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교육의 목적 개념에 비추어 본 활동중심의 내재적 가치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 #40;박사후국내연수&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9-351-B00146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1 년 (2009년 09월 01일 ~ 2010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허경섭
연구수행기관 성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교육활동에 의미를 부여하고 통일된 방향과 지침을 제시하는 교육의 목적 개념을 통해 활동중심의 내재적 가치를 규정하는 데에 목표를 둔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내재적 가치는 활동을 소홀히 하는 대상중심의 내재적 가치라고 규정하고, 듀이의 활동중심의 목적 개념인 end-in-view를 통해 현재의 내재적 가치에 대한 논의의 대안적인 성격을 가지는 활동중심의 내재적 가치의 의미를 밝힐 것이다. 나아가서 이 논의는 실제적인 교육활동을 하는 사람이 어떤 의도를 가지고 목적을 갖느냐에 따라 활동의 의미와 성격이 달라지는 것이지 활동과 동떨어진 추상적인 대상으로서 내재적 가치에 의해 가늠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밝히는 데에 있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목적의 성격과 가치에 대한 논의는 공부 자체의 의의라든가 학습의 자율성 증진이라는 교육 본연의 임무를 소홀히 하는 암기식 형태의 주입식 교육에 대해서 올바른 교육목적에 대한 철학적, 이념적 인식의 전환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목적의 성격과 내재적 가치는 교육의 핵심적인 문제인 교육과정 선정과 운영에 능동적이고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 주게 되고, 교사들에게 교육목적과 교육내용 결정에 있어서 상당한 정도의 자율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목적 개념의 근본 원리와 문제점은 전통적인 형이상학에 기초를 두고 있다고 규정하고 이런 전통적인 형이상학과 목적 개념에 바탕을 둔 내재적 가치는 피터즈, 허스트 등을 중심으로 하는 현대의 자유교육 연구자들에 의해 더욱 확고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해 왔다는 것을 논의한다. 그리고 듀이의 활동 속에서 형성되는 목적(end-in-view)의 개념을 통해 활동에 앞선 목적에 바탕을 두고 있는 현대의 내재적 가치에 대한 생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게 된다. 나아가서 활동중심의 목적 개념의 입장에서 내재적 가치를 논의하는 것이 어떤 점에서 타당한지 밝히고, 이 논의가 교육 전반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고 있다.
  • 한글키워드
  • 활동 속에서 형성되는 목적,내재적 가치,교육목적,목적,듀이 ,피터즈,허스트,형이상학
  • 영문키워드
  • intrinsic value,end-in-view,Hirst,aim,end,Dewey ,metaphysics,Peter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학습자의 활동중심에서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탐색하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내재적 가치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지식을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일방적인 지식의 전달에 치중되어 실제적인 좋은 삶을 보장해야 하는 교육의 근본적인 의미를 소홀히 하게 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즉 전통적인 내재적 가치 모델은 실제적인 좋은 삶을 영위하는 데에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는 성향, 감정, 욕구 등을 소홀히 함으로써 학습자의 도덕적 행위나 인격 형성에 크게 공헌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허스트의 후기 철학과 맥킨타어어의 practice 개념을 통해 본 활동중심의 내재적 가치는 인간의 활동 중에는 이론적 지식으로 환원되지 않지만 나름대로 개념체계를 가지고 세계를 이해하는 활동, 즉 이론적인 활동은 아니지만 나름대로 의미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수많은 실제적인 활동들이 있다는 인식에서부터 비롯된다. 본 연구에서의 practice에 대한 논의는 이러한 인간의 전반적인 욕구를 바탕으로 모종의 목적지향적인 활동을 중심으로 모든 의미 있는 것을 담아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실제적인 활동을 중심에서 보면 내재적 가치는 인간활동을 통해서 형성된 것인 만큼, 가치의 실현 또한 구체적인 경험과 활동을 통해서만 확인되고 인식되는 가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내적으로 붙박혀 있는 가치 그 자체가 아니라 그것을 실제적으로 드러내고 정당화하는 활동이 우선으로 된다. 이렇게 실제적인 활동이 우선으로 되기 때문에 탁월성을 가지는 내재적 가치는 불변적이고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와 전통의 변화와 함께 계속해서 변화하게 된다.
    활동을 통해 내재적 가치가 드러난다는 것은 가치의 의미가 고정되거나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경험하는 사람의 주관성과 활동을 하는 사람이 그 활동에 부여하는 의미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활동중심의 내재적 가치는 교육은 단순한 지식을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고유한 방식으로 교육활동을 함으로써 자신만의 고유한 삶의 질서를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리고 그 과정을 통해 자신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삶의 총체적인 이야기를 형성하고, 그런 총체성에 적합한 인격을 만드는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공동체의 공동선을 추구하는 것이다.
    활동중심의 내재적 가치는 교육활동 자체에 함의되어 있는 가치들을 교육의 본질로 회보시키려는 시도이기 때문에 실제적인 교육현장에서는 이론적인 영역과 실천적인 영역,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유기적으로 통합시키는 설명체계이다. 그 결과 교육적 성장을 가져오는 교육의 내용과 방법은 학습자들이 대하고 접촉하는 모든 과정을 통해서 어떤 것이 지속적인 가치를 가져오는 것인지 스스로 탐구하는 것을 강조한다. 즉 의미 있는 교육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조건들을 진솔하게 이해하고 이것을 체계화함으로써 올바른 삶의 모습을 스스로 터득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며 실제로 그러한 삶을 살게 해주는 것이다.
  • 영문
  • Exploring the intrinsic value of activity-based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inquire into the intrinsic value of activity-based education. Traditionally, the idea of intrinsic value has been mainly established by the eternally and permanently valuable knowledge which can be justified irrespective of the factors in practical life. Therefore, the traditional intrinsic value models have not largely contributed to the learners' morality and personality development, since they neglect the learners's sensitive faculties, and desires, the essential elements that lead to good life.
    Activity-baesd intrinsic value viewed from Hirst's later philosophy and MacIntyre's idea of 'practice' are derived from the perception that there are some activities which may not be shifted to theoretical knowledge but lead to understand the world with their own concepts; that is, there are a lot of practical activities that are not regarded as theoretical activities but as their own meaningful ones. The discussion about the 'practice' in this study emphasizes that it should include all the meaningful things on the basis of total practical life.
    In view of practical activities, intrinsic values can be formed by human activities. In this sense, values also can be realized through specific experience and activities. Therefore, the activities that are revealed and justified outwards take priority, not the values themselves, which are stuck inwards. As such, since actual activities come first, the intrinsic value is not unchangeable and absolute but continue changing with the alteration of society and traditions.
    That the intrinsic value is revealed through activities means that the value is not fixed and unchangeable, but alters depending on what kind of subjective idea the experiencer has and what meaning the activist gives to the activity. Thus, activity-based intrinsic value emphasizes that education is not simply obtaining knowledge, but making our own way of life order by doing educational activities in our own way. And then, through the course, the total stories of life will be formed that we consider desirable, and the personality suitable for such totality or wholeness will be developed, and ultimately the common good of community can be pursued.
    Activity-based intrinsic value tries to let those good things which are implicated in the educational activity itself go back to the nature of education. Thus,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activity-based intrinsic value may be some kind of explanatory system that combines organically the theoretical regions with practical regions,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with its methods. As a result, the educational growth may be achieved through all the courses that learners face and encounter exploring on their own those which will bring abiding values. That is to say, the meaningful education leads us to understand our surroundings and systematize them so that we are able to realize what is right life, and live such lif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학습자의 활동중심에서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탐색하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내재적 가치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지식을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일방적인 지식의 전달에 치중되어 실제적인 좋은 삶을 보장해야 하는 교육의 근본적인 의미를 소홀히 하게 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즉 전통적인 내재적 가치 모델은 실제적인 좋은 삶을 영위하는 데에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는 성향, 감정, 욕구 등을 소홀히 함으로써 학습자의 도덕적 행위나 인격 형성에 크게 공헌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허스트의 후기 철학과 맥킨타어어의 practice 개념을 통해 본 활동중심의 내재적 가치는 인간의 활동 중에는 이론적 지식으로 환원되지 않지만 나름대로 개념체계를 가지고 세계를 이해하는 활동, 즉 이론적인 활동은 아니지만 나름대로 의미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수많은 실제적인 활동들이 있다는 인식에서부터 비롯된다. 본 연구에서의 practice에 대한 논의는 이러한 인간의 전반적인 욕구를 바탕으로 모종의 목적지향적인 활동을 중심으로 모든 의미 있는 것을 담아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실제적인 활동을 중심에서 보면 내재적 가치는 인간활동을 통해서 형성된 것인 만큼, 가치의 실현 또한 구체적인 경험과 활동을 통해서만 확인되고 인식되는 가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내적으로 붙박혀 있는 가치 그 자체가 아니라 그것을 실제적으로 드러내고 정당화하는 활동이 우선으로 된다. 이렇게 실제적인 활동이 우선으로 되기 때문에 탁월성을 가지는 내재적 가치는 불변적이고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와 전통의 변화와 함께 계속해서 변화하게 된다.
    활동을 통해 내재적 가치가 드러난다는 것은 가치의 의미가 고정되거나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경험하는 사람의 주관성과 활동을 하는 사람이 그 활동에 부여하는 의미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활동중심의 내재적 가치는 교육은 단순한 지식을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고유한 방식으로 교육활동을 함으로써 자신만의 고유한 삶의 질서를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리고 그 과정을 통해 자신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삶의 총체적인 이야기를 형성하고, 그런 총체성에 적합한 인격을 만드는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공동체의 공동선을 추구하는 것이다.
    활동중심의 내재적 가치는 교육활동 자체에 함의되어 있는 가치들을 교육의 본질로 회보시키려는 시도이기 때문에 실제적인 교육현장에서는 이론적인 영역과 실천적인 영역,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유기적으로 통합시키는 설명체계이다. 그 결과 교육적 성장을 가져오는 교육의 내용과 방법은 학습자들이 대하고 접촉하는 모든 과정을 통해서 어떤 것이 지속적인 가치를 가져오는 것인지 스스로 탐구하는 것을 강조한다. 즉 의미 있는 교육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조건들을 진솔하게 이해하고 이것을 체계화함으로써 올바른 삶의 모습을 스스로 터득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며 실제로 그러한 삶을 살게 해주는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이원론적 관점에 대한 대안 탐색: 본 연구는 구체적인 교육활동의 바깥에서 교육을 결정하는 궁극적이고 절대적인 목적에 대한 반성과 삶의 상황과 조건과의 긴밀한 관련성에서 목적을 탐구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인 목적을 탐구하는 것이라는 점을 보여 주게 된다. 여기서는 무엇보다도 이론적으로 인간과 자연, 삶과 목적을 분리하는 이원론적인 목적관의 문제를 극복하고 대안적인 관점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이 결과는 이원론의 문제를 극복하려는 인식론적, 가치론적 탐구에 이론적 기초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2) 입시위주 교육현실에서 교육목적관에 대한 인식의 전환 효과: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목적의 성격과 내재적 가치에 대한 논의는 공부 자체의 의의라든가 학습의 자율성 증진이라는 교육 본연의 임무를 소홀히 하는 암기식 형태의 주입식 교육에 대해서 올바른 교육목적에 대한 철학적, 이념적 인식의 전환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삶의 조건과 상황에 기초하여 교육의 목적과 가치를 설명하는 것이며, 포괄적인 목적과 구체적인 삶의 조건과의 긴밀한 관련을 중요한 특징으로 한다. 그런 만큼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아이디어들은 현재의 우리 교육에서 거의 포기하다시피 한 문제, 예컨대 목적 지향적인 삶의 의미, 교육의 이상, 교육활동 자체에 함의되어 있는 가치들을 교육의 본질로 회복하려는 시도를 의미한다.
    3) 현장중심 교육과정 구성의 필요성 제고: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목적의 성격과 내재적 가치는 교육의 핵심적인 문제인 교육과정의 선정과 운영에 능동적이고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 주게 될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아이디어들을 교육과정에 반영한다는 것은 교육현장에서 교육목적을 재구성하고 이에 맞는 교육과정 구성의 권한과 관련된 자율권을 부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가 지향하는 이념에 기초한 교육은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자율성과 창조적인 사고를 저해하는 닫힌 이념으로부터 벗어나 진정한 의미의 자유인, 민주적 인간을 위한 교육적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결국 본 연구의 논의는 교사들에게 교육목적과 교육내용 결정에 있어서 상당한 정도의 자율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4) 듀이 연구에의 기대: 듀이는 삶과 경험의 구체적인 활동을 소홀히 하는 이미 결정되어 있는 목적을 염두에 둔 전통철학을 이원론으로 규정하고 이를 극복하는 관점을 제시한 사상가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듀이의 아이디어, 특히 목적의 성격과 내재적 가치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본 연구는 교육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듀이 교육사상과 철학사상을 이해하는 데에, 그리고 그러한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듀이의 목적 개념과 내재적 가치를 활동중심에서 보다 풍부하게 이해하는 데에 유용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5) 후속 연구의 추진: 본 연구는 구체적인 활동과 괴리되어 있는 지식을 기계적이고 단편적으로 암기하는 주입식 교육, 입시위주의 교육에 대해서 진정으로 세계와 올바로 관련을 맺을 수 있는 교육내용과 방법은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담게 된다. 그런 만큼 본 연구의 결과를 논문으로 발표하고 교사들에게 홍보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교육목적의 결정과 관련된 진지한 논의의 필요성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내재적 가치, 활동, 듀이, 맥킨타이어, 허스트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