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어휘단위 계층적 개념망 확장과 응용을 위한 통합적 어휘의미분석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학술연구교수& #40;인문사회& #41;
연구과제번호 2008-358-A00053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2 년 (2008년 09월 01일 ~ 2010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황순희
연구수행기관 부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중단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표는 지식베이스(Knowledge Base)의 한 유형인 어휘단위의 계층적 개념망, 이른바 ‘어휘의미망(Lexical Semantic Network)’의 확장과 응용을 위한 언어학적 기반연구로, 효과적인 방법론을 개발하고 연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 목표를 세우고 3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1) 계층적 개념망을 구성하는 의미관계인 ‘상위(hypernymy)’, ‘하위(hyponymy)', ‘반의(antonymy)’, ‘전의(holonymy)’, ‘분의(meronymy)’ 등의 관계를 고려하여, 특정 어휘군의 의미기술을 위한 변별적 의미기준을 분석하고 <메타개념>을 개발하여, 이를 활용해본다(기구축 온톨로지의 정교성 검증). <메타개념>의 개발은 의미성분 분석 방법론에 기초한다.
    (2) 기구축 어휘의미망의 확장·개선시 요구되는 언어학적 준거를 개발한다. 이를 위해 어휘의미망 구축시 문제가 되는 유형을 분석하고, 개별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3) 명사 관련어 및 타품사 어휘의미망 간 연동성 연구를 위한 통합적 어휘의미 분석연구를 수행한다.
    최근 들어 어휘의미망은 온톨로지(ontology), 시소러스(thesaurus) 등과 더불어 언어학, 전산학, 심리학 분야의 공통된 관심 주제로 부각되고 있는데, 그 이유로는 ① 정보 및 지식의 체계화․표상화․공유 및 저장․표준화의 필요성, ② 시맨틱 웹(Semantic Web)의 등장으로 인한 적절한 온톨로지 구축의 필요성, ③ 기구축 어휘의미망 간의 연동성, ④ 자연어처리(NLP) 분야에서 의미적 분석을 위한 대안 마련의 가능성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온톨로지는 개념정보를 계층적으로 구조화한 망(networks)으로, 지식과 정보의 체계화에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인공지능(AI), 자연언어처리, 정보통합(Information Integration), 전자 상거래(e-Commerce)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된다.
    본 연구대상인 어휘의미망은 온톨로지 중 중간 온톨로지(Middle Model)에 해당하고(Hovy, 2007), 인간세계 일반(world in general)을 표상하며 주로 인지심리학자 및 언어학자들이 구축한다. 또한 자연언어처리(NLP) 분야의 정보검색(IR), 질의응답(QA) 등을 위해 그 활용도가 높다. 또한, 본 연구는 명사 어휘의미망의 분석과 개선·확장을 위한 방법론 연구를 출발점으로 삼는다. 그 이유는 ‘명사’는 실체’, ‘동작’, ‘상태’ 등의 다양한 존재 양식을 지시하는 문법 부류라는 점에서 타 품사에 비해 중립적이며(최경봉, 2001), 어휘의 의미 분류체계를 밝히는 출발점이 된다는 중요성 때문이다. 이것은 인간의 인지과정에서 언어적 개념화(conceptualization)의 결과가 명사류로 귀결된다는 점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개념화와 개념의 범주화는 실제로 지식 베이스를 구축하는 데 핵심적 요소이다. E. Nida는 ‘실체(entities)’, ‘사건 (events)’, ‘추상(abstracts)’, ‘관계(relationals)’ 등이 언어의 중심 의미 영역을 구성하는 것으로 보았고(Nida, 1975: 182), J.L. Lyons는 개별 품사의 의미론적 부분은 ‘실체(entities)’, ‘속성(properties)’, ‘사건(actions)’, ‘관계 (relations)’ 등을 식별하는 가능성을 전제로 한다고 여겨, 위의 네 가지 요소를 개별 언어를 분석하기 위한 중립적인 틀로 삼았다(Lyons, 1977: 440). 가령 ‘실체’는 명사, ‘사건’은 동사, ‘추상’, ‘속성’은 형용사 또는 부사, ‘관계’는 접속사나 전치사와 결부시킬 수 있는데, 명사는 이러한 언어 분석을 위한 주요 구성요소를 반영한 부류로 개별 언어에 실체명사, 사건(동작)명사, 상태명사, 관계명사로 실현된다는 점에서 또한 중요성이 있다.
  • 기대효과
  • 지금까지 국내․외의 어휘의 의미성분 연구는 어휘의미 성분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어휘의 하위범주화를 위한 분류에 치중해 왔고, 더욱이 어휘의미망 구축에 활용될 수 있는 기반자료는 전무한 상태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실제 어휘의미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미자질 분석연구는 지식베이스 구축에 앞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주제이다. 지식베이스로서 활용도가 높은 어휘의미망의 구축 및 확장을 위해 어휘의미의 성분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가 결실을 맺게 되면 다음과 같은 학문적․사회적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1) 다국어 연동 어휘의미망 구축을 위한 지식 베이스 구축에 기여 : 지속적으로 새로운 정보가 축적되어야 하는 인간 지식의 저장고로서의 어휘의미망이 실생활에 사용되려면 전문 지식 베이스의 어휘 지식을 체계적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해, 본 연구는 대용량 지식베이스로서의 PWN을 기반으로 구축되었거나 진행 중인 한국어 어휘의미망 또는 다국어 어휘의미망 구축을 위해 필수적인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 어휘의미망의 정제•확장구축을 위한 변별적 준거 제공 : 특정 개별어의 어휘의미망을 구축하는 방식은 한 개별어에만 고유한 어휘의미망을 독자적으로 구축하는 직접 구축 방식과 기구축된 어휘의미망을 자동사상 대역하여 구축하는 간접 구축 방식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는 PWN 기반 간접 구축 방식으로 구축된 KL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는데, 자동사상은 방대한 어휘의미 관계를 비교적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본질적으로 잘 알려진 동형이의어 구분, 의미 세분화, 출발어 도착어 간의 의미, 개념차이, 계층구조의 부정합 등의 문제로, 언어전문가의 정제와 검증이 반드시 요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어휘의미망의 정제 및 확장 구축에 요구되는 의미적 준거를 제공하여 어휘 간 의미 변별자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3) 한국어 어휘의미 분석 연구 방법론 제시 : 본 연구는 의미론 분야에서 전통적으로 언급된 어휘의 의미성분 분석에 착안하여, 보다 세부적인 어휘의미 분석의 변별적 기준을 제시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어휘 지식에 대한 정보의 체계화가 수행될 것이며, 한국어 의미체계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언어학적 설계가 연계되리라 예상된다.
    심도 있는 연구뿐만 아니라 구축된 어휘의미망의 문제점을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한국어 고유의 어휘개념과 전문 지식베이스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언어학적 설계를 제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대부분 친족명(kinship terms), 색깔명(color terms), 가구명(furniture terms) 등의 특정 어휘군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이항자질(binary feature)을 최적의 분석도구로 간주해왔다. 그러나, 본 접근 방법은 지나치게 단순화된 방법으로 일상어휘(ordinary terms) 또는 전문용어(technical terms) 등의 기술에는 한계를 드러낸다. 따라서, 적절한 어휘 기술에 요구되는 변별적 자질의 모색과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4) 연동성 있는 지식정보화에 기여 : 방대한 어휘 데이터베이스인 PWN과 이를 기반으로 구축된 KL은 향후 높은 활용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고, 단일어와 다국어 어휘의미망의 실현 가능한 모형이 되었다. 단일어 어휘의미망 PWN을 기반으로 구축된 KL은 영어와 연동되어 모든 제3의 언어 어휘의미들과도 연결이 가능하다. 따라서 어휘의미망은 구축 목적이나 자료의 성격으로 볼 때, 현재 자연언어처리를 위해서 해결해야 하는 여러 가지 언어학적(형태, 통사, 의미의)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중요한 기초 언어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산학 분야에서는 기계번역과 지식 및 정보 검색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큰 걸림돌이 되고 있는 중의성, 다의어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편 어휘의미망은 일반 어휘뿐만 아니라 방대한 전문용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문헌 정보학, 번역, 외국어 교육 등에도 활용되고 전문 지식의 정보화를 필요로 하는 산업 분야에서도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언어적 의미 분석차원 단계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어휘 의미망 자원을 활용한 정보 검색 정확도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베이스(Knowledge Base)의 한 유형인 어휘단위의 계층적 개념망, 이른바 ‘어휘의미망(Lexical Semantic Network)’의 확장과 응용을 위한 언어학적 기반연구로, 효과적인 방법론 개발하고 연구하는 데 있다. 최근 들어 어휘의미망은 온톨로지, 시소러스(thesaurus) 등과 더불어 언어학, 전산학, 심리학 분야의 공통된 관심 주제로 부각되고 있는데, 그 이유로는 ① 정보 및 지식의 체계화․표상화․공유 및 저장․표준화의 필요성, ② 시맨틱 웹(Semantic Web)의 등장으로 인한 적절한 온톨로지(Ontology) 구축의 필요성, ③ 기구축 어휘의미망 간의 연동성, ④ 자연어처리(NLP) 분야에서 의미적 분석을 위한 대안 마련의 가능성 등을 들 수 있다. 광의의 온톨로지는 개념정보를 계층적으로 구조화한 망(networks)으로, 지식과 정보의 체계화에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인공지능(AI), 자연언어처리, 정보통합(Information Integration), 전자 상거래(e-Commerce)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된다. 어휘의미망은 제식베이스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타 학문 인접분야와의 연계적 연구가 반드시 병행되야 하는 주제이며, 특히 본 연구과제인 어휘 의미의 구성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는 정교한 어휘의미망 구축에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주제이기도 하다. 효과적인 ‘어휘의미망(Lexical Semantic Network)’의 확장과 응용을 위한 방법론을 개발, 연구하는 본 연구는 다음의 세부 목표를 세우고 3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1) 계층적 개념망을 구성하는 의미관계인 ‘상위(hypernymy)’, ‘하위(hyponymy)', ‘반의(antonymy)’, ‘전의(holonymy)’, ‘분의(meronymy)’ 등의 관계를 고려하여, 특정 어휘군의 의미기술을 위한 변별적 의미기준을 분석하고 <메타개념>을 개발하여, 이를 활용해본다(기구축 온톨로지의 정교성 검증). <메타개념>의 개발은 의미성분 분석 방법론에 기초한다.
    (2) 기구축 어휘의미망의 확장·개선시 요구되는 언어학적 준거를 개발한다. 이를 위해 어휘의미망 구축시 문제가 되는 유형을 분석하고, 개별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3) 관련어 및 타품사 어휘의미망 간 연동성 연구를 통한 통합적 어휘의미를 분석한다.
  • 한글키워드
  • 범주관계패싯,계층적 개념망,표상화,개념화,지식베이스,의미자질,의미성분분석,프린스턴 워드넷,온톨로지,어휘의미망,사상,최하위 공통상위어,고정표현,연어구성,반대관계,모순관계,반의어,관계패싯,개념패싯,최상위어로부터의 의미거리,메타개념,자언언어처리,시맨틱 웹,명칭적 의미접근,의미역 관계패싯,속성관계패싯
  • 영문키워드
  • Semantic Web,Attribute Relational Facet,Conceptualization,Knowledge Base,Semantic Feature,Semantic Componential Analysis,PWN,Ontology,Lexical Semantic Network,Contradictory,Antonym,Mapping,LUB(Least Upper Bound),Frozen Expression,Collocation Construction,Contrary,Onomasiological Approach,Hierarchical Conceptual Network,Representation,Thematic Relational Facet,Category Relational Facet,Conceptual Facet,Semantic Depth from Root,Meta-Concept,Natural Language Processing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베이스(Knowledge Base)의 한 유형인 어휘단위의 계층적 개념망, 이른바 ‘어휘의미망(Lexical Semantic Network)’의 확장과 응용을 위한 언어학적 기반연구로, 효과적인 방법론 개발하고 연구하는 데 있다. 최근 들어 어휘의미망은 온톨로지, 시소러스(thesaurus) 등과 더불어 언어학, 전산학, 심리학 분야의 공통된 관심 주제로 부각되고 있는데, 그 이유로는 ① 정보 및 지식의 체계화․표상화․공유 및 저장․표준화의 필요성, ② 시맨틱 웹(Semantic Web)의 등장으로 인한 적절한 온톨로지(Ontology) 구축의 필요성, ③ 기구축 어휘의미망 간의 연동성, ④ 자연어처리(NLP) 분야에서 의미적 분석을 위한 대안 마련의 가능성 등을 들 수 있다. 광의의 온톨로지는 개념정보를 계층적으로 구조화한 망(networks)으로, 지식과 정보의 체계화에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인공지능(AI), 자연언어처리, 정보통합(Information Integration), 전자 상거래(e-Commerce)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된다. 어휘의미망은 제식베이스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타 학문 인접분야와의 연계적 연구가 반드시 병행되야 하는 주제이며, 특히 본 연구과제인 어휘 의미의 구성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는 정교한 어휘의미망 구축에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주제이기도 하다. 효과적인 ‘어휘의미망(Lexical Semantic Network)’의 확장과 응용을 위한 방법론을 개발, 연구하는 본 연구는 다음의 세부 목표를 세우고 3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1) 계층적 개념망을 구성하는 의미관계인 ‘상위(hypernymy)’, ‘하위(hyponymy)', ‘반의(antonymy)’, ‘전의(holonymy)’, ‘분의(meronymy)’ 등의 관계를 고려하여, 특정 어휘군의 의미기술을 위한 변별적 의미기준을 분석하고 <메타개념>을 개발하여, 이를 활용해본다(기구축 온톨로지의 정교성 검증). <메타개념>의 개발은 의미성분 분석 방법론에 기초한다. (2) 기구축 어휘의미망의 확장·개선시 요구되는 언어학적 준거를 개발한다. 이를 위해 어휘의미망 구축시 문제가 되는 유형을 분석하고, 개별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3) 관련어 및 타품사 어휘의미망 간 연동성 연구를 통한 통합적 어휘의미를 분석한다.
  • 영문
  • This research through 3 years aims to develop the effective methodologies for the extending of lexical semantic network, a type of Knowledge Base and to apply them in the related NLP domains. The detailed objective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First, considering the representative semantic relations as 'hypernymy, hyponymy, antonymy, holonymy, meronymy' comprizing the hierarchical and conceptual networks, various meta-concepts will be investigated and applied in order to represent a type of lexical semantic networks, KorLex Noun.

    (2) Second, the systematic and coherent linguistic standards will be developed for the extending of constructed lexical semantic network and its improvement. In this respect, the problematic types which are extracted and analyzed as such in building KorLex and the solutions to them should be investigated in more detail.

    (3) Finally, KorLex Noun as well as its related lexical items sharing the semantic affinities will be analyzed, and the standards and methodologies for their representation in lexical semantic network should be elaborated.

    The obtained research result of two year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1st year

    The aims of the 1st year's research are to classify the synsets according to the specific lexical item groups and describe them effectively using meat-concepts. For this, firstly, ① the methodologies and various meta-concepts have been investigated, and ② the concept of Upper Ontologies in order to represent the synsets in KorLex has been introduced and used by mapping of KorLex to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Secondly, the problems of deciding the translated words, corresponding to a drawback in the construction of KorLex, have been dealt with. Which must be resulted from the linguistic gaps between Korean and English.

    2. 2nd year

    The aims of the 2nd year's research are to develop the systematic and coherent linguistic standards for the enriching of lexical semantic network, and to represent various lexical items in KorLex using them. For this, firstly, ① several aspects of meaning process among the cognitive verbs, comprising THINK, KNOW, JUDGE and BELIEVE in Korean, have been investigated for their semantic representation. Such a set of verbs share a number of semantic and conceptual features that partly condition the constructional schemas in which they appear. Secondly, we investigated cognitive and semantic approaches concerning the 'polysemy', which are largely accepted in cognitive semantics providing theoretical backgrounds to lexical semantic network. In this context, we attempted to provide a linguistic mechanism capable of representing the semantic structure of 'pied' (meaning of 'foot'), one of the representative polysemous words in French.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표는 지식베이스(Knowledge Base)의 한 유형인 어휘단위의 계층적 개념망, 이른바 ‘어휘의미망(Lexical Semantic Network)’의 확장과 응용을 위한 언어학적 기반연구로, 효과적인 방법론을 개발하고 연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 목표를 세우고 3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1) 계층적 개념망을 구성하는 의미관계인 ‘상위(hypernymy)’, ‘하위(hyponymy)', ‘반의(antonymy)’, ‘전의(holonymy)’, ‘분의(meronymy)’ 등의 관계를 고려하여, 특정 어휘군의 의미기술을 위한 변별적 의미기준을 분석하고 <메타개념>을 개발하여, 이를 활용해본다(기구축 온톨로지의 정교성 검증). <메타개념>의 개발은 의미성분 분석 방법론에 기초한다.

    (2) 기구축 어휘의미망의 확장·개선시 요구되는 언어학적 준거를 개발한다. 이를 위해 어휘의미망 구축시 문제가 되는 유형을 분석하고, 개별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3) 명사 관련어 및 타품사 어휘의미망 간 연동성 연구를 위한 통합적 어휘의미 분석연구를 수행한다.

    최근 들어 어휘의미망은 온톨로지(ontology), 시소러스(thesaurus) 등과 더불어 언어학, 전산학, 심리학 분야의 공통된 관심 주제로 부각되고 있는데, 그 이유로는 ① 정보 및 지식의 체계화․표상화․공유 및 저장․표준화의 필요성, ② 시맨틱 웹(Semantic Web)의 등장으로 인한 적절한 온톨로지 구축의 필요성, ③ 기구축 어휘의미망 간의 연동성, ④ 자연어처리(NLP) 분야에서 의미적 분석을 위한 대안 마련의 가능성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온톨로지는 개념정보를 계층적으로 구조화한 망(networks)으로, 지식과 정보의 체계화에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인공지능(AI), 자연언어처리, 정보통합(Information Integration), 전자 상거래(e-Commerce)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된다. 본 연구대상인 어휘의미망은 온톨로지 중 중간 온톨로지(Middle Model)에 해당하고(Hovy, 2007), 인간세계 일반(world in general)을 표상하며 주로 인지심리학자 및 언어학자들이 구축한다. 또한 자연언어처리(NLP) 분야의 정보검색(IR), 질의응답(QA) 등을 위해 그 활용도가 높다.

    또한, 본 연구는 명사 어휘의미망의 분석과 개선·확장을 위한 방법론 연구를 출발점으로 삼는다. 그 이유는 ‘명사’는 실체’, ‘동작’, ‘상태’ 등의 다양한 존재 양식을 지시하는 문법 부류라는 점에서 타 품사에 비해 중립적이며(최경봉, 2001), 어휘의 의미 분류체계를 밝히는 출발점이 된다는 중요성 때문이다. 이것은 인간의 인지과정에서 언어적 개념화(conceptualization)의 결과가 명사류로 귀결된다는 점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개념화와 개념의 범주화는 실제로 지식 베이스를 구축하는 데 핵심적 요소이다. E. Nida는 ‘실체(entities)’, ‘사건 (events)’, ‘추상(abstracts)’, ‘관계(relationals)’ 등이 언어의 중심 의미 영역을 구성하는 것으로 보았고(Nida, 1975: 182), J.L. Lyons는 개별 품사의 의미론적 부분은 ‘실체(entities)’, ‘속성(properties)’, ‘사건(actions)’, ‘관계 (relations)’ 등을 식별하는 가능성을 전제로 한다고 여겨, 위의 네 가지 요소를 개별 언어를 분석하기 위한 중립적인 틀로 삼았다(Lyons, 1977: 440). 가령 ‘실체’는 명사, ‘사건’은 동사, ‘추상’, ‘속성’은 형용사 또는 부사, ‘관계’는 접속사나 전치사와 결부시킬 수 있는데, 명사는 이러한 언어 분석을 위한 주요 구성요소를 반영한 부류로 개별 언어에 실체명사, 사건(동작)명사, 상태명사, 관계명사로 실현된다는 점에서 또한 중요성이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지금까지 국내․외의 어휘의 의미성분 연구는 어휘의미 성분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어휘의 하위범주화를 위한 분류에 치중해 왔고, 더욱이 어휘의미망 구축에 활용될 수 있는 기반자료는 전무한 상태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실제 어휘의미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미자질 분석연구는 지식베이스 구축에 앞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주제이다. 지식베이스로서 활용도가 높은 어휘의미망의 구축 및 확장을 위해 어휘의미의 성분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가 결실을 맺게 되면 다음과 같은 학문적․사회적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1) 다국어 연동 어휘의미망 구축을 위한 지식 베이스 구축에 기여 : 지속적으로 새로운 정보가 축적되어야 하는 인간 지식의 저장고로서의 어휘의미망이 실생활에 사용되려면 전문 지식 베이스의 어휘 지식을 체계적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해, 본 연구는 대용량 지식베이스로서의 PWN을 기반으로 구축되었거나 진행 중인 한국어 어휘의미망 또는 다국어 어휘의미망 구축을 위해 필수적인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 어휘의미망의 정제•확장구축을 위한 변별적 준거 제공 : 특정 개별어의 어휘의미망을 구축하는 방식은 한 개별어에만 고유한 어휘의미망을 독자적으로 구축하는 직접 구축 방식과 기구축된 어휘의미망을 자동사상 대역하여 구축하는 간접 구축 방식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는 PWN 기반 간접 구축 방식으로 구축된 KL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는데, 자동사상은 방대한 어휘의미 관계를 비교적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본질적으로 잘 알려진 동형이의어 구분, 의미 세분화, 출발어 도착어 간의 의미, 개념차이, 계층구조의 부정합 등의 문제로, 언어전문가의 정제와 검증이 반드시 요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어휘의미망의 정제 및 확장 구축에 요구되는 의미적 준거를 제공하여 어휘 간 의미 변별자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3) 한국어 어휘의미 분석 연구 방법론 제시 : 본 연구는 의미론 분야에서 전통적으로 언급된 어휘의 의미성분 분석에 착안하여, 보다 세부적인 어휘의미 분석의 변별적 기준을 제시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어휘 지식에 대한 정보의 체계화가 수행될 것이며, 한국어 의미체계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언어학적 설계가 연계되리라 예상된다. 심도 있는 연구뿐만 아니라 구축된 어휘의미망의 문제점을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한국어 고유의 어휘개념과 전문 지식베이스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언어학적 설계를 제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대부분 친족명(kinship terms), 색깔명(color terms), 가구명(furniture terms) 등의 특정 어휘군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이항자질(binary feature)을 최적의 분석도구로 간주해왔다. 그러나, 본 접근 방법은 지나치게 단순화된 방법으로 일상어휘(ordinary terms) 또는 전문용어(technical terms) 등의 기술에는 한계를 드러낸다. 따라서, 적절한 어휘 기술에 요구되는 변별적 자질의 모색과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4) 연동성 있는 지식정보화에 기여 : 방대한 어휘 데이터베이스인 PWN과 이를 기반으로 구축된 KL은 향후 높은 활용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고, 단일어와 다국어 어휘의미망의 실현 가능한 모형이 되었다. 단일어 어휘의미망 PWN을 기반으로 구축된 KL은 영어와 연동되어 모든 제3의 언어 어휘의미들과도 연결이 가능하다. 따라서 어휘의미망은 구축 목적이나 자료의 성격으로 볼 때, 현재 자연언어처리를 위해서 해결해야 하는 여러 가지 언어학적(형태, 통사, 의미의)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중요한 기초 언어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산학 분야에서는 기계번역과 지식 및 정보 검색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큰 걸림돌이 되고 있는 중의성, 다의어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편 어휘의미망은 일반 어휘뿐만 아니라 방대한 전문용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문헌 정보학, 번역, 외국어 교육 등에도 활용되고 전문 지식의 정보화를 필요로 하는 산업 분야에서도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언어적 의미 분석차원 단계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어휘 의미망 자원을 활용한 정보 검색 정확도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 색인어
  • 어휘의미망, 온톨로지, 프린스턴 워드넷, 의미성분분석, 의미자질, 지식베이스, 개념화, 표상화, 계층적 개념망, 명칭적 의미접근, 시맨틱 웹, 자언언어처리, 메타개념, 최상위어로부터의 의미거리, 연어구성, 고정표현, 최하위 공통상위어, 사상 Lexical Semantic Network, Ontology, PWN, Semantic Componential Analysis, Semantic Feature, Knowledge Base, Conceptualization, Representation, Hierarchical Conceptual Network, Onomasiological Approach, Semantic Web,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eta-Concept, Semantic Depth from Root, Collocation Construction, Frozen Expression, LUB(Least Upper Bound), Mapping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