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五方元音』訓民正音 音解本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9-332-A00136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2 년 (2009년 07월 01일 ~ 2011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곡효운
연구수행기관 광운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五方元音』훈민정음(이하 한글이라 약칭한다) 音解本은 2002년에 작고하신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故 金芳漢 교수님께서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에 기증한 도서이다. 이 책은『五方元音(上下)』이라는 제목으로 한글뿐 아니라 몽골어로도 중국 청나라 사람인 年希堯가 攀騰鳳의 『五方元音』을 增補한 『五方元音』의 音을 표기하였다. 이 문헌은 『洪武正韻譯訓』과 『四聲通解』와 달리 頭註라는 형식을 사용하여 중국어 발음과 한국어 발음의 차이에 대해서도 밝히고 있어 중국어 발음이 왜 한글로 그렇게 표기되어 있는지 그 이론적인 근거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그러나 이 책을 어디서 어떻게 影印하게 되었는지 전혀 알 길이 없다. 지금 볼 수 있는 『五方元音』한글 音解本에는 서문이 안 보이는 것으로 볼 때, 金芳漢교수님께서 이 책을 연구하지 못하셨거나 몽골어 표기가 있지만, 중국 운서라는 이유로 알타이어 전문가이신 金芳漢교수님께서 이 책을 연구하지 않으셨을 지도 모른다. 필자는 고증을 통해 『華東正音通釋韻考』와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어, 『五方元音』한글 音解本의 편찬연대를『華東正音通釋韻考』와 같은 18C 중엽으로 추정하고 있다. 年希堯 增補本 『五方元音』이 편찬된 후에 중국에서의 영향이 컸을 뿐 아니라 한반도, 琉球王國에도 모두 전해져왔다. 웨이드식 중국어 표기법을 창안한 웨이드(Wade, Thomas Francis, 1818.08.05~1895.07.31)가 편찬한 19C 중엽 현실 북경어를 반영한 『語言自邇集』제1판의 서문에서 『五方元音』이 웨이드식 중국어 표기법이 만들어지는데 의거한 기초자료라고 하였다. 따라서『五方元音』한글 音解本의 발견이 역사적인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중국 운서『洪武正韻』을 처음으로 한글로 번역한 『洪武正韻譯訓』(1455) 및 『洪武正韻譯訓』과 관련된 『四聲通攷』(亡逸),『四聲通解』(1517)등의 운서는 15C와 16C 중국 관화 讀書音과 口語音의 재구에 큰 도움을 주었지만 , 17C와 18C 중국운서에 대한 전사 자료의 부재가 큰 아쉬움으로 남아 있다. 필자가 발견한 『五方元音』한글 音解本은 『四聲通解』를 이은 또 하나의 중국 운서의 한글 전사 자료로 중국 언어사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 줄 있게 되었고 요즘 전 세계의 중국 언어학자들이 뜨겁게 다루고 있는 중국 관화 문제의 연구에 커다란 도움이 될 것이다.『五方元音』한글 音解本이 발견됨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해 중국 운서의 음 재구에 있어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洪武正韻譯訓』에 반영된 15C 초부터 18C 중엽 배지 현대까지의 중국 北方 官話音의 변화과정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자부한다.
     『五方元音』한글 音解本은 筆寫本으로 되어 있고 앞에 年希堯의 서문과 『五方元音』의 운도가 없는 것을 제외하고는 年希堯 增補本 『五方元音』과 일치한다. 年希堯 增補本 『五方元音』과 달리 『五方元音』한글 音解本에는 『四聲通解』처럼 당시 중국 北方의 官話音뿐만 아니라 北方의 俗音 즉 정통 讀書音이 아닌 口語音에 대해서도 기록되어 있다. 이런 俗音을 통해 현대 중국어 표준 語音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 변화 과정을 고찰할 수 있다.뿐만 아니라 중국어의 [iɛn]을 혹은 으로, [ən]을 , [ʂiəŋ]을 로,『五方元音』의 蛙母를 ◇로 표기한 것은 조선시대의 다른 운서에는 전혀 보이지 않으므로 더욱더 귀중한 가치와 의미를 지닌다 할 수 있다.
     『五方元音』한글 音解本의 발견은 중국 언어학의 연구에 지대한 도움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한국 언어학의 연구에도 일조할 것이다. 한국 국어 음운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華東正音通釋韻考』의 東音 즉 한국한자음의 正音과 俗音의 연구는 이미 많이 이뤄졌지만, 『華東正音通釋韻考』의 華音은 중국 어떤 지역의 語音이며, 朴性源이 어떤 중국 운서를 참고하였는지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전혀 밝혀지지 않고 있다. 『五方元音』한글 音解本을 통한 중국 官話音系의 재구가 18C 중엽 현실 한자음을 반영한『華東正音通釋韻考』東音의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하고 華音의 성질을 밝힘으로써, 한국 국어학계에서 해결하지 못했던 난제가 풀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가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우리나라의 국어학계뿐 아니라 전 세계의 中國言語學界에도 파급적인 효과를 일으켜 다시 한번 한국 문화의 위상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이라 자신한다.따라서, 『五方元音』한글 音解本의 연구는 필수적인 작업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에서 얻게 될 18C 중국 官話音, 현실 한국 한자음 자료와 그 분석 결과로 인해 발생할 기대효과를 학문적, 사회적 방면의 두 가지로 나누어 개략적으로 제시하고, 그 활용방안을 서술해보면 다음과 같다.

    ‣ 학문적인 효과:

    - 『五方元音』한글 音解本에 기록된 중국 北方 官話音의 상황을 통해 중국 北方 官話 語音의 변화를 고찰하는 데에 있어서 일조할 것이다.
    - 중국 明淸 시기 官話音 체계의 이론적 근거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중국 明淸 시기 官話音의 기초 語音이 어느 지역의 語音이며 어떤 역사적인 변화를 겪었는지 규명하는 데 있어서 근거가 될 수 있다.
    - 중국 근대 官話音과 明淸시기의 북경음의 비교 분석을 통해 현대 중국어 표준어의 변천과 정을 밝히는 데에 이론과 데이터의 근거가 된다.
    - 『洪武正韻譯訓』부터『五方元音』한글 音解本까지 중국어에 대한 한글 표기의 변화과정에  대한 이론을 정립하는 데 일조할 것이다.
    - 조선시대 중국음에 대한 한글 표기법의 변화 양상을 통해 현대 중국어에 대한 한글 표기 역사를 이해하는 데에 일조할 것이다.
    - 한국 한자음과 중국음 간의 상호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 한국 국어 국어사의 연구에 새로운 자료를 제공하여 『華東正音通釋韻考』華音의 정체를 밝히는 데에 도움이 된다.

    ‣ 사회적 효과:

    - 향후 한국에서 자전을 편찬할 때 18C 현실 한국 한자음의 발음 근거가 되는 중국음을 나 타낸 한글 표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따로 검색을 위해 들여야 하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되어 경제적으로도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
    - 시기별로 한국 한자음 표기법과 중국음을 비교함으로써 중국 언어학에서의 한국 한자음 자 료의 가치를 끌어올릴 수 있다.
    - 지금까지 발견되지 못한 『五方元音』한글 音解本의 중요성을 새삼 느낄 수 있는 연구이므로 조선시대 중국 운서의 한글 표기자료에 대한 관심과 그 가치에 대한 인식을 끌어올릴 수 있다.
    - 『五方元音』한글 音解本을 중국 언어학을 연구하는 국내외의 학자에게 소개함으로써 한국 자료의 가치를 제고하여 한국의 위상이 더 높아질 것이다.
  • 연구요약
  • 1차년도에는 『五方元音』한글 音解本의 저본인 年希堯 增補本 『五方元音』과 『五方元音』한글 音解本과의 비교분석을 하기 위해「年希堯 增補本 『五方元音』과『五方元音』한글 音解本」이라는 주제로 우선 攀騰鳳 原本 『五方元音』 및 관련된 『韻略易通』,『元韻譜』등의운서에 대한 검토와 비교 분석을 하고 年希堯 增補本 『五方元音』으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았던 『琉球官話集』을 고찰한 후에 年希堯 增補本 『五方元音』과 『五方元音』한글 音解本 수록자와 체례상의 비교 분석을 할 것이다. 1차년에는 攀騰鳳 原本 『五方元音』부터 시작하여 攀騰鳳 原本 『五方元音』과 관련된 『韻略易通』,『元韻譜』등의 운서와 같이 비교 분석하여 攀騰鳳 原本 『五方元音』의 音系를 정립한 후에 年希堯 增補本 『五方元音』과의 대조 분석을 진행할 것이다. 마지막으로『琉球官話集』을 참고하여 年希堯 增補本 『五方元音』과『五方元音』한글 音解本의 역사적인 편찬배경과 수록자, 체례,攀騰鳳 原本 『五方元音』을 반영한 17세초 중엽부터 年希堯 增補本 『五方元音』을 반영한18C 초까지의 중국 관화 讀書音의 변천과정 등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2차년도에는 「『五方元音』한글 音解本의 성운체계」라는 주제로 『五方元音』한글 音解本의 성운체계를 분석한다. 우선 攀騰鳳이 零聲母를 雲母와 蛙母로 분리시킨 문제에 대해고찰할 것이다.趙蔭棠(1936:84)은 攀騰鳳이 零聲母를 雲母와 蛙母로 나눈 것에 대해 “開口呼와 合口호를 蛙母로, 齊齒呼와 撮口呼를 雲母로 나눈 것이다”라고 하였다. 『五方元音』의 雲모자는 바로『重訂司馬溫公等韻圖經』止攝에 들어가 있고 『五方元音』의 蛙모자는 『重訂司馬溫公等韻圖經』祝攝에 들어가 있다는 것은 우연의 일치가 아닌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의 자료인 『洪武正韻譯訓』(1455), 『四聲通解』(1517), 『老乞大諺解』(1670), 『朴通事諺解』(1677), 『老乞大新釋諺解』(1763), 『朴通事新釋諺解』(1765),『重刊老乞大諺解』(1795), 가톨릭 선교사인 Nicolas Trigault가 기록한 『西儒耳目資』(1626) 등의 표기와 중국 방언 자료를 이용하여 雲母의 介音을 밝히고자 한다. 2차년도에는 『五方元音』 한글 音解本의 성운체계를 밝힐 뿐 아니라『五方元音』 한글 音解本의 俗音에 대해서도 표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보도록 하며,17C 초 북경현실음을 반영한『合倂字學篇韻便覽』과 17C 중엽 중국 관화 讀書音을 반영한 樊騰鳳의『五方元音』, 18C 초 중국 관화 讀書音을 반영한 年希堯의『五方元音』增補本, 18C 중엽의 중국 관화 讀書音과 口語音을 동시에 반영한 『五方元音』한글 音解本을 통시적인 관점에서 전면적으로 비교분석하여 17C 초부터 18C 중엽 내지 현대까지의 중국어표준어 音系의 변천과정을 밝히도록 한다.
    3차년도에는「『五方元音』 한글 音解本과『華東正音通釋韻考』」라는 주제로『五方元音』 한글 音解本과『華東正音通釋韻考』의 비교 분석을 통해 『五方元音』 한글 音解本과『華東正音通釋韻考』의 관계를 밝히고 『華東正音通釋韻考』의 東音 즉 한국 한자음과 華音 중국음의 音系를 확립하고자 한다. 3차년도에는『五方元音』한글 音解本과『華東正音通釋韻考』에 대한 비교 분석을 하여『華東正音通釋韻考』에 반영된 한국한자음과 당시 중국어 현실음과의 관계, 『華東正音通釋韻考』의 華音은 중국 官話音인지 만약 官話音이면 官話 讀書音인지 口語音인지,『華東正音通釋韻考』頭註에 특별히 언급한 華本은 年希堯 增補本 『五方元音』인지 등의 세밀하고 중대한 문제를 고찰하며,『華東正音通釋韻考』의 한자음과 華音의 音系를 확립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蒙古字韻』,『古今韻會擧要』,『中原音韻』,『合倂字學篇韻便覽』,『語言自邇集』,年希堯 增補本,『五方元音』訓民正音 音解本,『華東正音通釋韻考』,『四聲通解』,『洪武正韻譯訓』,攀騰鳳 原本
  • 영문키워드
  • Meng Gu Zi Yun,A revised of Nian Xi yao,Original of Pan Teng feng,He Bing Zi Xue Pian Yun Bian Lan ,YuyanZierJi,Korean Phonetic Alphabet of “Wu Fang Yuan Yin”,Gu Jin Yun Hui Ju Yao,Zhong Yuan Yin Yun,Sa Seong Tung Hae,Hwa Dong Jeong Eum Tung Seok Un Ko,Hong Mu Jeong Un Yeok Hu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五方元音』훈민정음(이하 한글이라 약칭한다) 音解本은 2002년에 작고하신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故 金芳漢 교수님께서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에 기증한 도서이다. 이 책은『五方元音(上下)』이라는 제목으로 한글뿐 아니라 만주어로도 동시에 표기하였는데 중국 청나라 사람인 年希堯가 樊騰鳳의 『五方元音』을 增補한 『五方元音』의 音을 표기하였다. 웨이드식 중국어 표기법을 창안한 웨이드(Wade, Thomas Francis, 1818.08.05~1895.07.31)가 편찬한 19C 중엽 현실 북경어를 반영한 『語言自邇集』제1판의 서문에서 『五方元音』이 웨이드식 중국어 표기법이 만들어지는데 의거한 기초자료라고 하였다. 따라서『五方元音』한글 音解本의 발견이 역사적인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五方元音』 훈민정음 音解本의 수록자와 수록자의 배열순서는 年希堯 증보본과 완전히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五方元音』이 평성을 상평성과 하평성으로 나눈 것처럼 상평성과 하평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로 상평성과 하평성 글자를 구분시켰다. 文秀堂藏本『五方元音』과 비하면 年希堯가 증보본에 많은 俗字를 추가하였다는 점도 하나의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五方元音』 훈민정음 音解本은 12개의 운목과 20개의 자모(성모) 독음에 대해 모두 훈민정음으로 표기하였다. 운서에 頭註가 있는데 모든 소운의 독음에 대해 樊어와 훈민정음으로 표기하였다. 본문 속의 이독자에 대해서는 그 음을 특별히 훈민정음으로 표기해 놓았다. 일반적으로 중국의 운서에 대해 훈민정음으로 주음 한다면 편찬자나 간행인의 서문이 있어야 하는데, 지금 볼 수 있는 이 영인본에는 없다. 본래부터 서문이 없었거나 또는 서문이 후에 없어진 것일 가능성이 있다.
    年希堯 增補本 『五方元音』과 달리 『五方元音』한글 音解本에서는 『四聲通解』처럼 당시 중국 北方의 官話音뿐만 아니라 北方의 俗音 즉 정통 讀書音이 아닌 口語音에 대해서도 기록되어져 있다. 樊騰鳳 原本과 年希堯 增補本『五方元音』은 당시 중국 北方 官話 讀書音을 반영한 운서로 당시 官話 구어에 대해 기록하지 않았다. 『五方元音』 한글 音解本의 편찬자들이 당시 중국 北方 官話 口語音을 중시하였기 때문에 『洪武正韻譯訓』이나『四聲通解』처럼 당시 중국 北方 官話 口語音에 대해 이런 식으로 표기해 놓았다.
    본 연구는 『五方元音』훈민정음 音解本의 正音과 俗音 분류 및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 이런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해 18세기의 중국어 관화 정음과 현실음을 모두 밝혀질 것이며 중국 음운 역사를 이해하는 데에 일조가 될 것이다.
  • 영문
  • (WU FANG YUAN YIN) HunMinJeongEum (a short designation says hereafter that it is Korean) 音解本 is the books which Seoul National University philological department 故 金芳漢 professors deceasing in 2002 contributed to Chonnam National Unoversity center library.ManJuEoRo marked it in addition to Koreans in titles called this ChaekEun (called WU FANG YUAN YIN (上下)) at the same time, and the 年希堯 which was a Chinese CheongNaRa person marked 音 of 增補 Han (WU FANG YUAN YIN) to 樊騰鳳 (to WU FANG YUAN YIN). The WeIDeu which originated WeIDeuSik Chinese notation (Wade, Thomas Francis, 1818.)08.05~1895.07.I did it that a preface of my 1 that reflected BukGyeongEo actual the 19C JungYeop which 31) compiled (語言自邇集) (WU FANG YUAN YIN) was basic data based on for WeIDeuSik Chinese notation to be made. Therefore, (WU FANG YUAN YIN)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even if I have the important meaning that discovery of Korean 音解本 is historical.
    (WU FANG YUAN YIN) arrangement order of SuRokJa of HunMinJeongEum 音解本 and SuRokJa appeared 年希堯 so that an enlargement regular course was completely matched.(WU FANG YUAN YIN) use is called a term SangPyeongSeong and HaPyeongSeongIRa as divided PyeongSeong to SangPyeongSeong and HaPyeongSeong did not it, but let classify SangPyeongSeong and HaPyeongSeong character to "○" ".It is difference one viscosity, and enlargement this can do it 年希堯 if I compare it with 文秀堂藏本 (with WU FANG YUAN YIN) that I added to a lot of 俗字.
    (WU FANG YUAN YIN) HunMinJeongEum 音解本 all marked it to HunMinJeongEum about alphabet (the Virgin Mary) DokEum of 12 UnMok and 20.I marked De to 樊 Eo and HunMinJeongEum about DokEum of all SoUn with 頭註 to UnSeo.I marked the sound to HunMinJeongEum in particular about IDokJa of the text inside.Generally, I am not to now this facsimile edition to be able to see for there to have to be the preface which an editor is of publication if I make JuEum to HunMinJeongEum about Chinese UnSeo.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a preface is inherently for EopEotGeoNa or a preface to have been lost later.
    I am recorded about the 口語音 which isn't 俗音 of 北方 and legitimacy 讀書音 in addition to 官話音 of Chinese 北方 like Korean 音解本 (like 四聲通解) unlike 年希堯 增補本 (unlike WU FANG YUAN YIN) (WU FANG YUAN YIN) at that time.樊騰鳳 原本 and 年希堯 增補本 (WU FANG YUAN YIN) didn't record it about 官話 spoken languages to the UnSeo which reflected Chinese 北方 官話 讀書音 at that time at that time. (WU FANG YUAN YIN) as editors of Korean 音解本 regarded Chinese 北方 官話 口語音 as important at that time (like 洪武正韻譯訓) (like 四聲通解), I marked in this way it about Chinese 北方 官話 口語音 at that time.
    This study (WU FANG YUAN YIN) called 正音 of HunMinJeongEum 音解本 and 俗音 classifications and database anger.I will all become clear, and sunshine will become a Chinese phoneme history in understanding it through this database ange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이래로 조선 시대의 중국음을 한글로 표기한 중국어 회화교재 언해본인 『老乞大諺解』『朴通事諺解』등의 시리즈 문헌은 국어사 연구뿐 아니라, 근대 중국어 어법, 어휘, 음운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로 인식되어져 오고 있다. 이러한 중국어 회화교재 언해본 외에도 조선시대 운서 자료는 근대 중국음의 재구에 지대한 도움이 되고 있다. 한자음을 표기한 것으로 중국음을 표기한 최초의 운서인 『東國正韻』(1416)을 비롯하여 중국 운서 『洪武正韻』을 한글로 번역한『洪武正韻譯訓』(1455)과『四聲通解』(1517)등의 운서, 한국한자음과 중국음을 동시에 한글로 표기한 『華東正音通釋韻考』(1747),『三韻聲彙』(1751),『奎章正韻』(1796)등의 문헌이 국어음운사와 중국 음운사의 연구에 있어서 아주 귀중한 자료지만, 이런 운서자료 가운데 17C와 18C 중국운서에 대한 전사 자료의 부재가 큰 아쉬움으로 남아 있다. 『五方元音』한글 音解本의 한글 표기를 통해 樊騰鳳 原本 『五方元音』부터 年希堯 增補本『五方元音』까지의 중국 官話音의 音系를 정확하게 재구할 수 있고 중국 근대 官話音의 변천과정을 밝히는 데에 지대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五方元音』 훈민정음 音解本의 수록자와 수록자의 배열순서는 年希堯 증보본과 완전히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五方元音』이 평성을 상평성과 하평성으로 나눈 것처럼 상평성과 하평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로 상평성과 하평성 글자를 구분시켰다. 文秀堂藏本『五方元音』과 비하면 年希堯가 증보본에 많은 俗字를 추가하였다는 점도 하나의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年希堯 增補本 『五方元音』과 달리 『五方元音』한글 音解本에서는 『四聲通解』처럼 당시 중국 北方의 官話音뿐만 아니라 北方의 俗音 즉 정통 讀書音이 아닌 口語音에 대해서도 기록되어져 있다. 예를 들면『五方元音』 한글 音解本에 "鐼見"이라는 설명은 年希堯 增補本 人韻 梆모 奔小韻에 "鐼"자가 없고 人韻 火모 熏小韻에 "鐼"자가 보이며 음은 [xyn]이라는 뜻이다. 즉 年希堯 增補本에 人韻 梆모 奔小韻에 "鐼"자가 수록되어 있지는 않지만, 당시 중국 北方 官話 口語音 중 "鐼"자 독음은 人韻 梆모 奔小韻에 속한 글자들과 같이 [puən]였고 당시 중국 北方 官話 讀書音 중 "鐼"자 독음이 [xyn]였다는 것이다. 人韻 火모 熏小韻을 보면 이라는 주음 아래에 熏, 訓등의 글자들이 있는데 去聲 아래에 鐼자가 보이고 "鐵屬 븐"이라는 설명이 보이는데 한글 音解本 편찬자가 다시 한 번 鐼자의 俗音 즉 口語音을 표기하였다. 樊騰鳳 原本과 年希堯 增補本『五方元音』은 당시 중국 北方 官話 讀書音을 반영한 운서로 당시 官話 구어에 대해 기록하지 않았다. 『五方元音』 한글 音解本의 편찬자들이 당시 중국 北方 官話 口語音을 중시하였기 때문에 『洪武正韻譯訓』이나『四聲通解』처럼 당시 중국 北方 官話 口語音에 대해 이런 식으로 표기해 놓았다.
    한편, 『五方元音』한글 音解本 天韻 顛小韻 入聲 아래에 "敁―敠稱量"이라는 주가 있는데 이 주의 왼쪽에 "疑掂字"라는 설명이 보인다. "敁"자가 年希堯 增補本 에는 보이지 않고, 한글 音解本 天韻 顛小韻 안에 들어 있지 않은데 위의 "鐼"자처럼 한글 音解本의 편찬자가 年希堯 增補本에 없는 俗音에 따로 주를 달았다는 것이다. 한글 音解本의 편찬자가 이처럼 "鐼"자, "敁"자 등 글자의 俗音을 따로 표기한 것은 당시 중국 官話 口語音을 반영한 운서를 참고하면서 자신들의 견해를 피력한 것이다. 한글 音解本의 편찬자가 참고한 중국 운서에 "敁―敠稱量"이라는 주석이 있는데 당시 [tiən]로 읽힌 "敁"자는 "敁敠"이고 稱量이라는 뜻이다. 한글 音解本의 편찬자가 이에 대해 "敁자가 아니고 掂자임이 의심됨"이라고 다시 주를 달았다. 天韻 顛小韻 入聲 아래 "瘨病也"의 왼쪽에 "疑癜字"라는 설명이 있는데 이는 『五方元音』 한글 音解本의 편찬자가 "瘨자가 아니고 癜자임이 의심됨"이라고 주석을 달았다는 것이다.
    『五方元音』훈민정음 音解本에 많은 속음자가 있는데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훈민정음 音解本 班小韻 入聲 아래에 "拌, 見판"이라는 설명이 보인다. 『五方元音』중의 拌字는樊小韻[pʰan]에만 보여 班小韻 [pan]에 없지만, 중국 관화 구어음에 拌자는 班小韻에 속한 글자들과 같이 [pan]이라고 읽혔다. 현대 중국어 표준어에 拌字의 [pan]음이 관화 독서음에 따르지 않고 구어음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활용방안

    ‣ 중국 官話音의 공시적․통시적인 분석을 통해 축적된 지식에 근거하여 자전류 에서의 중국 관 화음 변천 역사를 정리하는 데 일조할 것이다.
    ‣ 훈민정음 창제 이후 중국 운서의 한글표기의 변화과정을 제시함으로써, 연구 자료의 제한으 로 상대적으로 연구가 소홀할 수밖에 없었던 18C 중국 운서의 한글 표기를 연구하는데 믿을만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중국 운서와 중국 운서의 한글 표기간의 공시적․통시적인 분석 자료를 통해 작성된 두 나라의 한자 발음표를 제공함으로써 이 분야에 관심 있는 연구자들이 편리하게 참조할 수 있다.
    ‣ 한국 한자음 자료가 체계적으로 수집 정리되므로 그 자료가치가 제고되어 중국어 음운학의 여러 가지 세부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중국 근대 官話 자료가 체계적으로 수집 정리되므로 그 자료가치가 제고되어 한국 한자음의 여러 가지 세부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기존 및 새로운 문헌 자료의 수집 및 재정리 과정을 통해 1차 자료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 색인어
  • 『五方元音』훈민정음 音解本, 『華東正音通釋韻考』,『四聲通解』,『洪武正韻譯訓』, 攀騰鳳 原本, 年希堯 增補本,『合倂字學篇韻便覽』,『語言自邇集』,『蒙古字韻』,『古今韻會擧要』,『中原音韻』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