삭제되어 개봉되고, 일반적인 미국식 영화 엔터테인먼트를 거부하는 어려운 실험 영화감독으로 많이 알려져 있으나, 사실 그리너웨이는 유럽사회에서 60여 편의 단편과 장편 영화를 감독한 영화감독이면서, 관람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자신의 대부분의 영상작품을 우선 먼저 책으로 출간하는 작가이기도 하면서, 그 작품 세계와 연관된 예술 작품들을 미술관에서 전시하는 전위 미술가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의 명성에 비하여 그리너웨이는 국내에 거의 소개되어 있지 않았다. 그리너웨이의 미학 세계를 일반적인 관람객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는 그의 영화나 미술 작품들이 위치한 범주가 르네상스 예술에서 현대 예술에 이르기까지 폭 넓기도 하지만 또한 그가 두 영역의 극단으로 밀고 나가기 때문이다. 또한 그의 작품들 속에 자주 등장하는 주제인 죽음, 폭력, 섹스는 게임이나 숫자 매기기, 미로, 또는 다른 종류의 전략적인 장치들 때문에 많은 비평가들에게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게다가 그리너웨이가 자신의 주제를 다루는 방식들은 일반적인 영화나 미술의 관람객들에게는 낯설어서 그의 작품들을 즐기기 위해서는 관람객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우리는 본 연구에서 외견상 혼돈스럽고 일관성이 없는 그의 미학 세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바로크 미학을 가져오려고 한다. 일반적으로 17세기의 미학을 가리키는 바로크 미학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현대 포스모던의 상황 속에서 극단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그리너웨이의 다양한 작품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려는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의 목표는 그리너웨이의 작품 세계를 가로지르는 기본적인 전략들을 살펴봄으로써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바로크 미학과의 관계가 형식과 주제 면에서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지 살펴볼 것이다. 우리는 피터 그리너웨이의 미학 세계를 바로크 미학이라는 큰 범주 안에서 형식적인 측면인 상호 예술성, 그리고 표현 양식의 측면인 상호 매체성을 분석하여 현대 디지털 문화의 한 양상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 결과

    <프로스페로의 서재>는 문학텍스트를 각색했다는 점에서 문학 텍스트와 영화 사이의 외적 관계가 존재한다. 발생론적인 측면에서 보면 텍스트와 영화 사이에는 구체적인 관계가 존재하는데 항상 텍스트는 영화보다 먼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영화의 시나리오는 그리너웨이의 영화의 잠재태라고 할 수 있는 셰익스피어의 텍스트에서 출발한다. 하지만 이러한 관계를 단지 발생론적 측면에서만 볼 수 없는 이유는 그리너웨이가 텍스트와 이미지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문화적인 용어로 질문을 제기하기 때문이다. 그리너웨이는 말한다. "당신은 당신이 읽은 책의 결과물이다. 우리는 모두 우리가 받은 교육, 그리고 텍스트를 통해 폭넓게 지각되는 문화적 배경의 결과물이다." 바로 이런 주장에서 우리는 그리너웨이가 이미지 문화보다는 텍스트 문화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역설적인 논증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리너웨이는 글이라고 하는 매체의 헤게모니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영화는 결국 문학에서 파생되는 부차적인 위치를 지니는 문화적 존재임을 강조하고 있다.
    두 번째 지적할 사항은 영화는 결코 기계적으로 텍스트를 영상으로 옮기는 작업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우리가 각색이라고 지칭할 때는 그곳에는 선택과 해석의 문제가 개입한다. 셰익스피어의 희곡에서 그리너웨이는 프로스페로라는 등장인물을 선택하여 자신의 영화의 중심인물로 해석하여 영화를 전개시킨다. 그리너웨이는 프로스페로를 글을 통한 필사가, 작가, 마술사로 등장시킨다. <프로스페로의 서재>를 처음 본 관람객들은 수많은 등장인물들과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는 이미지들의 과잉, 그리고 동시적으로 열리는 여러 개의 화면 등에 놀라기도 하지만 또한 자세히 보면 단 한명의 등장인물, 프로스페로를 중심으로 영화가 전개된다는 사실에 놀라기도 한다. 한 인물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방식 또한 특이한데 그리너웨이는 영화 줄거리의 중심에 프로스페로를 위치시킬 뿐만 아니라 프로스페로 자신이 영화를 이끌어가는 세계의 중심이 되도록 한다. 영화 속의 모든 행동들은 프로스페로의 말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사실이다. 그런 점에서 프로스페로는 영화 속의 주인공이면서 영화 속에서 전개되는 모든 행동들의 창작자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그리너웨이는 자신을 포함한 일련의 작가들, 즉 셰익스피어와 프로스페로, 그리고 프로스페로 역할을 맡은 존 길거드(John Gielgud), 그리고 자기 자신에 이르기까지 영화 전체가 독백을 해 나가는 방식으로 영화를 전개 시킨다. 그리너웨이는 우선 배우 존 길거드와 등장인물 프로스페로 사이에 동일화 작업과 차별화 작업이라는 이중의 놀이를 하고 있다. 브레히트의 소격 효과를 연상시키듯 그리너웨이는 두 인물 사이의 거리감을 유지하면서 배우가 등장인물로 변해가다가 끝에서는 반대로 등장인물이 배우로 변해가는 구조를 만들어낸다. 또한 등장인물인 프로스페로는 영화 속에서 각각 다른 세 명의 역할로 분할된다. 우선 자신의 섬에 유배된 마술사-필사가(筆寫家)로서 그곳에서 그는 모든 것들을 이용하여 자신이 생활하고 자신의 생을 행복한 결말로 이끌 수 있는 가능한 세계를 창조한다. 또 다른 모습은 화려한 복장을 하고 있는 베네치아 총독의 권력을 가진 군주로서의 프로스페로가 존재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자신의 사랑스러운 딸의 행복을 바라는 자상한 아버지로서의 프로스페로도 존재한다. 이 세 역할, 작가-군주-아버지로서의 프로스페로는 무거운 독백 속에서 새로운 세계의 창조자로서 자신의 역할을 이끌어간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1) 피터 그리너웨이의 미학 세계를 분석함으로써 텍스트와 이미지, 그리고 영화 매체 간의 학제간 연구의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할 수 있으며, 2) 바로크 미학의 다양한 철학적, 역사적 연구를 통하여 미학의 유럽 지역적 특성을 넘어 종합적으로 통합할 수 있으며, 3) 현대 사회의 아날로그와 디지털 문화 현상, 멀티미디어와 인터액티브 현상에 대한 인문학적 토대를 마련 할 수 있다.
  • 색인어
  • 피터 그리너웨이, 상호예술성, 상호매체성, ㅂ바로크 미학, 템페스트, 프로스페로의 서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