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체제에서 사회로: 2000년대 이후 확대된 유럽연합의 구조와 통합과정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학술연구교수& #40;인문사회& #41;
연구과제번호 2009-353-B00084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3 년 (2009년 09월 01일 ~ 2012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송병준
연구수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1990년대를 거쳐 2000년대 중반 이후 질적으로 변화되고 확대된 유럽통합의 속성과 구조에 대한 이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점에서 연구목적을 갖는다.

    첫째,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편향된 연구주제를 탈피해 보다 포괄적인 학문적 주제를 개척한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국가 간 통합을 넘어 유럽연합과 국가 및 범 유럽 시민사회가 단일의 통합된 정치체제에서 상호작용하는 정치사회적 현상에 주목한다. 기존에 국내에서 유럽연합에 관한 연구는 통화 및 무역 등 경제통합과 정치적 맥락에서 통합의 동인과 과정에 대한 분석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2000년을 고비로 감소추세에 있던 학술논문과 단행본 등은 최근 한-EU FTA 체결을 앞두고 2-3년 사이 증가 추세에 있으나 여전히 연구 영역은 경제통상부분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높은 제도화 단계에 진입한 유럽연합과 통합이 가져오는 여러 정치사회적 현상을 다룬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하다. 실제로 1990년대 중반 이후 제기된 유럽화에 관한 연구, 즉 거버넌스, 국가의 변화, 사회적 변동, 회원국과 유럽연합의 제도적 관계, 사회정책과 유럽헌법, 나아가 개별 정책에서 나타나는 유럽연합의 시스템 변화 같은 중요한 주제는 국내에서 활발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둘째, 2000년대 이후 회원국의 확대로 야기된 유럽연합의 구조와 과정을 총체적으로 이해한다. 2004년 제 5차 회원국확대를 통해 유럽연합의 시스템은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니스조약과 리스본조약(Treaty of Lisbon)을 통한 제도적 개혁, 유럽헌법(European Constitution)의 부결에 비추어 새롭게 조정한 정책결정 및 집행시스템의 변화 등은 특히 주목되는 시스템의 전환이다. 정책적 차원에서는 서유럽 중심의 시장통합에서 경제사회적 여건이 상대적으로 뒤처진 중동유럽을 포섭하기 위한 시장규제의 개혁, 다양한 재부배정책의 확대, 무엇보다도 1990년대까지 주력한 경제통합에서 사회경제적 통합으로 전환을 위한 다양한 사회정책의 시행 등을 가져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회원국 확대가 야기한 다양한 시스템 변화를 총체적으루 규명한다.

    셋째, 본 연구는 기존 개별 정책연구의 기초연구를 의도한다. 최근 들어와 유럽통합 연구는 점차 개별정책 연구로 전환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개별정책 연구가 실효를 거두려면 유럽연합의 초국가성, 다양한 공적․사적 행위자의 권한, 국가의 변화 등 유럽화의 제 속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국내에서 유럽연합의 정책 연구는 그 외생적 결과만을 다루면서 이러한 정책이 만들어지는 거버넌스와 사회적 맥락에 대한 이해는 결여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외무역협상은 공동체 조약 133조(TEC Article 133)에 근거한 독립적인 위원회가 절대적 권한을 행사한다. 이러한 위원회는 집행위원회를 위시한 초국가와 회원국 관료 그리고 산업계의 대표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회, 환경, 운송 및 법률조정과 같이 회원국의 국내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분야는 국내 관료들이 참여하는 커미톨로지 위원회(comitology committees)에서 정책결정이 이루어진다. 이에 비해 지역정책은 집행위원회와 지방정부 및 해당 지역의 산업계와 NGO가 참여한 집단적 합의시스템으로 운영된다. 특정의 경우에는 정책결정자와 실행자가 상이하다. 구조기금에서 이러한 경우를 찾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속성을 갖는 정책 연구는 유럽연합과 회원국 수준에서 동시병행적인 정치과정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적실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기대효과

  • 첫째, 학문적 파급측면에서 본 연구는 유럽연합의 정치사회적 변화에 대한 포괄적 이해의 지평을 넓히는 데 기여한다. 유럽통합의 제 속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주요 회원국의 국내 구조, 새로운 사회적 행위자의 출현과 유럽 시민사회 논의 등을 총체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현재 유럽연구의 전반적인 경향은 국가와 초국가적 제도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지역과 시민사회를 포괄하는 연구주제로 바뀌고 있다. 더욱이 2007년 이후 2개 회원국이 유럽연합에 추가로 가입하면서 유럽통합은 전체 유럽을 포괄하는 광의의 연구 대상이 되었다. 이에 따라 현지 학계에서는 유럽연합의 다양한 정치, 제도적 조건과 이에 영향 받는 국가 및 단일시장을 포괄한 이른바 유럽학이라는 독립된 학문 영역이 제기되고 있다. 유럽학의 가장 큰 영역은 유럽연합으로 수렴되고 다시 국가와 사회로 분화되는 다양한 정치, 사회적 현상을 초국가, 국가 및 사회적 수준에서 규명하는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기업 활동의 단위로서의 유럽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를 통해 유럽연합의 초국가제도와 개별 국가와의 관계, 그리고 환경, 지역 및 규제정책 등에 개입하는 시민사회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다고 보인다. 한국의 입장에서 유럽연합은 2008년 기준 한국의 4대 교역상대국이고, 역내 교역이 80%에 육박하는 유럽연합에서 한국은 미국, 일본 등에 뒤이어 상대적으로 중요한 교역상대국이다. 그럼에도 1990년대 전반에 걸쳐 한국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대 유럽연합 무역규모에 비해 여타 현지 시장 수출국보다 많은 반덤핑 제재를 받았음을 상기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은 통합이 심화될수록 사회경제적 요구가 더욱 다원화되고 지역적 특색이 강화되는 유럽에 대한 이해가 결여되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2004년과 2007년 주요 동유럽 국가들의 유럽연합 가입과 한-EU FTA 체결을 앞둔 시점에서 보다 다원화된 사회적 요구와 유럽연합의 경제사회정책에 대한 구성과 발전을 이해 할 필요가 있다.
  • 연구요약
  • 첫째, 다층화된 권위분산체제를 배경으로 이루어진 유럽연합의 제도와 시스템 변화를 규명한다. 유럽연합은 다층화 된 통치를 배경으로 여러 행위자들이 다양한 이슈에서 상호작용하는 정치구조이다. 이러한 초국가 수준의 제도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분권화된 권한이 야기한 초국가 영역에서의 복잡한 정책과정, 유럽연합으로 권위를 이전한 국가의 새로운 변화, 초국가 통합이 가속화되면서 야기되는 국가 내부의 변화, 유럽정체를 배경으로 등장하고 있는 범 유럽 시민사회, 이러한 현상을 검증하기 위한 다양한 속성을 갖는 정책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기존의 유럽연합 연구는 통합의 과정과 수준에 맞추면서, 통합을 가져온 동인이 무엇이고, 어떤 양상으로 통합이 전개되는가에 집중하였다. 이 결과 국가의 축소와 초국가기구의 확장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시각은 상향식 접근으로 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회원국의 역할과 이에 따른 초국가 제도발전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각은 고도로 복잡한 양상으로 진행되는 통합과정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럽연합의 정책결정과정의 변화에 이에 개입하는 다양한 사회세력에 대한 분석, 니스조약 이후 일련의 조약수정과 생성이 야기한 구조변화와 영향, 초국가정책의 새로운 운영방식 등 초국가 수준에서의 다양한 시스템 변화를 다룬다.

    둘째, 새로운 회원국 확대가 야기한 유럽연합 차원의 시스템 변화에 주목한다. 2004년 유럽연합의 제5차 회원국 확대는 신규회원국 수에서 이전의 제한적인 확대과정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증가하였다. 더불어 5차 확대를 통해 가입한 중동유럽국가와 남부유럽국가는 기존 서유럽중심의 회원국과는 정치, 사회과정 및 정체성이 현격한 차이를 갖는다. 유럽연합은 이러한 많은 회원국과 이질적인 성격을 갖는 회원국을 단일의 시스템으로 묶기위해 많은 제도변화를 기하였다. 각료이사회에서 소국을 배려한 가중다수결(QMV)의 조정, 통합속도를 다변화하여 갈등을 억제하기 위한 건설적 기권 및 일괄타협안의 확대, 이른바 다중속도의 유럽(multi-speed Europe)라는 시차를 둔 초국가 제도와 정책의 시행 등이 그 예이다. 또한 유럽연합은 신규회원국과의 조화를 위해 결속정책(cohesion policy), 환경 및 농업정책 등에서 많은 제도적 개혁을 단행하였다. 이 러한 새로운 시스템 변화를 규명하여 통합의 질적심화와 확대라는 양면을 모두 규명한다.

    셋째, 새로운 회원국의 제도적 조정과 변화를 규명한다. 2000년대 이후 유럽연합은 ‘국가들의 유럽연합(European Union of Nations)’에서 ‘지역 혹은 시민들의 유럽연합(European Union of Regions and Citizens)’으로 전환되어 가고 있다. 즉 유럽통합은 초국가적 정책의 확장을 넘어, 회원국과 시민사회의 대응과 사회적 메커니즘의 재조정과정을 포괄한다. 이에 따라 유럽연합에서는 정책영역에 따라 수렴과 분화가 복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단일시장의 완성과 함께 사회적 행위자의 선호가 동질화되고 있으며, 이를 반영한 회원국의 정책은 수렴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회원국의 상이한 정치구조와 정치과정 그리고 이에 따른 회원국의 차별적인 대응은 새로운 정치․사회적 분화를 가져오고 있다. 보충성의 원칙(principle of subsidiarity)의 재해석을 통해 회원국은 나름의 초국가적 대응을 강구하고 있다. 회원국들은 초국가 정책에 일방적인 수렴이 아니라 이른바 자발적 선택을 통해 고유한 헌정질서와 경제사회적 환경을 반영하여 나름의 제도적 변화를 꾀하고 있다. 이러한 회원국 수준의 변화는 다시 유럽연합으로 수렴되어 초국가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2000년대 이후 유럽연합에 대한 이해는 초국가와 국가라는 양대 행위자에 대한 동시적 분석이 요구된다. 특히 2004년 이후 가입한 회원국의 국내제도 변화는 국가수준에 머물지 않고 유럽연합의 정책과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깊이있는 분석이 필요하다.

    넷째, 유럽연합, 국가, 및 통합된 시장을 망라한 유럽정체 내에서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통합은 국가라는 행위자들의 충성심과 권한이 새로운 중앙기구로 이전하는 과정이자 그 결과이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유럽통합은 초국가기구로의 권한 집중이나 정부 간 협력의 고도화된 형태라는 국가 간 통합만으로 설명할 수 없다. 현재의 유럽연합은 국가 간 통합 이후에 초국가 기구, 국가 및 통합된 시장 등 여러 수준에서 동시적으로 진행되는 다양한 정치과정이다. 현재의 유럽통합은 초국적 권한의 확장, 초국가적 통치에 대응한 국내정치의 재조정과 단일시장 내에서 사회․경제적 행위자들간 상호작용 등을 모두 포함한다.
  • 한글키워드
  • 유럽헌법,내무사법협력,공개적 협력 ,가중다수결 표결,정책네트워크,유럽연합,유럽,유럽의회,동반자 관계,보충성의 원칙,초국가 정책,유럽연합 회원국,규제정책,지역정책,환경정책,집행위원회,유럽통합,리스본조약
  • 영문키워드
  • European Partnership,Regional Policy,Environmental Policy,European Parliament,European Commission,Europe,European Integration,European Union,open method coordination,QMV,Principle of Subsidiarity,Supranational Policy,EU State,Regulatory Policy,JHA,European Constitution,Treaty of Lisbon,Policy Network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년차 연구에서 2000년대 이후 유럽연합에서 초국가 제도와 정책과정의 변화를 규명하기 위해 정치사회 시스템 변화의 주요한 동인이 된 유럽연합의 확대과정과 영향을 다루되 특별히 중동유럽국가의 가입과 리스본조약에 따른 초국가 제도변화를 연구하였다. 2년차 연구에서 2000년대 이후 유럽연합의 구조적 변화에 따라 국가 패러다임이 어떻게 변화하고 그 영향은 무엇인가?를 연구하여 이론적 맥락에서 유럽연합과 국가간 관계는 일종의 준연방(confederation) 시스템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제기하였다. 3년차 연구에서는 정책속성의 변화를 통해 유럽연합의 역동적 변화 과정을 이해 할 수 있다는 점에서 2000년대 이후 변화된 유럽연합의 시스템을 개별 정책연구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영문
  • 1-year study in the process of supra-national institutions and policies in the European Union since 2000, were studied. For this purpose, the main drivers of change in the social and political system of the European Union’s enlargement process and addressed the impact. In the first year, especially studied the change of supranational institutions in accordance with the Treaty of Lisbon and joining the Eastern European countries. In the second year of study is how the national paradigm did change according to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 European Union since the 2000s. And studied th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try and the European Union. Through these studies, presented the fac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uropean Union and the member state was changed a sort of confederation system. In the third year of studies is policy research of Justice and Home Affairs. This policy through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s of the European Union, national and civil society in the 2000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당초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1-3년차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1년차 연구에서 2000년대 이후 유럽연합에서 초국가 제도와 정책과정의 변화를 규명하기 위해 정치사회 시스템 변화의 주요한 동인이 된 유럽연합의 확대과정과 영향을 다루되 특별히 중동유럽국가의 가입과 리스본조약에 따른 초국가 제도변화를 연구하였다. 이에 따라 1년차 연구에서는 회원국 확대와 조약수정으로 가장 급진적인 변화가 야기된 외교안보정책을 연구하였다. 5차 회원국 확대를 통하여 2004년과 2007년에 12개 중동부유럽 및 지중해 도서국가의 가입으로 기존의 외교안보정책은 에너지 주권 및 NATO와의 관계 재설정 등 전면적인 조정이 뒤따랐다. 뒤이어 리스본조약 체결로 외교안보부분에서 유럽안보방위정책(ESDP)의 공동안보방위정책(CSDP)으로의 변화, 외교안보고위대표부의 설립, 유럽위원회 대외총국(DG External Relations)의 대외정책실행국(EEAS)로의 개편 등 공동외교안보정책(CFSP) 설립 이래로 가장 큰 제도변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초국가 수준에서 외교안보고위대표부를 통해 회원국의 이해관계가 취합되고, 유럽이사회의 상임의장을 통해 응집력 있는 대외정책을 취하며, 대외정책에서 유럽위원회와 유럽의회의 직간접적 개입의 확대 및 유럽연합 기구들 간 연합 이라는 오래된 목적들이 모두 집약되었다. 이 결과 유럽연합에서는 단일화 된 대외정책 시스템을 통해 유럽위원회가 실행하는 대외관계와 이사회가 주도하는 외교 및 안보정책 간 협력관계가 제도화되었다. 이러한 외교안보부분의 변화는 2000년대 이후 유럽연합의 거버넌스 변화를 상징하는바 사례연구로서 다루었다.

    둘째, 2년차 연구에서 2000년대 이후 유럽연합의 구조적 변화에 따라 국가 패러다임이 어떻게 변화하고 그 영향은 무엇인가?를 연구하여 이론적 맥락에서 유럽연합과 국가간 관계는 일종의 준연방시스템(confederation)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제기하였다. 특정 정책에서는 유럽연합이 전통적인 국가의 기능을 담당하면서 국가의 자율성이 제약되고 있다. 실제 회원국의 국내 입법 중 경제 분야는 약 80% 그리고 사회분야는 약 50% 이상이 공동체법(Community Law)에 의거해 제정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패러다임은 여전히 유효하며 경우에 따라 오히려 확장되어가고 있다. 리스본조약에도 명기된 바와 같이 사회복지, 노동정책은 여전히 유럽연합의 개입을 최소화한 회원국 정부의 고유한 권한이거나 유럽연합과 회원국간 공유권한 영역이다. 동시에 통합이론에서 제기하는 국가에서 초국가로의 상향식의 압력 역시 존재한다. 커미톨로지(comitology)의 개혁과 유럽위원회 내 각종 위원회 시스템의 권한 확대는 이를 말해 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럽연합은 초국가로부터 국가로 부과되는 제도 확장만으로 파악하지 않고, 유럽연합은 회원국 나름의 국내 제도 변화를 통해 초국적 규범을 수용하거나 이에 대응하는 과정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전통적인 정부간협상과 초국가주의 및 연방주의 논리와 거리를 둔 협의주의적 시각에서 유럽연합은 국가 중심성을 유지한 가운데 회원국과 유럽연합의 고도화된 제도적 협력을 꾀하는 거버넌스라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셋째, 3년차 연구에서 2000년대 이후 변화된 유럽연합의 시스템을 개별 정책연구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공공정책 연구는 초국가, 시민사회, 국가의 내적 속성과 대외적 선호 등 유럽연합에서 전개되는 다양한 수준의 정치과정과 복잡한 초국가 시스템을 검증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이유는 유럽연합의 공공정책은 이슈에 따라 정책권한 소재와 그 속성이 다르며, 회원국 및 사회 제 세력 간에 다양한 이해를 반영하며, 그 양상이 급속히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유럽연합은 또한 다양한 사회적 요구가 반영돼야하는 경우, 정책형성과 집행권한이 사회적 행위자에게도 위임된다. 이러한 구조는 다양한 수준의 정부와 사회적 행위자가 각각 고유한 정책권한을 갖고 이슈에 따라 집단적으로 정책이 이루어지는 유럽연합 시스템을 실증한다. 따라서 정책속성의 변화를 통해 유럽연합의 역동적 변화 과정을 이해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2000년대 이후 국민국가 영역에 위치한 정책이 초국가화한 대표적 사례인 내무사법협력(JHA)를 다룬다. 내무사법협력은 리스본조약 체결로 유럽연합운영조약(TFEU)으로 정책결정 및 실행권한이 완전히 이관되어 회원국간 협력시스템에서 유럽연합-회원국-사회적 행위자간 협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대표적 영역이 되었다. 따라서 최종 3년차에서는 2000년대 이후 유럽연합 거버넌스의 변화를 실증한 내무사법협력을 통해 정책권한이 국가 → 초국가+국가로 변화하면서 사회적 행위자가 깊숙이 개입하는 역동적인 변화 결과를 연구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당초 제시하였던 기대효과와 유사하며 연구결과는 단행본 출판을 통한 강의진행에 활용하고 있으며 구체적 사항은 다음과 같다. 2007년 이후 2개 회원국이 유럽연합에 추가로 가입하면서 유럽통합은 전체 유럽을 포괄하는 광의의 연구 대상이 되었다. 이에 따라 현지 학계에서는 유럽연합의 다양한 정치, 제도적 조건과 이에 영향 받는 국가 및 단일시장을 포괄한 이른바 유럽학(European Studies)이라는 독립된 학문 영역이 제기되고 있다. 유럽학의 가장 큰 영역은 유럽연합으로 수렴되고, 다시 국가와 사회로 분화되는 다양한 정치, 사회적 현상을 초국가, 국가 및 사회적 수준에서 규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학문적 파급측면에서 본 연구는 유럽연합의 정치사회적 변화에 대한 포괄적 이해의 지평을 넓히는 데 일부 기여한다. 유럽통합의 제 속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유럽연합의 제도변화와 이에 따른 거버넌스의 성격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유럽연합과 회원국간 여러 정책과정을 통한 공동정책의 결정과정 역시 주요한 분석대상으로 삼아 유럽연합을 연구하는 기본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유럽연합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기본연구의 성격을 취하였다. 한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성과물을 담은 단행본은 유럽연합의 정책 및 기구에 대한 심화된 학습을 가능케 할 이론서로 학부와 대학원에서 활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 출판한 2권의 단행본은 연구자가 근무하는 연구소에서 개설한 유럽연합 연계전공과정 및 대학원에 개설된 [유럽연합 기구와 시스템], [유럽연합의 확대정책 및 대외정책], [유럽연합의 공동정책] 등 다수의 강좌에서 주 교재로 활용하고 있다. 기존에 유럽연합에 대한 연구는 여러 학문적 제약으로 유럽연합 연구는 통상, 유로존 및 경제통합에 치중되어 있다. 또한 각 대학에서 개설된 강의는 유럽연합의 태동과 발전 및 유럽위원회를 중심으로한 개략적인 기구 소개와 한국과의 관계 등을 다룬 개론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를 통해 논문과 함께 단행본 출판도 병행하여 유럽연합 거버넌스, 유럽통합 이론, 유럽연합의 대외관계 등 포괄적인 내용을 다룬 기초과목의 심화된 내용을 강의하기 위해 활용하고 있다.
  • 색인어
  • 유럽연합, 유럽통합, 강화된 협력, 공동외교안보정책 고위대표, 내무사법협력, 리스본조약, 신기능주의, 유럽연합운영조약, 유럽이사회, 유럽의회, 유럽위원회, 유럽헌법, 유럽헌법조약, 외교안보고위대표부, 정부간 협상이론, 협의주의, 준연방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