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선진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트리플 힐릭스 시스템 연구: 유형별 비교 분석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기초연구지원인문사회& #40;창의주제연구&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8-321-B00250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2 년 (2008년 07월 01일 ~ 2010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이철우
연구수행기관 경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태연(단국대학교)
이종호(경상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오늘날 후기산업사회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 화두는 “삶의 질”의 제고이다. 이러한 “삶의 질”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안전하고 건강에 유익한 먹거리 즉 소위 웰빙식품(well-being food)의 확보이다. 따라서 식품소비패턴도 과거와는 달리 친환경 유기농 식품으로 대표되는 고급화, 다양화 그리고 진품지향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식품산업에 대한 일반 소비자뿐만 아니라 기업들의 관심도 날로 커지고 있고, 식품산업 또한 지속적인 기술혁신을 통하여 급속한 재구조화 과정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식품산업을 가공, 외식, 유통을 포괄하는 산업분야로 정의할 경우 식품산업은 국민의 다양한 욕구에 대응함으로써 식생활을 뒷받침하는 기본역할 이외에 국내산 농산물의 안정적 판로 제공 등을 통해 농업생산의 안정성 제고에 기여하는 동시에 일자리를 창출하는 국민경제의 중요산업부문이기도 하다. 또한 식품소비의 고급화, 다양화, 외부화 등의 경향이 나타남에 따라 식품산업은 향후 지속적으로 성장․확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식품의 생산․가공․유통․판매․최종 소비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식품산업을 정의하고 이에 대해 일관된 관점을 갖고 체계적,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매우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시장개방이 가속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지역농업 및 식품산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원료의 해외 의존도가 높고 영세한 우리나라 식품산업이 지역농산물과의 연계를 통해서 원활한 원료조달 체계를 구축하고 전통기술의 발전을 통해 신제품을 개발함으로써 농업과 식품산업이 서로 상생하는 구조를 정착시키기 위한 정책적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최우선적으로 지역농업과 식품산업 간의 협력적 관계를 기반으로 식품산업이 발전하여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가지는 선진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사례로 그 존립기반과 경쟁력 구조를 철저히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식품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야 할 것이다.
    식품산업이 가장 일찍부터 발달한 유럽에서는 1990년대부터 식품산업에 대한 연구가 2가지 차원으로 진행되어 왔다. 첫째는 각종 식품관련 질병들이 나타남에 따라 식품안전문제를 해결하려는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과정에서 푸드시스템(Food System)이라는 용어를 새롭게 정의하고 1차 농수산물의 생산에서부터 소비에 이르는 가공․유통․소비의 전 과정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파악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개념을 토대로 식품산업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국제적 푸드시스템과 지역적 푸드시스템에 대한 연구로 확대되기도 하였다. 또 다른 연구경향으로는 지역개발의 한 방안으로 내생적 지역발전을 위한 하나의 계기로 지역의 전통적인 식품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는 연구이다.
    이와 같은 유럽의 연구 성과들은 식품산업을 국가의 중요 산업으로 발전시키려는 많은 국가들의 정책에 적용되었다. 물론, 이러한 연구들은 각 국가별 또는 지역별 농수산업의 특성뿐만 아니라 식품산업의 발전수준을 감안하여 많은 수정과정을 거치면서 정책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유럽지역에 다양한 형태의 식품산업 발전 사례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공식적으로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지역이 등장하고 있다. 소위 FINE(Food Innovation Network Europ)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지역으로 클러스터 간 정보교류와 협력을 증진함으로써 유럽지역을 세계적인 식품산업의 중심지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목적에서 형성된 것이다. 현재까지 총 8개 지역이 참여하고 있으며 트리플 힐릭스(Triple-Helix)의 관점에서 클러스터의 주도적인 주체(System Organiser)를 중심으로 유형을 구분해 보았다.
    이러한 유럽지역 식품산업에 관한 유형별 대표적인 사례 클러스터를 대상으로 오랜 전통을 갖고 있는 유럽지역의 클러스터들이 어떻게 형성 발전되어 왔으며, 현재는 어떻게 존재하고 있는지, 즉 존립기반을 밝히고 나아가서 존립기반 중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요소와 그들 간의 관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포괄적이고 규범적인 개념적 유형구분의 기준이 제시되고, 이를 기초로 한 치밀한 분석도구를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클러스터의 주도적인 주체(System Organiser) 간의 연관관계를 역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트리플 힐릭스 시스템(the System of Triple-Helix)을 유형구분의 기준 및 분석도구로 원용하여 사례 클러스터를 체계적이고 치밀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사회적 활용방안
    (1) 식품산업의 포괄적 성격 규명과 관련 연구의 활성화 도모
    지금까지 식품산업에 대한 연구는 몇 개의 학문분야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진행되어왔다. 따라서 식품산업이 갖고 있는 다양한 전후방 연관관계에 대한 분석이 체계적으로 다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식품산업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이론적 기반을 제시하고 이를 사례를 통해서 증명함으로써 종합적인 분야로서의 식품산업 연구를 활성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포함한 클러스터 일반에 대한 분석의 이론적 틀 제공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각각의 식품산업 클러스터 사례는 다양한 형태로 지역 농산물 공급체계와 식품산업 간의 연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클러스터의 주도적인 주체(System Organiser) 간의 연관관계를 역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트리플 힐릭스 시스템(the System of Triple-Helix)을 유형구분의 기준 및 분석도구로 원용함과 동시에 나아가서는 트리플 힐릭스 모델의 적용에 있어서 새로운 지평을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농업과 식품산업 간의 연계를 분석․평가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으며 이를 통해 정책적인 면에서 혁신클러스터의 경쟁력 확보 구조를 구축할 수 있는 개념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3) 농촌지역식품산업의 창업과 발전을 위한 정책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
    선진 식품산업 클러스터에서 지역 중소식품업체의 창업과 발전을 위해 활용하고 있는 다양한 협력프로그램과 그 운영방식에 대한 조사 결과는 우리나라 농촌지역에서 소규모 식품사업의 창업을 지원하고 발전을 위한 지역적 체계를 형성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4)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성공요인에 대한 인식 확산
    본 연구는 선진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과정을 이론적․실제적 측면에서 고찰하여 각각의 사례가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관련 업체와 기관들이 효과적인 협력 체제를 구축할 수 있도록 분석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2) 인력양성 측면의 활용방안
    (1) 현재 절대적으로 부족한 식품산업 전문가 양성에 활용
    본 연구를 통해서 식품산업 연구의 학문분야 간 연계필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대학 및 연구소에서 향후 이러한 다학문적인 특성을 반영한 식품산업 관련 교육 및 연수프로그램을 형성하도록 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2) 각급 공무원 및 클러스터 전문가 교육 및 연수프로그램에 활용
    중앙부처 또는 지자체 식품산업 및 클러스터 관련 분야 담당자들의 연수 시 식품산업 분야의 특성과 현황 그리고 클러스터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각 지역의 담당자들이 식품산업과 특정 클러스터와 관련된 자기 지역을 특성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3) 교육과의 연계 활용방안
    (1) 지역별로 특성화된 식품기술 관련 교육 과정 개설
    지역별 식품산업의 특성에 기반하여 지역적 차원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 인력을 양성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식품기술보다는 식품분야별 특화기술이나 관련 기구에 특화된 기술 등 몇 가지 기술 분야에 특화된 교육과정을 각 지역에서 개설하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한다.

    (2) 클러스터 관련 전문가 관련 교육 과정 개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7개 산업클러스터를 지정하여 혁신클러스터추진단을 설치하여 각종 기술혁신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산업현장에 시행하고 있다. 앞으로는 국가산업단지는 물론 지방산업단지까지 확대하여 혁신클러스터 정책을 시행하고자 하고 있다. 이 정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전문가 양성과 교육이 절실하다. 그러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한 클러스터 전문가 교육 과정이 개설될 것이다. 이러한 전문가 교육과정 개발 시에 본 연구에서 개발된 클러스터 분석모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클러스터 정책수립에 관한 교육에 있어서도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석 모형이 활용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세계적인 식품산업 클러스터로 평가받는 유럽의 “선진 식품산업 클러스터들의 트리플 힐릭스 시스템(Triple Helix System:THS) 분석을 통해 선진적인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구조와 존립기반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계획되었다.
    본 연구의 기본 관점은 유럽의 식품 클러스터를 단순히 기술적으로 고찰하는 것이 아니라, i) 식품 클러스터의 존립기반을 구성하는 내적 동학과 작동 메커니즘이 어떠한지를 트리플 힐릭스 분석 모형에 기초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클러스터 연구의 이론적 및 경험적 연구 성과를 심화할 뿐만 아니라, ii) 그동안 학계에서 거의 주목하지 않았으나 학문적・정책적으로 차별적 성격과 유의미성이 크다고 여겨지는 식품 산업을 대상으로 한 산업의 공간적 집중과 그 요인을 트리플 힐릭스적 시각에서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① 클러스터의 구조 및 존립기반을 분석함에 있어 트리플 힐릭스 관점(분석)이 왜 필요한지를 밝히고, ② 식품산업 및 식품 클러스터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 성과에 대한 고찰 및 유럽의 식품 클러스터 사례에 대한 문헌조사를 수행하고, ③ 이를 바탕으로 유럽의 성공적인 식품 클러스터 가운데 대표적인 3가지 유형 사례에 대해 유형별 사례를 대표하는 세 지역을 순차적으로 현지 방문하여 관련 당사자들과의 개방형 면담 조사와 포커스 그룹 방법을 통해 심층 조사를 수행하며, ④ ①~③을 바탕으로 유럽의 식품 클러스터의 구조 특성과 경쟁력 기반을 비교 분석하여 유형별 특성 및 유형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규명함으로써, ⑤ 식품 산업과 연관된 문화와 환경이 상이한 우리나라에서의 적용 가능성 및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트리플 힐릭스 시스템 모형은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제를 고찰하기 위해 사용한 핵심적인 개념적 도구이다. 트리플 힐릭스 모형은 기업 형성 및 산업 발전에 있어 대학-산업-정부 간의 협력적 관계의 역할을 분석하기 위한 개념적 도구로 처음 고안되었다. 이 모형에 따르면 특정한 기술 패러다임에 기초한 산업 클러스터는 그 패러다임의 유효성이 떨어지고 새로운 기술 패러다임으로 전환되면 쇠퇴의 위험에 빠지게 된다고 본다. 따라서 지속적인 기술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산-학-관 관계의 트리플 힐릭스가 효과적으로 작동해야만 한다. 트리플 힐릭스 모형은 지식의 활용 및 이전에는 다중적 주체들이 호혜적 연계 관계를 맺게 됨으로써 혁신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복잡한 혁신 과정을 일컬어 ‘혁신의 나선형 모형’이다. 혁신 과정에 포함된 3 주체 간에는 의사소통, 네트워크 그리고 조직의 중첩 현상이 나타나는데, 기술 변화와 기술 혁신 과정에서 나타나는 3 주체 간의 관계적 특성은 지식기반경제에서 혁신 역량을 제고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조건이 된다. 따라서 트리플 힐릭스 모형에서는 클러스터의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주요 주체들이 어떠한 관계적 구조 혹은 거버넌스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에 근본적인 관심을 가진다.
    본 연구의 성격은 창의 주제일 뿐만 아니라 해외 지역연구의 의미를 함께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서 i) 그동안 학계에서 주목하지 않은 식품산업을 분석 대상으로 한다는 점, ii) 연구의 분석틀로서 트리플 힐릭스 시스템 모형에 기초한 클러스터 분석을 수행한다는 점, 그리고 iii) 서로 성격이 상이한 3개의 사례 지역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 연구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는 차별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클러스터의 트리플 힐릭스 형성하는 3가지 핵심 주체에 기초하여 기업(産)주도형, 대학 및 연구기관(學・硏)주도형, 그리고 지방정부 및 지원기관(官)주도형의 3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유형별 대표 사례들을 추출하고, 대표적인 3지역(클러스터)를 선정하였다.
    ① 네덜란드의 바게닝겐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지역 내 기업들이 강력한 전후방 연계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시장 및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대학과 정부 및 지원기관이 이를 지원하는, 소위 기업주도형 트리플 힐릭스 클러스터의 사례로 선정하였다. ② 스웨덴의 외레순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룬트대학이 인재양성, 분리창업(spin-offs), 기술혁신을 주도하면서 클러스터의 경쟁력을 제고하는데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대학주도형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사례로 선정하였다. ③ 영국 요크셔-험버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지역개발청(RDA)인 Yorkshire Forward가 지역 기업 경쟁력 강화 및 산학 네트워크 강화를 주도하면서 클러스터 발달이 추동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관주도형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사례로 선정하였다.
  • 한글키워드
  • 대학,정부,지식이전,거버넌스 구조,혁신체계,클러스터 정책,비교 분석,산업 클러스터 경쟁력,클러스터의 존립기반,식품산업체계,트리플 힐릭스 시스템,산업,혁신체계,혁신,식품산업 클러스터,네덜란드 바게닝겐 식품산업 클러스터,스웨덴 외레순 식품산업 클러스터,영국 요크셔-험버 식품산업 클러스터,네트워크
  • 영문키워드
  • network,cluster policy,governance structure,government,university,industry,innovation system,knowledge transfer,innovation,Food System,Triple-Helix System(THS),Food Cluster,Wageningen food cluster in the Netherlands,Oresund food cluster in Sweden,Yorkshire-Humber Food cluster in England,industrial polic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덴마크 코펜하겐과 스웨덴 스케네 지방을 아우르는 초국경적 산업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는 외레순 지역
    식품 클러스터의 성격을 트리플 힐릭스 혁신체계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외레순 식품 클러스터의 트리플 힐릭스 혁신체
    계는 3가지 차원의 트리플 힐릭스 공간을 통해 지속적인 혁신과 혁신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트리
    플 힐릭스 지식공간(knowledge spaces)은 지역 대학들의 연합 조직인 외레순 대학을 통해 식품산업과 관련된 교육 및
    연구 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대학들이 생성해 내는 강력한 지식창출 체계와 자발적 및 정책적 노력에 의해 활
    성화된 산·학 협력을 통해 지식 이전과 활용 체계가 효율적으로 구축되어 있다. 둘째, 트리플 힐릭스 합의공간
    (consensus spaces)으로는 외레순 푸드 네트워크(Øresund Food Network)가 핵심 매개조직으로 기능하면서 식품 클
    러스터의 네트워크 조직자이자 비전 제시자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트리플 힐릭스 혁신공간(innovation
    spaces)은 이데온 사이언스 파크를 비롯한 다수의 인큐베이터 및 비즈니스파크들이 단순한 물리적 컨테이너 역할을 벗어
    나 식품 클러스터의 공식적 및 비공식적 네트워크의 공간적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외레순 식품 클러스터는 이러한 3
    가지 층위의 트리플 힐릭스 공간을 통해 산·학·관이 역동적인 상호작용 네트워크 체계를 형성하면서 진화하고 있다.
  • 영문
  • This paper examines the triple helix innovation system in the Øresund food cluster,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competitive food clusters in the globe. The result of the case study represents that the triple helix system of the Øresund food cluster is composed of three layers of triple helix spaces. Such three triple helix spaces play a crucial role in making the industryuniversity-government relationships interactive and dynamic. First, knowledge spaces in the Øresund food cluster are very strong and competitive in education and R&D capabilities in related to the food sector. 14 universities in the Øresund region are connected and coordinated by the integrated organization body, called the Øresund University. Second, the Øresund Food Network(ØFN), as a central consensus space in the Øresund food cluster, functions as a pivotal organization that facilitates and coordinates cooperations between firms and universities. Third, most important innovation space in the triple helix system of Øresund food cluster can be science parks and business incubators such as Ideon Science Park, which contribute to linking, between research and commercialization, and between firms and universities in the region. In a nutshell, the Øresund food cluster has been evolved as an innovative regional cluster on the basis of wellestablished three-layered triple helix spaces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덴마크 코펜하겐과 스웨덴 스케네 지방을 아우르는 초국경적 산업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는 외레순 지역식품 클러스터의 성격을 트리플 힐릭스 혁신체계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외레순 식품 클러스터의 트리플 힐릭스 혁신체계는 3가지 차원의 트리플 힐릭스 공간을 통해 지속적인 혁신과 혁신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트리플 힐릭스 지식공간(knowledge spaces)은 지역 대학들의 연합 조직인 외레순 대학을 통해 식품산업과 관련된 교육 및 연구 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대학들이 생성해 내는 강력한 지식창출 체계와 자발적 및 정책적 노력에 의해 활성화된 산·학 협력을 통해 지식 이전과 활용 체계가 효율적으로 구축되어 있다. 둘째, 트리플 힐릭스 합의공간(consensus spaces)으로는 외레순 푸드 네트워크(Øresund Food Network)가 핵심 매개조직으로 기능하면서 식품 클러스터의 네트워크 조직자이자 비전 제시자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트리플 힐릭스 혁신공간(innovation spaces)은 이데온 사이언스 파크를 비롯한 다수의 인큐베이터 및 비즈니스파크들이 단순한 물리적 컨테이너 역할을 벗어나 식품 클러스터의 공식적 및 비공식적 네트워크의 공간적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외레순 식품 클러스터는 이러한 3가지 층위의 트리플 힐릭스 공간을 통해 산·학·관이 역동적인 상호작용 네트워크 체계를 형성하면서 진화하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먼저 트리플 힐릭스 지식공간(knowledge spaces)은 지역 대학들의 연합 조직인 외레순 대학을 통해 식품산업과 관련된 교육 및 연구 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대학들이 생성해내는 강력한 지식창출 체계와 자발적 및 정책적 노력에 의해 활성화된 산·학 협력을 통해 지식 이전과 활용 체계가 잘 구축되어 있다. 외레순 클러스터의 가장 핵심적인 지식공간은 룬트대학교이다. 이 대학은 식품산업 분야의 고급인재 양성, 신생기업 창업 및 기술혁신을 주도할 뿐만 아니라 외레순 식품 클러스터의 R&D 분야 산·학 협력 네트워크의 결절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스케네 지방정부의 식품산업 혁신 프로그램인 Food Innovation at Interfaces를 통해 대학과 대학간, 대학과 기업 간의 공식적 및 비공식적 네트워크가 활성화되고 있다.
    둘째, 트리플 힐릭스 합의공간(consensus spaces)으로는 외레순 푸드 네트워크(Øresund Food Network)가 핵심 매개조직으로 기능하면서 식품 클러스터의 네트워크 조직자이자 비전 제시자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외레순 푸드 네트워크는 외레순 식품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해 학계, 정부기관 및 단체, 기업체 간의 연결과 정보교류를 촉진시키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 같은 활동을 통해서 식품산업 부문의 산·학·관 협력이나 다른 산업부문과의 협력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여기에 외레순 지역의 업체, 연구자, 정책담당자, 산업체 종사자 및 창업예정자들이 참여하도록 독려한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컨퍼런스와 워크숍을 개최하기도 하고 실제 관련자들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해서 구체적인 문제를 다루도록 촉구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트리플 힐릭스 혁신공간(innovation spaces)은 이데온 사이언스 파크를 비롯한 다수의 인큐베이터 및 비즈니스파크들이 단순한 물리적 컨테이너 역할을 벗어나 식품 클러스터의 공식적 및 비공식적 네트워크의 공간적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외레순 식품 클러스터는 이러한 3 층위의 트리플 힐릭스 공간을 통해 산·학·관이 역동적인 상호작용 네트워크 체계를 형성하면서 진화하고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이처럼 외레순 식품 클러스터에는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주체들이 독립적으로 강력한 혁신역량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 간, 기업과 대학 간, 그리고 대학과 대학 간 등 다양한 형태에서 산·학 협력 네트워크가 동태적으로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른바 트리플 힐릭스 공간들이 잘 구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우리나라의 혁신정책 및 클러스터 정책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지식기반 사회에서 경쟁력의 핵심은 바로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제도(즉, 산·학·관 주체)의 형성과 존재가 관건이 아니다. 그보다는 오히려 갖추어져 있는 제도들을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작동하게 만들고, 그들 간의 상호작용이 역동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암묵적 및 명시적 제도 기반을 갖추느냐에 따라 지역 산업이 혁신클러스터로 성장할 수 있느냐 없느냐가 판가름 나기때문이다.
    한편으로 외레순 식품 클러스터에 있어서 국제간의 산·학·관의 협력을 통한 트리플힐릭스 체계의 형성은 우리나라의 클러스터 육성정책에 있어서 당해 행정구역 내의 산·학·관 주체만으로 구성하려는 제도적 기반구축의 한계점을 극복하지 않고는 지속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점에 주목해야 것이다. 특히 상이한 제도적 및 사회경제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덴마크와 스웨덴의 이질적인 요소들이 지리적 근접성과 산업·기술적 공통성을 바탕으로 전략적인 네트워크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외레순 식품 클러스터는 월경적 지역혁신 거버넌스 구축 사례의 모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활용방안으로 첫째, 클러스터의 주도적인 주체(System Organiser) 간의 연관관계를 역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트리플 힐릭스 시스템(the System of Triple-Helix)을 유형구분의 기준 및 분석도구로 원용함과 동시에 나아가서는 트리플 힐릭스 모델의 적용에 있어서 새로운 지평을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농업과 식품산업 간의 연계를 분석․평가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으며 이를 통해 정책적인 면에서 혁신클러스터의 경쟁력 확보 구조를 구축할 수 있는 개념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선진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과정을 이론적, 실제적 측면에서 고찰하여 각각의 사례가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관련 업체와 기관들이 효과적인 협력 체제를 구축할 수 있도록 분석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중앙부처 또는 지자체 식품산업 및 클러스터 관련 분야 담당자들의 연수 시 식품산업 분야의 특성과 현황 그리고 클러스터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 색인어
  • 트리플 힐릭스, 식품산업, 푸드밸리, 클러스터, 혁신체계, 식품 클러스터, 트리플 힐릭스 공간, 지식공간, 합의공간, 혁신공간, 외레순, 네덜란드 라흐닝언, 트리플 힐릭스 모형, 국가 및 지역 혁신체제, 산·학·관 네트워크, 트리플 힐릭스 공간체계, 지역혁신, 혁신 거버넌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