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초등학교 사회 수업에서 교사의 형성평가 실행에 관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8-332-B00402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1 년 (2008년 07월 01일 ~ 2009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박영석
연구수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초등 사회 수업에서 교사의 형성평가 실행과정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교육 활동에서 평가는 교육과정의 목표를 적절히 달성하였는가에 대한 점검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학교교육에서 평가는 교육활동의 일부로서 학습자들의 성장에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학습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실제 교육현장에서 평가는 학생들의 학습향상을 위한 형성적 목적보다는 학습목표에 대한 성취정도를 확인하고 학생들을 서열화하는 총괄적 목적에 치중해 왔다. 우리의 교육 환경과 평가 문화에서는 평가의 역할 중에서 성적을 산출하고 선별 및 배치를 하는 기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평가는 학습자가 평가를 부담스러워하면서도 이에 예민하게 반응하게 하여 ‘평가를 위한 교육’이라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하고 있다. 초등학교의 상황도 중등학교만큼 심각하지는 않지만 이 문제에서 예외는 아니다. 현행 교육과정에 따른 교육 방향은 초등학교의 성적을 통한 학습 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일제고사를 없애고 석차를 산출하지 않지만, 반 공식적으로 지필평가 형태의 학력평가가 중간 혹은 기말에 실시되고 있으며, 이것이 실제적인 시험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 사회적으로 학력 신장을 강조 분위기가 강해지면서 이러한 평가 경향의 변화는 교사들의 수업의 설계와 실제 진행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의미 있는 대안 중의 하나가 형성평가의 내실화라 할 수 있다. 형성평가는 교사가 학생의 교수-학습과정에서 나타난 이해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여, 학생들의 학습을 돕는 피드백을 통해 이를 반영하는 것이다. 형성평가가 의도한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교수-학습 환경에서 학습을 전개하고 평가를 주도하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교사들은 형성평가를 수업 후반부에 학습 내용의 성취정도를 확인하는 평가로, 또한 형식화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평가로 인식하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형성평가의 양상과 교사의 형성평가에 인식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연구가 절실하다. 하지만 국내의 형성평가 관련 연구는 미흡하다.
    이 연구는 초등 사회 수업에서의 형성평가에 초점을 두고, 교사가 형성평가를 어떻게 인식하고, 어떻게 실행하며, 형성평가 결과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사회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형성평가의 맥락을 이해하고 형성평가를 내실 있게 실행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초등학교 사회 수업에서 교사의 형성평가 실행 양상과 맥락을 밝히는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학문적, 교육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사회과 형성평가에 대한 이해를 확장할 수 있다. 한국의 교육환경에서 평가는 교수 학습 활동 개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보다는 선별도구로서의 기능이 중시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총괄평가와 표준화된 평가가 강조되고, 상대적으로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들에게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학습을 촉진하는 형성평가에 대한 인식은 미약했다. 이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형성평가의 의미와 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 그리고 구체적인 실행 양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교육활동과 학습자의 발달에 실제적으로 도움을 주는 형성평가의 핵심적 요소에 대한 이해를 풍부하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회과 수업에서 형성평가가 초점을 두어야 할 평가 목표에 대한 반성과 이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형성평가의 전략 모색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교 교육에 실제적으로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평가 정책의 방향 정립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 평가 정책이 변화될 때 이 정책이 실제 수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교사는 어떠한 혼란을 겪으며, 정책 변화를 어떻게 이해하고 대응하는지에 대한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최근에 확대되고 있는 학력 신장 중심의 교육정책과 이에 따른 평가정책이 초등학교 교실 수업에 어떠한 영향을 초래할 것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교사의 형성평가 목표 설정과 방법 및 활용 방안 모색에 유의미한 정보를 줄 수 있어서 교사의 평가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과 연수 활동 개선에도 기초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사회과 수업 연구 차원에서도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사회과 교실 수업 연구의 한 요소로서 평가의 역할과 교육적 기능을 새롭게 인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사회과 형성평가와 관련한 연구가 미흡한 현실을 고려할 때, 초등학교뿐만 아니라 중등학교에서 형성평가의 위상과 실행 양상을 검토하고 이들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는 후속연구에도 시사하는 점이 있을 것이다. 특히 형성평가 연구에서 설문조사 등의 양적인 접근을 통해 파악하기 어려운 형성평가의 맥락적 정보를 바탕으로 형성평가뿐만 아니라 교실 수업 전반에 대한 이해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최근 강조되는 교과 수업 장학 혹은 수업컨설팅 관련 연구에서 형성평가를 통한 피드백 활동을 고려하도록 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 연구요약
  • 이 연구는 초등 사회 수업에서의 형성평가에 초점을 두고, 교사가 형성평가를 어떻게 인식하고, 어떻게 실행하며, 형성평가 결과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사회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형성평가의 맥락을 이해하고 형성평가를 내실 있게 실행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평가가 교육 활동의 일부로서 학습자들의 성장에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학습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여야 함에 도, 실제 교육현장의 평가는 성적 부여를 통해 단지 학생들의 성취 정도를 확인하고 학생들을 서열화하는 정도의 역할만을 하고 있다. 학생들의 교육적 성장을 위한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오히려 정상적인 교육활동을 저해하는 부작용까지 발생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 평가의 교육적 역할을 회복하는 방법을 형성평가의 내실화에서 찾을 수 있다. 교사가 형성평가를 통해 학생의 교수-학습과정에서 성취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을 실제적으로 돕자는 것이다. 하지만 형성평가가 대부분의 교사들에게 정확하게 이해되지 못하고 있다는 정도를 벗어나, 형성평가의 구체적인 실행 형태나 그 과정에서의 장단점 혹은 이들을 둘러싼 교육환경의 맥락을 파악하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대해 이 연구는 교사가 초등학교 사회 수업에서의 실제적으로 형성평가를 어떻게 진행하고 있고 그것이 적절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지 등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실제로 초등 사회 수업의 사례를 관찰해 형성평가가 이루어지는 수업의 맥락을 밝혀 보고자 한다. 형성평가를 실제적으로 실행하고 있는 교사의 사례에 대한 연구는 형성평가의 실행 과정을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보여줄 수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특별히 우수한 교사의 사례보다는 일반적인 사례에 가까운 교사의 형성평가 실행사례를 선택한다. 일반적인 사례 교사의 경우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현실적으로 이루어지는 형성평가의 실행 과정을 좀 더 설득력있게 제시할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연구 대상인 교사는 서로 다른 2개 초등학교에서 각각 두 명씩 택하고자 한다. 초등학교 사회 수업에서 형성평가의 실행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현실을 고려할 때, 복수의 사례를 선택해 형성평가가 이루어지는 보다 다양한 맥락에 대한 이해를 추구하는 것도 의미있다. 이 연구에서 핵심적으로 활용하는 연구방법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이다. 연구과제에 대한 접근 방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초등 사회수업의 형성 평가 실행과 관련해 의미 있는 세부 연구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수업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한다. 수업 참여관찰에서는 필드노트를 작성하며 관찰 장면을 캠코더로 녹화하여 사후 분석에 활용한다. 심층면담은 참여관찰과 수업 녹화를 통해 확보한 정보를 바탕으로 반구조화된 형태로 실시한다. 자료 분석 과정에서 수업 녹화와 면담 녹취의 전사본은 분석 유목의 단위별로 분류하여 분석한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학문적 혹은 교육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첫째, 사회과 형성평가에 대한 이해를 확장할 수 있다. 둘째, 학교 교육에 실제적으로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평가 정책의 방향 정립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셋째, 사회과 수업 연구 차원에서도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사회과 교실 수업 연구의 한 요소로서 형성평가의 역할과 교육적 기능을 새롭게 인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최근 강조되는 교과 수업 장학 혹은 수업컨설팅 관련 연구에도 시사점을 줄 수 있다.
  • 한글키워드
  • 피드백,형성평가의 유형,형성평가의 활용,형성평가,수업평가
  • 영문키워드
  • Types of Formative Assessment ,Formative Assessment,Use of Formative Assessment,Classroom Assessment,Feed-back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 수업에서 실행되는 형성평가의 실제적 양상과 교사의 형성평가에 대한 이해를 파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2개 초등학교에서 각각 2명씩 4명의 초등교사의 사회수업을 참여관찰하고 교사들과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초등 사회수업에서 교사의 형성평가에 대한 인식은 미약하였고, 실행되는 형성평가도 지식 평가 중심의 총괄평가에 대비한 보조적 수단으로 활용되는 경향이었다. 형성평가 방식은 형식적 비형식적 평가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었고, 수업의 단계별 형성평가의 진행 방식도 교사마다 다양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평가의 초점은 학생들의 전체적인 이해여부에 맞추어졌고 학생들의 개별적인 학습 개선에 도움이 되는 피드백은 미흡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 사회수업에서 교사의 형성평가 실행에 대해, 제도적 환경에 순응하는 형성평가, 의식하지 않으면서 실행되는 형성평가, 사적인 방식으로 인식되는 형성평가, 개별화된 피드백이 미흡한 형성평가로 이해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spects of formative assessment in social studies classroom of elementary school and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on formative assessment.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arry out qualitative case study focused on participative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with four elementary teachers in two elementary schools.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teachers show lack of understanding on formative assessment, and they have tendencies to use formative assessment as subsidiary instrument for summative assessment focused to knowledge area. Second, there are many formal and informal forms in formative assessment, and each teacher has practice various assessment patterns in phases of classroom. But the focus of assessment is to find a level of whole student's understanding, and feed-backs to each student are not sufficient. The researcher understand elementary teacher's carrying formative assessment out in social studies classroom as 'formative assessment to adjust to institutional environment', 'formative assessment to practice unconsciously', 'formative assessment to practice at his discre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사회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형성평가의 실제적 양상과 교사의 형성평가에 대한 이해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개의 초등학교에서 각각 2명씩 4명의 초등교사의 사회수업을 참여관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들의 형성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행에 대해 심층면담을 하였다. 수업참여관찰에서는 필드노트를 작성하고 수업장면을 녹화하여 사후 전사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심층면담은 참여관찰과 수업 녹화 전사자료 분석을 통해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반구조화된 면담형태로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도 녹취후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등 사회수업에서 교사의 형성평가에 대한 인식은 미약하였고, 실행되는 형성평가도 지식 평가 중심의 총괄평가에 대비한 보조적 수단으로 활용되는 경향이었다. 형성평가 방식은 형식적 비형식적 평가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었고, 수업의 단계별 형성평가의 진행 방식도 교사마다 다양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평가의 초점은 학생들의 전체적인 이해여부에 맞추어졌고 학생들의 개별적인 학습 개선에 도움이 되는 피드백은 미흡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 사회수업에서 교사의 형성평가 실행에 대해, 제도적 환경에 순응하는 형성평가, 의식하지 않으면서 실행되는 형성평가, 사적인 방식으로 인식되는 형성평가, 개별화된 피드백이 미흡한 형성평가로 이해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초등 교사의 형성평가에 대한 이해와 실행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수업에서 교사의 형성평가에 대한 인식은 미약하였고 교사들 간의 형성평가에 대한 협의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학교에서 실제 평가도 학업성취도 중시 등의 최근 추세에 부응하여 지필평가 위주의 총괄평가가 강조되고 있었다. 둘째, 실제 수업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형성평가와 형성평가 정보의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하지만 형성평가의 구체적인 실행 방향은 총괄평가를 보조하는 쪽으로 경도되고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형성평가에서도 지식영역이 강조되는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초등 사회수업에서 실행되는 형성평가의 유형은 학습지나 평가지와 같은 형식적 형성 평가도구로부터 질문이나 표정에 대한 관찰 등과 같은 비형식적인 형성평가도구까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었다. 수업의 단계마다 이루어지는 평가의 형태나 방식도 교사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평가의 초점이 개별학생의 구체적인 성취 정도에 대한 파악보다는 전체 학생의 성취 수준을 파악하는 쪽에 맞추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형성평가를 통해 확보한 학습 활동 성과에 대한 정보들이 교사의 수업 방법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활용되는 경우는 간접적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었다. 형성평가를 통한 피드백은 학생들의 사회과 학습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반감시키는 부정적 효과를 유발하기도 하였지만, 지식적 측면에서 성취 정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이것이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촉진하는 효과를 가져오는 사례도 있었다.
    이 연구결과의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결과는 학교현장에서 형성평가의 의미와 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 그리고 구체적인 실행 양상과 형성평가의 핵심적 요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둘째, 학교 교육에 실제적으로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평가 정책의 방향 정립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 평가 정책이 변화될 때 이 정책이 실제 수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교사는 어떠한 혼란을 겪으며, 정책 변화를 어떻게 이해하고 대응하는지에 대한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최근 강조되는 교과 수업 장학 혹은 수업컨설팅에서 교사의 형성평가를 통한 피드백 활동과 관련된 수업 평가의 기준 및 방법 모색에 구체적인 시사점을 줄 수 있다.
  • 색인어
  • 형성 평가, 초등 사회 수업, 피드백, 초등 교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